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201512_도로포장+구조+설계+요령_1편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구조설계07_설계등급3
2025.05.13 17:05
82
Ⅰ편.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구조 설계
7. 설계등급 3
7.1 일반 사항
(1) 목표연도 일평균교통량 7,000대 이하인 도로 즉 도로법, 농어촌도로정비법,
도시계획법상의 국도, 지방도, 중로이하의 도로에 적용한다.
(2) 설계방법은 교통조건(AADT, 중차량비율)과 노상조건(E)에 따른 표준적인 설
계단면을 적용하는 카달로그 설계단면을 적용한다.
【해 설】
설계등급 3에서는 목포연도 연평균일교통량(AADT)이 7,000대 이하의 도로 즉 도로
법, 농어촌도로정비법, 도시계획법상의 국도, 지방도, 중로 이하의 도로에 적용한다.
각 층에 사용되는 재료는 도로공사표준시방서의 기준을 만족하는 재료를 사용한다.
이 중에서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입도 종류는 19mm 밀입도와 13mm 밀입도
를, 아스팔트는 PG 58-22 및 PG 64-22를 기본으로 사용한다. 기층용 아스팔트 혼합
물 골재는 40mm 이하를 사용하며, 아스팔트는 PG 58-22 및 PG 64-22를 기본으로
사용한다. 입상기층용 골재와 보조기층용 골재는 도로공사표준시방서의 기준을 만족하
는 재료를 사용한다.
설계등급 3의 카달로그 설계에서는 최소한의 입력변수를 사용하여 포장을 설계할 수
있도록 입력변수를 교통조건(AADT)과 노상조건(E)만으로 활용하여 단면 및 그래프를
제시하여 설계자가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7.2 교통 조건
(1) 설계등급 3의 도로에서의 목표연도 연평균일교통량(AADT)이 7,000대/일 미
만이므로 0~7,000대/일을 6단계로 구분하여 적용한다.
(2) 또한, 중차량 비율이 포장에 영향을 주는 주요변수이므로 중차량비율이 평균
값 15%를 초과할 경우에는 교통조건을 한 단계 상향 조정한다.
83
7. 설계등급 3
도로포장 구조 설계 요령
【해 설】
교통조건은 포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로 설계등급 3에서는 목표연도 연평균일
교통량(AADT)인 0~7,000대/일을 6단계로 구분하여 적용하며, 분류기호로는 C1~C6을
사용한다. 또한, 중차량 비율이 포장에 영향을 주는 주요변수이므로 중차량비율이 평
균값 15%를 초과할 경우에는 교통조건을 한 단계 상향 조정한다.
Traffic Volume(대/일)
Traffic Class(×105 ESAL)
아스팔트 구 분
콘크리트 포장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 100 ~ 0.2 ~ 0.3 C1
101 ~ 500 0.2 ~ 2.0 0.3 ~ 3.0 C2
501 ~ 1,500 2.0 ~ 6.0 3.0 ~ 9.0 C3
1,501 ~ 3,000 6.0 ~ 10.0 9.0 ~ 15.0 C4
3,001 ~ 5,000 10.0 ~ 15.0 15.0 ~ 27.0 C5
5,001 ~ 7,000 15.0 ~ 20.0 27.0 ~ 40.0 C6
<표 7.1> 교통조건의 구분
7.3 노상 조건
설계등급 3의 도로에서는 노상조건에 대한 변수로 탄성계수를 사용하여 노상을 3
단계로 구분하여 적용한다.
【해 설】
노상조건은 포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로 국내의 노상에 대한 탄성계수의 범위
는 37.7~280MPa로 제시되고 있으나, 본 설계등급 3인 카달로그 설계에서는 탄성계수
에 따른 노상을 3단계로 구분하여 적용하며, 분류기호로는 S1~S3를 사용한다. 다음은
MR과 CBR의 상관식으로 모든 토질조건에서 적용 가능한 상관식이다.
84
Ⅰ편.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구조 설계
MR = 17.6 × CBR0.64 <식 7.1>
여기서,
MR : 회복탄성계수 (MPa), CBR : California Bearing Ratio(%)
7.4 설계단면
설계등급 3의 도로에서는 위의 교통조건(C1~C6)와 노상조건(S1~S3)을 기준으
로 도로포장 구조 설계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된 다음의 아스팔트 콘크리
트 포장의 카달로그 단면표 또는 설계단면 그래프를 적용한다.
【해 설】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설계등급 3에서는 교통조건과 하부구조 재료물성은 <표
7.3>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결정하거나 <그림 7.1>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결정한다.
<표 7.3>의 세로축에서 하부구조 재료물성 등급은 탄성계수 또는 CBR에 의해서 4개의
등급으로 분류하고 가로축 교통량 등급도 5개의 등급으로 분류한다. 포장단면에서 기층
을 골재층(AGG)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기층(BB)을 선택하여 단면을 결정한다.
E (kPa) CBR 분 류
E<49,300 CBR<5 S1
49,300≤E<76,900 5≤CBR<10 S2
76,900≤E 10≤CBR S3
<표 7.2> 노상 조건의 구분
85
7. 설계등급 3
도로포장 구조 설계 요령
하부 재료물성 등급
- E (kPa)
- CBR
단면
(cm)
교통량 등급 : 연평균일교통량(AADT(대/일)
C1 C2 C3 C4 C5 C6
~100
101~
500
501~
1,500
1,500~
3,000
3,001~
5,000
5,001
~7,000
S1
E<49,300
CBR<5
표 층 5 5 5 5 5 5 5 5
기층(AGG) 10 - 14 - - - - -
기층(BB) - 7 - 8 10 12 13 15
보조기층 18 15 23 21 25 28 32 32
계 33 27 42 34 40 45 50 52
S2
49,300≤E<76,900
5≤CBR<10
표 층 5 5 5 5 5 5 5 5
기층(AGG) 10 - 14 - - - - -
기층(BB) - 7 - 8 10 12 13 15
보조기층 15 15 16 15 16 19 22 21
계 30 27 35 28 31 36 40 41
S3
76,900≤E
10≤CBR
표 층 5 5 5 5 5 5 5 5
기층(AGG) 10 - 14 - - - - -
기층(BB) - 7 - 8 10 12 13 15
보조기층 15 15 15 15 15 16 19 18
계 30 27 34 28 30 33 37 38
<표 7.3>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카달로그 단면
86
Ⅰ편.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구조 설계
<그림 7.1>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카달로그 설계단면
Traffic Volume : 연평균일교통량(AADT(대/일))
87
7. 설계등급 3
도로포장 구조 설계 요령
<그림 7.2>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카달로그 설계그래프
Traffic Volume : 연평균일교통량(AADT(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