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7년_2-22_중소지간 PSC I형 거더교량의 면진받침 적용성 검토
2024.02.13 11:08
BsOCR_V0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키워드용으로 변환한것으로 다소 내용이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원본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23 중 소 지간 250 1 형 거더 교량의 나|4. 고 교에서각탄성 받침 적용 시 문제점적용성 검토waa더D 교각 높이 증가 시기 둥의 모멘트 증가1.건토목적 70000oes중 소 지간(경간장 40 ㅁ이하) 290 1 형 거 더쿄 발 침은 탄성 받침을 대부분om |사용 하고 있으며, 점차 고 교각 wart 증가 하는 추세로서 고 교각에서호|탄성 받침 사용 시는 신축이음 유 간및 교각 구조등 단면이 증가 하는z|들께문제점이 발생되므로이에 미한 naves검토코자함0”pee2. 추진경위10000.00 "92.12 :도로교 표준시방서 내진편신설00때 1202somamtom45m- 국내처음적으로용준 비 검토 기간 소요 되 어 단계별 적용.=0 "95.6 : 고속도로내진설계 적용기준수립(도로공사)(과 족 방향 교각2 모 트멘)- 지진 발생시 낙 교 방지와 교각의안전 확성 보에 최대 주안 점을 돔ㅁ 교각 높이 증가에 따라 받침 변위 중가( 보강탄성 받침 또는전단 키 설치)4500 "95. 8 ~ "96. 12 : 고속도로교량의 내진설계 지친 작성(도로공사)4000 "05. 2 :도로교설계기준 개정( 건설교통부)설들 we- 지진 시 상부 여유 간격 규정 신설Z 250H«62003. 해석모델 구조 | 1500 상부/하부 형식 : ㅁ( 거더/1 형 원형교각0 지간 구성 : 1=3040.0+2040.0+2040.0=280.02ㅁ비이이이이ㅇ 폭원/주형 고 : 8=12.60 / H=1.9mmete0 콘크리트압축강도 : 교대24008,교각2714022( 교축방향 교대1 받침 변 위)0 지진 구 계수역 : 내진1구역 0211 적용0ㅇ 교각 높이 250ㅁ이상일경우 탄 받침성 허용 변 위를 초과함0 재현 주 구조 : 1.000 년에 해당 하는 위험도 계수 1.4 적용- 22]22F1750kKN 허용 변위 : 탄성(144000,면진(2000 ㅁ ㅁㅠ)ㅁ 교각 높이 증가 예 따라 선 축 유 간 중가7. 탄성 받침과 면진 받침비교 분석( 상부 여유 간격을 고려한필요 신축 유 간)aq]: mm)ㅁ 교각모멘트구보 |-퍼 리크WawaLRBEQS80000.0시 점측| 종 점측| 시 점측| 중 점측| 시 점측| 종점 측| 시 점측| 종 점측H=10m | 61.3 | 450 | 930 | 859 | 182 | 192 | 94 | 9470000.0Hei5m | 109.3 | 835 | 110.0 | 1014 | 295 | 328 | 267 | 27060000.0H=20m | 1636 | 1272 | 1319 | 1206 | 475 | 452 | 44.7 | 385-@50000.0H=25m | 2228 | 1749 | 155.9 | 140.1 | 527 | 537 | 522 | 536(kN)'40000.0H=30m | 2852 | 2251 | 1794 | 1583 | 752 | 728 | 748 | 769‘0000.02BH=35m | 325.9 | 259.6 | 1945 | 168.9 | 893 | 852 | 683 | 946H=40m | 352.7 | 293.0 | 2088 | 179.1 | 1013 | 95.7 | 101.0 | 10832000.0He45m | 370.1 | 326.0 | 2228 | 199.3 | 111.2 | 101.8 | 115.1 | 118.510000.0madd《( 탄 받침성( 스 페 리컬0010m15m20m25m 30m352740m45m교작 높미5. 검토방향( 교 측 방향 교각2 모멘트)꼬 량 받침 형식 변경o MawesVIEwae AA24gwaa-aaa- 점다 고정거동및 자체감 셔 구조 능을 통해에너지소산6 BadaSH Raaㅁ 적정 구조등 적경산정 구분LRBEQS( 적정 구조등직경( 교각2, 상 시 고정))단 (단위 : 20 udEySsFE상 시 | 스 페 리컬 | 탄성 받침LRBEQSㅎㅎH=10m2031252323&H=15m2132272525H=20m2233282525H=25m3A292526 AeH=30m24343.02727waH=35m37342929H=4m2838333.03.0-복수『118의 마 촬에 의한 하중흡수 소산H=5m3.040353.131-고무 패 드 전단면 형으로 수평변위 흡수ㅣ.지에의수 득 정 |- 납 붕에 의한 소량의 하중 흡수 소산에 너 지 조전 장치에 의한 변위 흡수 조절지- 진 시 복원 력이 우수하며, 육안에 의한- 중격 콤수 능력및 반 취 회전기능 우수손장여부 확인이가능함0 면 받침진사용 시가 구조능 단면이가장 작음[ㅁ 궁 사 비(세부 산출서 붙 참조)임&결론(|진지진 해석ㅎ후 총총 공공사비사 비)(단위 : 빅반원)0 260 1 형 거더 교각 높이 약 200이상에서면 진 받침을 사용 시에는구분스페 리컬탄성 받침LRBEQS- 구조등 단면(직경) 축 소로 충 실 형 단면 사용가능H=10m|2,4431,8761,9651,875- 신축이음 규격 축 소로 주행안정성 확보 유리H=15m|2,9262,0752,3912,308-공사 비가 약 11% 정도 절감 되는 것으로 검토 되었음H=20m|3,3382,4922,5422,4590 중 소 지간 290 1 형 거 더고 교각( 약 20ㅁ이상) 교량 받침설계시에는H=25m|3,7862,9462,6962,653H=30m|4,1953,2062,9542,872면 진 받침과 탄성 받침의 경제성및안전성 동 울 비 교ㆍ검토하여 적용H=35m|4,7223,7263,4733,390H=40m|5,3124,1333,7603,678H=45m|6,2754,6124,0703,9936,9005,900;~ee EI4,900|-*- 탄성 받침 |=r|-e- LRB구 390|-@-ㄷ05Fy과 29001,90090010901mAmAmAmSmAM4m교각 높이(교량 받침 별 하공사비부변화)o 약 207이상 교각에서는 면 진 받침 적용 시 경제적임- 면진 받침 적용 시 받침공사 비는 증가 하나 신축이음및 하부구조등규 축모 소로 전체공사 비는 절감(탄성 받침 대비 약 11% 절감)| 2-23 중 소 지간 250 1 형 거더 교량의 나|4. 고 교에서각탄성 받침 적용 시 문제점적용성 검토waa더D 교각 높이 증가 시기 둥의 모멘트 증가1.건토목적 70000oes중 소 지간(경간장 40 ㅁ이하) 290 1 형 거 더쿄 발 침은 탄성 받침을 대부분om |사용 하고 있으며, 점차 고 교각 wart 증가 하는 추세로서 고 교각에서호|탄성 받침 사용 시는 신축이음 유 간및 교각 구조등 단면이 증가 하는z|들께문제점이 발생되므로이에 미한 naves검토코자함0”pee2. 추진경위10000.00 "92.12 :도로교 표준시방서 내진편신설00때 1202somamtom45m- 국내처음적으로용준 비 검토 기간 소요 되 어 단계별 적용.=0 "95.6 : 고속도로내진설계 적용기준수립(도로공사)(과 족 방향 교각2 모 트멘)- 지진 발생시 낙 교 방지와 교각의안전 확성 보에 최대 주안 점을 돔ㅁ 교각 높이 증가에 따라 받침 변위 중가( 보강탄성 받침 또는전단 키 설치)4500 "95. 8 ~ "96. 12 : 고속도로교량의 내진설계 지친 작성(도로공사)4000 "05. 2 :도로교설계기준 개정( 건설교통부)설들 we- 지진 시 상부 여유 간격 규정 신설Z 250H«62003. 해석모델 구조 | 1500 상부/하부 형식 : ㅁ( 거더/1 형 원형교각0 지간 구성 : 1=3040.0+2040.0+2040.0=280.02ㅁ비이이이이ㅇ 폭원/주형 고 : 8=12.60 / H=1.9mmete0 콘크리트압축강도 : 교대24008,교각2714022( 교축방향 교대1 받침 변 위)0 지진 구 계수역 : 내진1구역 0211 적용0ㅇ 교각 높이 250ㅁ이상일경우 탄 받침성 허용 변 위를 초과함0 재현 주 구조 : 1.000 년에 해당 하는 위험도 계수 1.4 적용- 22]22F1750kKN 허용 변위 : 탄성(144000,면진(2000 ㅁ ㅁㅠ)ㅁ 교각 높이 증가 예 따라 선 축 유 간 중가7. 탄성 받침과 면진 받침비교 분석( 상부 여유 간격을 고려한필요 신축 유 간)aq]: mm)ㅁ 교각모멘트구보 |-퍼 리크WawaLRBEQS80000.0시 점측| 종 점측| 시 점측| 중 점측| 시 점측| 종점 측| 시 점측| 종 점측H=10m | 61.3 | 450 | 930 | 859 | 182 | 192 | 94 | 9470000.0Hei5m | 109.3 | 835 | 110.0 | 1014 | 295 | 328 | 267 | 27060000.0H=20m | 1636 | 1272 | 1319 | 1206 | 475 | 452 | 44.7 | 385-@50000.0H=25m | 2228 | 1749 | 155.9 | 140.1 | 527 | 537 | 522 | 536(kN)'40000.0H=30m | 2852 | 2251 | 1794 | 1583 | 752 | 728 | 748 | 769‘0000.02BH=35m | 325.9 | 259.6 | 1945 | 168.9 | 893 | 852 | 683 | 946H=40m | 352.7 | 293.0 | 2088 | 179.1 | 1013 | 95.7 | 101.0 | 10832000.0He45m | 370.1 | 326.0 | 2228 | 199.3 | 111.2 | 101.8 | 115.1 | 118.510000.0madd《( 탄 받침성( 스 페 리컬0010m15m20m25m 30m352740m45m교작 높미5. 검토방향( 교 측 방향 교각2 모멘트)꼬 량 받침 형식 변경o MawesVIEwae AA24gwaa-aaa- 점다 고정거동및 자체감 셔 구조 능을 통해에너지소산6 BadaSH Raaㅁ 적정 구조등 적경산정 구분LRBEQS( 적정 구조등직경( 교각2, 상 시 고정))단 (단위 : 20 udEySsFE상 시 | 스 페 리컬 | 탄성 받침LRBEQSㅎㅎH=10m2031252323&H=15m2132272525H=20m2233282525H=25m3A292526 AeH=30m24343.02727waH=35m37342929H=4m2838333.03.0-복수『118의 마 촬에 의한 하중흡수 소산H=5m3.040353.131-고무 패 드 전단면 형으로 수평변위 흡수ㅣ.지에의수 득 정 |- 납 붕에 의한 소량의 하중 흡수 소산에 너 지 조전 장치에 의한 변위 흡수 조절지- 진 시 복원 력이 우수하며, 육안에 의한- 중격 콤수 능력및 반 취 회전기능 우수손장여부 확인이가능함0 면 받침진사용 시가 구조능 단면이가장 작음[ㅁ 궁 사 비(세부 산출서 붙 참조)임&결론(|진지진 해석ㅎ후 총총 공공사비사 비)(단위 : 빅반원)0 260 1 형 거더 교각 높이 약 200이상에서면 진 받침을 사용 시에는구분스페 리컬탄성 받침LRBEQS- 구조등 단면(직경) 축 소로 충 실 형 단면 사용가능H=10m|2,4431,8761,9651,875- 신축이음 규격 축 소로 주행안정성 확보 유리H=15m|2,9262,0752,3912,308-공사 비가 약 11% 정도 절감 되는 것으로 검토 되었음H=20m|3,3382,4922,5422,4590 중 소 지간 290 1 형 거 더고 교각( 약 20ㅁ이상) 교량 받침설계시에는H=25m|3,7862,9462,6962,653H=30m|4,1953,2062,9542,872면 진 받침과 탄성 받침의 경제성및안전성 동 울 비 교ㆍ검토하여 적용H=35m|4,7223,7263,4733,390H=40m|5,3124,1333,7603,678H=45m|6,2754,6124,0703,9936,9005,900;~ee EI4,900|-*- 탄성 받침 |=r|-e- LRB구 390|-@-ㄷ05Fy과 29001,90090010901mAmAmAmSmAM4m교각 높이(교량 받침 별 하공사비부변화)o 약 207이상 교각에서는 면 진 받침 적용 시 경제적임- 면진 받침 적용 시 받침공사 비는 증가 하나 신축이음및 하부구조등규 축모 소로 전체공사 비는 절감(탄성 받침 대비 약 11% 절감)
아래 이미지는 원본이 10페이지 이상일 경우 9페이지 까지만 만들어진 사항으로 전체내용을 보려면 아래 첨부된 원본 PDF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