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지침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09_포장

2025.05.15 15:05

효선 조회 수:843

제 2 장 계 획

지하도로 설계지침

9 포 장

 

제9장 포장

지하도로 설계지침 299

제9장 포 장

9.1 개 요

지하도로는 형태적, 환경적, 시공성 및 유지관리 등의 측면에서 터널구조물과 유사하므로 「특수장소포

장 KDS 44 50 15(국토교통부)」의 ‘4.2 터널 내 포장’에 규정된 사항을 따른다.

【해 설】

지하도로의 차도, 측대, 길어깨 등은 안정성 및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두께 및 재질

의 구조로 포장해야 하며 교통량, 노상의 상태, 기후조건, 경제성, 시공성 및 유지관리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지하도로는 굴착에 의해 용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포장층 내의 함수비가 높게 되어

수분에 민감한 포장은 파손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런 조건을 고려하여 내구성을 가

진 포장형식을 선정하여야 한다. 또한 지하도로 특성상 조명시설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주간

에 조도가 지상부보다 낮으므로 명색화된 표면의 포장이 요구된다.

다만 지상부도로와 접속하는 부분은 강우 시 종단경사에 의한 우수 유입을 고려하여 배수에

유의하여야 한다.

9.2 포장설계

지하도로 포장은 지하도로 전 ․ 후 구간 접속도로 포장과의 연속성, 지하도로 구간별 구조적 특징, 내

구성, 내화성, 배수성, 유지관리, 시공성, 소음특성, 조명효과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식을 선정하여

야 한다.

【해 설】

지하도로 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측방여유폭이 적고 환기설비 등의 부대설비가 필요하므로 운

전자의 시야확보를 위해 지하도로 내를 밝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포장구조체가 인버

트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높은 포장구조가 요구된다.

지하도로 진출입부는 큰 종단경사로 계획될 수 있으므로 배수능력 및 미끄럼 저항 등에 대

한 충분한 검토를 통해 포장 형식을 선정하여야 한다.

제9장 포장

300 지하도로 설계지침

9.2.1 포장 구성

지하도로 내 포장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포장으로 한다. 콘크리트 포장은 콘크리트 슬래브 표층과

하부층에 시멘트 안정처리 필터층 또는 필터층을 적용하며, 불투수성 기층을 적용할 경우에는 용수

의 배수를 위하여 반드시 하부에 필터층을 설치하여야 한다.

【해 설】

지하도로 포장은 지하도로(터널)가 갖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노상이 주로 암으로 구성되어

지지력 측면에서 우수하지만 용출수가 많은 경우 이에 대한 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하부층의

처리도 중요하다.

터널 구간의 방 ․ 배수를 철저히 하여 용출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적절히 배수가 되

도록 처리하여야 하며 노상에서 발생되는 용출수는 필터층을 따라 유공관으로 배수되도록

하여야 한다. 필터층이 투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용출수는 유공관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줄눈부로 용출되는 펌핑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지하도로 포장 슬래브 하부재료는 펌핑현상으로 인한 침식 방지, 함수량 변화에 의한

강도저하 감소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브 하부의 배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층

또는 시멘트 안정처리 필터층을 설치하여야 한다.

터널 연장이 500m 이하로 짧은 경우에는 아스팔트 포장 등 터널 전후 구간의 포장형식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터널 내 콘크리트 포장 구성 및 터널 내 아스팔트 포장 구성의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특수장소포장 KDS 44 50 15(국토교통부)」의 ‘4.2 터널 내 포장’을 따른다.

9.2.2 포장 단면설계

지하도로 콘크리트 포장의 단면설계 시 콘크리트 포장은 슬래브 두께를 지하도로 전 ․ 후 접속도로

의 포장과 동일하게 적용하고 하부구조 형식에 따라 시멘트안정처리 필터층의 경우 150∼250mm,

필터층의 경우 150mm를 적용하여야 한다.

【해 설】

지하도로 구간에 용출수에 대한 문제가 없다면 노상위에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아스팔트포

장을 시공할 수 있으나 용출수가 많은 지하도로에서는 용출수가 포장위로 나오는 펌핑현상

이 발생하게 되므로 용출수를 배제할 수 있는 필터층을 설치하여야 한다.

용출수에 의한 펌핑 및 침식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시멘트안정처리 필터층을 설치하고, 용

제9장 포장

지하도로 설계지침 301

출수가 없고 평핑 및 침식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필터층을 설치한다. 또한, 시멘트안정처

리 필터층은 설계 시 최소 값인 150mm를 적용하고, 시공 중 용출수량의 정도에 따라 조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수량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의 필터층 두께, 터널 내 아스팔트 포장의 단면설계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은 「특수장소포장 KDS 44 50 15(국토교통부)」의 ‘4.2 터널 내 포장’을

따른다.

포장면에 하중으로 작용하는 교통량은 포장형식과 단면설계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차종별

비율 또한 중요하다. 지하도로가 소형차전용으로 계획, 설계될 때에는 소형차전용 도로의 특

수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9.3 포장재료

지하도로 내 포장은 용출수에 의해 습윤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표층에 위치하는 포장재료는 내수성

을 갖추어야 하며 하부층에 놓이는 포장재료는 투수성을 갖추어야 한다.

【해 설】

지하도로의 터널 및 구조물 설계, 시공 시 기본적으로 방 ․ 배수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고 적

용되지만 라이닝의 균열 및 누수 등 예상치 못한 용출수 등에 의하여 포장이 습윤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표층은 내수성, 하부층은 투수성을 갖는 포장재료를 선정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포장재료에는 아스팔트 혼합물, 콘크리트 슬래브, 필터층 및 시멘트 안정처리 필터

층 등이 있으며 포장재료 및 재료물성 등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도로포장설계 KDS 44 50

10(국토교통부)」을 따른다.

제제 120 장장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68968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86797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72922
286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5.05.16 949
285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01_총칙 file 효선 2025.05.16 828
284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02_계획 file 효선 2025.05.16 852
283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03_조사 file 효선 2025.05.16 788
282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04_지하도로 기하구조 효선 2025.05.16 3669
281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05_지하도로의 터널 및 구조물 file 효선 2025.05.16 622
280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06_환기 file 효선 2025.05.16 672
279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07_방재 file 효선 2025.05.15 1061
278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08_조명 file 효선 2025.05.15 843
»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09_포장 file 효선 2025.05.15 843
276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10_지하도로의 안전시설 등 file 효선 2025.05.14 756
275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11_부대시설 file 효선 2025.05.14 678
274 202302_지하도로 설계지침_12_지하고속도로 file 효선 2025.05.14 688
273 사람중심도로_설계지침_개정문(본문)-신구대비표_포함230920 file 효선 2025.04.10 2769
272 240425_사람중심도로 설계지침 해설_최종_00장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5.04.10 2814
271 240425_사람중심도로 설계지침 해설_최종_01장_총칙 file 효선 2025.04.10 2587
270 240425_사람중심도로 설계지침 해설_최종_02장_사람중심도로의계획 효선 2025.04.10 1359
269 240425_사람중심도로 설계지침 해설_최종_03장_횡단구성 file 효선 2025.04.09 1358
268 240425_사람중심도로 설계지침 해설_최종_04장_사람중심도로설치시설 file 효선 2025.04.09 1394
267 240425_사람중심도로 설계지침 해설_최종_05장_도시지역도로 file 효선 2025.04.08 12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