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5-6_거더교 바닥판 단부 사보강 철근 설치방안
2024.02.15 09:43
BsOCR_V0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키워드용으로 변환한것으로 다소 내용이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원본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6 거 더교 바닥판단부 사 보강 철근 설치방안방침11. 적 현황용및 문제점AA)A-3585(07.12. 14)1. 적 현황1. 검토목적SA _ | 사 보강 철근 설치개요철근 배근도사각이 20*를 넘는거더 교량의 바닥판단부보강을 위하여설치- 바닥 간 전폭 설치 ㅣie하고 있는 사 보강 철근에 대하여 경제성및 시공성등을 고려한saa-gy|-Nex 1 + ::더i합리적인 설 방치안을 수립하고자 함 .냉 정 ~ 부 산 “Bia |{“더( 보)를 수 평 방향으로가 설한 교량으로ㅠ 거 더 교량 (2006 80086) : 거O:AF4PSCBeam,PF Beam,ST Box등ㅠ 사각(668\ 80816) : 받침 점의 중 심 선과 교축에 수 직한 선 사이의 각- 바닥 관 전폭 설치58390]-ee0F:.관련 기준녕정~부 산 | KB:BPX=그우븐내용비고O:AF4도로교설계기준 | ㅇ 단부 끝단에서 바닥 판의 유 효 지간에 헤 당하는(건교부, 2005)위치 까지 일반 구간의 철근량 2 배 배근동 홍천 ~ 양 양 |-바닥 판 전폭 설치ㅇ 단부 예 각 부의 외측 주형 위를 지나 내측냉정~부 산 ㅣ 사 보강 구간 : #주 형 쪽으로 처소 정착 길이이상의 교 측 방향에그 | 사교의 상부슬래 브 직각으로 횡방향 철근 배치 하고 예 각부 단부는영동~옥 천 ㅣ ※ 8 : 바닥 판의 유 효 지간내 [납부철근 강보 방안| 경 철근사 배치고우주 문진 ~ 속 초| ㅇ : 사가경사철근은 외측 주형 위를 저나 내측 주 령|구(도 구조 원, 2001)| ㅇ 쪽으로연최소 정 차 길이를 확보 할수 있도록배치 하거나 발 침 부 전체 길이에 걸쳐 매치2문제점0 단부에서 사각 방향으로 철근을 전폭에 걸쳐일본 건설성BY, BAAS I2L~2BL”ㅇ 거 더교 바닥판단부 사보강 철근설치기준 미적용※ L: 교축직각 방향의 상 판 지간 장-도로교설계기준(건설교통부,설2005)에 "단부바닥 판의 철근은=0 ㅇ 교축 직각 방향으로 설치하는 철근은 외측3주 형의 중 심에서 정착 길이가 10이상 확보단부 끝단에서 바닥 판의 유효 지간에 혜당하는위치 까지 일반비구 드시고 ㅣ 되는 질이 까지 설치하고구간의 철근량의 2 배를 배근한다" 라고정하고있으나, 0 ㅇ 나머지구간은 사각 방향으로 켄 틸레버 단부에서 외 측 거더와 다음 내측 거 더 사이의 중앙- 거 더교 바닥판단부 사보강 철근은 일관성없이적용부 까지 배근(2~3 개 철근은 전폭 배근). 개 방안선. 적 방안 ㅇ 사각이 20“를 넘는 거 더 교량의 사 보강 철근은 단부 끝단에서ㅇ설계중및설계 완료후미 발주 노선 : 본 기준 적용바닥 판의 유 효 지간 까지 경험적설계법과 강도 설 법계으로 구한ㅇ공사중 노선 :공사주관 부서에서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적 여부용판단큰 철근량의 2 배 배근- 사각이 20“를 넘는 거 더 교량의 횡방향 철근은 교축방향에 직각붙임 : 1. 국의등 거더 교량의 사보강 철근 설치기준 현황방향으로 바닥 판의 유 효 지간에 해당 하는 위치 까지 내부지간은2. 구조검토서경험적 설법계으로 캔 틸 레 버는 강도 설 법 계으로 구한 철근량 배치- 철근이 배근 되지 않은 예각부 단부는 경사방향으로 경험적설계법으로 구한철근량과 강도 설 법계으로 구한 철근량 중 큰 철근량의2 배를 바닥판 전폭에 사 보강 철근 배근ㅠ 경험적설계법교량 바닥 판의 주요한 기초 거 동이 횡이 아닌 바닥 판단면에 :압축 력이 발생하는 아 치 작용이라는 사 실에 근거한설계법!ㅠ 바닥 판의 유 효 지간 [도로교설계기준(건교부 2005) 473 참조!지지보수및 바닥 판두께에 대한 상부플랜지= 비에 따라 결정|※ 사각이 20“를 넘는거 더 교량의 사보강 철근 설치도사보강 철근솔래브 주철근(내 측 지간) : 282슬래브 주철근(캔 틸레버)설계21]ㅁ 미국(뉴 욕 주)국외등 거 더 교량의 사 보강 철근 설치기준 현황ㅁ 사교의 상부 레슬 브 단부철근 보강 방안 연 구(도로교통 기술원, 2001)강도설계법경험적설계법ㅁ 일본(건설 성)[붙임 21LF PSC BEAMB48GAAAe구조 검토서 ㅇ 사각 0 인 경우 디 겸 방향토aㆍ| 고ㅁ0 단 경간 29 068떠 그롤선정 하여 사각을 변화 시켜 바닥 판에서의 단면 력 | 8:3 wali양 상을 『404 해석을 통하여 바닥 판단부의 철근 배 방법근및 범위 결정.홍수:;(8 18004 해석모델로는 엘요소및 보요소를 사 하여용콘크리트 바닥 판및은이| © eni290 88400을 각각 모델 렁 하고 자중, 고정 하중, 프리 스 레스트트하중및 활 하중을 재하 하여 발 하는생단면력 비교ㆍ검토.eh2igsigt[8이 =20294/00060008,000woo12.000zeeE12] 72] (mm) O] PSC BEAM 교 형상및 제 원(검 대상)aorT 교축 직각 방향 :teem트«| 7229 AP ewe보강 방안2‘i52.8589.76보강불필요ㅁ자가 10"인 경우 [.- ㆍ0|aa3|면pos et.2! |S |회 81가Foo150(=# 4|_B ae이$ G2sf G316EGS-2,0004,0006,0008,00010,00012,000예 부로각부터의 거리(0 ㅁ 0)교축 직각 방향가이가경 트튼| 7829 AP ewe보강 방안(kN-m/m)54.1389.76보강 불필요0. 사각 20“인 경우0 사가 409인 경우66386. 교촉 지 자 방향 모 펜 드 4 0000:Zo더 0Bs52za총 68GLG2G3G4Sam200agpsopayamaoSno예가 부루 부 터의 거리 (000)aGtGaG3G4=20010980060019001200애 자부로 부 터의 거리 600 ㅁ)54.68© Az are 29() 사 보강 철근 배근 시 저 항모멘트로 사가 500인 경우을:8aa.goRo=Eoa73-0i5fana2 icsica icefon(6sExl=Ew- 0 0 0 95 0 660 060 9000 90예 자부로 부 터의 거 리 (6000)Sam~a0208G4ereeee 0 97 0 19000020예 자부로 부 터의 거 리 (00)102.9189.76 (115.28)슬라브 전폭 보강() 사 보강 철근 배근 시 저 항 모멘트120.34689.76 (167.77)슬라브 전폭 보강() 사 보강철근배근 시 저 항모멘트5-6 거 더교 바닥판단부 사 보강 철근 설치방안방침11. 적 현황용및 문제점AA)A-3585(07.12. 14)1. 적 현황1. 검토목적SA _ | 사 보강 철근 설치개요철근 배근도사각이 20*를 넘는거더 교량의 바닥판단부보강을 위하여설치- 바닥 간 전폭 설치 ㅣie하고 있는 사 보강 철근에 대하여 경제성및 시공성등을 고려한saa-gy|-Nex 1 + ::더i합리적인 설 방치안을 수립하고자 함 .냉 정 ~ 부 산 “Bia |{“더( 보)를 수 평 방향으로가 설한 교량으로ㅠ 거 더 교량 (2006 80086) : 거O:AF4PSCBeam,PF Beam,ST Box등ㅠ 사각(668\ 80816) : 받침 점의 중 심 선과 교축에 수 직한 선 사이의 각- 바닥 관 전폭 설치58390]-ee0F:.관련 기준녕정~부 산 | KB:BPX=그우븐내용비고O:AF4도로교설계기준 | ㅇ 단부 끝단에서 바닥 판의 유 효 지간에 헤 당하는(건교부, 2005)위치 까지 일반 구간의 철근량 2 배 배근동 홍천 ~ 양 양 |-바닥 판 전폭 설치ㅇ 단부 예 각 부의 외측 주형 위를 지나 내측냉정~부 산 ㅣ 사 보강 구간 : #주 형 쪽으로 처소 정착 길이이상의 교 측 방향에그 | 사교의 상부슬래 브 직각으로 횡방향 철근 배치 하고 예 각부 단부는영동~옥 천 ㅣ ※ 8 : 바닥 판의 유 효 지간내 [납부철근 강보 방안| 경 철근사 배치고우주 문진 ~ 속 초| ㅇ : 사가경사철근은 외측 주형 위를 저나 내측 주 령|구(도 구조 원, 2001)| ㅇ 쪽으로연최소 정 차 길이를 확보 할수 있도록배치 하거나 발 침 부 전체 길이에 걸쳐 매치2문제점0 단부에서 사각 방향으로 철근을 전폭에 걸쳐일본 건설성BY, BAAS I2L~2BL”ㅇ 거 더교 바닥판단부 사보강 철근설치기준 미적용※ L: 교축직각 방향의 상 판 지간 장-도로교설계기준(건설교통부,설2005)에 "단부바닥 판의 철근은=0 ㅇ 교축 직각 방향으로 설치하는 철근은 외측3주 형의 중 심에서 정착 길이가 10이상 확보단부 끝단에서 바닥 판의 유효 지간에 혜당하는위치 까지 일반비구 드시고 ㅣ 되는 질이 까지 설치하고구간의 철근량의 2 배를 배근한다" 라고정하고있으나, 0 ㅇ 나머지구간은 사각 방향으로 켄 틸레버 단부에서 외 측 거더와 다음 내측 거 더 사이의 중앙- 거 더교 바닥판단부 사보강 철근은 일관성없이적용부 까지 배근(2~3 개 철근은 전폭 배근). 개 방안선. 적 방안 ㅇ 사각이 20“를 넘는 거 더 교량의 사 보강 철근은 단부 끝단에서ㅇ설계중및설계 완료후미 발주 노선 : 본 기준 적용바닥 판의 유 효 지간 까지 경험적설계법과 강도 설 법계으로 구한ㅇ공사중 노선 :공사주관 부서에서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적 여부용판단큰 철근량의 2 배 배근- 사각이 20“를 넘는 거 더 교량의 횡방향 철근은 교축방향에 직각붙임 : 1. 국의등 거더 교량의 사보강 철근 설치기준 현황방향으로 바닥 판의 유 효 지간에 해당 하는 위치 까지 내부지간은2. 구조검토서경험적 설법계으로 캔 틸 레 버는 강도 설 법 계으로 구한 철근량 배치- 철근이 배근 되지 않은 예각부 단부는 경사방향으로 경험적설계법으로 구한철근량과 강도 설 법계으로 구한 철근량 중 큰 철근량의2 배를 바닥판 전폭에 사 보강 철근 배근ㅠ 경험적설계법교량 바닥 판의 주요한 기초 거 동이 횡이 아닌 바닥 판단면에 :압축 력이 발생하는 아 치 작용이라는 사 실에 근거한설계법!ㅠ 바닥 판의 유 효 지간 [도로교설계기준(건교부 2005) 473 참조!지지보수및 바닥 판두께에 대한 상부플랜지= 비에 따라 결정|※ 사각이 20“를 넘는거 더 교량의 사보강 철근 설치도사보강 철근솔래브 주철근(내 측 지간) : 282슬래브 주철근(캔 틸레버)설계21]ㅁ 미국(뉴 욕 주)국외등 거 더 교량의 사 보강 철근 설치기준 현황ㅁ 사교의 상부 레슬 브 단부철근 보강 방안 연 구(도로교통 기술원, 2001)강도설계법경험적설계법ㅁ 일본(건설 성)[붙임 21LF PSC BEAMB48GAAAe구조 검토서 ㅇ 사각 0 인 경우 디 겸 방향토aㆍ| 고ㅁ0 단 경간 29 068떠 그롤선정 하여 사각을 변화 시켜 바닥 판에서의 단면 력 | 8:3 wali양 상을 『404 해석을 통하여 바닥 판단부의 철근 배 방법근및 범위 결정.홍수:;(8 18004 해석모델로는 엘요소및 보요소를 사 하여용콘크리트 바닥 판및은이| © eni290 88400을 각각 모델 렁 하고 자중, 고정 하중, 프리 스 레스트트하중및 활 하중을 재하 하여 발 하는생단면력 비교ㆍ검토.eh2igsigt[8이 =20294/00060008,000woo12.000zeeE12] 72] (mm) O] PSC BEAM 교 형상및 제 원(검 대상)aorT 교축 직각 방향 :teem트«| 7229 AP ewe보강 방안2‘i52.8589.76보강불필요ㅁ자가 10"인 경우 [.- ㆍ0|aa3|면pos et.2! |S |회 81가Foo150(=# 4|_B ae이$ G2sf G316EGS-2,0004,0006,0008,00010,00012,000예 부로각부터의 거리(0 ㅁ 0)교축 직각 방향가이가경 트튼| 7829 AP ewe보강 방안(kN-m/m)54.1389.76보강 불필요0. 사각 20“인 경우0 사가 409인 경우66386. 교촉 지 자 방향 모 펜 드 4 0000:Zo더 0Bs52za총 68GLG2G3G4Sam200agpsopayamaoSno예가 부루 부 터의 거리 (000)aGtGaG3G4=20010980060019001200애 자부로 부 터의 거리 600 ㅁ)54.68© Az are 29() 사 보강 철근 배근 시 저 항모멘트로 사가 500인 경우을:8aa.goRo=Eoa73-0i5fana2 icsica icefon(6sExl=Ew- 0 0 0 95 0 660 060 9000 90예 자부로 부 터의 거 리 (6000)Sam~a0208G4ereeee 0 97 0 19000020예 자부로 부 터의 거 리 (00)102.9189.76 (115.28)슬라브 전폭 보강() 사 보강 철근 배근 시 저 항 모멘트120.34689.76 (167.77)슬라브 전폭 보강() 사 보강철근배근 시 저 항모멘트
아래 이미지는 원본이 10페이지 이상일 경우 9페이지 까지만 만들어진 사항으로 전체내용을 보려면 아래 첨부된 원본 PDF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