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202407_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_02장_재료
2025.05.29 15:36
재 료 2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7
제2장 재 료
1. 일반사항
(1)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골재, 아스팔트 등의 품질은 이 지침의 품질 규격을
만족하여야 한다.
2. 아스팔트
2.1 일반사항
(1) 아스팔트는 침입도 등급, 점도 등급, 공용성 등급 등의 기준을 적용한다.
(2) 고무 아스팔트 또는 폴리머 혼합 아스팔트와 같은 고점도의 개질 아스팔트 또는 첨가제를
사용하려면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 기준만을 적용한다.
(3) 커트백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포장 타르는 환경문제로 인해 도로공사표준시방서 및
각 발주기관 전문시방서에도 반영되지 않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4) 아스팔트는 석유계 원료를 이용한 아스팔트 이외에 식물성 원료를 이용한 재료를 혼합한
바이오 아스팔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공용성 등급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바이오
아스팔트 공급자는 바이오 아스팔트 생산시의 사용재료와 비율을 보고하여야 한다.
해 설
▊바이오 아스팔트
• 바이오 아스팔트는 지속가능한 건설 재료로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친환경 아스팔트
재료로써,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 자원을 이용하여 석유계 아스팔트의 일부 비율을
대체 및 혼합하여 제조한다.
• 바이오매스는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유기물질로써 주로 식물성 오일, 동물성 지방,
농업 및 임업 부산물을 사용한다.
8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 바이오 아스팔트의 성능은 석유계아스팔트와 동일한성능과 품질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공용성 등급 기준으로 평가한다.
• 바이오 아스팔트의 사용재료와 비율의 보고시에는 사용된 바이오 매스 원재료 종류와
이를 가공하여 바이오 아스팔트 생산시 혼합한 재료 명칭과 비율이 포함되어야 한다.
2.2 침입도 등급 기준
(1) 침입도 등급 기준을 적용시 아스팔트는 <표 2.1>을 만족하여야 한다.
(2)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 및 다짐온도 결정을 위하여 시험성적서에 <표 2.1>의 항목 외에
120 ℃, 150 ℃, 180 ℃에서의 각각 동점도 및 150 cSt, 170 cSt, 190 cSt, 250 cSt, 280
cSt, 310 cSt 에서의 온도를 부기하여야 한다.
(3) 순환 가열(또는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시에는 아스팔트의 KS M 2247 에 따른 60 ℃
점도 시험결과를 보고하여야 한다.
침입도 등급
시험항목
시험방법 60-80 80-100 100-120 120-150
침입도(25℃, 100g, 5s)
연화점 (℃)
신도 (15 ℃, ㎝)
톨루엔가용분 (질량 %)
인화점 (℃)
박막가열 후
질량변화율(질량 %)
침입도잔류율(%)
증발 후
질량변화율(질량 %)
침입도 비 (%)
밀도 (15 ℃, g/㎤)
KS M 2252
KS M 2250
KS M 2254
KS M 2201
KS M ISO 2592
KS M 2258
KS M 2201
KS M 2201
KS M 2201
KS M 2201
KS M 2201
KS M 2201
61 ~ 80
44 ~ 52
100 이상
99.0 이상
260 이상
0.6 이하
55 이상
-
110 이하
1.000 이상
81 ~ 100
42 ~ 50
100 이상
99.0 이상
260 이상
0.6 이하
50 이상
-
110 이하
1.000 이상
101 ~ 120
40 ~ 50
100 이상
99.0 이상
260 이상
0.6 이하
50 이상
-
110 이하
1.000 이상
121 ~ 150
38 ~ 48
100 이상
99.0 이상
240 이상
0.6 이하
50 이상
0.5 이하
110 이하
1.000 이상
<표 2.1> 침입도 분류에 의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품질 기준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9
해 설
▊아스팔트의 침입도 등급
• 아스팔트는KS M 2201에따라침입도등급20-40, 40-60, 60-80, 80-100, 100-120,
120-150 등이 있으며, 국내에서 아스팔트 혼합물용으로는 <표 2.1>의 기준에 따른
아스팔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혼합물은 침입도 등급 60-80,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가
포함된 가열 또는 순환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은 침입도 등급의 아스팔트를 적용시
침입도 등급 80-100, 100-120, 120-150 아스팔트를 사용한다.
• 신아스팔트 혼합물에 침입도 등급 60-80 아스팔트를 사용하면 포장의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정유사에 침입도 65±5 인 아스팔트의 납품을 요청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스팔트의 동점도
• 아스팔트의 동점도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를 위한 혼합 및 다짐온도를 구하기
위하여반드시필요한시험값으로120℃, 150℃, 180℃에서의동점도시험을실시하여
결과를 cSt 또는㎟/s 단위로 보고한다.
• 아스팔트의 동점도를 이용하여 혼합 및 다짐온도를 구하는 방법은 일반 신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에만 적용한다.
• 동점도시험은KS M 2248(아스팔트동점도시험방법) 또는KS F 2392(회전점도계를
이용한 아스팔트의 점도 시험방법)에 따른다.
• 아스팔트혼합물혼합시의동점도인(170±20)cSt와다짐시의동점도인(280±30)cSt에
해당하는온도값을구한다. 따라서, 동점도가150cSt, 170cSt, 190cSt, 250cSt, 280cSt,
310cSt 인 온도를 구하여야 한다.
• 동점도 시험값을 이용하여 KS M 2014(원유 및 석유제품의 동점도 시험 방법 및 석유
제품 점도지수 계산 방법)에 따라 아래의 식으로 구하거나, X축에 온도, Y축에 log
(log동점도)의 그래프로 구한다. 예제는 부록을 참조한다.
log log Z A B log t
10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여기서,
Z = 동점도(cSt) + 0.7
A, B = 2가지 이상의 온도-동점도 값으로 구하는 상수
t = 온도(℃)
2.3 점도 등급 기준
(1) 순환 가열(또는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표 2.2>의 점도 등급에 적합한
아스팔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점도 등급
시험항목
시험방법
품질기준
AC-5 AC-10 AC-20
점도
60 ℃, Pa·s KS M 2247 50 ± 10 100 ± 20 200 ± 40
135 ℃, ㎟/s KS M 2248 175 이상 250 이상 300 이상
침입도(25 ℃, 100 g, 5 s) KS M 2252 140 이상 80 이상 60 이상
인화점 (COC), ℃
KS M ISO
2592
240 이상 260 이상 260 이상
삼염화에틸렌가용분 (%) KS M 2256 99 이상 99 이상 99 이상
박막가열 시험후
잔류물에 대한
시험
점도 (60 ℃),
Pa·s
KS M 2258,
KS M 2247
250 이하 500 이하 1,000 이하
신도 (25 ℃,
5 ㎝/min) ㎝
KS M 2258,
KS M 2254
100a 이상 75 이상 20 이상
a 신도가 100 미만이어도 15.5 ℃에서 신도가 5 ㎝/min 인장 비율로 100이상이면 관계없다.
<표 2.2> 점도 분류에 의한 순환 아스팔트 포장용 아스팔트 품질 기준
해 설
▊아스팔트의 점도 등급
• 점도 등급은 KS M 2208 ‘점도분류에 의한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2종 품질기준을
적용하였다. 다만, 인화점은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안전을 위해 침입도 분류에 따른
아스팔트 등급의 인화점 기준을 적용하였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11
2.4 공용성 등급 기준
(1) 아스팔트는 KS F 2389 의 공용성 등급에 따라 <표 2.3>을 만족하여야 한다.
(2) 일반적으로 공용성 등급 PG 64-22 아스팔트를 사용한다.
(3) 교통량이 많은 교차로는 PG 76-22 이상의 아스팔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신호대기 지역, 오르막 구간 및 지․정체가 심한 도로와 중 (重)교통이 통행하여 소성변형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은 PG 76-22 이상의 아스팔트의 적용을 검토하여야 한다.
공용성 등급 PG 52 PG 58 PG 64
-10 -16 -22 -28 -34 -40 -46 -16 -22 -28 -34 -40 -10 -16 -22 -28 -34 -40
평균 7일 최고 1)
포장 설계 온도 ℃ < 52 < 58 < 64
최저 포장 설계 온도℃ >
-10
>
-16
>
-22
>
-28
>
-34
>
-40
>
-46
>
-16
>
-22
>
-28
>
-34
>
-40
>
-10
>
-16
>
-22
>
-28
>
-34
>
-40
노화 전 아스팔트
인화점,
KS M2010, ℃ ≧ 230
점도, KS F 2392
3Pa․s 이하
시험온도, ℃
135
동적 전단,
KS F 2393
G*/sinδ, 1.0 kPa 이상
시험온도@
10 rad/s, ℃
52 58 64
롤링 박막 노화 (KS M 2259) 또는 박막 노화 (KS M 2258) 후 아스팔트
질량손실, % ≦ 1.0
K 동S 적F 2전39단3, G*/si시nδ험, 2온.2도k@Pa 이상 10 rad/s, ℃
52 58 64
압력 노화 (KS F 2391) 후 아스팔트
압력 노화 온도, ℃ 90 100
동적 전단,
KS F 2393
G*sinδ, 5,000 kPa 이하
시험온도@10 rad/s, ℃
25 22 19 16 13 10 7 25 22 19 16 13 31 28 25 22 19 16
물리적 경화 보 고
휨 크리프 강성,
KS F 2390
S:300MPa이하
m값:최소 0.3이상
시험온도@60s, ℃
0 -6 -12 -18 -24 -30 -36 -6 -12 -18 -24 -30 0 -6 -12 -18 -24 -30
<표 2.3> 아스팔트 공용성 등급 기준
12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공용성 등급 PG 70 PG 76 PG 82
-10 -16 -22 -28 -34 -40 -10 -16 -22 -28 -34 -10 -16 -22 -28 -34
평균 7일 최고 1)
포장 설계 온도 ℃ < 70 < 76 < 82
최저 포장 설계 온도℃ >
-10
>
-16
>
-22
>
-28
>
-34
>
-40
>
-10
>
-16
>
-22
>
-28
>
-34
>
-10
>
-16
>
-22
>
-28
>
-34
노화 전 아스팔트
인화점,
KS M2010, ℃ ≧ 230
점도, KS F 2392
3Pa․s 이하
시험온도, ℃
135
동적 전단,
KS F 2393
G*/sinδ,
1.0 kPa 이상
시험온도@
10rad/s, ℃
70 76 82
롤링 박막 노화 (KS M 2259) 또는 박막 노화 (KS M 2258) 후 아스팔트
질량손실, % ≦ 1.0
K동S적 F 전23단93, 2. 2Gk*P/as in이δ,상 1시0험ra온d/s도,℃@
70 76 82
압력 노화 (KS F 2391) 후 아스팔트
압력 노화 온도, ℃ 100
동적 전단,
KS F 2393
G*sinδ,
5,000 kPa 이하
시험온도@
10rad/s, ℃
34 31 28 25 22 19 37 34 31 28 25 40 37 34 31 28
물리적 경화 보 고
휨 크리프 강성,
KS F 2390
S:300MPa이하
m값:최소 0.3이상
시험온도@60s, ℃
0 -6 -12 -18 -24 -30 0 -6 -12 -18 -24 0 -6 -12 -18 -24
<표 2.3> 아스팔트 공용성 등급 기준 (계속)
【주1】포장 온도는 대기 온도로부터 추정하여도 좋으며 기관의 규정에 약술된 절차에 따라
조사하여도 된다. 포장 온도는 대기온도의 약 1.8배이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13
(5) 아스팔트 혼합물의 혼합 및 다짐온도 결정을 위하여 시험성적서에 <표 2.3>의 항목 외에
120 ℃, 150 ℃, 180 ℃에서의 각각 동점도 및 150 cSt, 170 cSt, 190 cSt, 250 cSt, 280
cSt, 310 cSt 에서의 온도를 부기하여야 한다.
(6) 공용성 등급 기준 <표 2.3>의 점도시험 기준은 개질 첨가제를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아스팔트 계량조 등에 직접 투입하는 건식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에 대한 공용성 등급 시험시 적용하지 않는다.
(7) 순환 가열(또는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에 <표 2.3>에 따른 PG52-28, PG58-28, PG58-22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KS M 2247 에 따른 60 ℃ 점도 시험결과를 부기하여야 한다.
2.5 저장
(1) 아스팔트는 전용의 운반장비로 운송하여 저장하며, 장기간 보관시에는 아스팔트 품질의
변동을 최소화하도록 보관온도를 관리하여야 한다.
해 설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
• KS F 2389(아스팔트의공용성등급) 기준은PG XX-YY로표현되며, XX는고온등급으로
아스팔트 포장의 최고온도, -YY는 저온등급으로 아스팔트 포장의 최저온도 개념이다.
• 따라서, XX는 고온에서의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며, -YY는 저온에서의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 고온등급은 과거 20년 이상의 기상자료 중 연속되는 7일간의 최고 대기온도의
평균값으로 포장 깊이 2㎝의 온도를 추정하여 결정하며, 저온등급은 최저 대기온도로
결정한다.
• 만일 아스팔트 포장 시공 현장의 연속 7일간의 최고 대기온도에서 포장 최고 온도의
평균이 64℃ 이고, 최저 온도가 –22℃ 이면 일반적으로 PG 64-22 등급의 아스팔트를
적용한다.
14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2.6 중온화 아스팔트
(1) 중온화 첨가제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첨가하여 생산 및 시공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첨가제다.
(2) 아스팔트 플랜트 믹서에 직접 투입하는 건식 혼합 방법이나, 중온화 첨가제를 별도의
시설에서 아스팔트와 미리 혼합하는 습식 혼합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3) 중온화 아스팔트의 품질은 <표 2.4>를 만족하여야 한다. 다만, 개질재의 종류에 따라
혼합 및 다짐 온도 등이 달라지는 배수성·저소음, SMA, 구스 아스팔트 혼합물 등은 <표
2.4>의 기준을 적용하지 않으며, 해당 종류의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에 대비하여
배합설계시 적용하는 혼합 및 다짐 온도를 20℃ 이상 낮추어야 한다. 생산자는 품질시험
결과와 배합설계시 혼합 및 다짐 온도, 밀도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4) 중온화 첨가제를 믹서에 직접 투입하는 건식 혼합 방법을 적용시에 중온화 첨가제의
생산자는 표준 첨가비율를 추가로 제시하여야 한다. 사용하는 아스팔트는 침입도 등급
기준에 따른 <표 2.1> 또는 공용성 등급 기준에 따른 <표 2.3>을 만족하여야 한다.
그리고, 중온화 첨가제를 혼합온도 이하에서 용융 가능한 소포장하거나 전용의
투입장치를 이용하며, 운반 및 보관시에 수분에 젖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 교통량이 많은 교차로, 신호대기 지역, 오르막 구간 및 지·정체가 심한 도로와 중
(重)교통이 통행하여 소성변형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은 W76 등급 적용을 검토한다.
중온화 아스팔트 등급
항목
W64 W70 W76
W64-1 W64-2 W70-1 W70-2 W76-1 W76-2
공용성 등급1) PG 64-22 PG 70-22 PG 76-22
저장안정성 (%)2)
(습식 혼합형만 적용)
5 이하
용해율 (%)3)
(건식 혼합형만 적용)
95 이상
(용해시간 5 min)
95 이상
(용해시간 20 min)
배합설계시
혼합 최고온도(℃)4) 140 130 145 135 150 140
배합설계시
다짐 최고온도(℃)4) 125 115 130 120 135 125
<표 2.4> 중온화 아스팔트의 품질기준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15
【주1】공용성 등급은 건식 혼합 방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중온화 첨가제 생산자가 제시한
‘배합설계시 혼합온도’로 가열한 아스팔트에 중온화 첨가제를 생산자가 제시한 ‘표준
첨가비율’로 해당 용해시간 동안 혼합한 후 KS F 2389에 따라 DSR, BBR 등을 시험하여
아스팔트 공용성 등급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주2】저장안정성은 중온화 아스팔트를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전에 제작하는 습식 혼합형일 경우에만
적용한다. ASTM D7173에 따라 아스팔트 시료를 상․하단으로 분리하여 KS F 2393에 따라
DSR 시험하여 상단 아스팔트의 G*와 하단 아스팔트의 G* 중 최대값과 평균값을 구하여
비율을 산출한다. (저장안정성 = ((최대 G*)- (평균 G*)) / (평균 G*) × 100)
【주3】용해율은 중온화 첨가제를 믹서나 아스팔트 계량조에 직접 투입하는 건식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에만 적용한다. 용해시험용 시약으로 아로마틱계 프로세스 오일이나 투명한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여, 폴리머 계열의 첨가제는 용해시험용 시약으로 아로마틱계 프로세스 오일을
사용한다. 중온화 첨가제 생산자가 제시한 ‘배합설계시 혼합온도’로 용해시험용 시약을
가열한 상태에서 중온화 첨가제를 투입한 후 일반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2000 r/mim의 교반
속도로 중온화 아스팔트 등급에 따른 용해시간에 따라 혼합한 후 0.075 ㎜ 체로 체가름한 후의
질량 백분율로써, 배합설계시 혼합온도의 오븐에서 팬과 조합한 체를 사전가열 한 후 체를
꺼내어 교반한 혼합액을 쏟은 후에 다시 오븐에 넣고, 30 min간 보관 후 체의 질량을 측정한다.
(용해율 = 100 - 체에 남은 질량/시험 전 중온화 첨가제 질량 × 100)
【주4】중온화 아스팔트 생산자는 제품명, 배합설계시 혼합온도, 배합설계시 다짐온도, 밀도를
필수적으로 보고하며, 중온화 첨가제 생산자는 표준 첨가비율을 추가하여 보고한다.
해 설
▊중온화 아스팔트 품질기준
• 중온화 아스팔트의 품질기준은 소성변형 저항성을 기준으로 3종으로 구분되며, W76이
소성변형 저항성이 가장 크며, W70, W64 순이다.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중온화 첨가제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아스팔트이며,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생산하는 침입도 등급 60-80 또는 PG 64-22 아스팔트를 사용한다.
• 중온화 첨가제를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혼합한 이후의 중온화 아스팔트는 등급에 따라
W64, W70, W76의 공용성 등급을 만족하여야 한다.
• 교통량이 많은 교차로, 신호대기 지역, 오르막 구간, 지․정체가 심한 도로, 중(重)교통이
통행하여 소성변형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 등을 제외한 도로는 W64 또는 W70 등을
16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적용할 수 있다.
• ‘배합설계 시 혼합 최고온도’와 ‘배합설계시 다짐 최고온도’는 탄소 저감 효과와
현재의 기술수준 등을 검토하여 결정하였다.
▊중온화 아스팔트의 다짐 효과 평가 방법
• 중온 다짐도는 중온화 아스팔트 재료에 대한 시험으로써, 중온화 아스팔트 생산자가
재료의 적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험할 수 있다. 이 시험은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급원 승인 등을 위한 배합설계시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 중온화 아스팔트를 이용한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 효과에 대한 평가가 필요할
경우 중온화 아스팔트 적용시의 중온 다짐도가 1.1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다.
• 중온 다짐도 시험은 배합된 골재 입도와 아스팔트 함량이 동일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과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작하여 평가한다. 가열(또는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의 종류에 따른 각 혼합온도 및 다짐온도를 적용하여 선회다짐기로 공시체를
제작・평가한다. 공시체제작시아스팔트혼합물의종류는WC-6를표준으로하며,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극률은 4±0.3%이어야 한다. (중온 다짐도=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
공극률 /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 공극률)
2.7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용 개질 아스팔트
(1)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용 아스팔트 바인더는 골재의 분산저항, 내수성, 내후성이
우수한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를 사용하도록 한다.
(2) 사용되는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는 아스팔트 플랜트의 믹서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하는
건식 혼합형 (Plant Mix)과 사전에 첨가제를 아스팔트 바인더에 미리 첨가하여 제조한
습식혼합형 (Pre Mix)으로 나뉜다.
(3) 개질 첨가제를 믹서에 직접 투입하는 건식 혼합 방법을 적용 시에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KS M 2201 에 따른 <표 2.1>의 침입도 등급 60-80 이상 또는 KS F
2389 에 따른 공용성 등급 PG 64-22 기준 이하를 만족하여야 한다. 개질 첨가제의
투입은 자동투입장치를 이용해야 하며, 사용 질량을 배치당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운반 및 보관 시에 수분에 젖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17
개질 아스팔트 등급
항목
P-82
저장안정성 (%) (습식 혼합형만 적용)1) 5 이하
용해율 (%) (건식 혼합형만 적용)2) 95 이상 (용해기준 30 min)
공용성 등급3)
PG 82-22 이상
소성변형률 (Jnr, kPa-1) 0.5 이하
탄성회복률 (Recovery, %) 55 이상
연화점 (℃) 80 이상
신도 (15 ℃, 5 ㎝/min) (㎝) 50 이상
<표 2.5>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용 개질 아스팔트의 품질기준
【주1】저장안정성 시험은 ASTM D7173에 따라 개질 아스팔트 시료를 상․하단으로 분리하여 KS F
2393에 따라 DSR 시험하여 G* 또는 탄성회복률의 차이가 규정에 만족하여야 한다.
【주2】용해율은 개질 첨가제를 믹서나 아스팔트 계량조에 직접 투입하는 건식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에만
적용한다. 용해시험용 시약으로 아로마틱계 프로세스 오일이나 투명한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여,
폴리머 계열의 첨가제는 용해시험용 시약으로 아로마틱계 프로세스 오일을 사용한다. 개질 첨가제
생산자가 제시한 ‘배합설계시 혼합온도’로 용해시험용 시약을 가열한 상태에서 개질 첨가제를
투입한 후 일반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2000 r/min의 교반 속도로 기준의 용해시간 동안 혼합한 후
0.075 ㎜ 체로 체가름한 후의 질량 백분율로써, 배합설계시 혼합온도의 오븐에서 팬과 조합한 체를
사전가열 한 후 체를 꺼내어 교반한 혼합액을 쏟은 후에 다시 오븐에 넣고, 30 min 간 보관 후
체의 질량을 측정한다. (용해율 = 100 - 체에 남은 질량/시험 전 중온화 첨가제 질량 × 100)
【주3】공용성 등급 시험은 KS F 2389에 따라 PG 82-22이상의 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며, 시공하고자
하는 도로의 등급과 주변여건에 따라 감독관과 상의하여 상위등급으로 상향 가능하다. 개질
아스팔트에 사용되는 첨가제의 양을 시험 보고서에 표기하여야하며, 롤링 박막 오븐을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의 노화 온도는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온도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주4】소성변형률 및 탄성회복률 시험은 KS F 2393에 따라 64°C에서 3.2 kPa의 하중 (응력)으로
시험하며, ASTM D 7405 (Multiple Stress Creep and Recovery, MSCR)에 따라 개질
아스팔트의 소성변형률 및 탄성회복률을 측정한다. 소성 변형률은 반복되는 하중 하에
발생되는 영구변형에 대한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의 저항성 지표로 사용된다. 또한,
탄성회복력을 통해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중 개질제의 적정 사용 함량과 개질
아스팔트의 적정 공용성 등급 (PG) 사용을 평가할 수 있다. 소성변형률은 식 (2.1)로 계산하고,
탄성회복률은 식 (2.2)로 계산한다.
18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 소성변형률 (Jnr, kPa-1) = 회복되지 않은 전단변형률 (non recoverable strain)/3.2 kPa
(식 2.1)
∙ 탄성회복률 (%) = 회복된 전단변형률 (recoverable strain)/최대전단변형률 (peak strain)
(식 2.2)
【주5】적설 및 한냉지역은 조기 골재탈리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아스팔트의 품질이 다음의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① 개질 아스팔트 품질기준 PG 82-34, 소성변형률 0.2 이하,
탄성회복률 80 % 이상, 또는 ② 아스팔트 바인더 휨 굴곡 시험 (KS F 2491)에 따라 –20 ℃의
온도에서 휨 에너지 400 kPa 이상, 휨 스티프니스 100 MPa 이하
공용성 등급 PG 64- PG 82 -
10 16 22 28 34 40 10 16 22 28 34
평균 7일 최고 1)
포장 설계 온도 ℃ < 64 < 82
최저 포장 설계 온도 ℃ >-10 >-16 >-22 >-28 >-34 >-40 >-10 >-16 >-22 >-28 >-34
원아스팔트
KS M인2화0점10,,℃ ≧ 230
3회Pa전․s 점이도하,, K시S험 F온 2도3,9℃2 135 2)
KS F 동23적93 전, G단*,/sinδ, 시험 온1.도0@kP1a0 이rad상/s,℃
64 82
롤링 박막 오븐 (KS M 2259) 또는 박막 오븐 (KS M 2258) 노화 후 잔사
질량손실, % ≦ 1.0
KS F 2동3적93 ,전 G단*/,sinδ, 시험온2.2도k@Pa1 0이ra상d/s,℃
64 70
압력 노화 용기 (PAV) 노화 후 잔사 (KS F 2391)
압력 노화 온도, ℃ 100
KS F 동23적9 3전, G단*,sinδ, 시험5온,00도0@kP1a0 r이ad하/s,℃
31 28 25 22 19 16 40 37 34 31 28
물리적 경화 보 고
KS F 2휨3 9크0,리 S프:3 0강0M성P,a이하 시m값험:온최도소@ 06.30이s,상℃
0 -6 -12 -18 -24 -30 0 -6 -12 -18 -24
<표 2.6>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공용성 등급 기준
【주1】포장 온도는 대기 온도로부터 추정하여도 좋으며 기관의 규정에 약술된 절차에 따라
조사하여도 된다. 포장 온도는 대기온도의 약 1.8배이다.
【주2】아스팔트가 모든 안전 기준을 만족하는 온도에서 적절히 압송되고 혼합된다는 것을 생산자가
보장한다면 생산자의 시험 성적서로 갈음할 수 있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19
해 설
• 아스팔트 바인더의 품질은 <표 2.5>를 만족하여야 하며 공급자는 <표 2.5>에 따른
품질시험 결과, 밀도, 표준 첨가비율, 배합설계 시 혼합온도 및 다짐온도 등 필요한 시험
성적서를 시공 전에 제시하여 감독자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개질 첨가제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아스팔트이며, 국내에서
일반적으로생산하는침입도등급60-80 이상또는PG 64-22 이하아스팔트를사용한다.
• 공용성 등급 시험을 위한 시료는 첨가제가 거의 대부분 녹아 있어야 하며, 고형분이
없어야 한다. 만일 고형분이 있을 경우 공용성 등급 시험에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기때문에주의해야 하며 이러한시료는개질 아스팔트바인더로 사용할수없다. 개질
아스팔트 품질기준은 <표 2.5>와 같다.
• 건식 혼합형 재료의 생산자가 제시하는 개질 첨가제 비율은 아스팔트에 대한 비율이다.
예를들어개질첨가제비율이10% 일경우100g의개질아스팔트를제조하기위해서는
개질 첨가제 10g과 아스팔트 90g을 혼합한다는 의미이다.
• <표 2.5>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용 개질 아스팔트의 품질기준 【주5】의 ‘적설
및 한냉지역’은 제3장 5.2 배합설계의 기준을 적용한다.
2.8 SMA (Stone Mastic Asphalt)용 아스팔트
(1) 아스팔트는 KS M 2201 의 침입도 규격에 따라 침입도 등급 60-80 을 만족하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침입도 60-80 은 등가단축하중으로 환산한 교통하중 등급 (ADT)
1,000 대/일/Lane 이하에만 적용할 수 있다.
(2) 사용목적에 따라 내구성을 요하는 경우에는 고무 또는 수지 혼합 아스팔트와 같은 개질
아스팔트 또는 첨가재를 사용하며, 이 경우는 반드시 공용성 등급 (PG) 시험성적서를
제출받아야 한다.
(3) 침입도 등급에 의한 아스팔트는 고온 저항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기 어려우므로 소성변형
발생의 위험이 높은 구간은 공용성 등급에 의하여 일정 등급 이상의 아스팔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0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4) 특히 교통량이 많은 교차로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아스팔트를 KS F 2389 에
따라 PG 76-22 이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5) 신호대기 지역, 오르막 구간 및 지․정체가 심한 도로와 중 (重)교통이 통행하여 소성변형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에도 아스팔트를 PG 76-22 이상 적용하는 것을 검토하여야 한다.
(6) 교통하중 등급에 따른 아스팔트 공용성 등급 적용기준은 <표 2.7>에 따른다.
교통하중 등급 (ADT) 교통하중 등급에 따른 PG 등급 동적안정도 (회/㎜)
4000 대/일/Lane 이상
PG 76-22 이상
(PG 82-22)*
2500 이상
(3000 이상)
2500 ~ 4000 대/일/Lane PG 76-22 이상 2500 이상
1000 ~ 2500 대/일/Lane PG 70-22 이상 2000 이상
1000 대/일/Lane 이하 PG 64-22 이상 2000 이상
<표 2.7> 교통하중에 따른 아스팔트 공용성 등급 적용기준
【주1】아스팔트의 “교통하중 등급에 따른 PG 등급” 기준이 "PG XX-YY 이상"으로 설정된 값들은
6 ℃ 또는 12 ℃ 높은 상위 등급의 아스팔트와 가격이 동일할 경우에는 상위 등급의 아스팔트를
적용하도록 한다.
【주2】“*”는 소성변형 발생위험이 매우 높은 중교통 노선의 도로나 상습적으로 소성변형이 발생하는
교차로의 신호대기 지역에 적용한다. 이 때 심각한 소성변형이 발생하는 신호대기지역의 경우
중간층 및 기층 혼합물에도 PG 76-22 이상의 아스팔트를 적용할 수 있다.
(7) 교통하중 및 정체 잦은 구간에 따른 아스팔트 소성변형률 적용 기준은 <표 2.8>를
따른다.
소성변형률 등급 S A
소성변형률1) (KPa-1) 0.25 이하 0.25∼0.5
<표 2.8> 아스팔트의 소성변형률 품질기준
【주1】소성변형률 시험은 KS M 2458에 따라 64°C에서 3.2 kPa의 하중 (응력) 으로 측정한다.
소성변형률은 반복되는 하중 하에 발생되는 영구변형에 대한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의 저항성
지표로 사용된다.
【주2】소성변형률은 차로별 일일 등가단축하중(ESAL)이 8,000 대 이상이거나 정체가 잦은 구간은
S등급을 적용하며, 그 외의 구간은 A등급을 적용한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21
(8) 습식 혼합형 개질 아스팔트의 저장 안정성과 건식 혼합형 개질 아스팔트 용해율의
적용기준은 <표 2.9>를 따른다.
항목 개질 아스팔트
저장안정성1) (%) (습식 혼합형만 적용)2) 5 이하
용해율3) (%) (건식 혼합형만 적용)4) 95 이상 (용해시간 20분)
<표 2.9> 아스팔트의 저장안정성 및 용해율 품질기준
【주1】저장안정성 시험은 ASTM D7173에 따라 개질 아스팔트 시료를 상․하단으로 분리하여 KS M
2458에 따라 DSR 시험하여 탄성회복률의 차이가 규정에 만족하여야 한다.
저장 안정성 (%) = (탄성회복률 최대값-탄성회복률 평균값) / 탄성회복률 평균값
【주2】습식혼합형 (Pre Mix)은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생산시 공장에서 아스팔트 바인더에 개질제를
투입하여 생산하는 방식을 의미함.
【주3】용해율은 개질 첨가제를 믹서나 아스팔트 계량조에 직접 투입하는 건식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에만 적용한다. 용해시험용 시약으로 아로마틱계 프로세스 오일이나 투명한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여, 폴리머 계열의 첨가제는 용해시험용 시약으로 아로마틱계 프로세스 오일을
사용한다. 개질 첨가제 생산자가 제시한 ‘배합설계시 혼합온도’로 용해시험용 시약을 가열한
상태에서 개질 첨가제를 투입한 후 일반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2000 r/min의 교반 속도로
용해시간에 따라 혼합한 후 0.075 ㎜ 체로 체가름한 후의 질량 백분율로써, 배합설계시
혼합온도의 오븐에서 팬과 조합한 체를 사전가열 한 후 체를 꺼내어 교반한 혼합액을 쏟은 후에
다시 오븐에 넣고, 30 min간 보관 후 체의 질량을 측정한다. (용해율 = 100 - 체에 남은 질량
/ 시험 전 중온화 첨가제 질량 × 100)
【주4】건식 혼합형 (Plant Mix)은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개질제 전용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바인더와
개질제를 혼합하는 방식을 의미함.
해 설
• 국내에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용으로는 침입도 등급 60-80과 80-100의 두 가지
아스팔트가사용되나이중에서도SMA 혼합물에는침입도60-80 만이사용된다. 그러나
SMA 포장의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정유사에 침입도 65±5가
되는 아스팔트의 생산을 요청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침입도 65±5
등급의 아스팔트는 PG 64-22 정도의 공용성 등급(PG)을 나타낸다.
22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2.9 유화아스팔트
(1) 유화아스팔트는 아스팔트 포장의 부착을 위한 프라임 코트, 택 코트, 또는 순환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용 바인더로 사용한다.
(2) 프라임 코트 시공시 유화 아스팔트 재료는 <표 2.10>에 적합하거나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재료로서, 제조 후 60 일 이내이어야 한다.
항 목 시험방법 RS(C)-3
엥글러도(25 ℃) (점도) KS M 2203 1 ~ 6
저장안정도(24h, 질량 %) KS M 2203 1 이하
입자의 전하 KS M 2203 양 (+)
체잔류분(1.18 ㎜) 질량 (%) KS M 2203 0.3 이하
증발 잔류분 질량 (%) KS M 2203 50 이상
증발 잔류물
• 침입도 (25 ℃, 1/10 ㎜) KS M 2203 100 ~ 300
• 신도 (25 ℃, 5 ㎝/min, ㎝) KS M 2203 40 이상
• 톨루엔 가용분 질량(%) KS M 2203 98 이상
부착도 KS M 2203 2/3 이상
<표 2.10> 프라임 코트용 유화아스팔트의 품질
(3) 택 코트 시공시 유화 아스팔트 재료는 <표 2.11>에 적합하거나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재료로서, 제조 후 60 일 이내이어야 한다.
(4) 택 코트 후 양생시간을 24 시간 이상 확보할 수 있는 신설포장에서는 택 코트에 <표
2.11>의 SS (C)-1 의 사용을 권장한다.
(5) 유지보수 포장은 교통 규제 등의 제약으로 택코트의 충분한 양생이 확보되기 어렵고,
공사차량에 의해 벗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택코트 후 아스팔트의 타이어 부착율이 낮은
<표 2.11>의 유화아스팔트 RS(C)-PG64T 또는 RS(C)-PG70T 를 사용하거나,
아스팔트 혼합물 포설과 택코트를 동시에 시공하는 방법을 사용을 권장한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23
(6) 택코트용 개질 유화아스팔트는 <표 2.11>의 RS(C)-PG70, RS(C)-PG70T 기준에
따르며, 대기온도가 30 ℃ 이상이거나 현장 여건에 따른 감독자 요구시, 시공 중
택코트의 벗겨짐을 예방하기 위하여 유화 아스팔트 RS(C)-PG70T 를 사용하거나,
아스팔트 혼합물 포설과 택코트를 동시에 시공하는 것이 좋다.
항 목
시험
방법
일반 유화아스팔트
개질
유화아스팔트
RS(C)
-4
SS(C)
-1
RS(C)-
PG64T
RS(C)
-PG70
RS(C)-
PG70T
세이볼트퓨롤 점도(25 ℃,
SFS)
KS M
2203 - 20 ~ 100 - - -
엥글러도 (25 ℃) (점도) KS M
2203 1 ~ 6 - 1 ~ 15 1 ~ 10 1 ~ 15
저장안정도 (24h, 질량 %) KS M
2203 1 이하
입자의 전하 KS M
2203 양 (+)
체잔류분 (1.18 ㎜) 질량 (%) KS M
2203 0.3 이하 0.1 이하 0.3 이하
시멘트 혼합성 질량 (%) KS M
2203 - 2.0 이하 - - -
증발 잔류분 질량 (%) KS M
2203 50 이상 57 이상 50 이상
증발 잔류물
• 침입도(25 ℃, 1/10 ㎜) KS M
2203 60 ~ 150 60 ~ 80 - - -
• 신도(25 ℃, 5 ㎝/min, ㎝) KS M
2203 40 이상 40 이상 - 100 이상 -
• 연화점(℃) KS M
2250 - - - 48 이상 55 이상
• RTFO 후 동적전단1) (kPa) KS M
2252 - -
1 이상
(67 ℃)
1 이상
(73 ℃)
• 소성변형률2) (Jnr, kPa-1) KS F2393
KS M2458 - - - 1.5 이하
• 톨루엔 가용분 질량 (%) KS M
2203 98 이상 98 이상 98 이상 - -
• 회분 질량 (%) KS M ISO
6245 - - - 1 이하 1 이하
부착도 KS M
2203 2/3 이상 2/3 이상 - - -
타이어 부착 손실량 (60 ℃, %)
부속서
Ⅳ-8
10 이하 - 10 이하
<표 2.11> 택 코트용 유화아스팔트의 품질
24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주1】RTFO 후 동적전단은 유화 아스팔트 증발 잔유물을 KS M 2259에 따른 롤링 박막 오븐(RTFO)으로 단기
노화시킨 후 종류별 지정된 시험 온도에서 KS F 2293에 따라 동적전단 시험한 후 |G*|/sin (δ)를 계산한다.
【주2】소성변형률 시험은 KS M 2458에 따라 64 ℃에서 3.2 kPa의 하중 (응력)으로 시험하여
측정한다.
(7) 순환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용 유화아스팔트는 <표 2.12>의 기준에 따라 MS 및
SS 계열의 유화아스팔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항 목 MS(C)-4h1) MS(C)-4hP2) SS(C)-1h1) SS(C)-1hP2)
세이볼트 퓨롤 점도 (25 ℃,SFS) - 20 ~ 100
세이볼트 퓨롤 점도 (50 ℃,SFS) 50 ~ 450 -
저장 안정도 (24h, %) 1 이하 1 이하
입자의 전하 양 (+) 양 (+)
체 잔류분 (%) 0.1 이하 0.1 이하
시멘트 혼합성 (%) - 2.0 이하
증발 잔류분 질량 (%) 65 이상 62 이상
증발
잔류분
공용성 등급 PG 64-22 PG 70-22 이상 PG 64-22 PG 70-22 이상
신도 (25 ℃, 5 ㎝/min, ㎝) 40 이상 40 이상
톨루엔 가용분 질량(%) 97.5 이상 97.5 이상
<표 2.12> 순환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용 유화아스팔트 품질
【주1】h는 좀 더 단단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의미하며, 국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중에서 침입도
등급 60-80 또는 PG 64-22 등급의 아스팔트를 사용한다.
【주2】P는 개질 아스팔트를 의미하며, PG 70-22 등급 이상의 아스팔트를 사용한다.
【주3】순환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용 유화아스팔트 품질 기준은 ASTM D 2397 품질기준을
참조하였다.
해 설
• 유화 아스팔트는 택코팅, 프라임코팅 등으로 사용하는 RS 계열의 급속 경화성과 순환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되는 MS 및 SS 계열로 나눌 수 있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25
• 유화 아스팔트의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사용되는 골재의 이온에
적합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음이온 골재가 많으므로 양이온
계열의 유화아스팔트를 사용한다.
• 특히 순환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은 양생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양이온계
유화아스팔트는 음이온계 유화아스팔트에 비해 기후조건(습도, 온도, 강수 등)에 영향을
덜 받으므로 양이온계 유화아스팔트를 사용한다.
3. 골재
3.1 일반사항
(1)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하는 골재는 굵은골재, 잔골재가 사용된다.
(2) 굵은골재는 <표 2.13>에 따라 도로기능에 맞는 등급의 골재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3) <표 2.14>, <표 2.16>의 골재 입도와 품질을 만족한 골재에 대하여 편장석률이 10 %
이하이면 1 등급, 20 % 이하이면 2 등급, 30 % 이하이면 3 등급 골재이다.
(4) 현장 여건상 골재의 수급이 어려우면 발주자의 승인을 받아 골재의 등급 적용을 조정할
수 있다.
(5)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용 골재는 <표 2.13>의 1 등급 단입도 골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골재 입도와 품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등급 기준 적용범위
1 등급 편장석률 10 % 이하
§ 양방향 4차로 이상의 도로 (신설 및 덧씌우기)
§ 중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
§ 발주자가 중요하다고 인정하는 도로
2 등급 편장석률 20 % 이하
§ 양방향 2차로 이하의 일반국도
§ 발주자가 중요하다고 인정하는 도로
3 등급 편장석률 30 % 이하
§ 양방향 2차로 이하의 지방도, 군도, 1등급 및
2등급에 해당되지 않는 도로 등
<표 2.13> 골재 등급의 기준 및 적용범위
26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해 설
▊골재
• 골재는아스팔트혼합물질량의약90%~95%를차지하며, 대부분이석산에서생산되는
쇄석골재를 사용하므로 석산의 골재관리가 중요하다.
• 골재의 품질이나 입도는 포장의 성능에 큰 영향을 주며, 산지에 따라 물리-화학적인
특성이 다르므로, 사용 전에 품질 시험을 수행하여 사용여부를 판단한다.
• 골재는 모암의 암종에 따라 아스팔트와의 피복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지역적인 기후
조건에 의해 아스팔트 혼합물의 박리 현상이 우려되는 도로에서는 골재와 아스팔트
사이의 부착성이 양호한 골재를 선정해야 한다.
• 굵은골재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균일한 배합과 입도 관리가 용이하도록 단립도의 골재를
적용하여야 한다.
• 골재 생산 시 아스팔트 혼합물 전용으로 단립도 골재를 생산하여야 한다.
• 골재의 편장석률은 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편장석률에 따라 등급을 구분하였다.
• 편장석률은 KS F 2575(굵은 골재 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에 따라, 골재의
최대길이와 최소길이의 비가 1:3 이상이면 편장석이다.
• 순환아스팔트혼합물에사용되는신규골재는<표2.13>의기준에따라적용하여야하며,
아스팔트 콘트리트 순환골재는 골재 등급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3.2 굵은골재
3.2.1 입 도
(1) 굵은골재의 입도는 KS F 2357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의 규정 중에 <표 2.14>에 따라
단립도 기준인 골재번호 4, 5, 6, 7, 8 등에 적합하여야 한다.
(2) <표 2.14>의 기준범위 보다 더욱 단립도에 가깝고, 목표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합성입도를 얻을 수 있으면 아스팔트 혼합물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27
(3) 단립도 쇄석의 수급이 어려우면 KS F 2357 의 골재번호 467, 78, 67, 68 등 혼합입도의
골재는 발주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골재
번호
체의
호칭크기
(㎜)
각 체를 통과하는 질량 백분율 %
50 40 25 20 13 10 5 2.5 1.2
4 40 ~ 20 100 90 ~ 100 20 ~ 55 0 ~ 15 - 0 ~ 5 - - -
5 25 ~ 13 - 100 90 ~ 100 20 ~ 55 0 ~ 10 0 ~ 5 - - -
6 20 ~ 10 - - 100 90 ~ 100 20 ~ 55 0 ~ 15 0 ~ 5 - -
7 13 ~ 5 - - - 100 90 ~ 100 40 ~ 70 0 ~ 15 0 ~ 5 -
8 10 ~ 2.5 - - - - 100 85 ~ 100 10 ~ 30 0 ~ 10 0 ~ 5
<표 2.14> 굵은골재의 입도
【주】여기에서 체의 호칭크기는 각각 KS A 5101-1 (시험용체)에 규정한 표준망체 53 ㎜, 37.5 ㎜,
26.5 ㎜, 19 ㎜, 13.2 ㎜, 9.5 ㎜, 4.75 ㎜, 2.36 ㎜, 1.18 ㎜에 해당한다.
(4)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이나 SMA 혼합물용 굵은골재의 입도는 <표 2.15>에
따른다. 주요입도 범위에 해당하는 골재의 비율이 높을수록 더욱 높은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골재
번호
주요
입도
(㎜)
각 체를 통과하는 질량 백분율 %
25 ㎜ 20 ㎜ 13 ㎜ 10 ㎜ 8 ㎜ 6 ㎜ 5 ㎜ 2.5 ㎜ 1.2 ㎜
CA-20 20 ~ 13 100 90 ~ 100 0 ~ 25 0 ~ 5 - - - - -
CA-13 13 ~ 10 100 90-100 0-25 - - 0-5 - -
CA-10 10 ~ 2.5 - - 100 85 ~ 100 - - 0 ~ 25 0 ~ 5 -
CA-8 8 ~ 5 - - - 100 85 ~ 100 - 0 ~ 25 0 ~ 5 -
CA-6 6 ~ 2.5 - - - - 100 85 ~ 100 - 0 ~ 25 0 ~ 5
CA-5 5 ~ 2.5 - - - - 100 - 85 ~ 100 0 ~ 25 0 ~ 5
<표 2.15>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및 SMA 혼합물용 굵은골재 입도
【주】여기에서 체의 호칭크기는 각각 KS A 5101-1 (시험용체)에 규정한 표준망체 26.5 ㎜, 19 ㎜,
13.2 ㎜, 9.5 ㎜, 8 ㎜, 5.6 ㎜, 4.75 ㎜, 2.36 ㎜, 1.18 ㎜에 해당한다.
28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해 설
▊굵은골재의 입도
• 아스팔트 혼합물을 입도 변동이 적은 양호한 품질로 생산하기 위해 골재번호 4, 5, 6, 7,
8 등의 기준에 적합한 단립도 골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 다만, <표 2.14>의 입도 기준보다 입도 범위가 좁으면 더욱 단립화 되어 있으므로
재료분리, 아스팔트 혼합물의 입도 등 품질관리에 더욱 용이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목표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합성입도를 얻을 수 있으면 아스팔트
혼합물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3.2.2 품 질
(1)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하는 굵은골재는 부순 골재 (쇄석), 부순 자갈 등으로, 깨끗하고
강하고 내구적이어야 하며, 점토, 실트, 유기물 등의 유해 물질을 함유해서는 안 된다.
(2) 굵은골재는 <표 2.16>의 품질규정을 만족해야 한다.
구 분 시험 방법 규 정
밀도(절대건조) KS F 2503 2.5 이상
흡수율 (%) KS F 2503 3.0 이하
동적수침 후 피복율 (%)1) 부속서Ⅳ-4 50 이상
편장석률
(%)
1 등급
KS F 2575
10 이하
2 등급 20 이하
3 등급 30 이하
마모율
(%)
표층용・중간층용
KS F 2508
35 이하
기층용 40 이하
SMA 혼합물용 30 이하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용 25 이하
안정성(%)2) KS F 2507 12 이하
굵은골재 파쇄면 비율 (%) ASTM 5821 85 이상
<표 2.16> 굵은골재의 품질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29
【주1】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는 동적수침 후 피복율 시험 대신 KS F
2355의‘아스팔트 골재 혼합물의 피막 박리 시험’에 따라 시험하여 피복율이 95 % 이상인지
확인한다.
【주2】안정성 시험은 황산나트륨으로 5 회 반복 시험한다.
(3) 동적수침 후 피복율 시험은 사용하는 아스팔트 시료와 함께 시험 또는 시험 의뢰하여야
하며, 시험결과가 50 % 미만이면 반드시 박리방지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박리방지재료는 소석회 또는 액상박리방지제이며, 품질기준은 각각의 기준에 따른다
해 설
▊포트홀 방지를 위한 굵은골재 품질 기준
• 기존의 KS F 2355에 따른 피막박리시험에 의한 피복 면적(%)을 동적수침 후 피막율로
변경하였으며, 이 시험 방법은 이 지침 부속서에 따른다.
3.2.3 저 장
(1) 굵은골재는 종류별, 크기별로 분리 저장하여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먼지,
진흙 등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고,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2) 빗물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덮개를 씌우거나 상설 지붕이 있는 시설에 보관한다.
(3) 골재 생산시설의 골재 저장설비는 [부속서 Ⅵ-1 골재 생산시설 체크 리스트] 점검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저장설비는 [부속서 Ⅵ-2 아스팔트
플랜트 체크 리스트]의 ‘2. 굵은골재 저장설비’점검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3.3 잔골재
3.3.1 입 도
(1) 잔골재의 입도는 <표 2.17>의 KS F 2357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의 규정에 따른 입도
No.1 ~ No.5 또는 FA-1 등에 적합하여야 한다. 다만, 잔골재의 입도가 규정에
30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적합하지 않아도 목표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합성입도를 얻을 수 있으면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2)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용 잔골재의 입도기준은 <표 2.16>의 FA-1 을 따른다.
단,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에 필요한 소요의 입도를 얻을 수 있고, 5 ㎜ 체의
통과질량백분율이 90 % 이상일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이 입도 기준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체의 호칭크기
(㎜)
각 체를 통과하는 질량 백분율 %
입도 No. 1 입도 No. 2 입도 No. 3 입도 No. 4 입도 No. 5 FA-1
10
5
2.5
0.6
0.3
0.15
0.08
100
95 ~ 100
70 ~ 100
20 ~ 65
7 ~ 40
2 ~ 20
0 ~ 10
-
100
75 ~ 100
28 ~ 52
8 ~ 30
0 ~ 12
0 ~ 5
-
100
95 ~ 100
65 ~ 90
30 ~ 60
5 ~ 25
0 ~ 5
100
80 ~ 100
65 ~ 100
20 ~ 65
7 ~ 40
2 ~ 20
0 ~ 10
-
100
85 ~ 100
25 ~ 55
15 ~ 40
7 ~ 28
0 ~ 20
100
86-100
55-75
16-42
7-29
2-18
0-10
<표 2.17> 잔골재의 입도
【주】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1에 규정한 표준망체 9.5 ㎜, 4.75 ㎜, 2.36 ㎜, 1.18 ㎜, 0.6
㎜, 0.3 ㎜, 0.15 ㎜, 0.075 ㎜에 해당한다.
해 설
• KS F 2357 기준에서국내의아스팔트혼합물의입도기준으로사용하지않는1.18㎜ 체
기준을 삭제하였다.
• 잔골재 입도 기준 FA-1에서 FA는 Fine Aggregate의 약자이다.
3.3.2 품 질
(1)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하는 잔골재는 암석, 자갈 등을 깨어 얻어진 부순 모래
(스크리닝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깨끗하고 강하며 내구적이어야 하고, 먼지, 점토,
유기물 등의 유해 물질을 함유해서는 안 된다.
(2)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하는 잔골재는 <표 2.18>의 품질 규정을 만족하여야 한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31
(3) 잔골재의 입도 분포가 배합설계시 문제가 없다면 부순 모래 (스크리닝스)를 사용하여야
하며, 자연 모래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을 낮출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항 목 시 험 방 법 기 준
모래당량 (%)
잔골재 입형 (%)
KS F 2340
KS F 2384
50 이상
45 이상
<표 2.18> 잔골재의 품질
해 설
▊잔골재의 품질
• ‘모래당량’ 시험은 잔골재에 점토나 먼지가 많이 함유되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다.
• ‘잔골재 입형’ 시험의 목적은 잔골재가 모래처럼 구형이면 골재 간극이 작아지므로
적정한 골재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다. 다만 잔골재 입형
시험결과가 크면 골재 간극이 필요이상으로 커지므로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극률을
증가시키거나 아스팔트 함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3.3.3 저 장
(1) 잔골재가 다른 골재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 저장하여야 하며, 먼지, 진흙 등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한다.
(2) 잔골재는 상설 지붕시설에 보관한다.
(3) 골재 생산시설의 골재 저장설비는 [부속서 Ⅵ-1 골재 생산시설 체크 리스트] 점검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아스팔트 플랜트의 골재 저장설비는 [부속서 Ⅵ-2 아스팔트
플랜트 체크리스트] ‘3. 잔골재 저장설비’ 점검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해 설
32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잔골재의 저장
• 잔골재는 표면적이 굵은골재 보다 크므로 빗물이 침투하면 함수비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또한, 입도 변동이 발생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잔골재
유출이 간헐적으로 중단되거나 가열온도 확보 및 아스팔트 혼합물의 수분함량 등에
문제가발생할 수 있으므로 빗물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상설 지붕 시설에보관한다.
4.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4.1 일반사항
(1)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는 폐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발생 현장이나 일정시설이 있는
장소에서 파쇄하여 제조하며, 운반 및 저장시 다른 이물질과 섞이거나 빗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폐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처리기준은 [부속서 Ⅱ 폐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처리기준]을
따른다.
4.2 아스팔트 콘크리트 발생재의 반입
(1) 아스팔트 콘크리트 발생재의 반입시에는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반입시 적합한
기준을 제시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며, 잘게 절삭된 형태인 것과 덩어리인 것을
구분하여 저장하고, 선입선출의 원칙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
4.3 아스팔트 콘크리트 발생재의 파쇄
(1)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생산시 아스팔트 콘크리트 발생재를 최대 골재 크기 20 ㎜
또는 13 ㎜ 이하로 파쇄한다. 이 때 아스팔트 콘크리트 발생재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외에
다른 건설폐자재나 흙, 나무조각, 금속편, 블록 등의 이물질이 섞여 있지 않아야 하며,
섞여 있을 경우에는 파쇄시에 반드시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33
해 설
• 아스팔트 콘크리트 발생재의 파쇄는 가열파쇄와 기계파쇄 방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계파쇄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폐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크게 나누는
1차파쇄에는 주로 죠크러셔가 사용되고, 작게 나누는 2차파쇄에 임펙트 크러셔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아스팔트 콘크리트 발생재에 큰 덩어리가 섞여 있는 경우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발생재의 저장장소에서 유압브레이커나, 유압파쇄기 등으로
1차적으로 파쇄하는 경우가 있다.
• 아스팔트 콘크리트 발생재는 그 종류별로 공급 피더에 투입되어 파쇄, 분급공정을 거쳐
소정의 입경인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로 제조되며, 이때 아스팔트 콘크리트
발생재 이외의 건설폐자재나 금속편, 목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일반적인 파쇄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계파쇄
• 1차파쇄 : 죠 크러셔
• 2차파쇄 : 임펙트 크러셔
▊가열파쇄
• 스팀방식: 여러 개의 스팀장치가 설치되어 여기에서 체가름이 가능할 정도로
분리시킨다.
• 온수방식: 온탕고에서 분리시킨다.
• 열풍방식: 열풍이 통과하며 가열시키는 로터리킬른(Rotary Kiln)에서 분리시킨다.
• 기계 파쇄시에 죠 크러셔나 임펙트 크러셔는 기계운전에 따라 날끝이 마찰에 의해
무디어지며, 이에 따라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입경이 변동하므로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무디어지거나 깨어진 날끝을 교환하여야 한다.
34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4.4 품 질
(1) 아스팔트 콘크리트 발생재의 품질에 따라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이 많은
영향을 받으며, 기존 포장체의 노화 정도 또는 성능에 따라 같은 포장구간에서도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은 <표 2.19>의 규격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며, 아스팔트 콘크리트 외의 다른 골재나 흙, 나무조각, 금속편, 블록,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섞여 있지 않아야 한다.
(2)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는 품질의 안정화를 위해 생산되는 혼합물에 균일한
입도의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가 재료분리 없이 적정 비율로 투입될 수 있게
분급하여야 한다.
(3)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에 목재, 흙, 폐콘크리트 등의 기타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4)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 사용할 경우,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사용
비율에 따른 적합한 품질관리가 이루어져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이 해당 규정을
만족시키고, 순환 아스팔트의 품질 및 골재입도가 적합하게 확보되어야 한다.
구 분 기 준
구아스팔트 함량(%)1) 3.8 이상
씻기 시험에서 손실되는 양(%) 5 이하
이물질 함유량 (%)
유기이물질
1 이하
(용적기준: 아스팔트량 제외)
무기이물질 1 이하 (질량기준)
입경(㎜)2) 표층, 중간층 13 이하
기층 (20 ~ 13), 13 이하
함수비 (%)3) 5 이하
<표 2.19>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
【주1】구아스팔트량, 씻기 시험에서 손실되는 양 등의 품질 기준은 불특정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구아스팔트 함량이 평균치를 벗어나거나 보조기층재 등 아스팔트 콘크리트 이외의
물질이 과도하게 혼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주2】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최대 입경은 현장 여건에 따라서 20 ㎜ 이하로 조정하여 사용
가능하다.
【주3】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수분 함량은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함수비를 일정하게 관리해야 한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35
해 설
•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는 골재에 아스팔트가 도포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열될 경우 아스팔트의 점성이 약해져 아스팔트와 골재가 분리되어 연한상태가 된다.
따라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입도(겉보기 입도)는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과 큰 연관성이 없으며, 위의 품질규정을 참고하여 재활용 장비에 사용가능한 최대
골재크기나가열시간등을고려하여최대골재크기및입도관리범위를정하는것이좋다.
•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이 <표 2.19>의 규격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보조기층재의 품질기준에 적합하고, 이물질 함량이 부피기준 1 % 이하이면
보조기층재로 이용할 수 있다.
•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의 재료로 사용할 경우 일정기간
마다 또는 재료가 변경될 때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 아스팔트와 골재로 분리
추출하여 다음과 같은 품질시험을 수행하여야 한다.
① 추출골재 입도
②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아스팔트 함량
③ 구아스팔트의 절대점도
4.5 저 장
(1)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야적 높이는 일반적으로 5 m 이하로 한다. 저장 중에
입도가 다른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선입
선출이 가능하여야 한다.
해 설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는 다음의 사항에 유의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는 압밀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최대 야적 높이는 5m 이하로 한다. 별도의 압밀 방지를 위한 시설이 있을
경우는 예외로 한다.
36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 사일로나 호퍼에서 압밀이 되지 않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 저장하는 경우, 빗물 등에 의해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천막을 씌우거나 덮개가 되어있는 시설에 보관하여 함수비가 변동되지 않고,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노화가 촉진되지 않도록 한다.
•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사용은 선입선출을 원칙으로 하고 저장기간은 1 년
이내에 사용하며, 1 년 이내에 소모되지 못할 경우 추가 시험을 실시한 후 사용한다.
•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에 다른 골재나 유해한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5. 채움재
5.1 일반사항
(1) 아스팔트 혼합물에 사용하는 채움재는 석회석분, 소석회, 회수더스트 등이다.
5.2 입 도
(1) 채움재의 입도는 KS F 3501 (아스팔트 포장용 채움재)의 규정을 따르며, <표 2.20>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체의 호칭크기 (㎜) 체 통과 질량 백분율 (%)
0.6
0.3
0.15
0.08
100
95 이상
90 이상
70 이상
<표 2.20> 포장용 채움재의 입도
【주】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에 규정한 표준망체 0.6 ㎜, 0.3 ㎜, 0.15 ㎜, 0.075 ㎜에
해당한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37
5.3 품 질
(1) 석회석분, 소석회, 소석회 혼합 채움재를 채움재로 사용하려면 수분함량이 1.0 %
이하이어야 하며, 비중 값과 철 함량을 보고하여야 한다.
(2) 채움재는 먼지, 진흙, 유기물, 덩어리진 미립자 등의 유해 물질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3) 채움재로 석회석분, 소석회 이외의 회수더스트 등이 사용될 경우 <표 2.21>의
품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며, 비중 값과 PRV, 철 함량을 보고하여야 한다.
(4) 회수더스트 등이 포함된 아스팔트 혼합물은 0.08 ㎜ 이하의 미분을 이용한 PRV 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BVF 값이 60 % 이하이어야 한다. PRV, BVF 는 ‘[부속서 Ⅳ-3
채움재의 다짐 공극률 시험 방법]’에 따른다.
항 목 시 험 방 법 기 준
소성지수
흐름시험 (%)2)
침수팽창 (%)3)
박리저항성4)
수분함량
이물질 함량5)
KS F 2303
KS F 3501
KS F 3501
KS F 3501
6 이하
50 이하
3 이하
1/4 이하
1 이하
1 이하
<표 2.21> 채움재 품질기준
【주1】납품 송장에 주 재료(KS F 3501) 종류, 비중 (KS L 5110), 철 함량(KS E ISO 5416),
PRV값6)을 표기하여야 한다.
【주2】흐름 시험은 KS L 5111에 규정된 플로 테이블과 플로 틀을 사용하며, 채움재를 물과 혼합했을
때 플로 지름이 20 ㎝ 되는 함수비이다. 시험시에는 물의 양을 플로 지름이 약 (20 ± 4) ㎝
범위에 들어가도록 하며, 이 질량은 보통의 석회석분은 약 350 ~ 450 ml이다.
【주3】침수 팽창 시험은 KS F 2337에 규정하는 다짐용 해머와 몰드를 사용하며, 다져진 채움재가
4시간 동안 물을 흡수하여 증가하는 비율이다. 침수팽창 값은 다음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B M M
M
×
여기서, B : 침수 팽창률 (%)
M : 시료, 밑판, 몰드의 질량 (g)
M : 팽창한 시료의 건조 후 질량 (g)
M : 밑판, 몰드의 질량 (g)
38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주4】박리 저항성은 채움재를 아스팔트와 혼합한 아스팔트 혼합물을 1 min 동안 끓인 후 박리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비커에 증류수 또는 수돗물을 약 300 ml 넣고 끓여서, 여기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20 g 넣고 60 s 동안 가열한 후 비커의 밑에서 관찰하여 표준 모래로부터
아스팔트의 박리 상태를 평가한다.
【주5】이물질함량 시료총질량
이물질의질량
×
- 이물질 : 유기물, 덩어리진 미립자 (0.6 ㎜ 이상)
- 덩어리진 미립자는 0.6 ㎜ 시험용 체를 이용하여 분류하며, KS F 2502 (굵은골재 및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에 따른다.
【주6】PRV 시험 방법은 ‘[부속서 Ⅳ-3 채움재의 다짐 공극률 시험]’에 따른다.
(5) 소석회는 채움재 기능은 물론 아스팔트 혼합물의 박리방지 재료로도 사용한다. 소석회는
<표 2.22>를 만족하여야 한다.
(6) 소석회는 골재 질량비율의 1 ~ 1.5 %를 사용하며, 아스팔트 혼합물 중 채움재의 사용
비율을 감안하여 소석회 또는 소석회 혼합 석회석분 적용을 검토하여야 한다.
(7) 소석회는 별도의 투입시설을 구비한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항 목 기 준
산화칼슘(CaO) (%) (1,000 ℃ 소성후 시료)
이산화탄소 (%)
비 수산화칼슘 (%)
수분함량(%)
90 이상
5 이하
5 이하
1 이하
【주】납품 송장에 주 재료(KS F 3501) 종류, 비중 (KS L 5110), 철 함량(KS E ISO 5416),
PRV값을 표기하여야 한다.
<표 2.22> 소석회의 품질기준
(8) 소석회 혼합 채움재는 <표 2.23>를 만족하여야 하며, 탱크로리 등으로 이동시
재료분리가 되어 비중차이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39
항 목 HL25 HL35 HL50 HL60
수산화칼슘 (Ca (OH)2) (%)
수분함량 (%)
철 함량 (%)
25 이상
1.0 이하
2.0 이하
35 이상
1.0 이하
2.0 이하
50 이상
1.0 이하
2.0 이하
60 이상
1.0 이하
2.0 이하
【주1】소석회 혼합 채움재로 혼합된 재료가 석회석분 이외의 재료를 사용할 경우 <표 2.21>의
기준도 만족하여야 한다.
【주2】납품 송장에 주 재료(KS F 3501)를 포함한 사용재료 종류와 비율(소석회 혼합비율 등)과
사용재료별 비중(KS L 5110), 철 함량(KS E ISO 5416), PRV값을 표기하여야 한다.
<표 2.23> 소석회 혼합 채움재 품질기준
5.4 저 장
(1) 채움재는 전용의 사일로에 저장하여야 하며, 수분 등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해 설
▊채움재의 종류
• 채움재는 일반적으로 석회석 채움재와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회수더스트를 사용한다.
• 집중적인 강우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아스팔트 혼합물의 박리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채움재 질량의 약 50% 이하를 소석회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채움재의 입도
• 채움재로 사용되는 재료는 0.08㎜ 이하의 입도가 중요하다. 미립의 입자가 많으면
아스팔트 혼합물에서 아스팔트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나타나거나, 아스팔트의 강성이
높아질 수 있다.
▊회수더스트 사용시 품질관리 방법
• 회수더스트의 0.08㎜ 이하 입도를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구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이를
40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간접적으로파악할수있는PRV(Percent of Rigden Voids) 비율을시험에의해계산한다.
• PRV 는 채움재의 체적 특성값으로써 ‘[부속서 Ⅳ-3 채움재의 다짐 공극률 시험 ]’에
따라구한다. 이값은회수더스트의0.08㎜ 이하입자의크기와연관이있으며, 아스팔트
혼합물 중의 채움재 체적 BVF(Bulk Volume of Filler) 를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 회수더스트 채움재를 사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은 0.08㎜ 이하의 골재 체적 특성값인
BVF가 60% 이하이어야 하며, BVF 가 60% 보다 높으면 채움재의 종류를 바꾸거나,
채움재의 사용 비율을 낮추어야 한다.
• 채움재의 종류를 변경시에는 0.08㎜ 체 통과 골재의 입도가 기존보다 굵은 채움재를
사용한다. 즉, 채움재의 공극비율(PRV) 값이 낮은 채움재를 선택한다.
▊소석회
• 소석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으며, 주요 사용 목적은 박리현상 저감이다.
① 수분에 대한 민감성을 감소시켜 아스팔트와 골재의 박리를 저감시킴
② 아스팔트의 산화를 감소시켜 노화를 낮춤
③ 아스팔트의 강성을 다소 증가시켜 소성변형을 낮춤
④ 미세균열의 진전속도를 감소시켜 균열 저항성이 증가
• 소석회 또는 소석회 혼합 석회석분의 일반적인 사용방법은 전용의 사일로에 저장하고,
이송 및 계량 후 아스팔트 플랜트 믹서에 투입하는 방법이다. 다만, 전용의 사일로가
없으면1배치질량으로 계량하여110℃ 이상의고온에서 용해되는백(Bag)에저장하여
믹서에 직접 투입할 수 있다.
• 소석회 또는 소석회 혼합 석회석분은 골재의 표면에 충분히 코팅되어야 박리방지 효과가
발현되므로 아스팔트 플랜트의 믹서에 투입 후 건식혼합 시간을 5s 이상 확보하여야
한다. 즉, 소석회 투입 후 5s 이상 골재와 혼합한 이후 아스팔트를 분사하여야 한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41
6. 액상박리방지제
(1) 액상박리방지제는 골재와 아스팔트의 박리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재료이다.
(2) 액상박리방지제 사용비율은 공급자가 제시한 비율과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사용 비율을
결정하며, 일반적으로 아스팔트의 0.5 % 사용한다.
(3) 액상박리방지 재료는 종류가 다양하고, 골재의 종류에 따라 성능효과에 차이가 있으므로
사용하는 골재를 이용하여 [부속서 Ⅵ-4 동적수침 시험]에 따라 동적수침 후 피복율
시험결과로 액상박리방지 재료의 적합여부를 판단한다.
(4) 동적수침 후 피복율이 액상박리방지 재료 사용 전에 40 % 이하이면 사용 후 50 %
이상이어야 하며, 사용 전 40 % 초과하면 피복율 변화비가 0.3 이상이어야 한다.
7. 재생첨가제
(1) 재생첨가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내의 노화된 아스팔트 점도를 회복시키기
위하여 혼합물 제조시 첨가하는 것이다.
(2) 재생첨가제는 영국 석유협회 표준 추출방법인 IP346 방법 또는 KS M 6956 으로
유해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재생첨가제는 IP346 으로 측정된 PCA 함량(DMSO
추출물)이 3% 미만이거나, KS M 6956 으로 측정된 <표 2.24>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가 10mg/kg 이하이고, 벤조피렌(benzo(a)pyrene)이
1mg/kg 이하이어야 한다.
CAS등록번호 화합물 CAS등록번호 화합물
192-97-2 benzo (e)pyrene 205-82-3 benzo (j)fluoranthene
83-32-9 acenaphthene 218-01-9 chrysene
208-96-8 acenaphthylene 53-70-3 dibenzo (a,h)anthracene
120-12-7 anthracene 206-44-0 fluoranthene
56-55-3 benzo (a)anthracene 86-73-7 fluorene
50-32-8 benzo (a)pyrene 193-39-05 indeno (1,2,3-c,d)pyrene
205-99-2 benzo (b)fluoranthene 91-20-3 naphthalene
191-24-2 benzo (g,h,i)perylene 85-01-8 phenanthrene
207-08-9 benzo (k)fluoranthene 129-00-0 pyrene
<표 2.24>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종류
42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3) 재생첨가제는 <표 2.25>의 품질 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며, 적용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절대점도와 사용비율에 따라 사용여부 및 사용비율을 결정한다.
구 분
항목
재생첨가제 등급
RA 01) RA 1 RA 5 RA 25 RA 75 RA 250
점도 (60 ℃ cSt) 49 이하
50-
175
176-
900
901-
4500
4501-
12500
12501-
37500
인화점 (℃) 219 이상
세츄레이트 (wt, %) 30 이하
RTFO (또는 TFO) 후의
점도비2) 3 이하
RTFO (또는 TFO) 후의
질량변화율 (±, %)
4 이하 3 이하
<표 2.25> 재생첨가제의 등급 기준
【주1】RA 0 등급 기준은 중온화 재생첨가제 등에 적용한다.
【주2】점도비 = RTFO (또는 TFO) 후의 점도 (60 ℃, cSt) / 원점도 (60 ℃, cSt)
(4) 중온화 재생첨가제는 중온 효과와 아스팔트 회생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재생첨가제의 유해성 평가 기준과 <표 2.24> 재생첨가제의 등급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그리고 아스팔트와 혼합하여 <표 2.4>의 중온화 아스팔트 품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5) 재생첨가제 제품 선정시에는 부속서를 참조하여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에 적용할 경우
적정 성능을 확보하는지 여부를 검토한다.
해 설
▊재생첨가제 등급 기준
• 재생첨가제의 등급 기준은 ASTM D 4552 기준을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 중온화 재생첨가제는 중온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점도가 낮은 RA 0 등급을 적용할 수
있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43
8. 섬유첨가제
(1) 섬유첨가제는 SMA 혼합물 또는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의 흐름손실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이다.
(2) 식물성 섬유나 식물성 섬유에 일정량의 아스팔트 또는 다른 재료 등을 첨가하여 낱알
형태로 생산한 것을 사용한다.
(3)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의 드레인다운 시험값이 0.3 % 이하일 경우에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4) 섬유첨가제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하는 비율은 아스팔트 혼합물 질량 대비 0.3 ~ 0.5
%이며, SMA 혼합물 또는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 기준의 흐름손실률
시험을 통해 결정한다.
(5)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에 섬유첨가제 사용없이 품질기준을 만족할 경우 사용하지
않으며, 섬유첨가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배합설계를 통해 흐름손실률과 KS F 2594 에
따른 실내투수계수 등의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량을 결정한다.
해 설
• 일반적인 섬유 첨가제 투입량은 SMA 혼합물 전체 무게의 0.3∼0.5%를 기준으로 하며,
설계도서또는해당아스팔트플랜트에서0.3∼0.5% 기준내에서SMA 혼합물에이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섬유첨가제 투입량의 허용 범위는 소요되는
섬유 무게의 ±10%이다.
• 예를 들면, 한 배치에 2톤을 생산하는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섬유첨가제 함량을 0.4%로
적용한다면 골재와 아스팔트의 량 1992㎏에 섬유첨가제 8㎏을 사용하게 된다.
• 섬유첨가제는 0.5%를 첨가하여 드레인다운 시험을 실시하여 드레인다운 시험값 0.3%
이하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해당 제품은 사용할 수 없다.
44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9. 철강 슬래그
(1) 철강 슬래그는 철강의 제조과정에서 생산되는 슬래그를 파쇄한 것으로 선철의
제조과정에서 고로에서 정제되는 고로 슬래그와 강의 제조과정에서 생성되는 제강
슬래그로 나누어진다. 또한 고로 슬래그는 냉각 방법에 따라서 고로 서냉슬래그와 고로
수쇄슬래그로 나누어지고, 제강 슬래그는 강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전로슬래그와
전기로슬래그로 나누어진다. 고로 슬래그, 제강 슬래그 어느 것이나 제철의 부산물이지만
그 재료물성에는 차이가 많다.
해 설
▊철강 슬래그의 종류와 용도
• 본 기준은 『아스팔트포장 설계・시공요령(1997)』의 제3장 3.5.2 철강슬래그 내용을
준용하였다.
• 철강 슬래그의 종류와 주된 용도는 다음과 같다.
재료명 호칭 주용도
단립도 제강 슬래그 SS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용
크럿셔런 제강 슬래그 CSS 역청 안정처리 (가열혼합)용
입도조정 철강 슬래그 MS 기층재
수경성 입도조정 철강 슬래그 HMS 기층재
크럿셔런 철강 슬래그 CS 보조기층재
<철강 슬래그의 종류와 주 용도>
▊품질 규격
• 철강슬래그는 세장 또는 편평한 것, 먼지, 진흙, 유기물 등을 유해량 이상 함유해서는 안
된다.
• 골재로 사용하는 철강 슬래그중 기층, 보조기층에 주로 사용하는 수경성 입도 조정 철강
슬래그(HMS), 입도조정 철강 슬래그(MS), 크럿셔런 철강슬래그(CS)의 품질기준은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45
아래의 표와 같다.
• 또 역청 안정처리(가열 혼합)용 또는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용으로 사용하는 크럿셔런
제강 슬래그(CSS), 단립도 제강 슬래그(SS)의 품질기준은 아래의 표와 같다.
【주1】철강 슬래그의 품질은 아래의 표에 나타낸 이외의 항목에 대해서는 쇄석의 값을
준용한다. 또한, 입도도 쇄석의 입도에 따르지만 수경성 입도조정 철강 슬래그의
최대입경은 25㎜의 것을 사용하면 좋다.
【주2】철강 슬래그는 생산지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코자 할 때는 운반거리, 경제성
등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주3】제강 슬래그는 강의 제조방법에 따라 전로슬래그와 전기로 슬래그로 나누어진다.
또한, 합금슬래그는 제강 슬래그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주4】철강 슬래그중 고로 서냉 슬래그에는 수침하면 황 및 황화물이 용출하여 투과수가
황색을 나타내고 환경을 해칠 수가 있다. 따라서 에이징(Aging) 등을 시행하여
황탁수의 발생을 방지하고, 정색판정시험에 합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제강 슬래그는 슬래그중에 존재하는 석회분이 물과 반응하여 팽창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일정기간의 에이징을 시행하여 수침 팽창비가 목표치 이하로 된 것을
사용한다.
【주5】제강 슬래그는 냉각시에 발생하는 기포에 의하여 공극이 많은 것이 포함되지만, 그
혼입율의 변동이 크면 비중 및 흡수율에 변화가 생기고 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6】제강 슬래그중 전기로 슬래그는 전로 슬래그에 비해서 유리석회가 적고 팽창성이
작다. 따라서 전기로 슬래그는 3개월 이상 에이징을 행하여 수침 팽창비가 0.6
%이하로 되면 시공 실적 등을 참고하여 사용하면 좋다.
【주7】제강 슬래그의 일부에는 온수 또는 증기 등을 사용하여 반응을 촉진하여 에이징
기간을 단축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들 슬래그에 대해서도 팽창성이 안정한가에
대하여 충분히 확인하고 시공실적 등을 참고하여 사용하면 좋다.
46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호칭 정색판정
단위용적
(㎏/L)
일축압축강도
(㎏/㎠)
수정
CBR (%)
수침
팽창비
(%)
HMS 정색이 없을 것 1.50 이상 12이상 80 이상 1.5 이하
MS 정색이 없을 것 1.50 이상 - 80 이상 1.5 이하
CS 정색이 없을 것 - - 30 이상 1.5 이하
<철강 슬래그의 품질기준>
호칭 절대건조
밀도(g/㎤) 흡수율 (%) 마모감량 (%) 수침 팽창비 (%)
CSS - - 50 이하 2.0 이하
SS 2.50 이상 3.0 이하 30 이하 2.0 이하
<제강 슬래그의 품질기준>
▊에이징
• 철강슬래그는 수경성 입도조정 철강 슬래그, 입도 조정 철강 슬래그, 크럿셔런 철강
슬래그로 사용하는 제강 슬래그는 6개월 이상 에이징을 한 것이어야 한다.
• 다만, 전기로 슬래그를 3개월 이상 에이징한 후의 수침 팽창비가 0.6%이하인 경우와
제강 슬래그를 촉진 에이징한 경우에는 시공 실적 등을 참고하여 팽창성이
안정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에이징 기간을 단축 할 수 있다.
• 크럿셔런 제강 슬래그와 단립도 제강 슬래그에 사용하는 제강 슬래그는 3개월 이상
에이징을 한 것이어야 한다.
10. 교면포장용 방수재
10.1 교면 방수재의 적용 범위
(1) 차량의 통행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신설 및 기존 도로교 바닥판에 대하여 방수층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원칙적으로 교면포장에 아스팔트 포장을 시공하는 모든 도로교 바닥판을 대상으로 한다.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47
10.2 교면 방수재의 분류
(1) 방수재는 시트식 (Sheet type) 및 도막식의 2 종류로 구분한다. 다만, 1.5 층 개념의
방수층에서는 보조방수재로 흡수방지식을 사용한다.
(2) 도로교 바닥판 방수재의 분류는 <표 2.26>에 따른다. 도막 두께는 탐침식 도막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개별 방수층 시공 후 측정한다.
종 류 시공 방법
최소
두께
형태 준수 사항
시
트
식
가열
융착식
방수재 하면에 불이나
고온의 열을 가하여 접착
4 ㎜
이상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에 고무 혼합
아스팔트를 합침
원칙적으로 기계식
시공 장비를 사용
현장여건상 부득이한
경우 인력시공 가능
부착식
시트와 동일한 재질의
접착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도포하면서 바로
시트를 접착
2 ㎜
이상
자착식
시트 하면에 접착성분이
있어서 필름을 벗겨내면서
무게를 가하여 접착
2 ㎜
이상
도
막
식
용제형
프라이머 도포 양생 후
주재료와 휘발성 용제가
혼합된 상온의 용액을 약 3
회 이상 도포
2 ㎜
이상
클로로프렌 고무를
톨루엔이나 크실렌
등의 용제에 용해한
액상 상태
부직포나 직포 등의
중심 기재 없이 사용
불가
가열형
프라이머 도포 양생 후
고무 아스팔트계라고도
불리며 약 190 ℃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도포
2 ㎜
이상
아스팔트를
합성고무 등으로
품질을 개선한 고체
상태
수지형
이상
프라이머 도포 양생 후
자기반응형 합성수지를
현장에서 상온으로
혼합하여 도포
1 ㎜
이상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화학반응에 의해
경화하는 액상 상태
기존 3년 이상의 건전한
시공실적이 없으면
시험시공을 통하여
입증 후 적용가능
수지
슬러리
형
프라이머 도포 양생 후
자기반응형 합성수지와
규사 등을 상온에서
혼합하여 도포
2 ㎜
이상
1액 또는 2액형
수지와 직경 2 ㎜
이하의 규사가
혼합된 슬러리 상태
기존 3년 이상의 건전한
시공실적이 없으면
시험시공을 통하여
입증 후 적용가능
<표 2.26> 도로교 바닥판용 방수재의 분류 및 특징
(3) ‘신설 또는 유지보수 구간의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시’ 또는
‘유지보수 구간의 절삭 후 바닥판의 요철이 깊은 경우’에는 시트식 및 도막식의
조합으로 2 층 방수를 적용하여 도로교 바닥판을 보호한다. 2 층 방수란 1 층 방수
48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시트식 혹은 도막식)층을 개별적 공정으로 2 회에 걸쳐 포설하여 만드는 2 층
방수층(도막식+시트식, 도막식+도막식, 시트식+도막식, 시트식+시트식)으로 각층의
두께는 <표 2.26>에서 제시된 최소두께 이상이고, 최종 방수층 두께는 각 층별 최소
두께의 합 이상이어야 한다.
(4) <표 2.26>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방수재에 대해서는 도로교 바닥판용 방수재료의 품질
기준 만족 여부를 국가 공인시험기관의 시험결과를 통한 입증과 시험시공 적용 후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는 지를 확인한 후 감독자의 승인 하에 적용하여야 한다.
10.3 흡수방지식 보조 방수재의 역학적 품질 기준
(1) 도로교 시멘트 콘크리트 바닥판용 1.5 층 방수시스템 개념을 적용할 때 사용되는
흡수방지식 보조 방수재의 품질기준은 <표 2.27>를 따르며, 무기질 계열의 재료만을
적용할 수 있다.
항목 시험기준 무기질계 품질기준
침투깊이 KS F 4930 4.0 ㎜ 이상
내흡수
성능
표준상태
KS F 4930
물흡수 계수비
0.1 이하
내알칼리성 시험 후
저온·고온반복 저항성 시험 후
촉진 내후성 시험 후
내투수 성능 KS F 4930 투수비 0.1 이하
염화 이온 침투 저항 성능 KS F 4930 3.0 ㎜ 이하
용출
저항
성능
냄새와 맛
KS I 3225
(부속서)
이상 없을 것
탁도 2도 이하
색도 5도 이하
중금속(Pb로서) 0.1 ㎎/L 이하
PH 5.8 ∼ 8.6
페놀 0.005 ㎎/L 이하
증발 잔류분 30 ㎎/L 이하
잔류 염소의 감량 0.2 ㎎/L 이하
인화점 KS M 2010 80 ℃ 이하에서 불꽃이 발생하지 않을 것
<표 2.27> 흡수방지식 보조 방수재의 품질기준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49
10.4 방수재의 품질 기준
(1) 도로교 바닥판에 적용되는 시트식과 도막식 방수재의 품질기준은 <표 2.28> 및 <표
2.29>에 따라 적용한다.
항목 시험기준
품질기준
시트식 도막식
인장
성능
인장강도 (MPa)
23 ℃, 40 ℃
무처리
KS F 3211
4.0 이상
알카리처리 무처리의 80 % 이상
가열처리 무처리의 80 % 이상
최대하중 시
신장률 (%)
23 ℃, 40 ℃
무처리 20∼60
알카리처리 무처리의 80 % 이상
가열처리 무처리의 80 % 이상
비 휘발분 (%)
KS M ISO
3251 -
표시 값 ± 3 %
이내
내투수성 KS F 4931 투수되지 않을 것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Coulombs) KS F 2711 100 이하
내움푹 패임 KS F 4917 구멍이 생기지 않을 것
내열치수 안정성(%), 150 ℃, 30 min KS F 4931 ± 2.0 이내
저온 굴곡성 (-10 ℃) KS F 4917 균열이 없을 것
접합강도(MPa) KS F 4931 3.0 이상 -
내피로성 KS F 4917 잔금, 찢김 및 파단이 생기지 않을 것
내균열성 -10 ℃ KS F 4931 잔금, 찢김 및 파단이 생기지 않을 것
<표 2.28> 도로교 바닥판용 시트식과 도막식 방수재의 품질기준
50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구분 항목 시험기준 품질기준
경화성
수지
점도 (cP) - 10 ∼500
가사 시간(min) AASHTO T-237 60 이내
인장 강도(MPa) ASTM D412 5.0 이상
신장률 (%) ASTM D412 50 이상
폴리머
콘크리
트
양생시간 (h) - 3 이내
내투수성 KS F 4931 투수되지 않을 것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 (Coulombs) KS F 2711 100 이하
내움푹 패임 KS F 4917 구멍이 생기지 않을 것
내열치수 안정성(%), 150 ℃, 30 min KS F 4931 ± 2.0 이내
열팽창계수 (㎜/㎜/℃) ASTM C531 5∼90 x 10-5
압축강도 (MPa) ASTM C579 7.0 이상
휨강도 (MPa) ASTM C580 2.5 이상
인장강도 (MPa) ASTM D638 1.5 이상
<표 2.29> 도로교 바닥판용 수지 슬러리형 방수재의 품질기준
【주】폴리머 콘크리트란 합성수지와 규사를 혼합하여 경화가 완료된 혼합물을 의미한다.
10.5 도로교 바닥판용 교면포장 시스템의 역학적 품질 기준
(1) 도로교 바닥판에 적용되는 교면포장 시스템의 역학적 품질 기준은 <표 2.30>을 적용하며
시트식, 도막식, 2 층 방수 모두 <표 2.30>의 역학적 품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항목 시험기준 품질 기준
인장 접착강도(MPa) -20 ℃ KS F 4932 1.2 이상
20 ℃ 0.6 이상
전단
접착성능
전단 접착강도
(MPa)
-20 ℃
KS F 4932
0.80 이상
20 ℃ 0.15 이상
전단 접착변형률
(%)
-20 ℃ 0.5 이상
20 ℃ 1.0 이상
수침 인장접착 시험 20 ℃ KS F 4932 수침 전의 70 % 이상
<표 2.30> 도로교 바닥판용 교면포장 시스템의 품질기준
제2장 재 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51
11. 재료의 승인 및 시험
(1) 계약상대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공사 15 일 전에 공사에 사용하는 재료의
시험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 받아야 한다.
(2) 재료의 공급원을 변경하려면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감독자는 사용재료의 적정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추가시험을 시행할 수
있으며, 공사 시행 중에도 발췌시험을 지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