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BsOCR_V0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키워드용으로 변환한것으로 다소 내용이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원본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8 보강토 옹설계벽적용기준검토발3o BAE£49 AASASAAESA 13202-3883,‘01. 7.30)설계 처-3563(07.12. 12)J도wed ay | seen1. 검토복적임4통과 덱 분 (96)율보강토 옹벽의설계와 관련 하여 보강재및뒤체 음 기준,안전율 ,19 mm100yaqe ee 기초 처리 방석등에 대한적경설계기준을 검토코자함0.425 mon (40% 5)0~60직접 전단 시험에 의한6°] 3} ※ 보강 토 옹벽구성0.0750(200 번)|체0~16| 부 마찰 각 ®) 25°0 보강제 : 떠 형(아연도 강판 , 스테인레스강, 떠 섬유혐등), 평 면형(격자 형1충 다점 두께 ;: 2000, 다점 믿도 : 최대 건조 밀도의 95%이상토목섬유, Peat등)0 뒤채음aad0 블록 식 보강도 웅벽공사 시방서 개정 뭉 보(설계 10207-30488구호, '03.10.01)0 전 벽체-구조 지초 반의안정성이 확보 되는 경우: 볼 벽체록설치(그럼8)-구조 지초 반의안정성이 확 모 되지 못할경우- 지반을 다진후 보강 제 동으로 보강(그림6): 철근 콘크리트 기초로 보강(그림0)ErarTaramIMR= 274PRSorRIMS,SB 회|eae.르 전기틴282 A7= 기초 지반이 양호한 경우(8) 기초지반이 블량한 경우(6) 기초지반이 불량한 경우(0)ㅁ 보강토 응 벽 관련내부 방진0@ 고속도로공사전문 지방 서 ('04.12) 0 보강도 응 벽과 성토시설묻 중록구간처리방안(설계이2212-1228호 '988 915)페 널식 보강토 전면판 : 암축 강도 30.088(3001ㅁ=(/ ㅁ2)- 판 넬식 : 성도부시설 물( 눔쌓기 또는놀붙임) 기초가 저 측 되 지 많 노록 조경-B34보강토 블록: 압축강도 24.088(240ㅠㅁ/)- 블럭 식 : 보강 개물 기초에 저 촉 되지않도록 하향 조정 0 보강토 응 벽의 보강 계설계 용적 방안검토( 섬 계이15212-1228호 , '98 9.15)- 전면 콘 기초 : 무근 크리드콘수평 기초- 시방 기준에 적 함한 제 품에 대해공사 시 탱 시 현장여건에 따라 계 품을- AAS: F0A~0.5m,2°)0.15m선택 사용이가능도록도면 작성- 견면관 뒤Waa44: 03~10m디 보강토 옹벽설계 관련 상위 기준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건설공사 비탈면설계기준3. HAE웅벽설계법 구분(03. 2, 건설교통부)설(06. 4, 건설교통부)- 변 형을 : 최대 인장 강도 발생시 56이 내AAA’ 보강재비 신 장성 보강 개- 섬 유 보강재 감소 계수 적용구분(블록 식 , 지 오 그 리드)( 페 널식 , 지오 스트립): 생 화 학 격 내구성, 시공손상, 크리프 hy- 보강재 길이 : 전면 기초부터 벽 체높alo- 토목 섬 유의 감소 계수 적용이의 0.7배 허상, 전체 높이에 동 일 하; 생 화 학적 내구성, 시공손상, 크리프 ㅣ 게 설치과괴-보강재 수 적 설치간격 : 100이내- 전 벽체 면 기초 근입 깊 (4이모강재ㆍ열 걱반 인 경우: 032이상 기준: 경사 지반인 경우 : 0.62이상MARA) OeWARA)OFe4Tt[aN:f* ne -Lsㅜㅜ_ASAE)Onvuㅁ062 인 2-Wa4q7a@ Ged BazOd Ciel Bae© FAN Ba Tt(Tie back wedge method)구분 |검토 항목 ㅣ| 핑 상시 ||| 구분|검토 탕 목 | 핑 상 시| 지건시16[11활동1.515lla,[a15 ||| 14파 령피 상ae지지25안정252.07z+a)내적보aes강재 | 철 재 보강 제| 10AREY한1,1,3|ee5 |l\ 4 나 | 18Ka (7H+q)수평로 압 BAB|a부등친 하 량|7 분구등 침 하량『 신 장성 보강재(도목 섬유, 지 오 리드)그* 비 신 장성(철재, 하면도 강판) 보강재ge보강제* 보강재 변 형율 2~596* 보강제 변 형을 1%이하- 프 캐스트리콘크리트 전면관 강도ㆍ수평및 수 직 변 위에 대한가용성 큼* 금속성 보강재를 적용 하여 (2662 변 형= 30.0NPa(S00kst/cu'}ot* 보강재 ((2660에 의한 변위 발생작음hu 기타|- 뒤체 움 제 : No.20085}15%°]3,|-HMPA= No20083}15%°] 4},내부 마 촬 각25%이 ,상 소성 지수(8 ㅁ0내부 마찰각25%이상 ,SAAS『블 룩 석 웅 벽에 적용*ㆍ판 텔식 웅 벽에 적용6이하6이하4 문제점구분적용기준비고0 보강토 옹벽시공후과대 변위, 옹 파괴벽발생구분검토 항목평상시지진시- 변 형이 큰 보강재 사용 = 신 장성 보강재의변형 특성에 대한 기준 부재활등1511외적전도1511- 보강재의 재료별 특성에 따른 감 계수소적용의 불확실성안정지지력2520BAA파단에 대한안전율 미적용안전율전체안정성1511건설공사인 파괴발2.015yea- 토사 재료의 마찰력부족 = 토사뒤 채움 품질미달내적보강재금 속 보강재1.01.0AA =안정고단지 오 그 리드1510적용- 기초 지반의 침하량 초과섬 유 보강재1510ㆍ보강토 옹벽의 빼 수시설부적정 0 전체안정성및 인 발파 괴에 대한안전 율의 기준 상이 기초|ㆍ패널식 : 총침하량 50027, 부등 침하 1/500 제한 0 기초부 처리 방식에 대한 적용기준미흡침하량ㆍ록블 석 : 부 동 침하 1/200 제한- AaYa 712 294°)5. 적용기준: 0.32ㅁ이상(일반적인 경우) 구: 0.62이상( 경사 지반인 경우)및 벽체 전면 122이상 폭의적용기준비고eft소 단 설치 기초부ㆍ감소 계수 : 재료 별 공 인 된 특성 시 혐을 동한 값을 적용 | ㅠ 성 긍 사ㆍ: 무근콘크리트 수평 기초 : 폭0.4~0.50 ㄴ1 갖이 0152이하ㆍ잡 석 기초 규격 : S 0.75~0.8m, ¥°] 0.15~0.3mㆍ면 형를 : 최대 인장강도 발생시 5%이 내비탈면보강제ㆍ지반이 불량 하여 근입 갖이가 갖은 경우(4)0.80)ㆍ보강재 길이: 0.7ㅁ (08 : 벽체 높이)49 Al7]: 골재 다짐 +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 기초 적용ㆍ보강재 파 단에 대한안전율 : 1.0~1.5이상적용※ 옹벽높이, 상 재하중에 따라검토적용가능ㆍ지0.200 통과 159이하 , 내부 마찰 각 25“이상, 소성 지수( 머) 6이하|도공방침ㆍ지하수 처리 : 보강토 체 내부 수 평배수 충 설치뒤 채 움제ㆍ1 충 다짐 두께 : 2000 다짐 밀도 : 최대 건조 밀도의 86%이상「저용ㆍ보강토 체 전면 관 뒤 30-10007 필 터 제 설치ㆍ벽체 상부지 표 수 유 임 방지를 위한 배수구 설치ㆍ마찰 째 구조법: 지오 스타일,텍지오 그 리드등신장성성 |고설 콩사※ 배 면 용출 수의 유무, 수량의과다에 따라 적정 배수시설 설치유 보강재이용한보강토 옹벽설계비탈면설계법ㆍ견적 평 금액균 적용ㆍ복합 중 력 식법 : 철재, 아 연도 강 판등 비 신 장성 보강재설계기준※공사 시행 시 시방 기준에 적합한 제 품을 현장여건에를이용한 보강 옹벽토설계적용따라 선택 사용 유도6. 향후추진 계획0 감 계수소적용기준및 장 구조인장 강도 산출기준검토7.적용 빵한고속도로건설공사0설계 중 인 노선: '07년 12 월이후준궁 노선부터적용0설계 완료및 미 발주 노선 : 보설계완시 적용보강토 옹벽설계기 원0공사중인 노선:공사 주관(시행) 부서에서 판단 하여 적용273.일 : 고속도로건설공사 보강토 옹벽설계기준2007. 12-목차 -1 48849#72 VESS AAD BOL 시 개량설및 유지 관리공사1. 격 용 위펌중 금속 또는 섬유 동의 보 재물강이용하여 시공 하는 보강토 응 벽의설계에 적용한다. 시방 기준에 적합한 제 품에 대해서 궁 사 시행 시 현장2. 계 료의 특성여건에 따라 제 품을 선택 사용할수 있도 묵 섬 계도면을 작성 하도묵21 보강재한다.22 전면관일반적인 보강토 옹벽희 구성은 보 재로강보강된 뒤 체 음와 전면벽23 뒤 채 음 제료체로 구 되며,성전체적인 시공 단면은(그 림1)과 감 다,3.설계일반 사항31 설 목표3.2 보강토 응벼 적용기준3.3 대설계& 보강 토 웅벽 외설계 41 검토 항목 42안전 음 기준 43 외적안정 해석 44 내 적안정 해석5. 계진시안 태정석(그림1. 보강토 용 벽의 구성)52일반사항5.지진시 고려하는 하중5.3지진시 외적안정 석태544지진시 내적안정해석2. 계료의 특성 21 보강재6 보강토 응벽의 매시설 수0) 보 재는 강일정간격으로수 평 치배 하는 머 형와 건 체 면에 섬치 하는 평면 형 보 재로 강구 하며분가 형식의 보 재는강다음과 같다.OO형 : 아 먼 강도 관,알 무 미늄 밥금 , 스테 인레 스 강 , 떠 섬유 헝등2) 평 면형 : 격자형 토목섬유, 매 섬유, 7 ㅁㅁ 섬 유, 직 메트포등02) 보강토 응 벽을 위한보 재는 강다을과 같은 조건을 갖춰야한다.@보강 목적의 인장 강도를 보 유 해야한다.(01) 패 널식 보강토 옹벽의 전면 판은 콘크리트 28 일 압축강도가 최소@최대 인장 강도 발생시 변 형 률은 5%이 내이어야한다.St 30.0MPa(300kgf/cm7}°]°]°} @#r}.@흙과의 마찰 저항력이 수 평토압에 저 항 할수 있어야한다.(2) 블록식 보강토 웅 벽의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28일 압축강@시공중의 손상에 대한 저 항 성을 지녀야한다EE RAB 24,0MPa(240kef/cm’)o]°]oF sc}.©By, Se]및 생 화 학적 작 응에 대해 내구성을 지녀야한다.@ 금속 보강재는 반드시방식처리를 하여야한다.2.3 뒤 채 재료움 (3) 보강재의설계 인장 강도 《{ 7)는(식 1-1)과 같이 장 구조인장 강도(7;)에(1) 보강토 웅 벽의 뒤 채 움 재료로 사용 하는 흙은 다음의 성 질을 갖는안전 율(89)을 적용 하여계한다.산재료를 사용한다.path(A)@ 흙 보강재 사이의 마찰 효과가 큰 사질 토|6) 배수 성이 양 호 하고 함수비 변화에 따른 강도 변화가 적은 흙.0:@ 입도 분포가 양호한 흙장다. 구조 금인 속장 보강 강도는재의 제 료경의우는 역학적,장 기초인 내구성을 고려하여 결정한아 연도 금을 통한 방 청 처리를 하고, 내 구 연@ 보강재의- 내구성을 저하 시키는 화학적 성분이 적은 흙한에 따른 부식 두께를 제외한 나머지두께에 대하여산정한다. 토목섬유 보강재는 화 학적인 내구성, 내 시공성, 그리고장장 구조인장강도를a2.| 동과 빅 분을) |ups성 지수(00소 지수성 기초 인 크리프 특성을 고려한 감소 계수를 적용 하여 장 구조인장 강도를19mm100삼축 압축 또는 직접 전산정한 다. 설목 계에서 사용 하는 토 섬유보강재의 장 구조인장강도는 다0.425mm(#40)0~60단 시험에 의한내부마| _ 6이하음과 같다.0.075mm(#200)0~15a2} o)25°7 ,- 스푼( 식2)(표1. 뒤 채 음 재료 기준)※ 1 충 다짐 두께는 2000 다짐 밀도는 최대 건조 밀도의 95%이상으로 하는 것을 원치RE RF RF y* RF oy으로한다. 다만, 시공 시 보강재의내구성이 확보되고보강재와 뒤 채움 재료의여 구조서,마찰 각이설계시 고 려된 값이상으로 발 휘될수 있는 경우 별도의 입도분포및7, : 장 구조인장 강도 004/2)다짐 두께 기준을 적용 할수 있다.7 ,, : 보강재의 극한 인장 강도 004/ㅁ) 0(5 7 2124)7, : 생ㆍ화 학적 내구성에 대한 감 계수소 613(2) 보강토 응 벽의안정 해석은 장 기초인안정성이며 사용 하는 전단 강도7, : 시공 손상에 대한 감소계수 (511)정수는 유 효 전단강도정수(0, 《을 사용한 다.2: 크리프파괴에 대한감소 계 (@수 ㅠ 6620 ㅁ 047260406)항목 별 감소 계수는 보강재의 재질및 특성에 따라 다르며 재료3.설계일반 사항별로 공 인 된 시험 결과 값을이용해야한다.31 설 목표계(1) 보강토 옹벽은설계수 명 기간 동안 보강토 체의 전체적인안정성이 유2.2 전면판 지되어야 하며, 벽 체를 구성 하는 각 구성 부재와 연결 부가 파 되지괴않아야한다.(6) 무근콘크리트 수 평 기초의 치 수는 보통 깊이 1500 퍼이하 F(2) 응벽의 사용성을 위해서과도한 무등 침 하나 횡방향 년 위가 발생 하지0.40~0.50m=. Hc}.않아야 하며,도 심 지외 경우에는 미관적인 요소도 고려하여 설한계(6) 잡석 기초의 경우에는 SF 0.75-0.80m, 깊이 150~30020 끄로 적용한 다.다. 기초 지반의 부동 침 하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7) 지만이 불량하여 근입 깊이가 깊은 경우(0)0.820)에는 골재 다짐+콘크구분 기준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 기초들 적용도록하한다.(8) 다만 응 벽 기초부설계시 응 벽의 높이, 상 제 하중, 지반 조건에 따라 적패널식종 침하량 50000, 부등 침 하 17500 제한전하게 보완 해야한다.블록식부등 침하 1/200 제한(9) 판 넬식 보강토 웅벽 부의 성 시토설 물(돌쌓기 또는 돌 불임)은 기초가(&2, 기초 지반의 부 동 침하 기준)보강재에 저 쪽 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이 조정 해야한다.0) 단면도3.2 보강토 웅벽 적용기준(1) 보 재의강 길이는 전면판 구조부터초 벼 체 높이 희 0.7 배 보다 길어야 하며 , 실제 보강 제 길이는 상제 하중과 외력, 보강재와 뒤 채 옴과의 마찰저 력항을 고려하여 최 종적으로 결정한 다.(2) 보강재의 설치길이는 전체 높이에 걸쳐 동일하게 하며, 특별한 하중 조건 어 나 목적을 위해서 상부 나 하부의 보강재 길이클 길 거나 짧게 할수 있다.( 그림 3, 판 넬식 보강토 흥 벽과 성토시설물 중복 구간 처리 방인)(3) 보강재의 수 직 설치간격은 1.0 ㅁ를 조과 하지 않도록 하고, 저 항 영 역 내(3 마 감 처리 형식치로 설 되는 보강재외 길이는 려 소 1.00이상이 되어야한다.- 마 감 처리 : 콘크리트(4) 전면 벽 체는 기초 지반 내로 최소 0.32이상 근입 되어야한다. 경사지- 마감두께 : 1000반의 경우에는 0.6ㅁ이상이 되어야 하며, 기초 지반이동 피상 해가 예- USSR: 6=300mm상되는 경우는 동결심도이상 근입 시 켜 야한다.- FBR: O-Mdmm (APES WHEY BE Asay보 재강 길이)) 0.72 보강 계 길이 00) 0.78범 면및으로연 잡설치 하여 법면 하단 수로에 연결)(10) 블록 식 보강토 웅 벼 부에 성토부시설이 있는 경우는 보강토 옹벽 보강재를 기초에 저 측 되지 많도록 하 항 조정 해야한다. if 3mG23.3 내진설계i일 규모정이상의 중 요도가 있는 경우 또는 보강 토 옹벽의 상부 나 하부에 D) 기초 근입 심도(2)) 0.3 ㅁAAYAAAMS]) OAHHHS ME Ma Wa 내에가 옥이나 고정 설시 몸이 있는 경우에는 필요(8) 일반적인 설치기준05) 일반적인 설치기준(0) 경 지사 반에 설처하는경우에 따라 지진 시 희안정성 검토를 수한다.행( 그럼2. 보강토 웅 벽의 설치기준)4. 보강토 옹벽의설계려 하여 검토한다.4.1 검 항목토검 항목토평상시지진시(1) 보강토 옹벽의안정 해석은 외 적안정 해석과 내 적안정 해석으로 구분 하여 수행한다.활 동 (910108)1511(2) 외 적안정과 내 적안정에서 검토 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다.Al = (overturning)2.015©외 적안정: 저면 활동, 지지 ,력 전도, 전안정성,체침 하에 대한|] 4 (bearing capacity)3.02.0안정성@내 적안정: 인 발파 ,괴 보강재 파 ,단 보강재와 전면 판의 연결부13] 91299 (overall stability)12~1511파단( 표 4. 옹벽의설계안전율) 4.2안전 율 기준(1) 활동안정성보강토 옹벽의안정 해석에 적용하는안전율 기준은 다음과 같다. 지진 시(1) 활 동에 대한안정성은 기초 지반 면과 옹벽 저 면에서의 미끄 러 짐이 발는 지진 하중을 고려하여안정성을 검토 하는 경우이다.생 하는가에 대한 검토이다. 경 하중사또는 비탈면 상에 설치된 기초,수평 력을 받는 구조물의 기초에 대해서는 활 동에 대한 파 괴를 검토구분검토 항목평상시지진 시 ㅣ 비고해야한다.활 동1511(0 활 동에 대한 검토는 활동을 유발하는 횡방향 하중과 활 동에 저 항 하는 저항력의 비율이 기준안전을이상이어야한다외적 전도1511SiFs=-)rs(식3)안정지지력2.52.0 Sp714,Sz :EA H2| (resisting force to sliding)전체안정성1511Sp : #84 (sliding force)인 발파괴2015wa | 84 | 40245 | 4 | 4파단0 점성토 지반상의 옹벽 기초에 대해서는 지반의 건조 수축과 침 하로 인하여 지반과 기초 사이의이격이 생 길 능가 성을 고려하여야한다. 웅섬 유 보강재1.51.0벽 전면 흙의 수동 토압을 활동 저항력으로 고려하고자 하는 경우에 (표 3. 보강토 옹벽의설계안전율)는 기초 전면 흙이 장 구조 적으로 유지될수 있는지 여 부를 확인 하여야한다. 43의 적안 해석보강토 옹벽의 외적안정 해석은 보강토 체를 중 력식 웅벽으로 간 주 하여 활(2) 전도안정성등, 전도, 지지력 , 전체 정안성에 대한안정 해석을 수행 하며 , 옹벽의안정02 전도는 옹벽의 앞 굽을 중심으로 옹벽 전체가 앞으로 회전 하는지 여해석에서 적용하는안전 율 기준은 아 래과 같다. 지진 시는 지하진 중을 고부에 대하여 검한다.토웅 벽은 배 면의 횡방향 토압으로 인해 저 판앞굽을 중 심으로 전도 하므로 옹벽은이에 대해 충분히안전하게 저항하여야한다.- 기초 슬 랙 브 아 래 예 활동 방지 벽 추가 (2) 전도의 검토는 옹벽에 작용 하는 하중의 조 합에의해 작용 모멘트와- 구조조 지반을 하향 조정저 항 모멘트의 비율이 기준안전을이상이어야한다.~ 말뚝기초 적용MrFSS= Me) 2 F FS( Aa식 4)4.4 내적안 해석정여 구조서,44, : 저 모멘트항(70919808 moment}(1) 보강토 옹벽의 내적안정해석은 보강토 체를 활동 영역과 저항영 역으로4, : 활 몽 모 멘트 (0 판언6 응 20080600나누고, 각 각의 보강재에 위치에서 발생하는 최대 용작 하중올 계산 후보강재의 인장 파기 또는 보강재가 저 항명 역으로부터 빠 져나 오는 지의@ WES 계산을 하지 않더라도, 다음 기준을 만족 하면 전도에 대해인 발파 괴에 대하여 검토한다.안정한 것으로 간 주한다.(2) 파 괴 면은 각 보강 제에 발생하는 죄 대인장력을 연결한 선이며 형상은- ARAM] Hl BH, 힘의 함 력이 기초 중 심에서 1/28이벽 체 저 예서면대 수 나 선형태로 발생한다.안정 해석의 간편 성을 위하내에 있는 경우여 직선 또는이 중직 선으로가 정할수 있다.- 기초 지반이암 인 경우, 힘의 합 력이 기초 중 심에서 3/48이저 항 영역내에 있는 경우활 동영8595(3) 지지력 검토{active zone)함 영역© AAG AEE 다음과 같이 웅 벽 하부에 발생하는 지반반력(4...)이지반의 허용지지력 (《,)이상이 되는 지를 검토한다.2 FS(Al5)여 구조서,4, 지반의 허용지지력(3) 대수 낙 선형 (106-50080(6)이중 칙 선형 (61-116680)(c) AAAIGingle~wedge)0:지반 반력( 그럼 4. 보강토체 내부의 파 괴 형태) ® 지반의 지지력의 계산은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건설교통부, 2003}을보강토 웅벽의 파 괴 형태는 보강재의 연 신을 특성에 따라 크게 2참 조한 다.가지과 괴형태로가 정할수 있다. 금 속 재료및 지 오 그 리 드와 같이 비교적 연 신 율이 작은 모 강재의 경우는 파 괴범위가 벽 체 쪽에(#) 전체안정성가깝게 발생하는 경 향을 나타내며이런 경우는 두 개의 직 선 으0) 전체안정성은 옴벽을 포함한 기초 지반 전체의안정성을의한다,미로 파 괴 면을 간 주 하고, 토목섬 유와 같이 연 신 율이 큰 벽 체의 경옹 녁이 철 치되는원 지반이 특허 전 성토 능의 연약 지반 인 경우에는우는 응 벽의 주 동 파 괴와 유사한 파 괴형태를 나타내며이러한 경강도에 대한안정 뿐만성아니라 침 하에 대한안성정도 검토하여야우는 1개의 직 선으로 주동 파괴 형태로 파 괴가 발생하는 것으로한다.간 주한다.(3) 기준안전 율이 확보 되지 많은 경우는 다음의 방법을 적용 하여 지반의안정성을 향상 시킬수 있다.벽 제가 경사진 검 우aahof hep046,가상 파 끼 펀5.2 지진 시 고려 하는 하중sea eedsen atRE EOE0) 지진시 보강토 옹벽의안정 해석에서 고려하는 하중은 정 적상태에서 작용 하는 하중과 지 전예의해 작용 하는 지 관성력진및 동적 토압이며, 일시적인상 제 하중은 고려하지 않는다.(2) 지진 관 성 력은 보강 된 토 체의 증 량에의해 작용 하는 지진 하중이며 , 토 체의 자 중과 수 평 지진 계수몰 꼽 하여산정 하고 보강토 체의도 심에 수 평으로 작용 시킨다.(0) 변 형율이 작은 보강재 0.% 미만)05) 번 령 윤이 든 보강재 01%이상)(3) 동 력 토압은 보강 된 토 체 뒷 부분의 파 괴 써 구조에의해 보강토 체에( 그럼 5. 활 동영 역과 저 항 영 역의 구분)작용 하는 토압이며 파 괴 흙에 구조의 자 중과 수 평 지진 계수를 곰하여산경한도 압이며 40006628866의 방법을이용하여산정한다,(3) 파 괴에서면각 각의 보강재에 작용 하는 죄 대인 발 하 (중 7,》은과 브0) 지 전 계수 (4.)는 지반가 쑥도 계수 (&) 몰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강재 위치에서 작용 하는 수평 토 입 계수와 브 강재의 수직 설치간격을산한다.고려하여 다음 식을이웅 하여산정할수 있다, Ag, = (1.45-AJA( 석 2)고교 르미 0000(석7)aya,o,:BAYBeBeAdee o p= Hye, +Aoy) 5.3 지전시의 적안정 해석그) 지석진 시의 적안정 해에는 다음의 사항을 검토한 다.Ky: F¥EUAS HAI116 az)()활 동에 대한 검토a,: BAHalse]연 트적 압(분포상 하중재포함)2)전도에 대한전토20 상 재하중예의해 유 발 되는 보강재 위치에서의 수 평 토압연지지력 예 대한 점토5, : 보강 제의 수 직 설치 간격@) 전체안정성에 대한 검토(2)의 적안정 해석 예 서는 정 적 하중, 지진 관성력, 동 적 토압의 1/2만 작용(4) 내적안정 석해은 각 각의 보강 개 위에서처 구한 써 대 인발하중 보다 보시커안정 해석을 설 시 하며 , 지 전 완성 력은 토 체의 중 심에, 동 적 입은강재의 장 허 구조 용인장강 되(7')가 크거나 또는 인 발 저 항력(꽤이 커야옹벽 높이의 0.6 므에 작용 시킨다.한다.(3)의 적안정 해석에서 지진 관 력성은 관 성 력의 영 량을 받는 보강토체외자중과 지진계수를 곱하여산정한다.5. 지 전 시안 해석정5.4 저 진 시 내 적안정 해석5.1 일반 사항(1) 지 전 시의 내적안정 해석은 지진 관성 력에의해 각 각의 보강재에추가0) 지진 시 보강토 용 벽의안토정 석해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검한다.되는 하중에 대하여 보강재 파괴와 인 발파 괴가 발생 하지 않도록한다,07 보강트 응 벽 기초 지반의 액 상 화에 대한 검토{2) 내 적안정 해석 예서 저 권 완 성 력은 활 동 영 혁의 자 중과 저 전 계를수곱하0) 보강투 옹벽의의 적안정성에 대한전토여산정 하고, 활동 영 벽 내의 각가의 보 장 재가 차지하는 면적 올비로 지0 보강토 웅 넥의 내 적안정성에 대한 검토진 성관 력을 분담하는 것으로한다.(3) 지진 시 내 적안정 해석은 각 각의 보강재 위에서치지진에의해 추가 되는 인장력을 고려하여 정적 상태와 동일하게 계산한다.6. 보강토 옹벽의 배수시설(1) 보강토 체에이용되는 뒤 채 움 재료는 비교적 배수 성이 양 호 하고 전면배수 공이 충분한 양 질의 토사를이용하지만, 다 량의 배면 유 입 수로뒤 채움 흙이 포 되면화흙의 전단강도가급격히 저하 하여 불안한 상태가될수 있으므로 배면 용 출 수의 유무, 수량의과다에 따라 적절한 배수 설 시을 하여야한다.(2) 보강토 옹벽의 배수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배수 설시을 설치해야한다.0 보강토 체 내부 수 평 배수충(3) 보강토체 전면판 뒤 30~10002ㅁ 필 터 재 설치(9 벽체 상부지 표수 유 입 방지를 위한 배수구 설치( 참고 문헌).구조몰 기초설계기준(건 교설 통 부, 2003).고속도로공사전 문 시방서(한국도로공사, 2004) WN.건설공사 비탈면설계기준(건설교통부,설2006).보강토 옹벽과 성토시설물 중 복 구간 처리방안(설계이15212-1226호, BP198. 9.15).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설계 적용방안검토(설계이15212-1228흐, "98.9.15). 보강토 옹벽의 뒤채움 시공 기준검토(설계이13202-388흐 , "01. 7.30)4-8 보강토 옹설계벽적용기준검토발3o BAE£49 AASASAAESA 13202-3883,‘01. 7.30)설계 처-3563(07.12. 12)J도wed ay | seen1. 검토복적임4통과 덱 분 (96)율보강토 옹벽의설계와 관련 하여 보강재및뒤체 음 기준,안전율 ,19 mm100yaqe ee 기초 처리 방석등에 대한적경설계기준을 검토코자함0.425 mon (40% 5)0~60직접 전단 시험에 의한6°] 3} ※ 보강 토 옹벽구성0.0750(200 번)|체0~16| 부 마찰 각 ®) 25°0 보강제 : 떠 형(아연도 강판 , 스테인레스강, 떠 섬유혐등), 평 면형(격자 형1충 다점 두께 ;: 2000, 다점 믿도 : 최대 건조 밀도의 95%이상토목섬유, Peat등)0 뒤채음aad0 블록 식 보강도 웅벽공사 시방서 개정 뭉 보(설계 10207-30488구호, '03.10.01)0 전 벽체-구조 지초 반의안정성이 확보 되는 경우: 볼 벽체록설치(그럼8)-구조 지초 반의안정성이 확 모 되지 못할경우- 지반을 다진후 보강 제 동으로 보강(그림6): 철근 콘크리트 기초로 보강(그림0)ErarTaramIMR= 274PRSorRIMS,SB 회|eae.르 전기틴282 A7= 기초 지반이 양호한 경우(8) 기초지반이 블량한 경우(6) 기초지반이 불량한 경우(0)ㅁ 보강토 응 벽 관련내부 방진0@ 고속도로공사전문 지방 서 ('04.12) 0 보강도 응 벽과 성토시설묻 중록구간처리방안(설계이2212-1228호 '988 915)페 널식 보강토 전면판 : 암축 강도 30.088(3001ㅁ=(/ ㅁ2)- 판 넬식 : 성도부시설 물( 눔쌓기 또는놀붙임) 기초가 저 측 되 지 많 노록 조경-B34보강토 블록: 압축강도 24.088(240ㅠㅁ/)- 블럭 식 : 보강 개물 기초에 저 촉 되지않도록 하향 조정 0 보강토 응 벽의 보강 계설계 용적 방안검토( 섬 계이15212-1228호 , '98 9.15)- 전면 콘 기초 : 무근 크리드콘수평 기초- 시방 기준에 적 함한 제 품에 대해공사 시 탱 시 현장여건에 따라 계 품을- AAS: F0A~0.5m,2°)0.15m선택 사용이가능도록도면 작성- 견면관 뒤Waa44: 03~10m디 보강토 옹벽설계 관련 상위 기준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건설공사 비탈면설계기준3. HAE웅벽설계법 구분(03. 2, 건설교통부)설(06. 4, 건설교통부)- 변 형을 : 최대 인장 강도 발생시 56이 내AAA’ 보강재비 신 장성 보강 개- 섬 유 보강재 감소 계수 적용구분(블록 식 , 지 오 그 리드)( 페 널식 , 지오 스트립): 생 화 학 격 내구성, 시공손상, 크리프 hy- 보강재 길이 : 전면 기초부터 벽 체높alo- 토목 섬 유의 감소 계수 적용이의 0.7배 허상, 전체 높이에 동 일 하; 생 화 학적 내구성, 시공손상, 크리프 ㅣ 게 설치과괴-보강재 수 적 설치간격 : 100이내- 전 벽체 면 기초 근입 깊 (4이모강재ㆍ열 걱반 인 경우: 032이상 기준: 경사 지반인 경우 : 0.62이상MARA) OeWARA)OFe4Tt[aN:f* ne -Lsㅜㅜ_ASAE)Onvuㅁ062 인 2-Wa4q7a@ Ged BazOd Ciel Bae© FAN Ba Tt(Tie back wedge method)구분 |검토 항목 ㅣ| 핑 상시 ||| 구분|검토 탕 목 | 핑 상 시| 지건시16[11활동1.515lla,[a15 ||| 14파 령피 상ae지지25안정252.07z+a)내적보aes강재 | 철 재 보강 제| 10AREY한1,1,3|ee5 |l\ 4 나 | 18Ka (7H+q)수평로 압 BAB|a부등친 하 량|7 분구등 침 하량『 신 장성 보강재(도목 섬유, 지 오 리드)그* 비 신 장성(철재, 하면도 강판) 보강재ge보강제* 보강재 변 형율 2~596* 보강제 변 형을 1%이하- 프 캐스트리콘크리트 전면관 강도ㆍ수평및 수 직 변 위에 대한가용성 큼* 금속성 보강재를 적용 하여 (2662 변 형= 30.0NPa(S00kst/cu'}ot* 보강재 ((2660에 의한 변위 발생작음hu 기타|- 뒤체 움 제 : No.20085}15%°]3,|-HMPA= No20083}15%°] 4},내부 마 촬 각25%이 ,상 소성 지수(8 ㅁ0내부 마찰각25%이상 ,SAAS『블 룩 석 웅 벽에 적용*ㆍ판 텔식 웅 벽에 적용6이하6이하4 문제점구분적용기준비고0 보강토 옹벽시공후과대 변위, 옹 파괴벽발생구분검토 항목평상시지진시- 변 형이 큰 보강재 사용 = 신 장성 보강재의변형 특성에 대한 기준 부재활등1511외적전도1511- 보강재의 재료별 특성에 따른 감 계수소적용의 불확실성안정지지력2520BAA파단에 대한안전율 미적용안전율전체안정성1511건설공사인 파괴발2.015yea- 토사 재료의 마찰력부족 = 토사뒤 채움 품질미달내적보강재금 속 보강재1.01.0AA =안정고단지 오 그 리드1510적용- 기초 지반의 침하량 초과섬 유 보강재1510ㆍ보강토 옹벽의 빼 수시설부적정 0 전체안정성및 인 발파 괴에 대한안전 율의 기준 상이 기초|ㆍ패널식 : 총침하량 50027, 부등 침하 1/500 제한 0 기초부 처리 방식에 대한 적용기준미흡침하량ㆍ록블 석 : 부 동 침하 1/200 제한- AaYa 712 294°)5. 적용기준: 0.32ㅁ이상(일반적인 경우) 구: 0.62이상( 경사 지반인 경우)및 벽체 전면 122이상 폭의적용기준비고eft소 단 설치 기초부ㆍ감소 계수 : 재료 별 공 인 된 특성 시 혐을 동한 값을 적용 | ㅠ 성 긍 사ㆍ: 무근콘크리트 수평 기초 : 폭0.4~0.50 ㄴ1 갖이 0152이하ㆍ잡 석 기초 규격 : S 0.75~0.8m, ¥°] 0.15~0.3mㆍ면 형를 : 최대 인장강도 발생시 5%이 내비탈면보강제ㆍ지반이 불량 하여 근입 갖이가 갖은 경우(4)0.80)ㆍ보강재 길이: 0.7ㅁ (08 : 벽체 높이)49 Al7]: 골재 다짐 +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 기초 적용ㆍ보강재 파 단에 대한안전율 : 1.0~1.5이상적용※ 옹벽높이, 상 재하중에 따라검토적용가능ㆍ지0.200 통과 159이하 , 내부 마찰 각 25“이상, 소성 지수( 머) 6이하|도공방침ㆍ지하수 처리 : 보강토 체 내부 수 평배수 충 설치뒤 채 움제ㆍ1 충 다짐 두께 : 2000 다짐 밀도 : 최대 건조 밀도의 86%이상「저용ㆍ보강토 체 전면 관 뒤 30-10007 필 터 제 설치ㆍ벽체 상부지 표 수 유 임 방지를 위한 배수구 설치ㆍ마찰 째 구조법: 지오 스타일,텍지오 그 리드등신장성성 |고설 콩사※ 배 면 용출 수의 유무, 수량의과다에 따라 적정 배수시설 설치유 보강재이용한보강토 옹벽설계비탈면설계법ㆍ견적 평 금액균 적용ㆍ복합 중 력 식법 : 철재, 아 연도 강 판등 비 신 장성 보강재설계기준※공사 시행 시 시방 기준에 적합한 제 품을 현장여건에를이용한 보강 옹벽토설계적용따라 선택 사용 유도6. 향후추진 계획0 감 계수소적용기준및 장 구조인장 강도 산출기준검토7.적용 빵한고속도로건설공사0설계 중 인 노선: '07년 12 월이후준궁 노선부터적용0설계 완료및 미 발주 노선 : 보설계완시 적용보강토 옹벽설계기 원0공사중인 노선:공사 주관(시행) 부서에서 판단 하여 적용273.일 : 고속도로건설공사 보강토 옹벽설계기준2007. 12-목차 -1 48849#72 VESS AAD BOL 시 개량설및 유지 관리공사1. 격 용 위펌중 금속 또는 섬유 동의 보 재물강이용하여 시공 하는 보강토 응 벽의설계에 적용한다. 시방 기준에 적합한 제 품에 대해서 궁 사 시행 시 현장2. 계 료의 특성여건에 따라 제 품을 선택 사용할수 있도 묵 섬 계도면을 작성 하도묵21 보강재한다.22 전면관일반적인 보강토 옹벽희 구성은 보 재로강보강된 뒤 체 음와 전면벽23 뒤 채 음 제료체로 구 되며,성전체적인 시공 단면은(그 림1)과 감 다,3.설계일반 사항31 설 목표3.2 보강토 응벼 적용기준3.3 대설계& 보강 토 웅벽 외설계 41 검토 항목 42안전 음 기준 43 외적안정 해석 44 내 적안정 해석5. 계진시안 태정석(그림1. 보강토 용 벽의 구성)52일반사항5.지진시 고려하는 하중5.3지진시 외적안정 석태544지진시 내적안정해석2. 계료의 특성 21 보강재6 보강토 응벽의 매시설 수0) 보 재는 강일정간격으로수 평 치배 하는 머 형와 건 체 면에 섬치 하는 평면 형 보 재로 강구 하며분가 형식의 보 재는강다음과 같다.OO형 : 아 먼 강도 관,알 무 미늄 밥금 , 스테 인레 스 강 , 떠 섬유 헝등2) 평 면형 : 격자형 토목섬유, 매 섬유, 7 ㅁㅁ 섬 유, 직 메트포등02) 보강토 응 벽을 위한보 재는 강다을과 같은 조건을 갖춰야한다.@보강 목적의 인장 강도를 보 유 해야한다.(01) 패 널식 보강토 옹벽의 전면 판은 콘크리트 28 일 압축강도가 최소@최대 인장 강도 발생시 변 형 률은 5%이 내이어야한다.St 30.0MPa(300kgf/cm7}°]°]°} @#r}.@흙과의 마찰 저항력이 수 평토압에 저 항 할수 있어야한다.(2) 블록식 보강토 웅 벽의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28일 압축강@시공중의 손상에 대한 저 항 성을 지녀야한다EE RAB 24,0MPa(240kef/cm’)o]°]oF sc}.©By, Se]및 생 화 학적 작 응에 대해 내구성을 지녀야한다.@ 금속 보강재는 반드시방식처리를 하여야한다.2.3 뒤 채 재료움 (3) 보강재의설계 인장 강도 《{ 7)는(식 1-1)과 같이 장 구조인장 강도(7;)에(1) 보강토 웅 벽의 뒤 채 움 재료로 사용 하는 흙은 다음의 성 질을 갖는안전 율(89)을 적용 하여계한다.산재료를 사용한다.path(A)@ 흙 보강재 사이의 마찰 효과가 큰 사질 토|6) 배수 성이 양 호 하고 함수비 변화에 따른 강도 변화가 적은 흙.0:@ 입도 분포가 양호한 흙장다. 구조 금인 속장 보강 강도는재의 제 료경의우는 역학적,장 기초인 내구성을 고려하여 결정한아 연도 금을 통한 방 청 처리를 하고, 내 구 연@ 보강재의- 내구성을 저하 시키는 화학적 성분이 적은 흙한에 따른 부식 두께를 제외한 나머지두께에 대하여산정한다. 토목섬유 보강재는 화 학적인 내구성, 내 시공성, 그리고장장 구조인장강도를a2.| 동과 빅 분을) |ups성 지수(00소 지수성 기초 인 크리프 특성을 고려한 감소 계수를 적용 하여 장 구조인장 강도를19mm100삼축 압축 또는 직접 전산정한 다. 설목 계에서 사용 하는 토 섬유보강재의 장 구조인장강도는 다0.425mm(#40)0~60단 시험에 의한내부마| _ 6이하음과 같다.0.075mm(#200)0~15a2} o)25°7 ,- 스푼( 식2)(표1. 뒤 채 음 재료 기준)※ 1 충 다짐 두께는 2000 다짐 밀도는 최대 건조 밀도의 95%이상으로 하는 것을 원치RE RF RF y* RF oy으로한다. 다만, 시공 시 보강재의내구성이 확보되고보강재와 뒤 채움 재료의여 구조서,마찰 각이설계시 고 려된 값이상으로 발 휘될수 있는 경우 별도의 입도분포및7, : 장 구조인장 강도 004/2)다짐 두께 기준을 적용 할수 있다.7 ,, : 보강재의 극한 인장 강도 004/ㅁ) 0(5 7 2124)7, : 생ㆍ화 학적 내구성에 대한 감 계수소 613(2) 보강토 응 벽의안정 해석은 장 기초인안정성이며 사용 하는 전단 강도7, : 시공 손상에 대한 감소계수 (511)정수는 유 효 전단강도정수(0, 《을 사용한 다.2: 크리프파괴에 대한감소 계 (@수 ㅠ 6620 ㅁ 047260406)항목 별 감소 계수는 보강재의 재질및 특성에 따라 다르며 재료3.설계일반 사항별로 공 인 된 시험 결과 값을이용해야한다.31 설 목표계(1) 보강토 옹벽은설계수 명 기간 동안 보강토 체의 전체적인안정성이 유2.2 전면판 지되어야 하며, 벽 체를 구성 하는 각 구성 부재와 연결 부가 파 되지괴않아야한다.(6) 무근콘크리트 수 평 기초의 치 수는 보통 깊이 1500 퍼이하 F(2) 응벽의 사용성을 위해서과도한 무등 침 하나 횡방향 년 위가 발생 하지0.40~0.50m=. Hc}.않아야 하며,도 심 지외 경우에는 미관적인 요소도 고려하여 설한계(6) 잡석 기초의 경우에는 SF 0.75-0.80m, 깊이 150~30020 끄로 적용한 다.다. 기초 지반의 부동 침 하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7) 지만이 불량하여 근입 깊이가 깊은 경우(0)0.820)에는 골재 다짐+콘크구분 기준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 기초들 적용도록하한다.(8) 다만 응 벽 기초부설계시 응 벽의 높이, 상 제 하중, 지반 조건에 따라 적패널식종 침하량 50000, 부등 침 하 17500 제한전하게 보완 해야한다.블록식부등 침하 1/200 제한(9) 판 넬식 보강토 웅벽 부의 성 시토설 물(돌쌓기 또는 돌 불임)은 기초가(&2, 기초 지반의 부 동 침하 기준)보강재에 저 쪽 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이 조정 해야한다.0) 단면도3.2 보강토 웅벽 적용기준(1) 보 재의강 길이는 전면판 구조부터초 벼 체 높이 희 0.7 배 보다 길어야 하며 , 실제 보강 제 길이는 상제 하중과 외력, 보강재와 뒤 채 옴과의 마찰저 력항을 고려하여 최 종적으로 결정한 다.(2) 보강재의 설치길이는 전체 높이에 걸쳐 동일하게 하며, 특별한 하중 조건 어 나 목적을 위해서 상부 나 하부의 보강재 길이클 길 거나 짧게 할수 있다.( 그림 3, 판 넬식 보강토 흥 벽과 성토시설물 중복 구간 처리 방인)(3) 보강재의 수 직 설치간격은 1.0 ㅁ를 조과 하지 않도록 하고, 저 항 영 역 내(3 마 감 처리 형식치로 설 되는 보강재외 길이는 려 소 1.00이상이 되어야한다.- 마 감 처리 : 콘크리트(4) 전면 벽 체는 기초 지반 내로 최소 0.32이상 근입 되어야한다. 경사지- 마감두께 : 1000반의 경우에는 0.6ㅁ이상이 되어야 하며, 기초 지반이동 피상 해가 예- USSR: 6=300mm상되는 경우는 동결심도이상 근입 시 켜 야한다.- FBR: O-Mdmm (APES WHEY BE Asay보 재강 길이)) 0.72 보강 계 길이 00) 0.78범 면및으로연 잡설치 하여 법면 하단 수로에 연결)(10) 블록 식 보강토 웅 벼 부에 성토부시설이 있는 경우는 보강토 옹벽 보강재를 기초에 저 측 되지 많도록 하 항 조정 해야한다. if 3mG23.3 내진설계i일 규모정이상의 중 요도가 있는 경우 또는 보강 토 옹벽의 상부 나 하부에 D) 기초 근입 심도(2)) 0.3 ㅁAAYAAAMS]) OAHHHS ME Ma Wa 내에가 옥이나 고정 설시 몸이 있는 경우에는 필요(8) 일반적인 설치기준05) 일반적인 설치기준(0) 경 지사 반에 설처하는경우에 따라 지진 시 희안정성 검토를 수한다.행( 그럼2. 보강토 웅 벽의 설치기준)4. 보강토 옹벽의설계려 하여 검토한다.4.1 검 항목토검 항목토평상시지진시(1) 보강토 옹벽의안정 해석은 외 적안정 해석과 내 적안정 해석으로 구분 하여 수행한다.활 동 (910108)1511(2) 외 적안정과 내 적안정에서 검토 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다.Al = (overturning)2.015©외 적안정: 저면 활동, 지지 ,력 전도, 전안정성,체침 하에 대한|] 4 (bearing capacity)3.02.0안정성@내 적안정: 인 발파 ,괴 보강재 파 ,단 보강재와 전면 판의 연결부13] 91299 (overall stability)12~1511파단( 표 4. 옹벽의설계안전율) 4.2안전 율 기준(1) 활동안정성보강토 옹벽의안정 해석에 적용하는안전율 기준은 다음과 같다. 지진 시(1) 활 동에 대한안정성은 기초 지반 면과 옹벽 저 면에서의 미끄 러 짐이 발는 지진 하중을 고려하여안정성을 검토 하는 경우이다.생 하는가에 대한 검토이다. 경 하중사또는 비탈면 상에 설치된 기초,수평 력을 받는 구조물의 기초에 대해서는 활 동에 대한 파 괴를 검토구분검토 항목평상시지진 시 ㅣ 비고해야한다.활 동1511(0 활 동에 대한 검토는 활동을 유발하는 횡방향 하중과 활 동에 저 항 하는 저항력의 비율이 기준안전을이상이어야한다외적 전도1511SiFs=-)rs(식3)안정지지력2.52.0 Sp714,Sz :EA H2| (resisting force to sliding)전체안정성1511Sp : #84 (sliding force)인 발파괴2015wa | 84 | 40245 | 4 | 4파단0 점성토 지반상의 옹벽 기초에 대해서는 지반의 건조 수축과 침 하로 인하여 지반과 기초 사이의이격이 생 길 능가 성을 고려하여야한다. 웅섬 유 보강재1.51.0벽 전면 흙의 수동 토압을 활동 저항력으로 고려하고자 하는 경우에 (표 3. 보강토 옹벽의설계안전율)는 기초 전면 흙이 장 구조 적으로 유지될수 있는지 여 부를 확인 하여야한다. 43의 적안 해석보강토 옹벽의 외적안정 해석은 보강토 체를 중 력식 웅벽으로 간 주 하여 활(2) 전도안정성등, 전도, 지지력 , 전체 정안성에 대한안정 해석을 수행 하며 , 옹벽의안정02 전도는 옹벽의 앞 굽을 중심으로 옹벽 전체가 앞으로 회전 하는지 여해석에서 적용하는안전 율 기준은 아 래과 같다. 지진 시는 지하진 중을 고부에 대하여 검한다.토웅 벽은 배 면의 횡방향 토압으로 인해 저 판앞굽을 중 심으로 전도 하므로 옹벽은이에 대해 충분히안전하게 저항하여야한다.- 기초 슬 랙 브 아 래 예 활동 방지 벽 추가 (2) 전도의 검토는 옹벽에 작용 하는 하중의 조 합에의해 작용 모멘트와- 구조조 지반을 하향 조정저 항 모멘트의 비율이 기준안전을이상이어야한다.~ 말뚝기초 적용MrFSS= Me) 2 F FS( Aa식 4)4.4 내적안 해석정여 구조서,44, : 저 모멘트항(70919808 moment}(1) 보강토 옹벽의 내적안정해석은 보강토 체를 활동 영역과 저항영 역으로4, : 활 몽 모 멘트 (0 판언6 응 20080600나누고, 각 각의 보강재에 위치에서 발생하는 최대 용작 하중올 계산 후보강재의 인장 파기 또는 보강재가 저 항명 역으로부터 빠 져나 오는 지의@ WES 계산을 하지 않더라도, 다음 기준을 만족 하면 전도에 대해인 발파 괴에 대하여 검토한다.안정한 것으로 간 주한다.(2) 파 괴 면은 각 보강 제에 발생하는 죄 대인장력을 연결한 선이며 형상은- ARAM] Hl BH, 힘의 함 력이 기초 중 심에서 1/28이벽 체 저 예서면대 수 나 선형태로 발생한다.안정 해석의 간편 성을 위하내에 있는 경우여 직선 또는이 중직 선으로가 정할수 있다.- 기초 지반이암 인 경우, 힘의 합 력이 기초 중 심에서 3/48이저 항 영역내에 있는 경우활 동영8595(3) 지지력 검토{active zone)함 영역© AAG AEE 다음과 같이 웅 벽 하부에 발생하는 지반반력(4...)이지반의 허용지지력 (《,)이상이 되는 지를 검토한다.2 FS(Al5)여 구조서,4, 지반의 허용지지력(3) 대수 낙 선형 (106-50080(6)이중 칙 선형 (61-116680)(c) AAAIGingle~wedge)0:지반 반력( 그럼 4. 보강토체 내부의 파 괴 형태) ® 지반의 지지력의 계산은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건설교통부, 2003}을보강토 웅벽의 파 괴 형태는 보강재의 연 신을 특성에 따라 크게 2참 조한 다.가지과 괴형태로가 정할수 있다. 금 속 재료및 지 오 그 리 드와 같이 비교적 연 신 율이 작은 모 강재의 경우는 파 괴범위가 벽 체 쪽에(#) 전체안정성가깝게 발생하는 경 향을 나타내며이런 경우는 두 개의 직 선 으0) 전체안정성은 옴벽을 포함한 기초 지반 전체의안정성을의한다,미로 파 괴 면을 간 주 하고, 토목섬 유와 같이 연 신 율이 큰 벽 체의 경옹 녁이 철 치되는원 지반이 특허 전 성토 능의 연약 지반 인 경우에는우는 응 벽의 주 동 파 괴와 유사한 파 괴형태를 나타내며이러한 경강도에 대한안정 뿐만성아니라 침 하에 대한안성정도 검토하여야우는 1개의 직 선으로 주동 파괴 형태로 파 괴가 발생하는 것으로한다.간 주한다.(3) 기준안전 율이 확보 되지 많은 경우는 다음의 방법을 적용 하여 지반의안정성을 향상 시킬수 있다.벽 제가 경사진 검 우aahof hep046,가상 파 끼 펀5.2 지진 시 고려 하는 하중sea eedsen atRE EOE0) 지진시 보강토 옹벽의안정 해석에서 고려하는 하중은 정 적상태에서 작용 하는 하중과 지 전예의해 작용 하는 지 관성력진및 동적 토압이며, 일시적인상 제 하중은 고려하지 않는다.(2) 지진 관 성 력은 보강 된 토 체의 증 량에의해 작용 하는 지진 하중이며 , 토 체의 자 중과 수 평 지진 계수몰 꼽 하여산정 하고 보강토 체의도 심에 수 평으로 작용 시킨다.(0) 변 형율이 작은 보강재 0.% 미만)05) 번 령 윤이 든 보강재 01%이상)(3) 동 력 토압은 보강 된 토 체 뒷 부분의 파 괴 써 구조에의해 보강토 체에( 그럼 5. 활 동영 역과 저 항 영 역의 구분)작용 하는 토압이며 파 괴 흙에 구조의 자 중과 수 평 지진 계수를 곰하여산경한도 압이며 40006628866의 방법을이용하여산정한다,(3) 파 괴에서면각 각의 보강재에 작용 하는 죄 대인 발 하 (중 7,》은과 브0) 지 전 계수 (4.)는 지반가 쑥도 계수 (&) 몰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강재 위치에서 작용 하는 수평 토 입 계수와 브 강재의 수직 설치간격을산한다.고려하여 다음 식을이웅 하여산정할수 있다, Ag, = (1.45-AJA( 석 2)고교 르미 0000(석7)aya,o,:BAYBeBeAdee o p= Hye, +Aoy) 5.3 지전시의 적안정 해석그) 지석진 시의 적안정 해에는 다음의 사항을 검토한 다.Ky: F¥EUAS HAI116 az)()활 동에 대한 검토a,: BAHalse]연 트적 압(분포상 하중재포함)2)전도에 대한전토20 상 재하중예의해 유 발 되는 보강재 위치에서의 수 평 토압연지지력 예 대한 점토5, : 보강 제의 수 직 설치 간격@) 전체안정성에 대한 검토(2)의 적안정 해석 예 서는 정 적 하중, 지진 관성력, 동 적 토압의 1/2만 작용(4) 내적안정 석해은 각 각의 보강 개 위에서처 구한 써 대 인발하중 보다 보시커안정 해석을 설 시 하며 , 지 전 완성 력은 토 체의 중 심에, 동 적 입은강재의 장 허 구조 용인장강 되(7')가 크거나 또는 인 발 저 항력(꽤이 커야옹벽 높이의 0.6 므에 작용 시킨다.한다.(3)의 적안정 해석에서 지진 관 력성은 관 성 력의 영 량을 받는 보강토체외자중과 지진계수를 곱하여산정한다.5. 지 전 시안 해석정5.4 저 진 시 내 적안정 해석5.1 일반 사항(1) 지 전 시의 내적안정 해석은 지진 관성 력에의해 각 각의 보강재에추가0) 지진 시 보강토 용 벽의안토정 석해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검한다.되는 하중에 대하여 보강재 파괴와 인 발파 괴가 발생 하지 않도록한다,07 보강트 응 벽 기초 지반의 액 상 화에 대한 검토{2) 내 적안정 해석 예서 저 권 완 성 력은 활 동 영 혁의 자 중과 저 전 계를수곱하0) 보강투 옹벽의의 적안정성에 대한전토여산정 하고, 활동 영 벽 내의 각가의 보 장 재가 차지하는 면적 올비로 지0 보강토 웅 넥의 내 적안정성에 대한 검토진 성관 력을 분담하는 것으로한다.(3) 지진 시 내 적안정 해석은 각 각의 보강재 위에서치지진에의해 추가 되는 인장력을 고려하여 정적 상태와 동일하게 계산한다.6. 보강토 옹벽의 배수시설(1) 보강토 체에이용되는 뒤 채 움 재료는 비교적 배수 성이 양 호 하고 전면배수 공이 충분한 양 질의 토사를이용하지만, 다 량의 배면 유 입 수로뒤 채움 흙이 포 되면화흙의 전단강도가급격히 저하 하여 불안한 상태가될수 있으므로 배면 용 출 수의 유무, 수량의과다에 따라 적절한 배수 설 시을 하여야한다.(2) 보강토 옹벽의 배수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배수 설시을 설치해야한다.0 보강토 체 내부 수 평 배수충(3) 보강토체 전면판 뒤 30~10002ㅁ 필 터 재 설치(9 벽체 상부지 표수 유 입 방지를 위한 배수구 설치( 참고 문헌).구조몰 기초설계기준(건 교설 통 부, 2003).고속도로공사전 문 시방서(한국도로공사, 2004) WN.건설공사 비탈면설계기준(건설교통부,설2006).보강토 옹벽과 성토시설물 중 복 구간 처리방안(설계이15212-1226호, BP198. 9.15).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설계 적용방안검토(설계이15212-1228흐, "98.9.15). 보강토 옹벽의 뒤채움 시공 기준검토(설계이13202-388흐 , "01. 7.30)


아래 이미지는 원본이 10페이지 이상일 경우 9페이지 까지만 만들어진 사항으로 전체내용을 보려면 아래 첨부된 원본 PDF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dlagytjs100@naver.com.pn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15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02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563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4-8_보강토옹벽 설계적용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2.15 915
64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5-1_콘크리트 교량 동바리 설계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2.15 918
63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5-2_PSC 및 IPC BEAM교 중간부 조립식 강재격벽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15 893
63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5-3_교각 단면변화구간 띠철근 배근 적정성 검토 file 효선 2024.02.15 897
63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5-4_강관말뚝 선단보강밴드 두께설계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2.15 991
63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5-5_FCM 교량 캠버계측관리 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2.15 961
63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5-6_거더교 바닥판 단부 사보강 철근 설치방안 file 효선 2024.02.15 912
63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5-7_강합성교 복부이음판 형식 검토 file 효선 2024.02.14 926
63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5-8_교면내부침투수 배수처리방법 개선(안) file 효선 2024.02.14 1110
63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6-1_동상방지층 미설치에 대한 포장설계 적용성 검토 file 효선 2024.02.14 1146
63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6-2_노명요철포장(Rumble Strips) 적정성 검토 file 효선 2024.02.14 1193
63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6-3_린콘크리트 포장단면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14 992
62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6-4_암반구간 포장설계 잠정지침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02.14 838
62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6-5_콘크리트포장 줄눈 표준화 방안 file 효선 2024.02.14 881
62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6-6_콘크리트포장 줄눈재 적용지침 통보 file 효선 2024.02.14 783
62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6-7_동상방지층 미설치에 대한 건축공사 포장단면 개선 적용 file 효선 2024.02.14 690
62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7-1_분기점(JCT)내 회차로 설치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14 950
62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7-2_터널 입출구 분리구간 조기개방시설 검토 file 효선 2024.02.14 1508
62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7-3_고속도로 하이패스 적용에 따른 회차로 및 지하통로 설치기준 file 효선 2024.02.14 838
62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8년_7-4_건설 및 성계중인 고속도로 가드레일 설치형식 및 설치기준(안) 검토 file 효선 2024.02.14 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