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250612_교차로설계지침_03_01장_회전교차로의 일반사항
2025.09.08 17:11
제3편 회전교차로 ··············· 133
제1장 회전교차로의 일반사항 ·· 137
제2장 회전교차로의 계획 및 설치
기준 ·························· 151
제3장 회전교차로 설계기준 ·· 167
III 편 교차로 설계 지침
/ 제 1장 /
회전교차로의
일반사항
1.1 회전교차로 운영원리 ······················································· 133
1.2 회전교차로 구성요소 ······················································· 134
1.3 회전교차로 특징 ······························································ 135
1.4 회전교차로 유형 ······························································ 140
- 133 -
1.1 회전교차로 운영원리
가. 회전교차로는 자동차가 교차로 중앙의 원형교통섬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
전하여 교차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평면교차로의 일종이다.
나. 회전교차로는 진입자동차가 교차로 내부의 회전차로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게 양
보하는 것을 기본원리로 운영된다.
회전교차로의 기본 운영원리는 양보인데, 교차로에 진입하는 자동차는 회전
중인 자동차에게 양보를 해야 하므로, 회전차로 내부에서 주행 중인 자동차를
방해하여서는 아니되며 무리하게 진입하지 않고 회전차로 내에 여유 공간이 있
을 때까지 양보선에서 대기하며 기다려야 한다. 결과적으로 접근차로에서 정지
지체가 생길 수 있으나, 교차로 내부 회전차로의 정체는 발생하지 않는다.
회전교차로 진입 시에는 충분히 속도를 줄인 후 진입하도록 유도하고 회전교
차로 통과 시에는 모든 자동차가 중앙교통섬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하여 통행하도록 한다.
<표 1-1>은 회전교차로와 로터리(Rotary)의 특징을 비교한 것이다. 종래의
로터리는 진입하는 자동차에게 통행우선권이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진입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대부분 교차로의 지름이 크기 때문에, 로터리 내에
서 속도가 높아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제1장 회전교차로의 일반사항
- 134 -
구분 회전교차로
(Roundabout)
로터리
(Roary)
진입방식 진입자동차가 양보
(회전자동차가 우선)
회전자동차가 양보
(교차로 진입자동차 우선)
진입부 저속 진입 유도 회전교차로 대비 고속 진입
회전부
고속의 회전차로 주행방지를 위한
설계
(대규모 회전반지름 지양)
회전교차로 대비 고속 회전
분리교통섬 감속 및 방향 분리를 위해 필수 설치
(소형 이하 예외 가능) 선택 설치
중앙교통섬
지름이 대부분 50m 이내
지름이 최소 5m인 초소형
회전교차로도 설치 가능
지름 제한 없음
<표 1-1> 회전교차로와 로터리의 비교
1.2 회전교차로 구성요소
회전교차로는 중앙교통섬, 회전차로, 진입․진출로, 분리교통섬 등으로 구성된
다. 내접원 지름은 중앙교통섬 지름과 회전차로 폭을 포함하며, 중앙교통섬 지
름에는 내측 길어깨 폭과 화물차 턱(Truck Apron) 폭이 포함된다. <그림 1-1>
은 회전교차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 135 -
<그림 1-1> 회전교차로 구성요소
1.3 회전교차로 특징
일반적으로 회전교차로의 지체시간은 신호교차로의 신호대기시간보다 짧다.
교통량이 일정수준 이하인 신호교차로나 비신호교차로는 회전교차로로 운영하는
것이 교통소통 및 통행안전 상 더 효율적이다. 또한 상충점이 적고 진입로와 회
전차로 내에서 자동차가 저속으로 운행되어 사고 위험이 적기 때문에 자동차와
보행자 모두에게 안전하다.
1.3.1 안전성 향상
회전교차로는 일반적인 평면교차로에 비해 자동차 간 상충 지점수 및 자동차와
보행자 간 상충 지점수가 적고, 교차로 진입부와 교차로 내에서 감속운행을 유도
하여 안전성이 높다.
- 136 -
가. 회전교차로는 진입하는 자동차가 교차로 내 회전차로에서 주행 중인 자동차에게
양보하는 것이 기본원리이므로 회전차로 내에서 혼잡이 발생하지 않는다.
나. 회전교차로는 진입하는 자동차가 회전차로에서 주행하는 자동차들 간의 간격을 이
용하여 진입하므로, 일정수준 교통량 범위에서는 신호제어에 의해 운영되는 신호
교차로에 비해 대기시간이 감소된다.
다. 회전교차로는 상충 횟수가 적고 진입속도를 낮게 설계하여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피해 정도가 작다.
교차로 형태별 자동차 간 상충 지점수의 비교는 <그림 1-2>와 같다. 일반적인
평면교차로는 교통류가 직진, 좌회전, 우회전으로 분리되므로 네갈래교차로인 경
우 32개의 상충 지점이 발생하는 반면, 회전교차로는 교통류가 회전차로 진입과
진출로 구분되어 8개의 상충 지점이 발생한다. 상충 유형에서도 차이가 나는데,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교차상충이 일반적인 평면교차로에서는 16개의 지
점이 발생하는 반면, 회전교차로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회전교차로는
일반적인 평면교차로에 비해 자동차 간 상충 지점수가 적어 충돌 가능성이 줄어
들 뿐만 아니라, 교차상충이 발생하지 않아 심각도가 높은 사고의 발생가능성도
감소하게 된다.
상충 유형별 지점수 상충 유형별 지점수
총 상충 지점수 : 32개 총 상충 지점수 : 8개
<그림 1-2> 자동차 간 상충 지점수 비교
- 137 -
또한 회전교차로는 <그림 1-3>과 같이 자동차와 보행자 간 상충 지점수도 일반
적인 신호교차로에 비해 적다. 신호교차로의 경우 일반적으로 녹색 우회전 상충,
직진신호위반 상충, 녹색 비보호 좌회전 상충, 신호위반이나 적색 우회전 상충이
발생한다. 회전교차로의 경우 통행 원리상 진입 및 진출 시 우회전 상충만이 발생
하게 되어 보행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림 1-3> 자동차와 보행자 간 상충 지점수 비교
회전교차로의 안전성이 높은 주요 요인은 낮은 교차로 통과속도이다. 일반적으
로 낮은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안전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획득하며
주행할 수 있고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 높아지게 되어, 사고를 피할 수 있
는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고발생 시 사고의 심각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
다. 회전교차로에 진입하는 자동차는 회전자동차에게 양보를 해야 하므로 저속진
입을 해야 하고 교차로 내부에서는 원형교통섬을 우회해야 하므로 저속으로 주행
하게 된다. 따라서 접근로에서 감속 후 회전차로를 통과 하기까지 대부분 비슷한
속도로 주행하게 되므로 자동차 간의 대형 사고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회전교차로를 마을 진입로에 설치할 경우 저속 진입을 통한 안전 확보가 가능
하므로 교통정온화 (Traffic Calming) 기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주거지역 진입로
등 대형차의 통행이 없는 교차로에서는 <그림 1-4>와 같이 교통정온화(Traffic
Calming) 대책의 일환으로 회전교차로를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교
- 138 -
차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차원의 축 전체에 회전교차로를
설치한다면 교차로 구간에서의 고속주행을 방지할 수 있어 자동차 및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림 1-4> 주거지역 진입로 설치 예
회전교차로는 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교차로이지만, 2차로형 회전교차로
는 일반적으로 1차로형 회전교차로에 비해 안전성 향상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1)(1차로형 회전교차로의 43% 수준). 주된 원인은 1차로형 회전교차로에
비해 잦은 차로 변경과 주행경로의 엇갈림 등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상충이 발생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2차로형 회전교차로의 안전상 문제 해결을 위해 주행경로
를 적극적으로 도류화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이고자 개발된 회전교차로가 나선형 회
전교차로이다.2)
1.3.2 지체 감소
일반적으로 신호교차로는 교통량 변화에 따라 신호시간이 연동하지 않아 신호지
체가 발생한다. 특히 늦은 야간과 같이 교통량이 적은 시간대에는 불필요한 신호
대기로 인한 지체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정수준 이하의 교통량에서는 회전교차로
가 신호교차로에 비해 교차로 지체가 낮다.
1) 「Modern Roundabout Practice in the United States(NCHRP synthesis 264)(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25p.
2) 나선형 회전교차로는 국외에서 “Turbo roundabout”으로 불림
- 139 -
<그림 1-5>는 교통운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호교차로와 회전교
차로의 지체시간 차이를 접근로 평균 진입교통량과 좌회전비율에 따라 정리한 그
래프이다. 접근로 평균 진입교통량이 400대/시 이하에서는 신호교차로에서 회전
교차로 전환 시 지체시간이 감소하고, 500대/시 수준에서는 좌회전비율 30% 이
하인 경우 지체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600대/시 이상에서는
회전교차로 전환 시 지체시간이 증가하여 운영효율이 오히려 떨어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즉, 좌회전비율 30% 이하, 접근로 평균 진입교통량 500대/시 이하인 교
통조건에서 신호교차로보다 회전교차로가 운영측면에서 더 효율적이다.
<그림 1-5> 신호교차로 대비 회전교차로 지체시간 감소효과
1.3.3 환경적 측면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에 따르면 회전교차로는 교통 흐름의 효율성을 향
상시키기 때문에 차량의 배기가스와 연료 소비도 줄일 수 있다. 신호교차로 대신
회전교차로를 설치하면 일산화탄소 15∼45%, 아산화질소 21∼44%, 이산화탄소
23∼34%, 탄화수소 0∼40% 만큼 배출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
료소비의 경우 약 23∼34%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140 -
1.4 회전교차로 유형
가. 회전교차로의 유형은 기본유형과 특수유형으로 구분된다.
나. 기본유형은 설계기준자동차 및 회전차로 규모에 따라 초소형 회전교차로, 소형 회
전교차로, 1차로형 회전교차로, 2차로형 회전교차로로 구분되며, 설계기준자동차
및 설계속도별 설계제원을 따른다.
다. 특수유형은 설치 형태에 따라 나선형 회전교차로, 평면형 회전교차로, 입체형 회
전교차로로 구분된다.
1.4.1 기본유형
본 지침에서는 회전교차로 설치지역에 따라 도시지역과 지방지역을 구분하지 않
고, 설계기준자동차 및 설계속도에 따른 제원을 마련하여 해당 사업지점의 도로
및 교통 특성을 반영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회전교차로의 기본유형은 설계기준자동차와 회전차로 수에 따라 초소형, 소형, 1
차로형, 2차로형으로 구분되며, 계획교통량과 설계기준자동차를 고려하여 적정 유
형을 선정한다. 초소형 회전교차로의 설계기준자동차는 승용자동차이며, 소형 회전
교차로의 설계기준 자동차는 소형자동차이다. 초소형 회전교차로와 소형 회전교차
로는 1차로형 회전교차로 보다 작은 규모로 설계할 수 있는 형태로 평균 주행속도
가 50km/h 미만인 지역에서 부지의 확장이 곤란한 경우에 기존 교차로 도로부지
를 크게 벗어나지 않고 최소한의 설계제원의 저렴한 비용으로 건설이 가능하다.
초소형 회전교차로와 소형 회전교차로는 승용자동차 및 소형자동차가 중앙교통섬을
침범하지 않고 통행할 수 있지만, 소방차 등 긴급자동차를 포함한 대형자동차는 회전
차로만 이용하여 통행할 수 없으므로 대형자동차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중앙교통섬 전
체를 사면 돋움 또는 연석을 이용한 돌출된 형태로 설치하여 대형자동차가 중앙교통
섬을 횡단 혹은 일부 침범하여 통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노면표시 형태의 중
앙교통섬은 차량이 이를 침범하여 교차로 안전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지양한다.
- 141 -
<그림 1-6> 초소형 회전교차로
<그림 1-7> 소형 회전교차로
<그림 1-8> 1차로형 회전교차로
- 142 -
<그림 1-9> 차로변경억제형 2차로형 회전교차로
1차로형 및 2차로형 회전교차로는 진입․진출 차로 수 및 회전차로 수에 따라
구분되며 설계기준자동차는 대형자동차 또는 세미트레일러이다. 중앙교통섬은 횡
단할 수 없으며 화물차 턱이 있어 설계기준자동차의 원활한 통행이 가능하다.
<그림 1-6>은 초소형, <그림 1-7>은 소형, <그림 1-8>은 1차로형, <그림
1-9>는 2차로형 회전교차로의 기본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1.4.2 특수유형
주어진 교통 여건과 지역 특성에 따라 특수유형 회전교차로 설치를 고려할 수 있다.
특수유형은 설치 형태에 따라 나선형, 직결형, 쌍구형 등의 평면형과 물방울형
과 같은 입체형이 있다.
1) 나선형 회전교차로
나선형 회전교차로는 2차로 회전교차로 내 회전차로의 각 방향별 주행차량
간의 상충을 해소하고 2차로 회전교차로의 운영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유럽에서 개발된 회전교차로 유형3)이다. 나선형 회전교차로는 진입부 도로 규
모와 주·부도로 교통량 및 회전교통량 비율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나선형 중앙교통섬 형태 일부가 다르게 설계 된다.
3) 나선형 회전교차로는 1998년에 네덜란드에서 최초로 개발되어 세르비아, 크로아티아로 확대 설치운영되
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유사한 형태로 설치하여 2차로 회전교차로의 운영 및 안전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 143 -
<네덜란드 – Uden> <네덜란드 – Ouddorp>
<그림 1-10> 나선형 회전교차로
나선형 회전교차로는 1998년에 네덜란드에서 최초로 개발되어 세르비아, 크
로아티아로 확대 설치운영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유사한 형태로 설치하여 2
차로 회전교차로의 운영 및 안전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나선형 회전교차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다.
① 회전교차로 내에서 차로 변경이 발생하지 않아 2차로형 회전교차로에 비해 상충
지점수가 적음
② 회전교차로 내에서 운전자가 가고자 하는 방향을 명확히 제시함
③ 상충 지점수가 감소하여 교통사고가 감소됨
<2차로형 회전교차로 상충 지점수 24개> <나선형 회전교차로 상충 지점수 14개>
출처: Turbo Roundabout(FHWA safety program)'
<그림 1-11> 회전교차로 상충 지점수 비교
- 144 -
나선형 회전교차로는 2차로형 회전교차로에서 주도로와 부도로의 교통량이
현저하게 차이가 날 때 주로 적용하며, 좌회전교통량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적용이 제한된다.
나선형 회전교차로 유형은 주·부도로 진입로 2차로와 주도로는 진출로 2차
로, 부도로는 진출로 1차로를 보유한 형태를 기본형으로 하고, 부도로의 진입
로 차로수, 별도 우회전 전용차로 구성 및 3지 교차로 형태로의 변형된 형태
를 추가하여 4가지로 한다. <표 1-2>는 나선형 회전교차로의 유형을 종합적으
로 도식화하여 설명하고 있다.
유형 특성
기본형 ◦ 나선형 회전교차로의 기본유형
◦ 주/부도로의 진입로 차로수는 2개 차로
변형형
낮은 부도로
교통량
◦ 나선형 회전교차로의 기본유형과 유사한 형태
◦ 부도로의 진입로 차로수는 1개차로
높은 우회전
교통량
◦ 나선형 회전교차로의 기본유형과 형태가 다름
◦ 높은 우회전교통량 처리를 위해 별도의 우회전 전용차로 구성
3지 교차로 ◦ 3지 교차로에서 높은 직진교통량 처리를 위해 별도의 직진차로 구성
<표 1-2> 나선형 회전교차로의 유형 구분 및 유형별 특성
- 145 -
기본형 나선형회전교차로
<네덜란드형> <크로아티아형>
변형형(낮은 부도로 교통량)
<네덜란드형> <크로아티아형>
변형형(높은 우회전 교통랑)
<네덜란드형> <크로아티아형>
변형형(3지교차로의 높은 직진교통량)
<네덜란드형> <크로아티아형>
<표 1-3> 유형별 나선형 회전교차로의 형태
- 146 -
2) 평면형 회전교차로
기본유형 외에 평면으로 설치된 회전교차로로 직결형 회전교차로, 쌍구형 회
전교차로 등이 있다.
직결형 회전교차로는 특정 접근로에 용량이 과포화되어 분산처리가 바람직한
교차로로, 직진 교통량이 특히 많은 교차로에 설치할 경우 효율적인 교차로 운
영을 할 수 있다. 쌍구형 회전교차로는 비대칭 교차로, 네갈래 이상의 교차로,
두 개의 교차로가 매우 가까운4) 거리에 인접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직결형 쌍구형
<그림 1-12> 직결형 및 쌍구형 회전교차로
3) 입체형 회전교차로
입체형 회전교차로는 간선도로와 접속되는 고속도로 연결로 입체시설에 설치할
수 있으며, <그림 1-13>와 같이 단구형과 쌍구형이 있다. 입체형 회전교차로는
용량이나 안전 측면에서 다이아몬드 입체교차로의 상부 및 하부교차로의 좋은 대
안이 될 수 있다. 특히 좌회전 교통량이 많은 연결로에 설치하는 경우, 진출입 자
동차의 원활한 처리가 가능하고 주변 접근성에 유리하다. 특히, 다이아몬드 입체
교차로에 설치되는 쌍구형 입체회전교차로는 연속된 회전교차로간의 짧은 구간에
의한 지체 발생문제를 줄이고, 램프설치공간 및 구조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방
울(Teardrop 혹은 T-Drop) 회전교차로 <그림 1-14>를 설치하면 효과적이다.
4) 현장조사 및 교통영향평가를 거쳐 적정 거리 산출
- 147 -
단구형 쌍구형
<그림 1-13> 입체형 회전교차로
<그림 1-14> 물방울(T-Drop)형 회전교차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