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BsOCR_V0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키워드용으로 변환한것으로 다소 내용이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원본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15 탄성 받침 개선방안yal검토설계 -2686처 (05.9. 16)1검 목토 적현재면 진 용으로 사용 되고‥ 있는 탄성 받침은 설치-시 온도 보정을 할수. 어없 / 설치시기에 따라 여러: 형 테의 변 형이 발생 되고 있으며, 또한 거동SU MATE DG. SS, Son) Foz da 탄성 패 드가 상 : 하부플 레이 트에서ㆍ이 탈 되는 ~ 현이:장 ALAM 따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컴토 코자함「감사 실-1059('05.7.5)4사용 중 인 교량 받침 중" 포 받침,트스 리페 컬 받침, 일체형ㆍ탄성 받침, L88 받침등은설치시 온도 보정이가능 하므로 받침의 수 직도가 최대한 유 되게지설치할수 있 |지만 면 진 용으로가장 많이 사용 하는 ' 탄성 밭첨은 설치시. 온도 보정을 할수 없어설치 시기에 따라 여러 형태의 변 형이 발생 하고있음 '2. 기존 탄성 받침 문제점1) 설치시 온도 보정이 불가능 하여 시공 시 점과다른 온도 변화 차이와ㆍㆍ콘크리트 건조 수축등에 의한 받의침 전단 변 형- 발생2), at BA Jaq Ss Pye] wWasq yap waeay패 드의 접착 면적 감소(마찰 저항 감소)":3) 상 〉 하부 플 레이트와 고 무 패 드가 알 광진 리 헐으로 구조 본으로적 미끄럼현상 자주 발생‘4) 미끄 럼 현상으로 교량의 내진 성능 확보 미약Wawaesae(RC탄성 받침미끄럼현상 (06 Beam)( 71% 444 SS및 미끄럼현상 사례) 3. 개선방안검토: 온도 보정및 들 듬및 미끄 럼 방지 대책: 상 : 하부 플레이 트를 일체화 방법 전환( 일반 형과 일체형 탄성 받침 비 교)쿠일반형 ㅣ일체형 기존미끄 럼 방지(스 토 퍼)|형 :볼트 체 식결접착식(가 황 , 접착제)하부 플 레이 트와 | 상 하부 플레이트에“|상 하부 플 레이 트와상 하부 플 레이 트와무 페드 분리.ㆍ| 미끄럼방지턱 부착| 고 무 패드 불 트체결 ㅣ 고 무 페드 접착~ 미끄 럽현상 발생ㆍ|- 유지관리비교적 |- 내진 성능 확보- 내진 성능 확보- 주 구조 적인 점검및 | 용이-안정성 확보-안정성 확보보수 요함-' 스 토 퍼의 두께 제한|- 체 결 부안전 율 확보|- 접합부안전 율 확보- 내진성능 불확실으로를 오 버에 의한 |- 중 , 장 대 교량으로 |- 중 , 장 대 교량으로- 사용 상의 문제점겹침 현상 발생확대 적용가능확대 적용가능 4야기~ 전단 변 형 시 고무 |- 볼트 체 결을 위한 |- 받침 높이 증가 없음 단|, ^ 홍 중 상부잭 업 ㅣ 패 드의 파 손 현상철판 추가로 받침 |- 유지보수 용이점및 추가복 원공정 |way.높이중가불가피-상 하부 플레이트|- 유지 관리 다소곤란- 온도편차보정의 평 치수면중가불가- 분 리 형으로미끄럼방지 효과거의없음- 상부 구조 거 치이후 |- 상부 구조 거치 후 ㅣ-상부 구조 거치 후 |- 상부 구조 거치 후 시|- 고 무 패 드의ㆍ미끄럼 | … 탄성 받침에 대한받침 복 원을 위한 ㅣ 받침 복 원을 위한 공 |및,과다변위 발생 ㅣ_프리세 팅 불가추가공정 불필요 ㆍ| 추가공정 불필요성 |으로인한 변위. |-전단면'형후잭업BAaa인상시 복원 불가 경 |" 제 품가격은 저렴 |- 기존탄성 받침에 |- 복잡한 제작 공정[oe 탄성 받침에 제 | 하나젝 업및 받 칩|비해제 품가격으로 제 품가격비해 제 품가격 성 |그 공정원추가로 ㅣ다소 중가고가다소 중가공사비중가자제:,2.142 천원 | . 2090: 오 2.250 천원 ㅣ단가| 12892.340^2.658 천ae 원((가접)19)2착황 77^46^ 28252703 천6 원원천* 자재 단가는 1357044-1051, 고 청 단 기준이며, ” 탄성 고 무 받침 단가 적정성검토 “(설계 10201459호, "03.11.24)에의 거한 견적 단가임 구 -4, 검포결든ㆍ현재사용 중 인 일반형 탄성받침은 온도 보정이 불가능 하며, 미끄럼및들듬현상이 발생 되어 교량의 기초 불안정성이 야기 되므로,상 구조단 점을 보완할수 있는 일체형 탄성 받침(볼트 체결,가황, 접착제등)을사용하는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됨적용방안*설계중인노선부터적용설계 완료후미 발주 노선및 시공중인노선은공사 주관 부서에서판단 후적용공용 중인노선은 유지 관리 부서에서 판단 후 적용=임 : 1.고속도로 전 문 시방서 보완(안) 1 부 .on 뷔2사 시방서 보완(안) 1 부 .불임 1고도속로전문공사시방서보 .당초제 6 장 교량공사69 교량 부대시설공 693 교량 받침2. 재료22 제작2.211 탄성 받침 제작좌동(1)@)(4 일체형 탄성 받침(불 트 체결,가황, 접착제동) 제작 시 온도 보정이가능 하고 전단면형 발생( 들등 현상및 미끄럼 현상)|방지및안정적인 거 동을 할수 있도록하여야한다.2.4 품질관리2.4.1 탄성 받침의 품질관리좌동(1)@)(4) 일체형 탄성 밭 침( 볼트 체결,가황, 접착제등) 패 드와 상 하부 플 레이 트의 체결또는접 착 강도는 받침의 적용 하중 별|수평 력(1054,상시70%,지진시 150%)이상이어야한다.(5) 표준 온도 (159)로 환 산 하여 받침 설치시최대이동 량이 허용이동 량을 초과 할 경우|은도 보정을 하여야한다제장교량공사.(2-ㅇ 교량 받침( ㄱ . 일반 사항“0. 적 범위용*02.0.0 탄성 받침은 온도 보정이가능 하고 전단 변 형(들 듬 현상및 미끄럼 현상) 방지및안정적인 거 동을 할수 있는 형식을 사용 하여야한다O. AR0.0.0일체형 탄성 받침은 블 트체결,가황, 접착제등 여러 방법을 사용 하여 일체화할수 있으나, 강도와 내구성 뿐 아니라 교량 발 침의 사용 수명 동안에안정적인 거 동을 할수 있는 방법이어야한다.O. Ae0.0.0 wea) aawale)(0) 일체형 탄성 받침의 패 드와 상 : 하부 플 레이 트의 체결'또는 접 착 강도는 받침의적용 하중 별 수 평력(0084, 상시 70%, 지진시 150%)이상이어야한다.(0) 표준 온도 (159로 환 산 하여 발 침 설치시 최대이동 량이 허용이동 량을 초과 할 경우온도 보정을 하여야한다 2-15 탄성 받침 개선방안yal검토설계 -2686처 (05.9. 16)1검 목토 적현재면 진 용으로 사용 되고‥ 있는 탄성 받침은 설치-시 온도 보정을 할수. 어없 / 설치시기에 따라 여러: 형 테의 변 형이 발생 되고 있으며, 또한 거동SU MATE DG. SS, Son) Foz da 탄성 패 드가 상 : 하부플 레이 트에서ㆍ이 탈 되는 ~ 현이:장 ALAM 따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컴토 코자함「감사 실-1059('05.7.5)4사용 중 인 교량 받침 중" 포 받침,트스 리페 컬 받침, 일체형ㆍ탄성 받침, L88 받침등은설치시 온도 보정이가능 하므로 받침의 수 직도가 최대한 유 되게지설치할수 있 |지만 면 진 용으로가장 많이 사용 하는 ' 탄성 밭첨은 설치시. 온도 보정을 할수 없어설치 시기에 따라 여러 형태의 변 형이 발생 하고있음 '2. 기존 탄성 받침 문제점1) 설치시 온도 보정이 불가능 하여 시공 시 점과다른 온도 변화 차이와ㆍㆍ콘크리트 건조 수축등에 의한 받의침 전단 변 형- 발생2), at BA Jaq Ss Pye] wWasq yap waeay패 드의 접착 면적 감소(마찰 저항 감소)":3) 상 〉 하부 플 레이트와 고 무 패 드가 알 광진 리 헐으로 구조 본으로적 미끄럼현상 자주 발생‘4) 미끄 럼 현상으로 교량의 내진 성능 확보 미약Wawaesae(RC탄성 받침미끄럼현상 (06 Beam)( 71% 444 SS및 미끄럼현상 사례) 3. 개선방안검토: 온도 보정및 들 듬및 미끄 럼 방지 대책: 상 : 하부 플레이 트를 일체화 방법 전환( 일반 형과 일체형 탄성 받침 비 교)쿠일반형 ㅣ일체형 기존미끄 럼 방지(스 토 퍼)|형 :볼트 체 식결접착식(가 황 , 접착제)하부 플 레이 트와 | 상 하부 플레이트에“|상 하부 플 레이 트와상 하부 플 레이 트와무 페드 분리.ㆍ| 미끄럼방지턱 부착| 고 무 패드 불 트체결 ㅣ 고 무 페드 접착~ 미끄 럽현상 발생ㆍ|- 유지관리비교적 |- 내진 성능 확보- 내진 성능 확보- 주 구조 적인 점검및 | 용이-안정성 확보-안정성 확보보수 요함-' 스 토 퍼의 두께 제한|- 체 결 부안전 율 확보|- 접합부안전 율 확보- 내진성능 불확실으로를 오 버에 의한 |- 중 , 장 대 교량으로 |- 중 , 장 대 교량으로- 사용 상의 문제점겹침 현상 발생확대 적용가능확대 적용가능 4야기~ 전단 변 형 시 고무 |- 볼트 체 결을 위한 |- 받침 높이 증가 없음 단|, ^ 홍 중 상부잭 업 ㅣ 패 드의 파 손 현상철판 추가로 받침 |- 유지보수 용이점및 추가복 원공정 |way.높이중가불가피-상 하부 플레이트|- 유지 관리 다소곤란- 온도편차보정의 평 치수면중가불가- 분 리 형으로미끄럼방지 효과거의없음- 상부 구조 거 치이후 |- 상부 구조 거치 후 ㅣ-상부 구조 거치 후 |- 상부 구조 거치 후 시|- 고 무 패 드의ㆍ미끄럼 | … 탄성 받침에 대한받침 복 원을 위한 ㅣ 받침 복 원을 위한 공 |및,과다변위 발생 ㅣ_프리세 팅 불가추가공정 불필요 ㆍ| 추가공정 불필요성 |으로인한 변위. |-전단면'형후잭업BAaa인상시 복원 불가 경 |" 제 품가격은 저렴 |- 기존탄성 받침에 |- 복잡한 제작 공정[oe 탄성 받침에 제 | 하나젝 업및 받 칩|비해제 품가격으로 제 품가격비해 제 품가격 성 |그 공정원추가로 ㅣ다소 중가고가다소 중가공사비중가자제:,2.142 천원 | . 2090: 오 2.250 천원 ㅣ단가| 12892.340^2.658 천ae 원((가접)19)2착황 77^46^ 28252703 천6 원원천* 자재 단가는 1357044-1051, 고 청 단 기준이며, ” 탄성 고 무 받침 단가 적정성검토 “(설계 10201459호, "03.11.24)에의 거한 견적 단가임 구 -4, 검포결든ㆍ현재사용 중 인 일반형 탄성받침은 온도 보정이 불가능 하며, 미끄럼및들듬현상이 발생 되어 교량의 기초 불안정성이 야기 되므로,상 구조단 점을 보완할수 있는 일체형 탄성 받침(볼트 체결,가황, 접착제등)을사용하는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됨적용방안*설계중인노선부터적용설계 완료후미 발주 노선및 시공중인노선은공사 주관 부서에서판단 후적용공용 중인노선은 유지 관리 부서에서 판단 후 적용=임 : 1.고속도로 전 문 시방서 보완(안) 1 부 .on 뷔2사 시방서 보완(안) 1 부 .불임 1고도속로전문공사시방서보 .당초제 6 장 교량공사69 교량 부대시설공 693 교량 받침2. 재료22 제작2.211 탄성 받침 제작좌동(1)@)(4 일체형 탄성 받침(불 트 체결,가황, 접착제동) 제작 시 온도 보정이가능 하고 전단면형 발생( 들등 현상및 미끄럼 현상)|방지및안정적인 거 동을 할수 있도록하여야한다.2.4 품질관리2.4.1 탄성 받침의 품질관리좌동(1)@)(4) 일체형 탄성 밭 침( 볼트 체결,가황, 접착제등) 패 드와 상 하부 플 레이 트의 체결또는접 착 강도는 받침의 적용 하중 별|수평 력(1054,상시70%,지진시 150%)이상이어야한다.(5) 표준 온도 (159)로 환 산 하여 받침 설치시최대이동 량이 허용이동 량을 초과 할 경우|은도 보정을 하여야한다제장교량공사.(2-ㅇ 교량 받침( ㄱ . 일반 사항“0. 적 범위용*02.0.0 탄성 받침은 온도 보정이가능 하고 전단 변 형(들 듬 현상및 미끄럼 현상) 방지및안정적인 거 동을 할수 있는 형식을 사용 하여야한다O. AR0.0.0일체형 탄성 받침은 블 트체결,가황, 접착제등 여러 방법을 사용 하여 일체화할수 있으나, 강도와 내구성 뿐 아니라 교량 발 침의 사용 수명 동안에안정적인 거 동을 할수 있는 방법이어야한다.O. Ae0.0.0 wea) aawale)(0) 일체형 탄성 받침의 패 드와 상 : 하부 플 레이 트의 체결'또는 접 착 강도는 받침의적용 하중 별 수 평력(0084, 상시 70%, 지진시 150%)이상이어야한다.(0) 표준 온도 (159로 환 산 하여 발 침 설치시 최대이동 량이 허용이동 량을 초과 할 경우온도 보정을 하여야한다


아래 이미지는 원본이 10페이지 이상일 경우 9페이지 까지만 만들어진 사항으로 전체내용을 보려면 아래 첨부된 원본 PDF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dlagytjs100@naver.com.pn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15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02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563
5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9_터널 측방배수관 재질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02.05 898
52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0_PSC빔 표준화 적정성 검토 file 효선 2024.02.05 870
5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1_교면배수구 설치기준 개선검토 file 효선 2024.02.05 865
51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2_프리케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교량바닥판 적용검토 file 효선 2024.02.05 907
51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3_구조물 표면마무리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938
5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4_강재트러스 합성거더교 적용성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66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5_탄성받침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80
5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6_콘크리트 노출 바닥판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599
5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7_교각 시공용 리프트 공법 적용성 검토 file 효선 2024.02.05 961
5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8_다발철근의 적용성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07
5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9_암파쇄 방호시설 설치지침 시행 file 효선 2024.02.05 873
5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20_흙막이 가시설 설계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02.05 971
5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21_낙석방지망 표준도 보완 file 효선 2024.02.05 816
5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22_표지판 세부기준 정립 및 표준도 개정 file 효선 2024.02.05 1018
5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23_오탁방지망 설치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01
5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24_경찰순찰차 주차시설 설치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213
5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3-1_절삭아이콘 처리단가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02.05 1088
5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3-2_고속도로 터널 방재시설 설치기준 개정 file 효선 2024.02.05 1119
5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3-3_압축부재 축방향 철근량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2.02 749
5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3-4_중분대 변이구간 접속 처리방안 file 효선 2024.02.02 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