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 26 -

제4장 스마트설계 지침

4.1 스마트설계 개념

4.1.1 정의 및 목적

스마트 설계란 BIM 전면설계에 의해 생성된 BIM 데이터와 스마트 건설기술을

융합하는 설계기법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최적의 설계 성과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1.2 적용 대상

한국도로공사에서 수행하는 고속도로 건설사업의 BIM 전면설계(기본설계, 실시

설계, 기본 및 실시설계) 과업에 적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4.2 기본설계 단계

4.2.1 노선 선정

1) 공통사항

(1) 적용범위는 도로설계를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로선형(평면 및 종단)에 해당

하며, 교량, 터널 등의 구조물 위치 및 형상까지 대상으로 할 수 있다.

(2) 구성요소들은 기하구조의 결정에 따라 편리성과 안전성, 경제성 등이 결정될

수 있으며, BIM 기반으로 시각화된 정보를 생산하여 노선대를 검토함으로써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3) 평면선형, 종단선형 및 횡단구성을 포함하는 3차원으로 계획을 하며, 도로의

진‧출입 및 평면교차, 입체교차와 시설한계 검토도 동시에 BIM 데이터를

통해서 공유될 수 있도록 제시 한다.

(4) 기반시설 및 지장물건에 대한 BIM 데이터 작성시 노선대의 노선선정 범위

까지 구축하여 지장물 간섭을 검토 한다.

2) 지형범위의 선정

(1) BIM 지형 데이터 작성은 3.2.4 BIM 지형 데이터 작성을 참고하며 BIM 지형

데이터의 범위는 노선선정 단계에서는 충분히 노선을 비교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를 선정하며, 최종 선정된 노선은 도로부지 경계 이상이 되도록 지형범위를

선정하여 BIM 지형 데이터를 완성한다.

- 27 -

(2) BIM 지형 데이터는 계획단계에서는 1/5,000도, 상세설계단계에서는 1/1,000도

이상의 정밀도를 가져야 하며, 현황측량이 완료된 지형도를 이용하여 제작

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3) 노선선정 단계는 일반적으로 BIM 저작도구 및 공공포털 등에서 제공하는

지형 데이터(1/5,000)를 이용할 수 있으나, 노선선정 시 상세검토가 필요한

경우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측량 결과 등의 항공촬영 데이터를 활용해 BIM

지형 데이터를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다.

(4) 필요시 간섭이 우려되는 구조물은 준공도면을 바탕으로 구조물의 기초 형식,

크기, 근입 깊이 등의 조사와 Laser Scanning 등의 최신기법을 활용하여

BIM 데이터에 반영할 수 있다.

3) 노선의 선정

(1) 도로의 선형은 도로 중심선의 입체적인 형상으로 평면적으로 표현된 중심선

형상의 평면선형과 종단면에 표현된 중심선 형상의 종단선형이라 하며, 도로의

기하구조기준 등에 따라 도로선형을 설계한다.

(2) 노선의 선형설계는 국내‧외 선형설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형계획을 하나,

계획된 노선선형은 BIM 데이터를 통하여 계획하고 비교·분석하여야 한다.

(3) 평면선형은 직선, 곡선, 완화곡선으로 구성되며, BIM 데이터에는 평면선형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며, 평면선형에 따라 횡단경사 등이 변화하며, 이에

대한 횡단경사 등의 정보도 BIM 데이터에 포함되어야 한다.

(4) 종단선형은 도로 중심선을 따라 절단면의 선형으로 평면선형 및 횡단경사와

어우러져 도로의 입체적이 형상이 완성된다. 종단선형은 종단경사와 종단곡선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BIM 데이터에는 형상 및 종단선형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5) 노선선정을 위한 도로선형 비교안은 BIM 데이터를 통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평면선형 및 종단선형 등 정보가 BIM 데이터에 포함되어야 한다.

(6) 본선 및 유‧출입시설(분기점, 나들목) 계획 시 기반시설(단지, 철도, 도로, 하천 등)

횡단통과 등 상세검토가 필요한 구간은 시설물과 근접시공으로 발생되는 지반의

이완 우려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BIM 데이터에 충분히 포함되어야 한다.

(7) 교량의 시․종점 위치 및 경간장 구성과 터널 갱구부의 위치 계획은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 경관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여야 한다.

(8) 개략공사비 및 보상비 산출 시 국내‧외 선형설계 프로그램과 BIM 데이터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 및 철도부문 비용 추정지침(공공투자관리

센터)에 따라 산정한다.

- 28 -

<그림 4.1> 비교노선검토 예시

비교노선검토 기본계획안

비교1안 비교2안

4.2.2 출입시설 형식 결정

1) 공통사항

(1) 고속도로의 출입시설은 입체교차로를 말하며 주도로(主道路)와 부도로(副道路)가

접속하는 지점에서 주행하는 모든 자동차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적정한 형식과 규모를 정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2) 입체교차로의 규모는 도로등급이 높은 고규격 도로(고속도로, 도시고속도로

및 국도)와 고규격 도로를 연결하는 분기점과 고규격 도로와 등급이 낮은

일반도로(국도, 지방도, 시도 등)를 연결하는 나들목으로 구분한다.

(3) 분기점과 나들목의 형식 선정은 차로변경 및 직진교통과의 마찰을 최소화

하며 주행 시 운전자의 혼란이 없도록 안전하게 선정하며 BIM 데이터를

통하여 여러 개의 형식을 비교 검토하고 필요시 주행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가장 안전한 형식을 선정하며 검증할 수 있다.

2) 분기점과 나들목의 형식 선정

(1) 분기점의 형식은 시설규모, 주변 현황, 지장물 등을 고려하여 형식 검토를

실시하여야 하며, BIM 데이터를 통하여 충분한 안전성을 입증하여야 한다.

- 29 -

(2) 나들목의 형식은 본선의 설계속도 및 설계 수준을 고려하여 선형 및 도로의

구조 시설 등의 수준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규모와 주변현황, 지장물 등을

고려하여 BIM 데이터를 통하여 형식을 비교하고 안전성과 주행성을 검토

하여야 한다.

(3) 입체교차되는 연결로의 시설한계는 계획하는 모든 관계자들이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BIM 데이터에 표현하여 안전한 통과고 확보에 대한

시각적인 검증을 하여야 한다.

(4) 연결로 곡선부의 확폭은 BIM 데이터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여 설계기준을

충분히 만족하고 있음을 BIM 데이터에 포함하여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그림 4.2> 출입시설 형식 검토 예시

트럼펫형식 다이아몬드형식 직결Y형식

3) 시뮬레이션 검토

(1) 설계 시 사전 문제점 도출을 위하여 운전자 중심의 주행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2) 계획된 형식별로 도로 선형, 횡단 구조물계획 등을 주변 현황과 연계하여

시거, 진․출입 계획, 시설물의 시인성 등 종합적인 도로계획을 검토한다.

(3) 교차로 계획의 시인성 및 자연스러운 진․출입을 위해 적절한 시거와 회전

반경을 검토 한다.

(4) 교차로 계획구간의 교통수요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시나리오별 교통분석 결과를

가시화 할 수 있다.

- 30 -

<그림 4.3> 시뮬레이션 검토 예시

주행시거 검토 교량하부 형하고 검토

4.2.3 무인비행장치 측량

1) 일반 사항

(1) BIM 기반설계 수행시 지형정밀도를 상향시킬 경우 기존 항공측량을 대체하여

무인비행장치 측량을 통해 지형현황도(1:1,000) 작성 등의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2)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지형측량을 실시하고, 기준점 측량 및 수치도화를

수행하여 지형현황도(1:1,000)를 작성하고, BIM 데이터 작성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무인비행장치 측량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등 관련법령

및 규정, 지침과 우리공사 방침 및 과업내용서 등을 준수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2) 시행 방법

(1) 관련법령 및 규정, 지침 등을 준수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2) 촬영 폭은 200m로 도로중심선에서 좌(100m)‧우(100m) 폭을 원칙으로 하며

노선 특성 등을 고려하여 조정할 수 있다.

(3) 중복도는 촬영 진행방향으로 75% 이상, 인접 코스간에는 70% 이상을 원칙

으로 한다.(단, 지형의 기복이 큰 산림지역과 60m 이상의 고층 건물이 존재

하는 경우에는 촬영 진행방향으로 85% 이상, 인접 코스간에는 80% 이상

중복도를 높여 촬영하여야 한다.)

(4) 산지부 및 계곡부, 터널 입‧출구, 출입시설 등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되는 구간에 대하여 보완 촬영을 실시하여야 한다.

(5) 무인비행장치의 비행가능 범위 및 촬영면적 등을 고려하여 촬영구간을 정

하고, 분할된 촬영구간에 대하여 구간간의 기준점 공유 등을 통하여 연계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31 -

4.2.4 노선 자문 및 VE, 주민설명회 활용

1) 공통사항

(1) 노선자문 및 설계VE 회의를 개최할 경우 모든 과정은 BIM 데이터 이용을

원칙으로 한다.

(2) 노선자문, 설계VE 및 주민설명회 수행 시 배포자료는 BIM 데이터에서 추출한

노선계획(평면, 종단, 횡단 등)을 작성하여 배포하며, 계획현황 설명시에는

BIM 데이터를 이용한다.

(3) 노선선정은 기본설계의 계획단계로 비교노선의 검토가 가능한 비교적 낮은

수준(LOD 200)의 BIM 데이터를 작성하며, 상세설계단계에서 노선검토가

필요할 경우 세부설계 BIM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LOD 200 수준으로 BIM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4) 비교노선 검토 시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민원사항을 검토하여야 한다.

(5) 각 단계별 BIM 데이터 작성 수준은 제3장 BIM 설계 기준을 따른다.

2) 노선자문

(1) 비교노선 및 분기점, 나들목의 형식 선정을 위하여 자문회의 개최 시 모든

과정은 BIM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명하며 안전성을 검증하여야 한다.

(2) 노선자문 과정에서 계획구조물(교량, 터널)의 상세 BIM 데이터 자료 필요시

감독원과 협의하여 제시한다.

(3) 서면자문 또는 문서작성에 필요한 도면은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야 하며

감독원과 협의하여 제시한다.

3) 설계VE

(1) VE(Value Engineering)는 설계단계와 시공단계로 구분하며, 설계단계는 기본

설계단계와 실시설계단계로 구분한다.

(2) 설계단계에서는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선 및 구조물의 성능을 분석하고

설계 VE를 수행할 경우 관련 대안평가 및 분석은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능 및 가격분석을 할 수 있다.

(3) 분야별 분할된 업무로 공종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구간에 대해 간섭 및

공종간의 불일치 사항을 파악하여 설계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4) BIM 데이터는 과업현황 파악과 유역, 경사, 표고, 배수 등에 대한 분석이

용이하여 설계단계 시 설계적정성 검토에 활용 할 수 있다.

- 32 -

4) 주민설명회

(1) 주민설명회시 계획 노선대에 대한 주민 및 이해당사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BIM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명하여야 한다.

(2) 계획 노선대에 대한 세부설명이 필요한 경우, BIM 데이터를 활용한 주행

시뮬레이션, 경관 시뮬레이션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상세내용은 4.3 상세

설계 단계를 따른다.

4.3 실시설계 단계

4.3.1 배수 시뮬레이션

1) BIM 데이터 구축

(1) 배수 시뮬레이션은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유체역학을 접목하여 실제상황과

유사한 조건을 구현하여 배수피해를 미리 예측하고 개선대책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2) 설계 및 시공 시 사전 문제점 도출을 위하여 계획도로 배수체계의 원활성을

검토한다.

(3) 도로의 배수계획은 유역에서 유입되는 물을 배수시설을 통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계획하며 기존의 배수설계 수행방법을 준용한다.

(4) 배수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검토 효과를 위해서 LOD 300 수준 이상의 BIM

데이터가 필요하며, 배수시설에 대한 BIM 데이터를 작성하여야 한다.

(5) BIM 데이터의 범위는 유역면적까지 모든 구간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필요시 국부적인 모델을 통하여 배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6) 배수 시뮬레이션은 공사 중과 유지관리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수시설의

범람과 침수 등을 미리 예측하여 설계단계에서 BIM 데이터를 통하여 시각화

할 수 있다.

(7) 유역면적 내의 표토 등이 우수로 인하여 침식이 가속되어 배수시설 내에 퇴적

되어 우수 운반능력이 떨어져 발생하는 배수 문제점도 BIM 데이터 작성이

가능하지만 그 양을 예측하여야만 BIM 데이터에 반영할 수 있다.

(8) BIM 데이터는 수치해석까지 가능한 것은 아니며, 수치해석을 통해 그 결과를

BIM 데이터에 반영하여 배수 시뮬레이션을 실시한다.

(9) 감독원과 협의하여 배수 시뮬레이션의 수준 및 범위 등을 협의하여 결정

하여야 한다.

- 33 -

2) BIM 데이터 활용

(1) 평면선형이 변화하는 곡선구간의 도로 및 교량에서 횡단경사가 변화함에

따라 발생되는 물고임 등을 예측하여 미끄럼에 의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 도로의 평면 및 종단 선형, 구조물 계획 등을 주변 현황과 연계하여 종단경사

완화구간의 편경사 발생지점의 종합적인 노면배수 검토를 수행한다.

◦ 도로 진‧출입 구간, 교차로 구간, 구조물 설치 구간, 오목부 구간 등의 물고임

해소를 통한 주행안전성 검토를 수행한다.

(2) 비탈면의 배수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탈면에 유입되는 지표수를 최대한 차단

하여 비탈면 측구계획 등 효율적인 배수계획으로 급격한 지하수위 상승 등

위험요소로 부터 비탈면 안정성을 확보한다.

◦ 깎기부 : 산마루측구, 소단측구, 도수로, 집수정, 종배수관 등의 깎기부 전반에

설치되는 사면 배수 계획을 검토한다.

◦ 쌓기부 : 소단측구, 도수로, 집수정, V형측구, U형측구, 종배수관 등의 쌓기부

전반에 설치되는 사면 배수 계획을 검토한다

(3) 배수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각화된 배수 설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측구,

도수로, 암거 등 필요한 용량의 배수시설을 추가적으로 계획한다.

◦ 지형에 따라 계획도로를 횡단하는 수로횡단, 계곡부횡단, 하천횡단으로 구분

되며 구조물로는 배수관, 암거, 교량 등이 이에 해당한다.

◦ 횡단배수시설은 도로와 도로 인접지역으로 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횡단하여,

하천 또는 수로 등으로 배수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며, 배수시설은 암거,

배수관 등의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검토한다.

(4) 배수 시뮬레이션의 적용 구간은 배수피해가 자주 발생되거나 우려되는 취약

구간으로 선정하여 검토한다.

◦ 노면배수 : 종단곡선 저점부

◦ 사면배수 : 깎기비탈면 오목부, 터널 입출구부

◦ 횡단배수 : 유역면적이 넓고, 평균경사가 급한 지역

<그림 4.4> 배수 시뮬레이션 적용 구간 예시

노면 배수 사면 배수 터널 입․출구부

- 34 -

4.3.2 도로주행 시뮬레이션

1) BIM 데이터 구축

(1) 설계 및 시공 시 사전 문제점 도출을 위하여 운전자 중심의 주행성을 검토

한다.

(2) 분기점 및 나들목 형식 선정시 교통수요 예측결과를 반영한 도로주행

시뮬레이션을 작성하여 형식결정을 위한 비교검증을 하여야 한다.

(3) 도로 주행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검토 효과를 위해서 높은 BIM 데이터 상세

수준이 필요할 수 있다.

(4) 감독원과 협의하여 주행 시뮬레이션의 수준 및 범위 등을 협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5) BIM 지형 데이터 자료는 수치 지형도 또는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측량으로

얻어진 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2) BIM 데이터 활용

(1) 도로 주행성 검토

◦ 도로 선형, 구조물 계획 등을 주변 현황과 연계하여 시거, 진‧출입 계획,

시설물의 시인성 등 종합적인 도로계획을 검토한다.

◦ 진‧출입 구간, 교차로 구간, 구조물 설치 구간, 선형 불량 구간 등의 시거

및 시인성 등을 통한 안전성을 검토한다.

(2) 교차로 계획 검토

◦ 입체 교차로 진‧출입 등 교차로 구간의 차량 동선 계획을 검토한다.

◦ 교차로 계획의 시인성 및 자연스러운 진‧출입 계획, 적절한 회전 반경을 검토

한다.

(3) 교통 분석 연계 시뮬레이션

◦ 도로 선형 및 기하구조 계획 시 교통분야와 협업하여 BIM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분석 수행을 수행할 수 있다.

◦ 본선 및 교차로 계획구간의 교통수요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시나리오별 교통

분석 결과를 가시화 할 수 있다.

- 35 -

4.3.3 경관설계 시뮬레이션(선택사항)

1) BIM 데이터 구축

(1) 지형 및 주변 현황, 도로 계획을 BIM 데이터로 구축하고 시뮬레이션 기법

등을 활용하여 경관 및 환경성을 검토한다.

(2) 지형, 도로 계획, 교량 계획 등을 BIM 데이터에 포함하여야 하며, 필요시

주변 주요 지장물을 포함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3) 근경‧중경역을 고려하여 교량 계획 구조물의 형상, 땅깎기‧흙쌓기 및 옹벽

계획 등을 BIM 데이터에 포함하여야 하며, 필요시 색채 계획 등 세부 경관

계획을 반영하여 작성할 수 있다.

(4) 원경역을 고려하여 원거리의 현황 범위로 확대하여 BIM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5) 교량 계획 등 구조물 경관을 검토할 경우 형상에 대한 세부 경관 계획이

검토가 가능하도록 BIM 데이터를 작성하여야 한다.

2) BIM 데이터 활용

(1) 노선 선정 및 선형 계획 시 경관 분석

◦ 운전자의 시각적 특성을 반영한 근경, 중경, 원경역을 고려하여 주변의

경관적 특성과 경관자원 활용을 위한 분석을 수행한다.

◦ 경사 분석, 표고 분석 및 높이에 따른 가시권역을 분석하여 경관 및 환경성

검토를 수행한다.

◦ 비교노선 검토 시 다양한 경관 검토 및 환경영향 분석을 통하여 최적 대안을

도출한다.

(2) 구조물 경관

◦ 주변 경관을 고려한 구조물 형식 및 디자인 대안 검토를 통하여 최적 대안을

도출한다.

◦ 교량의 시‧종점 위치, 형식 및 디자인 대안 검토를 통하여 최적 대안을 도출한다.

◦ 터널 입‧출구부 위치, 갱문 형식 및 디자인 대안 검토를 통하여 최적 대안을

도출한다.

(3) 구조물 시공성 검토

◦ 특수 교량의 주탑, 보강형, 교각, 터널의 갱문 등 경관을 고려하여 디자인

형상을 설계에 반영한 경우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거푸집의 제작 및

시공성 등을 사전에 검토할 수 있다.

- 36 -

4.3.4 일조영향 시뮬레이션(선택사항)

1) BIM 데이터 구축

(1) 도로 공용 시 사전 문제점 도출을 위하여 운전자 중심의 일조영향 검토를

수행한다.

(2) 도로 일조영향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검토 효과를 위해서 노선선정단계에

높은 BIM 데이터 상세 수준이 필요할 수 있다.

(3) 감독원과 협의하여 일조영향 시뮬레이션의 수준 및 범위 등을 협의하여 결정

하여야 한다.

(4) 우리공사의 터널 출구부 교통안전성 확보를 위한 직광영향 최소화 설계방안

검토(설계처-3354 2013.11.11.)를 참조한다.

2) BIM 데이터 활용

(1) 터널 출구부 직광 영향 검토

◦ 도로 주행 중, 특히 터널을 운전하는 경우 출구부에서는 터널 내부의 조도에

적응되어 있는 운전자의 시력이 터널 밖으로 나오는 순간 강렬한 태양광에

직접 노출(직광) 될 때 글레어현상(화이트홀 현상)이 발생한다.

◦ 이러한 현상은 일반도로에서 일출 또는 일몰시 동서방향의 도로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시야에 직접 유입되는 태양으로 인한 시야장애 발생으로 나타남

으로써 해당 도로의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검토한다.

(2) 계획도로의 결빙 발생 예측구간 검토

◦ 산악지 북측 횡단도로구간의 겨울철 음지 발생 예측 구간에 대해 일조영향

분석을 통해 주행안전성을 검토한다.

◦ 터널 입․출구부 겨울철 결빙 현상(Black ice) 발생 예측 구간에 대해 일조영

향 분석을 통해 터널 입․출구부 입지 검토를 수행한다.

◦ 교량구간, 도로오목부 등 겨울철 결빙현상(Black ice) 발생 예측구간에 대해

일조영향분석을 통해 선형 변경, 위험 표지판 설치, 염수분사시설 등의 대응

방안을 검토한다.

(3) 구조물로 인한 일조 피해 영향 검토

◦ 도로외측 방음시설, 방호벽 등 겨울철 음지발생 예측 구간에 대해 일조영향

분석을 통해 주행안전성을 검토한다.

◦ 고속도로 시설물의 음영으로 인한 농작물의 피해가 우려되는 구간에 대해

필요 시 일조영향 분석을 검토할 수 있다.

- 37 -

4.4 스마트설계 성과품

4.4.1 스마트설계 성과품 제출 기준

1) BIM 전면설계와 연관된 스마트설계 성과품이란 배수, 주행, 경관, 일조 등의

시뮬레이션 결과물을 말한다.

2) 수치해석과 관련된 시뮬레이션의 경우 현재 국내 기준에 적합한 해석 및 시

뮬레이션 소프트웨어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충분한 검증 절차를 거친

후 시행하여야 한다.

3) 스마트설계 성과품은 과업내용서에 명시된 경우에 한하여 수행하며, BIM 수행

계획서에 명시하고 작성 후 납품하도록 한다.

4) 각 과업 목적별 시뮬레이션은 BIM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수행하여야 하며,

동영상으로 충분한 설명이 가능하여야 한다.

5) 각 과업 목적별 시뮬레이션의 수행을 위하여 LOD 300 수준 이상의 BIM

데이터를 작성하여야 한다.

6) 수치해석 프로그램은 검증된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하며, 수행에 적용된

프로그램에 관한 소개, 활용 실적, 프로그램 검증 등의 내용을 보고서에 수록

하여야 한다.

7)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최적의 안을 도출하여 설계에 반영할 경우, 보고서와

동영상을 통해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에 대한 장‧단점 등 비교 검토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여야 한다.

4.4.2 스마트설계 성과품

1) 시뮬레이션 동영상 파일 1식

2) 시뮬레이션을 위한 BIM 데이터 파일 1식

3) 수치해석 입출력 데이터 1식

4) 시뮬레이션에 관한 보고서 1식 (BIM 결과보고서 본문 또는 부록에 포함 가능)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94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3032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706
1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1999년_3-10_휴게소시설 수준향상방안 file 효선 2023.12.22 941
12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1999년_3-11_터널 피난연락갱내 방화문 설치기준 수립계획 file 효선 2023.12.22 983
1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1999년_3-12_시가지도로에 고속도로 안내표지판 설치 개선(안) file 효선 2023.12.22 793
11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1999년_3-13_터널 환기시설 설계기준 부분개정 시행 file 효선 2023.12.22 968
11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1999년_3-14_고속도로 건설공사 점검로설치 개선 file 효선 2023.12.22 971
1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1999년_부록_1998년설계실무자료집통합본목차 file 효선 2023.12.22 1067
115 설계실무자료집(2003) file 효선 2023.12.19 883
114 설계실무자료집(2001) file 효선 2023.12.19 926
113 설계실무자료집(2000) file 효선 2023.12.19 1235
112 설계실무자료집(1998)제1권-행정,교통·기하206,토공507 file 효선 2023.12.19 1369
111 설계실무자료집(1998)제2권-배수,터널397,포장563 file 효선 2023.12.19 1179
110 설계실무자료집(1998)제3권-구조,원가 file 효선 2023.12.19 1085
109 설계실무자료집(1998)제4권-부대,참고 file 효선 2023.12.19 1264
108 198903_배수구조물설계법(기록보관용) file 사이트관리자 2023.02.18 970
107 202106_하이패스나들목 설계지침 제정(본문) file 효선 2022.11.25 1235
106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목차 file 땅콩 2021.08.30 944
105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1장_일반사항 file 땅콩 2021.08.30 1042
104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2장_기본사항 file 땅콩 2021.08.30 1210
103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3장_BIM전면설계기준 file 땅콩 2021.08.30 4337
»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4장_스마트설계지침 file 땅콩 2021.08.30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