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제 1 장 총 칙

- 1 -

제 1 장 총 칙

1.1 목 적

본 지침은 각종 도로건설공사 등으로 발생된 비탈면의 자연경관

과 생태계를 복원하고, 도로 이용자들에게 안정감과 쾌적함을 제공

하며, 주변 생태환경에 적합한 환경친화적인 비탈면 녹화공법 설계

및 시공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해 설]

우리나라의 비탈면 녹화공사는 아직까지 우리 실정에 적합한 설계 및

시공에 관한 기준이 없어 조기녹화에만 급급하고 외래초종(양잔디류) 위

주로 시공하고 있다. 훼손된 비탈면의 생태환경에 대한 분석 없이 무분별

하게 녹화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녹화식물이 대부분 2~3년 이내에 고사되

어 비탈면이 재 황폐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비탈면 녹화용 외래초종(양잔디류)은 주변 생태계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고, 너무 우점하면 주변식생의 자연 침입을 방해하며, 우리나라 기후에

맞지 않으면 수 년 내에 자연 도태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앞으로 자연환경을 고려한 복원목표에 적합한 녹화공법의 설계와 시공을

유도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토질분석에 의한 비탈면 안정 검토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비탈면의 토질(암질)과 지역 기후와 생태적 여건 등을 종합적으

로 고려하고, 주변에서 생육하고 있는 자생종(재래종) 등을 적극 활용이 필

요한 실정이다. 외래초종(양잔디류) 위주의 녹화방법에서 과감히 탈피하기

위해 국내 실정에 맞는「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을 마

련하게 되었다.

본 지침은 도로건설공사로 인해 훼손된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주변 자연환경을 고려하며, 미관과 경관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으로 안정

제 1 장 총 칙

- 2 -

된 식생을 조성하며, 이산화탄소 저감에 유리한 식생구조를 갖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주변 자연환경과 토질에 적합한 녹화공법 및

식물과 식생기반재 선정에 관한 비탈면 녹화설계 방법을 제시하며, 시공

전 검증절차(시험시공)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부실시공을 방지하여 비탈면

자연생태복원 및 녹화공사의 품질향상을 유도하는데 기여토록 한다.

아울러 본 지침은 생태적으로 양호한 비탈면을 조성하는 지침으로 활

용되어 녹화식물에 의한 자연생태계 교란 위험을 줄이면서 주변과 조화

되는 식생경관을 조성하여 운전자에게 편안한 주행을 유도하고 환경친화

적인 도로건설의 정착 및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2 적용범위

본 지침은 도로건설공사로 인해 발생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비

탈면 중 녹화에 의한 표면보호와 경관복원이 필요한 비탈면의 자연

생태복원 및 녹화사업에 적용한다. 적용대상은 고속국도, 일반국도,

국도대체우회도로, 국가지원지방도로 한다.

[해 설]

(1) 본 지침은 안정 해석에 의해 비탈면 안정공사를 완료한 구간에 대하여

녹화공사를 시행하기 위하여 정한 일반적인 기준이다. 별도관리지역1)은

자연생태복원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비탈면의 자연경관복원에 적합한

녹화공법들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2) 긴급복구 공사, 도로유지보수사업은 본 지침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3) 비탈면 녹화공사가 소규모인 경우 발주자는 전문가2)와 협의하여 지침

의 적용 여부를 결정한다.

주1) 별도관리지역은 국토핵심생태녹지축지역과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보전되는 지역중 역사적․문화적․경관

적 가치가 있는 지역이거나 도시의 녹지보전 등을 위하여 특별히 관리하고 있는 지역을 말한다.

주2) 전문가는 자연생태복원전문가와 토질분야 전문가를 말한다.

제 1 장 총 칙

- 3 -

(4) 비탈면 구간이 불안정한 비탈면에 대하여, 토질분야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식생에 의한 녹화공법의 적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본 지침을 적

용할 수 있다.

1.3 도로비탈면 녹화공사 업무 흐름도

해당 지역 주변 비탈면 식생현황 조사

비탈면 녹화공법 적용방안 검토

- 비탈면 발생지역 구분(깎기, 쌓기)

- 토질별(암별) 구성 형태조사

- 토질조사 보고서 검토

비탈면 녹화공법 설계

- 녹화지역 확인

- 생태자연도 등급 결정

- 복원목표설정

- 녹화공법설계

- 종자배합설계

- 비탈면녹화 공사비 산출 및 시험시공과

모니터링 계획수립

설계 자문시*

자연생태복원전문

가, 토질전문가

등 참여

시험시공 계획서 작성

시험시공 실시 및 유지관리 시험시공 평가

시험시공 결과 분석

자연생태복원전문

가(필요시 녹화공

법평가위원회 구

성)

- 깎기, 쌓기지역 토질별 녹화공법설계의

적합성 평가

- 토질별적용공법의 복원목표 달성여부평가

비탈면 녹화공법 선정

- 깎기, 쌓기지역 토질별 녹화공법선정

공 사 실 시 품질관리 실시

유지

관리

단계 유 지 관 리

<그림 1.1> 비탈면 녹화공사 업무 흐름도

* 설계자문에서 녹화지역과 생태자연도 등급, 복원목표, 녹화공법, 종자배합설계 및 공사비 등 비

탈면 녹화 설계내용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제 1 장 총 칙

- 4 -

1.4 용어의 정의

본 지침에서 사용되는 비탈면 녹화와 관련된 설계단계, 시공단계, 유지

관리단계별 주요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1.4.1 비탈면녹화의 설계단계 관련용어

(1) 관목

줄기와 수관(樹冠)의 구별이 명백하지 못하고 대체로 키가 낮은 나무

(4m 이하 나무)를 말한다.

(2) 개척양수

선구성 식물로서 비교적 다량의 햇빛을 요구하는 수종을 말한다.

(3) 견질토사

견고한 모래, 진흙이나 점토로서 괭이나 곡괭이를 사용할 정도의 토질

(체중을 이용하여 2~3회 동작을 요할 정도)을 말한다.

(4) 교목

한 개의 주간(主幹)을 가지고 있고 키가 큰 나무를 말한다.

(5) 극성상 산림

천이단계에서 최고로 높은 단계의 산림을 말한다.

(6) 기초식재용

자연환경의 조성에 기초가 되는 식물을 말한다.

(7) 난지형초종

여름철이 생육 적온기인 초종을 말하며, 한국잔디, 버뮤다그래스, 위핑

러브그라스(Weeping lovegrass) 등이 있다. 위핑러브그라스(Weeping

lovegrass)는 척박지에서 생육이 왕성하지만 종자의 크기가 작고 가볍

기 때문에 주변으로 확산하기 용이하여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다.

제 1 장 총 칙

- 5 -

(8) 내음성수종

식물이 교목 등의 아래 그늘에서 생육을 잘하는 식물 종류를 말한다.

지피류, 관목류, 소교목류에서 많으며, 낮은 광량에서 잘 자라는 식물을

총칭한다.

(9) 국토환경성평가지도

국토의 환경정보를 종합·과학적으로 평가하여 보전·개발 계획 수립 등

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환경정보 지표이다.

(10) 리핑암

불도저에 장착된 리퍼(Ripper)에 의한 굴착이 가능한 암질을 말한다.

(11) 밀원식물(蜜源植物)

벌이 꿀을 빨아 오는 원천이 되는 식물(아까시나무, 자운영 등)을 말한다.

(12) 발파암

불도저에 장착된 리퍼(Ripper)에 의한 굴착이 불가능하고, 굴착 또는 절

취에는 화약을 사용해야 하는 암질을 말한다.

(13) 비탈면 경사도(°)

비탈 상부(비탈 어깨)에서 비탈하부(비탈 끝)까지의 기울어진 정도를

말하며, 경사계(Clinometer)로 측정한다.

(14) 비탈면 방위(°)

비탈면의 동서남북의 향을 말하며, 방위계(Compass)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15) 비탈면 길이(length of slopes; m)

비탈면 경사방향으로 잰 비탈면의 길이를 말한다. 단, 배수로 부분은 제

외한다.

(16) 비탈면 높이(Height of slopes; m)

비탈 상부(비탈 어깨)에서 비탈하부(비탈 끝)까지의 수직고를 말한다.

제 1 장 총 칙

- 6 -

<그림 1.2> 도로비탈면의 구조와 명칭

(17) 생태자연도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습지, 호소, 농지, 도시, 해양 등에 대해 자연환경

전체를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 가치 등에 따라 등급화하여 작성한 지

도이다(자연환경보전법 제23조 근거). 각종 개발계획의 수립․시행에 활

용할 수 있도록 전국의 자연환경을 멸종위기 또는 보호 야생동․식물의

분포 상황, 경관 등 생태적 특성에 따라 등급을 표시하는 지표이다(자

연환경보전법 제34조 근거). 지역에 따라서 1등급, 2등급, 3등급, 별도관리

지역으로 구분한다.

제 1 장 총 칙

- 7 -

생태자연도 등급 내 용

1등급 지역

①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또는 보호야생동․식물의 주된 서

식지, 도래지 및 주요 이동통로가 되는 지역

②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경관이 특히 수려한 지역

③ 생물의 지리적 분포한계에 위치하는 생태계지역 또는

주요 식생의 유형을 대표하는 지역

④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⑤ 자연원시림 또는 이에 가까운 산림 및 고산 초원

⑥ 자연생태 또는 이에 가까운 하천․호소․강하구․갯벌 및 해양

2등급 지역

1등급에 준하는 지역으로서 장차 보전의 가치가 있는 지

역 또는 1등급 전역의 외부지역

3등급 지역

1등급․2등급전역 및 별도 관리지역으로 분류된 지역외의

지역으로서 개발 또는 이용의 대상이 되는 지역

별도관리지역

백두대간보호지역 등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보전되

는 지역 중 역사적․문화적․경관적 가치가 있는 지역이거나

도시의 녹지보전 등을 위하여 관리하고 있는 지역 (자연보

호림, 자연공원, 천연기념물보호구역, 조수보호구역 등)

<표 1.1> 생태자연도 등급별 구분 기준

(18) 선구식물(先區植物)

맨땅에 침입해서 정착하여 천이를 시작하는 식물을 말한다.

(19) 식생기반재뿜어붙이기

1) 두꺼운 식생기반재뿜어붙이기

암반비탈면에 고압뿜어붙이기기를 이용하여 식생기반재를(5cm

이상) 두텁게 뿜어붙이기하는 공법을 말한다. 압력으로 분사함으로써

가파른 비탈면에 두텁게 식생기반재를 뿜어붙이기 할 수 있다.

2) 얇은 식생기반재뿜어붙이기

비탈면녹화를 위해 얇은층의 식생기반재(5㎝ 미만)와 함께 종자, 비료 등

을 주로 습식으로 뿜어붙이기하는 공법을 말한다. 작업효율이 우수하여

대면적 시공에 유리하지만 식생기반재의 물성에 따라 녹화식물의 생육경

향이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제 1 장 총 칙

- 8 -

3) 2층뿜어붙이기

식생기반층을 우선 조성하고, 그 위에 종자층을 분리하여 시공하는

공사방법을 말한다. 종자층의 두께가 파종량 결정의 기준이 되며 종

자 구득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녹화식물을 파종할 때 종자소요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20) 숏크리트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모르타르를 깎기 비탈면 표면부에 피복시켜 불연

속면에 대한 접착을 유도하고 구속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깎기 비탈

면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공법을 말한다.

(21) 수밀기

벌이 꿀을 따는 시기를 말한다.

(22) 수목식재공법

수목식재공법은 묘목식재, 차폐식재, 소단상객토식수공법, 새집 공법 등

을 말한다. 비탈면에서는 식재목의 뿌리생육이 느리게 진행되므로 뿌리

가 활착되어 고정되기까지 철저한 관리가 요망된다. 일반적으로 비탈면

에 파종으로 성립시킨 수목은 인공적으로 식재한 나무보다 땅속으로 뿌

리가 깊게 신장하는 경향을 보여 비탈면의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23) 수종 및 초종

비탈면에서 자라는 나무(수종)와 초본의 종류(초종)를 말한다.

(24) 아교목

아교목은 교목과 관목의 중간 식물로 교목보다 작지만 모양은 교목과

같다. 교목과 관목의 중간 크기의 나무를 말한다.

제 1 장 총 칙

- 9 -

(25) 암종류

1) 화성암 : 화산에서 분출된 용암이 굳어져서 암석이 된 것을 말하며,

화산암(분출암)과 관입암으로 구분되어 진다.

2) 퇴적암 : 지표에 노출된 암석이 끊임없는 풍화와 침식작용으로 원암

으로부터 분리된 물질로 유수, 바람, 조류 및 빙하 등에 의해 운반되

어 쌓인 물질들이 다짐, 침전, 교결작용 등으로 굳어져서 암석이 된

것을 말하며, 쇄설성 퇴적암, 비쇄설성 퇴적암으로 구분된다

3) 변성암 : 지각 내 존재하는 암석이 열과 압력 및 화학적 변성작용을

일으켜 광물들이나 조직이 재배열되어 생성된 것을 말하며, 파쇄암,

접촉변성암, 광역변성암으로 구분된다

※ 산성배수 발생암석 : 다량의 황철석을 함유하고 있으며, 황철석의 산

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산성배수가 암석의 중화능력을 초과하는 암석

을 지칭한다. 녹화하기 위해서는 식생생육 기반층 조성을 위한 특별

한 설계를 고려해야 한다.

(26) 암반상태조사

비탈면을 구성하고 있는 암반의 종류와 암반의 불연속면 특성을 조사

한다. 아울러 토사와 암반의 혼합비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27) 양수(陽樹)

빛을 잘 받아야 생육하는 나무를 말한다(소나무, 자작나무 등).

(28) 음수(陰樹)

약한 빛에서도 잘 생육하는 나무를 말한다(너도밤나무, 주목 등).

(29) 외래도입초종(양잔디류)

비탈면 녹화공사에 지금까지 많이 이용해오던 식물들로 생육적온이 1

5~24°C인 한지형초종(cool-season grass)과 생육적온이 25~35°C인 난

지형초종(warm-season grass)으로 구분된다.

(30) 자연생태복원전문가

자연생태복원전문가는 아래에서 정하는 기술자격이나 학위취득 후 소

제 1 장 총 칙

- 10 -

정의 경력을 갖춘 자 또는 아래 자로 구성되어 있는 자연생태복원전문

기관을 말한다.

1) 조경학, 임학, 원예학, 생물학 등 관련분야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비탈면

녹화 계획, 설계 및 시공 관련 분야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2) 조경학, 임학, 원예학, 생물학 등에서 관련분야로 석사학위 취득 후 비탈면

녹화 계획, 설계 및 시공 관련된 분야 5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3) 비탈면녹화 계획, 설계 및 시공 경험이 3년 이상인 자연환경관리기술

사 및 조경기술사

4) 자연생태복원기사 또는 조경기사 자격이 있으면서 비탈면녹화 계획,

설계 및 시공 등 관련된 분야 10년 이상 종사한 자.

5)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또는 조경산업기사 자격이 있으면서 비탈면녹

화 계획, 설계 및 시공 등 관련된 분야 13년 이상 종사한 자.

(31) 자생종(국내)

국내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다른 품종과 교배되지 않고 자생하여온 식

물을 말한다. 자생종을 국내에서 채취하였을 경우 자생종(국내)로 표기

한다.

(32) 자생종(국외)

국내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다른 품종과 교배되지 않고 자생하여온 식

물이지만 생육범위가 넓어 국외에서 채취한 경우를 말한다. 국외에서

채취한 자생종은 자생종(국외)으로 표기한다. 우리나라와 위도가 유사

한 중국지역에서 채취한 식물 중 자생종(국외)으로 표기될 수 있는 종

자들이 다수 있다.

(33) 자생종(재래목본)

재래목본은 어느 지방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다른 품종과 교배되지 않

고 자생하거나 길러 오던 목본(나무)을 말한다.

제 1 장 총 칙

- 11 -

(34) 자생종(재래초본)

어느 지방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다른 품종과 교배되지 않고 자생하거

나 길러 오던 초종(풀)을 말한다.

(35) 지피식물(地被植物)

지피식물은 땅에 밀착하여 자라고 바람이나 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해

주는 식물로써 지표면의 피복과 미화를 목적으로 집단 식재하는 일년

초, 숙근초 등을 말한다. 한국잔디와 한지형 초종, 야생화류를 포함하며,

기린초, 산국, 벌노랑이, 송악, 쑥부쟁이, 양지꽃, 금계국 등이 있다.

(36) 주변 임상

조사대상 비탈면 주변 산림의 식생구성 상태를 말한다. 주변 임상은 비

탈면의 종 공급원으로써 복원잠재력과 연관이 높다.

(37) 중성양수

양수에 속하는 나무이지만 음수와 양수의 중간을 띈 나무를 말한다.

(38) 초본류식재

초본류식재는 잔디식재, 새심기, 야생화 포트묘 식재 등을 말한다. 조기

에 식재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유지관리가 어렵다.

(39) 터프타입(Turf type)

도입식물 중에서 주로 한지형초종(Tall fescue)의 거칠고 왜성의 잎을

가진 식물을 말한다.

(40) 토사

보통 상태의 실트 및 점토, 모래질 흙 및 이들의 혼합물로서 삽이나 괭

이를 사용할 정도의 토질(삽 작업을 위하여 상체를 약간 구부릴 정도)

을 말한다.

(41) 파종공법

파종공법에는 고압뿜어붙이기기로 파종하는 방법과 인력으로 파종하는

점파공법, 조파공법, 산파공법 등이 있다. 요즈음에는 기계에 의한 고압

뿜어붙이기 파종공법이 주를 이룬다.

제 1 장 총 칙

- 12 -

(42) 한지형초종

지상부의 생육적온이 서늘한 환경인 15~24°C의 온도조건에서 잘 자라는

초종으로 온대북부지역, 아한대 및 한대기후대지역에서 잘 자라며, 우리나

라에서는 봄과 가을이 생육적기이다. (톨페스큐(Tall fescue), 페레니얼라

이그라스(Perennial ryegrass), 켄터키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 등)

(43) 녹화지역의 구분

1) 국토핵심생태녹지축지역

우리나라의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한 보호지역을 말한다.

2) 해안생태계지역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행정구역도를 통해 해안과

인접한 지역을 추출하였다. 해안선으로부터 내륙지역으로 4km의 거리

내부에 있는 지역과 해안풍의 영향을 받는 지역은 해안생태계의 독특한

특성이 나타나는 곳이므로, 이 범위안의 지역을 해안생태계지역으로 설

정하였다(4km 이내 지역에서는 해송(곰솔) 분포 등 해안식생의 영향범

위가 나타나는 지역임).

3) 내륙생태계지역

우리나라 국토에서 국토핵심생태녹지축지역과 해안생태계지역을 제

외한 지역이 내륙생태계지역에 해당된다.

(44) 연속장섬유공법

연속장섬유를 식생기반재에 혼입시켜, 이를 암반표면에 뿜어붙이기를

진행하는 공법으로 비탈면 표면의 유실과 붕괴를 방지함은 물론 식물

을 비옥하게 할 수 있는 녹화기반을 조성하는 공법

(45) 다기능성섬유질뿜어붙이기공법

다기능성의 섬유질과 함께, 친환경접착제, 부숙토 등 다양한 기능의 제

품을 혼합시켜 토사비탈면에 뿜어붙이기하는 공법으로 비탈면 표면의

유실, 붕괴를 방지하고, 식물 성장에 원활한 기반을 마련하는 공법

(46) 소단상객토식수공법

소단에 다른 흙을 채우고 나무를 심는 공법

제 1 장 총 칙

- 13 -

1.4.2 비탈면녹화의 시공단계 관련용어

(1) 공사감독자

건설기술진흥법 제49조의 규정에 의하여 발주청이 선임한 공사감독자

를 말한다.

(2) 개체수

방형구(1m × 1m)내에 출현하는 수종 및 초종의 하나하나의 독립적인

식물의 숫자를 말한다.

(3) 경운(耕耘)

논밭을 갈고 김을 매는 것을 말하는데, 산림에서는 종자를 파종하고자 땅

을 갈고 잘게 부수어 주는 것을 말한다.

(4) 고착성

식물이 암반이나 비탈면에 붙어 있는 성질을 말한다.

(5) 근계층(根系層)

뿌리가 갈라져서 땅속에 분포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계로서 취급할 때

이를 근계라 하며 근계로 이루어진 층을 말한다.

(6) 근층(根層)

뿌리층을 말한다.

(7) 내척성

식물이 척박지에서 견디는 성질을 말한다.

(8) 노천매장

종자를 채종한 뒤에 땅속에다 저장하는 방법을 말한다. 종자의 저장과 결

실종자의 휴면타파 등을 위해 배수가 잘 되는 곳에 구덩이를 파고 축축한

모래와 함께 종자를 넣어 보관하는 방법으로 단풍나무, 벚나무, 주목, 목

련 등은 채종해서 과육을 벗겨낸 뒤 양파망 같은 곳에 넣어 땅속에 묻어

두는 것을 말한다.

제 1 장 총 칙

- 14 -

(9) 멀칭재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잔가지, 뿌리 등의 식물발생재를 적절한 크기로

파쇄하여 식재수종 주변이나 비탈면의 토양을 피복하는 것을 말한다.

(10) 박피

종자의 껍질을 까는 것을 말한다.

(11) 발아실험

종자에서 식물의 싹이 나는 것을 조사하는 실험을 말한다. 발아상내에

서의 발아율 결과와 포장 발아율은 다를 수 있으며, 파종량 계산에서는

발아상 발아율의 결과를 적용한다.

(12) 발아율(發芽率)

식물의 싹이 트는 비율을 말한다.

(13) 발생기대본수

종자를 묘포 및 비탈면 등에 파종하여 초기에 발아하는 단위면적당 식

물개체수를 말한다. 발생기대본수는 파종량과 파종식물의 발아율, 1g당

종자립수, 종자의 순도에 영향을 받는다.

(14) 방형구법(quadrat method)

정방형의 모양을 기본으로 하여 작은 방형구를 이용한 식생조사방법으

로써 방형구의 크기는 각 군락의 최소면적, 가장 적당한 넓이에서 취하

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개체수가 많은 경우 하나의 방형구내에서 격

자틀을 이용하여 반복 조사하는 경우도 있다. 시험 시공지 녹화품질 평

가에서는 1m × 1m의 조사방형구가 활용되며, 1년이 경과된 후에는 조

사방형구의 면적을 2m × 2m 이상의 크기로 확대하여야 한다.

(15) 벨트트랜섹트법(belt transect)

방형구법의 변형된 형태로서 기준선을 따라 일정한 폭을 지닌 띠 형태의

식생조사구를 설정하고, 그것을 일정한 간격으로 조사하는 것으로써 방형

구를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되게 이어 놓은 것이다. 이 방법은 입지조건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에 따른 식생변화를 조사하는데 적합하다.

제 1 장 총 칙

- 15 -

(16) 분얼수

토양속의 줄기의 인접부의 마디에서 새로운 포기 또는 줄기가 나오는 수

를 말한다. 톨페스큐(tall fescue)는 일정 생육기간이 지나면 분얼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초폭이 넓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17) 뿌리묻기

근삽(根揷)이라고도 하며, 나무뿌리를 이용하여 땅에 묻어 싹이 트게 하고

생육시키는 것을 말한다.

(18) 소형방형구(小形方形區)

방형구는 식물군락의 표본을 추출할 때 사용하는 틀을 말하며 쿼드러

트라고도 한다. 방형구는 반드시 정사각형은 아니며 직사각형, 원형 등

도 쓰인다. 방형구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군락을 대표하는 종류와 그것

을 포함하는 넓이 곡선에서 얻어진 최소 넓이로 정해진다. (소형방형구

예시 : 1m × 1m, 2m × 2m)

(19) 수고 및 초장

방형구내에 출현하는 수목 및 초종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말한다.

(20) 수피

나무껍질을 말한다.

(21) 순량율(純量率)

협잡물 등을 제거한 순정종자 중량의 전체중량에 대한 백분율을 말한다.

(22) 식생피복율

피복율이라고도 하며, 방형구내에 출현하는 수종 및 초종의 점유비율

(%)을 말하며, 녹화공사가 시공된 비탈면의 전체적인 식생피복율은 평

균적인 생육을 보이는 3개소 이상의 방형구 측정치 결과를 평균하여

산정한다.

(23) 양료

질소, 인산, 칼륨처럼 식물의 생장에 영양분이 되는 것을 말한다.

제 1 장 총 칙

- 16 -

(24) 식물발생재

건설공사현장에서 벌목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발생목(벌채목)으로써 현

재 재활용이 어려워 폐기물로 반출되는 뿌리, 가지, 줄기 등을 포함한다.

(25) 토양경도(土壤硬度)(mm, kg/cm²)

토양의 치밀도 또는 견밀도라고도 하며, 토양경도계(山中式토양경도계

가 많이 사용된다)를 이용하여 비탈면 상부, 중부, 하부를 각 10회씩 측정

하여 평균하고 사용편의상 토양경도지수를 mm단위로 나타낸다. 토양이

경화되면 뿌리의 신장이 저해되거나 물의 이동이 되지 않아 식물의 생육

이 불량하게 된다. 토양경도(치밀도)는 보통 24mm 이하일 때 식물의 뿌

리 생장이 활발하다.

(26) 토양산도(土壤酸度)

토양에 2.5배량의 증류수를 가했을 때 침출액의 pH치를 토양의 산도를

나타낸다.

(27) 토양습도(土壤濕度)

토양 중에 수분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로 환산한 값을 말한다.

(28) 파이버(fiber)

나무 및 초종을 잘게 썰은 섬유를 말한다.

(29) 포트재배

화분보다 작은 재배용기에 종자를 이용하여 발아시켜 재배하는 것을 말

한다.

(30) 풀베기

하예(下刈)작업이라고도 하며, 여름철에 수목하부의 풀을 베는 것을 말한다.

(31) CTD

Condenser Trip Device의 약자로 전기전도도를 이용하여 바닷물의 염

분농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제 1 장 총 칙

- 17 -

1.4.3 비탈면녹화의 관리단계 관련용어

(1) 부숙톱밥비료

나무의 톱밥이 잘 썩어서 된 비료를 말한다.

(2) 부엽토(腐葉土)

나뭇잎을 썩힌 배양토(토양)를 말한다.

(3) 생태계 교란종

기존에 없던 외래종들이 들어와 기존에 있던 생태계의 질서를 파괴하

여 생태계 자체에 교란을 일으키는 종을 말한다. 공사한 녹화 도로비탈

면에서 칡과 환산덩굴이 발아한 식생의 생육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경

우 이들을 생태계 교란종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제거를 원칙으로 한다.

(4) 식생사회

생태계 내에서 식물로 구성된 자연을 말한다.

(5) 외래종 침입

비탈면 녹화에 따른 지표 교란이나 외래종이 혼입된 자재의 사용 및

비탈면 유지관리 등에 의하여 외래종의 정착과 확산이 촉진되는 것을

말한다.

(6) 위해종

환경부에서 정하는 다른 동⦁식물에 위해성이 우려되는 생태계 교란

위험이 높은 종(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털물참새피, 물참

새피, 도깨비가지, 애기수영, 가시박, 서양금혼초, 미국쑥부쟁이, 양미역

취, 환삼덩굴, 칡 등)을 말하며, 비탈면 녹화공사에 사용을 금지한다.

(7) 하종갱신

나무에서 종자가 자연적으로 떨어져 싹이 트고 자라는 것을 말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0304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49585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4249
240 202502_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지침 개정(안) 신구조문대비표 file 효선 2025.04.01 3
239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0장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5.03.31 49
»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1장_총칙 file 효선 2025.03.31 55
237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2장_도로비탈면녹화공사의설계 file 효선 2025.03.31 42
236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3장_도로비탈면녹화공사의 시험시공 file 효선 2025.03.28 134
235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4장_도로 비탈면 녹화 공사의 시공 file 효선 2025.03.28 142
234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5장_도로 비탈면 녹화공사의 유지관리 file 효선 2025.03.28 146
233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99장_참고자료 file 효선 2025.03.28 699
232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0장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5.02.04 484
231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1장총칙 file 효선 2025.02.04 475
230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2장설계속도와 선형 file 효선 2025.02.04 486
229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3장횡단구성 file 효선 2025.02.04 781
228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4장평면교차 file 효선 2025.02.04 732
227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5장교통정온화시설 효선 2025.02.04 1118
226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6장안전시설 및 부대시설 file 효선 2025.02.04 610
225 붙임3) 어린이보호구역 안전점검 대상시설 file 효선 2023.03.03 1745
224 20170803_마을주민_보호구역_설치및_관리지침(안)_1편 file 효선 2023.03.03 1697
223 20170803_마을주민_보호구역_설치및_관리지침(안)_2편 file 효선 2023.03.03 1925
222 201405_유해위험방지 및 안전관리 계획서 통합작성지침서1편 file 효선 2023.03.02 1904
221 201405_유해위험방지 및 안전관리 계획서 통합작성지침서2편 file 효선 2023.03.02 2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