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 제 2 장 /

단순 입체교차

2.1 단순 입체교차의 형식 및 계획 ······································ 239

2.2 단순 입체교차의 설계 ····················································· 242

 

- 239 -

2.1 단순 입체교차의 형식 및 계획

가. 단순 입체교차는 주로 도시지역의 교차로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인터체인지와 달리

평면교차에 대한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

나. 입체화 계획 시 입체화 방향은 교통류의 원활한 처리, 지형, 주변의 토지이용 상황, 가

로망의 형태, 도로시설의 상황 및 건설비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 검토하여 정해야 한다.

단순 입체교차라 함은 교차부에 단순한 지하차도(Underpass)나 고가차도

(Overpass)를 설치하여 일정 방향의 교통류를 분리시키고 지상부는 일반적인 평

면교차를 형성시키는 입체교차 시설을 말한다. 단순 입체교차로가 인터체인지와

구별되는 점은 이들이 주로 도시지역의 교차로에 설치되는 것이며, 지하차도나

고가차도의 구조물 처리와 평면교차의 설계가 주요 핵심사항이 되어 인터체인지

와는 다르게 평면교차의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

특히, 단순 입체교차는 용지 및 지장물에 의한 제약조건이 많은 도시지역의 교

차로에 적은 공사비를 들여서 일정 방향의 교통류를 분리시킴으로써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지상부의 평면교차에서는 교통량에 따라서 신호 조정에 의한

교통 수요 조절이 가능하여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적용성이 매우 높다.

2.1.1 형식

도시 내 도로의 단순 입체교차 형식에 대하여 본선, 측도 및 입체교차 유출입부

는 <그림 2-1>(a)와 같이 정의한다. 또한 측도란 연결부의 일종으로 일반도로의

입체교차로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말한다.

제2장 단순 입체교차

- 240 -

(a) 네 갈래(예 1) (b) 네 갈래(예 2)

(c) 네 갈래(예 3) (d) 세 갈래(Y형 교차)

(e) 세 갈래(T형 교차 : 예 1) (f) 세 갈래(T형 교차 : 예 2)

<그림 2-1> 단순 입체교차의 형식

십자교차로를 통과하는 양방향 교통량이 많을 경우, 3층으로 설치하기도 하며

(<그림 2-2>) 이 경우, 평면교차로를 평지부에 두고 통과 차도의 한쪽을 지하차

도(Underpass), 다른 한쪽을 고가차도(Overpass)로 하면 접속부(Approach)가

길어지지 않아 좋다.

- 241 -

<그림 2-2> 3층 구조의 단순 입체교차

2.1.2 입체화 계획

입체교차 구조물의 설치는 교통류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주 교통, 즉 가

장 교통량이 많은 방향을 정지 없이 통과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기술

적으로 주 교통을 정지 없이 통과시킬 수 없는 경우, 주 교통의 동선을 방해하는

교통 방향을 정지 없이 통과시키는 편이 유리할 때도 있으므로 충분한 검토가 요

구된다.

도시 내에서는 일정 방향 노선의 교통 처리 능력을 계통적으로 증대시키기 위

하여 주요 교차로를 연속적으로 입체화하는 계획이 많이 수립되고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입체교차와 다음 입체교차 사이에 차량의 엇갈림이 생기므로 적정한 엇갈

림 구간을 확보하도록 계획한다.

또한 단구간에 수 개소의 교차로가 있는 경우, 이들을 한꺼번에 입체교차화할

때에는 좌우회전 교통을 통합하는 결과가 되므로 측도에 대한 교통 처리를 특별

히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입체교차 본선 중 한쪽을 생략하는 경우에는 유입부에서 자동차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

어지도록 차로 수를 증가시키거나 분리대를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 242 -

2.2 단순 입체교차의 설계

단순 입체교차의 설계는 본선, 측도, 유출입부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원활한

교통처리 및 안전성 등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가. 본선

입체교차부 본선의 횡단구성, 평면선형, 종단선형 등의 제 요소는 일반부의

기준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종단곡선은 넓은 폭의 교차로를 횡단하는 경우라

수개소의 교차로를 연속하여 입체교차하는 경우 이외에는 경사진 도로의 구간

을 짧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곡선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본선의 차로 수는 교통량의 분석 결과에 따라 결정하되 편도 2차로 이상으

로 계획함이 바람직하다. 만일 부득이한 사정으로 편도 1차로로 하는 경우에는

고장 차량 등을 대피시킬 수 있는 길어깨 폭을 확보하여야 한다. 교통량의 급

증에 수반하여 도로의 유지관리 작업 시 발생하는 지체현상의 방지 및 안전성

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도의 양측에 유지관리용 보도를 설치하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지하차도의 경우에는 측방 여유 확보가 어려우나, 유지 관리용 보도의 필요

성이 요구됨으로 보도의 폭은 최소 0.75m를 확보하도록 한다. 지하차도, 고가

차도를 선정하는 기준은 지형, 지질, 경제성, 공사 시공의 난이도 및 주위 경

관과의 조화 등을 고려해야 한다.

① 입체부 폭이 좁은 경우 고가차도가 공사비 측면에서 저렴한 경향이 있다.

② 시공면에서 지하차도의 경우에는 옹벽 및 교대 설치, 굴착을 위한 지장물의 이설,

흙막이공사 등에 의해서 공기가 길어지고, 또 공사비도 추가로 소요될 수 있다.

③ 공용 개시 후의 유지관리면에서 보면 지하차도의 경우에는 배수가 불량하게 되기 쉬

워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며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된다.

- 243 -

④ 미관상 또는 생활환경면에서는 지하차도 쪽이 유리하다.

교차부에서 시설한계는 우회전 내측에서의 자동차 주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횡단보도를 위한 여유를 확보하도록 정해야 한다.

고가차도의 경우 접속부에서의 옹벽 구간의 길이는 미관, 평면 도로의 이용

및 경제성의 판단으로 정해진다. 보행자나 자동차는 평면부를 횡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오히려 안전하므로 원칙적으로는 본선에 보도나 자전거도로를 추가

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나. 측도

측도의 횡단구성, 평면선형, 종단선형 등의 제 요소는 일반도로의 기준에 따

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그 폭은 교차부에서의 좌우회전 교통량에 의거하 여

정해야 한다. 자동차의 정차를 고려하여 적어도 1차로에 정차대를 포함한 폭

이하는 피해야 한다. 특히, 측도의 차로 수는 차로 수 균형 원칙에 의하여 결

정하여야 한다.

측도와 교차로는 평면교차로 한다. 따라서 좌회전 차로, 우회전 차로 등의

제기준에 대해서는 평면교차의 기준에 따른다. 특히, 교차로에서의 좌우회전

교통량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될 때에는 <그림 2-3>과 같이 교차부에 좌회전

차로를 확보하여야 한다.

<그림 2-3> 입체교차 하부의 평면 교차부에서 좌회전 차로를 설치하는 경우

- 244 -

다. 입체교차 유출입부

입체교차 유출입부라 함은 본선이 측도와 접속하는 부분의 근처를 말하는데

여기서 교통의 유출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교통류 혼란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계획에 있어서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① 입체교차 유출입부에서의 확폭 설치는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류가 확보되도록 완만

한 곡선의 연속으로 처리한다.

② 입체교차 유출입부에서는 자동차의 유도성을 고려하여 교통류의 원활을 기하도록

하여야 한다.

유출입부에서는 일반적으로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데,

자동차 주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입체교차의 식별을 빠르게 하고, 또

시선유도에 대한 조치를 강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① 유도성이 좋은 안내표지를 설치한다.

② 분리대를 식별하기 쉬운 구조로 하고 또 교통분리 및 노면표시를 충분히 길게 한다.

③ 유색 포장 등으로 교통류가 분리되기 쉽도록 배려한다.

④ 지하차도의 경우에는 종단방향의 유도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가로등의 높이를 본

선 노면에 맞추어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입체교차부에서는 본선보다 차로 수가 많아지므로 차로의 확폭구

간을 설치하는 것이 통례이다. <그림 2-4>에서의 측도와 본선의 평행구간의

길이 L에 대해서는 유출입의 안전과 원활한 교통처리를 위하여 적당한 길이를

확보해야 한다.

- 245 -

(a) 평면선형

(b) 종단선형

<그림 2-4> 입체교차 유·출입부의 접속

입체교차의 유출입부 접속길이는 다음 식으로 산정할 수 있다.

  

 

×

  

 ∙Δ

여기서, L : 교차도로 중심선으로부터 확폭구간 길이

W : 교차도로 폭



×  : 종단경사 구간길이

Lvc1 : 凸부 종단곡선 길이

Lvc2 : 凹부 종단곡선 길이

H : 교차도로의 고저 차이

i : 종단경사



 ∙ Δ : 측도와 본선의 평행구간 길이

V : 설계속도

ΔW : 변이 폭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4434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30076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6601
328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0장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5.09.09 2
327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1_01장_일반사항 file 효선 2025.09.09 0
326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2_01장_평면교차로의 일반사항 file 효선 2025.09.09 0
325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2_02장_평면교차로의 설계지침 file 효선 2025.09.08 1
324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2_03장_다른도로와의 연결 file 효선 2025.09.08 2
323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2_04장_평면교차로의 개선 기법 file 효선 2025.09.08 0
322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3_01장_회전교차로의 일반사항 file 효선 2025.09.08 0
321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3_02장_회전교차로의 계획및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9.08 0
320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3_03장_회전교차로의 설계기준 효선 2025.09.08 1
319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4_01장_입체교차 일반사항 file 효선 2025.09.08 3
»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4_02장_단순입체교차 file 효선 2025.09.08 2
317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4_03장_인터체인지의 계획 file 효선 2025.09.08 0
316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4_04장_인터체인지의 형식 file 효선 2025.09.08 1
315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4_05장_인터체인지의 설계 file 효선 2025.09.08 0
314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4_06장_다이아몬드형 인터체인지의 설계 file 효선 2025.09.08 2
313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4_07장_철도와의 교차 file 효선 2025.09.08 0
312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99장_부록1_평면교차로 file 효선 2025.09.05 3
311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99장_부록2_회전교차로 file 효선 2025.09.05 4
310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99장_부록3_입체교차로 file 효선 2025.09.05 2
309 도로계획시+경제성+분석+설계지침 file 효선 2025.06.02 4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