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2_현장 작업여건을 반영한 배수시설 형상 및 원가 개선
2025.01.16 11:55
120 ❙ 토공 및 배수공
32
토공및배수공
현장 작업여건을 반영한 배수시설 형상 및 원가 개선 설계처-2149
(2022.07.08.)
1 검 토 목 적
공사비 현실화 등 건설원가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원가검증결과
(설계 대비 하도급 1.7∼1.8배) 과투입으로 분석되는 배수구조물에 대하여,
※ 그 간 배수공관련 건설원가 개선 방침
‣ ’17.11 : 설계·시공 원가불일치 해소방안【건설처-5323】
☞ 산마루 측구 거푸집 높이 할증 비용 반영
‣ ’20.10 : 설계원가 검증 및 피드백 시스템 구축방안【설계처-2935】
☞ 측구, 도수로 등 시공단가 현실화(노무비 할증, 누락공종 반영 등)
* ’03∼’09 : 측구 규격 세분화, 단면 슬림화 등 경제성을 위주로 개선
기능인력 고령화, 콘크리트 수급여건(소형구조물 타설) 등 현장여건을
반영한 배수구조물 설계기준 마련을 통한 건설원가 개선
2 현 실태 및 문제점
고령화, 복잡한 단면형상 등으로 작업지연에 따른 실투입비 증가
① 기능인력(목공 등) 고령화 → 작업효율 저하 → 실투입비 상승
- 최근 10년간 건설기능인력 40대 이하 비중 감소, 50대 이상 비중 증가
구 분 20대이하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00년 13.0 28.2 34.0 19.4 5.4
’21년 6.4 11.2 22.8 35.0 24.6
증 감 감 6.6 감 17.0 감 11.2 증 14.6 증 19.2
< 건설현장 종사자 중 건설기능인력 연령대별 구성비 추이 >
* 건설기능인력 : 건설현장에서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등을 포함
[자료 : 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22, 건설근로자공제회 조사연구센터),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토공 및 배수공 ❙ 121
토공 및
배수공
② 복잡한 단면형상 등 시공성이 고려되지 않아 작업효율 저하
- (단면형상) 변단면 및 형식이 다양하여 거푸집 작업효율 저하
측구, 개거 형상 불합리 횡배수관 날개벽 변단면 L2측구 형식 다양
- (작업여건) 진입로 부재 등으로 장비·인력 투입이 어려운 위치의 배수시설
* 성토부 하단 측구, 터널 입·출구부 및 연결로 녹지대 측구 등
- (시공효율) 복잡한 인력시공 등에 따른 시공효율 저하
* L3측구 인력시공, 소단측구 안전난간 등
작업여건, 콘크리트 타설 물량 등 현장여건이 반영되지 않은 원가
o 단순 누락공종 단가반영만으로는 원가개선의 한계(상승률 12~20%)
구분
하도급비율(%)
(분석결과)
’20 원가 개선 현황
검토(개선) 내용 상승률(%)
V형측구(형식1,2) 151 ~ 208 단일 표준시장단가 반영
누락공종(신축이음) 반영
증 12.0~13.8
V형측구(형식3-1) 134 ~ 167
산마루측구(형식1,2) 155 ~ 186 작업여건 반영
(노무비 할증 25%) 증 11.9~20.0
거푸집공(유로폼) 165 ~ 267 표준시장단가(측구)에 자재비,
설치·해체비 포함으로 미반영
-
o 단가 세부요소 누락 및 수량산출 기준 미흡
- (현장여건) 소규모 콘크리트 타설 인한 작업효율 저하, 비탈면 시공에
따른 작업여건 등이 고려되지 않은 단가
- (소운반비) 산마루 측구 거푸집 이동 등 자재 소운반비 미반영
* Top-Down 시공으로 산마루 측구시공을 위한 거푸집 소운반 발생
- (유지관리) 공사기간 중 미완성 시설물 유지보수비* 미반영
* 측구 수축이음 실런트 재시공, 배수체계 완성 전 퇴적토사 제거 등
- (기 타) 표준시장단가 적용에 따라 누락된 단가 세부요소
122 ❙ 토공 및 배수공
3 개선방안 검토
개 선
방 안
·시공이 쉬운 형상 등 시공 단순화를 통한 효율 및 원가 개선
·작업여건을 감안한 배수구조물 단가 현실화
1 배수구조물 시공 단순화를 통한 건설원가 개선
유로거푸집 규격(1,200×600)을 고려한 측구 및 개거 형상개선
* 배수구조물의 거푸집은 유로거푸집을 설계 적용 중
구 분 높 이(mm) 폭 원(mm) 대표 표준도면
대상 형식 당초 개선 당초 개선 당 초 개 선
V형
측구
1 450
600
1,010 900
2
600
1,100 1,100
3-1 1,460 1,400
3-2 1,800 1,820
산마루
측구
1 450
600
1,010 900
2 600 1,100 1,100
3-1 800 1,220 1,400
3-2 1,000 1,340 1,820
개거
1 1,000 1,200 현장여건에 따라
2 2,000 1,800 별도 산출
o [시 공] 작업성을 고려한 배수구조물 형상 단순화 등
구 분 단면형상 높이(mm) 기 타
측 구 변단면 → 수직단면
단일화
(450~1,000 → 600)
벽체시공을 위한 기초
여유폭(50mm) 추가반영
개 거 변단면 → 수직단면
1,000 → 1,200
2,000 → 1,800
내측헌치 삭제
공 통 펌프카 호스 직경(150mm)을 고려하여 벽체 두께(150mm이상) 적용
o [단 가] 소규모 물량, 작업 여건을 감안한 단가 반영 (최대 66%↑)
* 저슬럼프·소규모 타설을 감안 타설비 할증, 작업여건 감안 노무비 할증
※ 단가 반영 결과 (상세 검토 붙임 1 , 붙임 2 ) (단위 : 만원/m)
구 분
V형 측구 산마루 측구
1 2 3-1 3-2 1 2 3-1 3-2
당초 8.8 11.1 11.0 11.3 8.6 11.2 14.9 18.6
변경 14.3(↑62%) 14.5(↑31%) 14.9(↑35%) 17.2(↑52%) 14.3(↑66%) 14.5(↑29%) 14.9(↓-0.3%) 17.2(↓-7%)
토공 및 배수공 ❙ 123
토공 및
배수공
횡배수관 날개벽 형상 단순화
구분 당 초 개 선
모
식
도
단면 A-A 단면 A-A
θ° α° β° 상세
0~8 60 60 128개
치수
8~22 45 60
22~37 45 75
37~52 37 82
θ° α=β° 상세
0~52 45
21개
치수
횡배수관 규격별 연결 및 날개벽 각도에
따른 날개벽 상세치수 128개
날개벽 형상 단순화에 따라
날개벽 상세치수 21개
* θ : 횡배수관 연결 각도, α, β : 날개벽 각도
o (형상개선) 변단면 → 수직단면
o (입·출구부) 접속각도에 따라 형상변경 → 형상 단일화(α, β=45°)
* 수량산출 및 표준단면 제공을 위한 변경으로 설치 지형, 타 배수시설 연결
등을 감안 각도 형상 조정 가능
L3 측구(H=2.3m) 기계타설 적용을 시공 효율 개선
o (당 초 ) 인력 타설 → (변경) 기계타설* ☞ 인력작업 최소화
* 기초부, 하부 및 상부로 나누어 기계타설 시행 [검토상세 참고 붙임 3 ]
기초부 타설 하부(1단) 타설 상부(2단) 타설
* 개통노선 다수 적용 실적이 있어 기계타설로 변경
※ 기계타설 시행 시 노무비율 개선 검토(50% → 13% 수준으로 감소)
(단위 : 원/m)
구 분
인력타설 기계타설
아스콘[A] 콘크리트[B] 아스콘[C] C/A 콘크리트[D] D/B
직접공사비 360,597 357,591 153,546 43% 144,331 40%
노 무 비 177,939 177,130 20,700 12% 19,466 11%
(노무비율) (49%) (50%) (13%) - (13%) -
124 ❙ 토공 및 배수공
L2 측구 형식 단일화 (포장 형식별 3종→1종)
o L2측구 적용구간*에 대해 형식2-2(H=1.3m) 단일 적용
대 상 당 초 개 선
L형
측구
(형식2)
형식2-1(H=1.2m) 형식2-2(H=1.3m) 형식2-3(H=0.96m) 형식2(H=1.3m)
설치
기준 절토부 20m 미만 구간
절토부 20m 미만 중
터널 입출구부(갓길)
절토부 20m 미만 중
터널입출구부(추월차로)
절토부 20m 미만 구간
(터널 입출구부 포함)
깎기 비탈면 소단 측구(형식5-1) 안전난간 기초부 시공방법 개선
o (소단측구) 벽체 100×250 → 300×250mm(안전난간 설치 감안 벽체 두께↑)
o (안전난간) 원지반(소단) 기초 매입 → 측구 벽체 지주 매립*
* 소단(1.5m)에서안전난간기초시공을위한터파기작업에따른안전사고, 작업순서감안개선
구분 당 초 개 선
소단
측구
안전
난간
원지반(소단) 또는 콘크리트 기초에 앵커
매입 후 강판을 이용하여 난간지주 고정
* 토사·리핑암 : 난간지주 기초 시공 필요
·벽체 타설 시 난간지주 매립
* 측구 단부 단면 확대(폭 300mm, 높이 250mm)
o (시공방안) 현장여건(측구 기시공 소단 등)에 따라 선별 적용
① (매립시공) 측구 기초 타설 → 안전난간 설치* → 측구 벽체 타설
* 기초위에지주와용접된고정용판(1m 간격)을이용하여정위치설치(표준도5.101 참조)
② (앵커시공) 측구 천공 후 앵커볼트 시공 및 난간 설치
* 측구 선시공 현장, 공용중 노선의 안전난간 적용 시 적용
토공 및 배수공 ❙ 125
토공 및
배수공
사전제작(식생포함) 측구 적용 확대 시행
o (적용조건) 진입로 부재 등로 인한 콘크리트 타설 여건이 어렵고, 침투수로
인한 고속도로 및 주변 시설물의 영향이 없는 쌓기 비탈면 하단 측구
o (적용방안) 사전제작 측구 + 잡석(T=10cm, 레벨링)
- [설계] 현장타설 측구 반영 → [건설] 현장여건 상 필요시 설계변경
* 측구 공사비 : 현장타설(형식1) 144,194원/m, 사전제작(잡석깔기 포함) 76,812원/m
구 분 성토부 최하단 측구 설치 구간 측구 하단 잡석(T=10cm)
모식도
* 터파기 폭(측구 폭 + 80cm) 만큼 잡석깔기 시행
※기 수립에 된 방침에 따라 식생측구(매트) 적용
(관련근거) 콘크리트 없는 자연형 식생 측구 적용 방안(2012. 7, 녹색환경처-3060)
☞ 방침에 따라 동일 대상에 적용하되, 설치 기준 구체화
① IC(JCT), 터널 분리녹지대
☞ 유량이 크지 않아 최소규격 배수로(U5 측구) 설치가 가능한 구간
(V형측구 형식-1 이상의 규격이 필요 시 콘크리트 측구 적용)
구 분 터널 입·출구부 녹지대(성토부) 연결로 녹지대
모식도
② 성토부하단 V형 측구
☞ 유속이 크지 않아 세굴 우려가 적은 구간(수로 경사 4%이하) 중
진입로 부재로 콘크리트 측구 설치가 곤란한 구간
(사전제작 측구와 비교하여 현장여건에 유리한 형식 적용)
· 상수원 보호구역(상류) 및 수변구역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 수자원보호구역 등 특별대책 수립지역,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
126 ❙ 토공 및 배수공
2 작업여건을 감안한 배수구조물 단가 현실화
[건설 중인 고속도로 현장 전문건설업체 면담(2회, ’21.8, ’22.3)을 통해 도출]
대 상 설계 반영
① 산마루측구거푸집소운반비반영
☞ 깎기 비탈면 Top-Down 시공에
따른 거푸집 운반비용 반영
※ 평균 추가 공사비 : 0.5백만원/개소
기존 미반영→ 개선 소운반비(크레인 50t, 4h) /개소
[수량산출]
· 높이 10m 초과 깎기 비탈면 개소 당 1회(4시간)
[단가산출]
· 거푸집 이동을 위한 크레인(50ton) 비용반영
② 공사기간 중 배수구조물 유지
관리비 반영
☞ 장기공사로 인한 배수 체계
완성 전 배수구조물 기능
유지를 위한 비용 반영
※ 평균 추가 공사비
- 실런트 누락반영 : 0.6백만원/km
- 실런트 추가반영 : 1.4백만원/km
- 토사 제거 : 2.1백만원/km
* V형측구(형식-1) 기준
② - 1. 신축줄눈 실런트 시공 누락분 반영
기존 내측+상면 → 개선 전면(하부제외)
[수량산출]
· 벽체 및 저판(하부 폭 제외) 둘레(단위:m)
* (당초) 벽체 배면 및 저판 상면 실런트 수량 누락
② - 2. 줄눈 실런트 1회 추가 반영
(사유) 유지관리 이관 감한 준공 전 1회 반영
기존 1회 → 개선 2회(내측+상면) ☞
[수량산출]
· 측구, 개거, 수로암거 줄눈 개소 당 실런트
처리비 1회 추가 반영(총 2회)
② - 3. 횡배수관 퇴적토사 정비비용 반영
기존 미반영 → 개선 토사제거(2m3) / 개소
[수량산출]
· 횡배수관 1개소 당 토사제거(유출·입) 2m3 반영
* 유입부 1m3 + 유출부 1m3 = 2m3
[단가산출]
· 고속도로 유지보수 단가집, ‘배수시설 토사
제거(V, U형측구)’ 단가 적용
③ 모따기 비용 반영
☞ 표준시장단가 상 모따기를
위한 면목 설치 비용 미포함
※ 평균 추가 공사비 : 4.6백만원/km
* V형측구(형식-1) 기준
기존 미반영 → 개선 면목 / m
[수량산출]
· 소형 배수구조물(측구, 개거)
연장 × 4 (벽체 양측 2개소씩)
[단가산출]
· 면목(20×20mm) 시공·재료비반영 [구조물 모따기]
토공 및 배수공 ❙ 127
토공 및
배수공
4 적용방안 및 향후 추진계획
적용방안
o 설계 중 노선 : 본 방침 적용
o 공사 중 노선 : 본방침 기준 적용을 원칙으로 하되, 공사 진척도,
사업비 등 운영여건을 감안 사업주관(시행)부서 판단하여 적용
* 단, 배수구조물 형상개선 사항은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즉시 시행
o 공용 중 노선 : 신규 유지보수·보강 공사 시 적용
향후 추진계획
o 원가검증시스템과 연계하여 불합리한 원가 분석 및 추가 개선
o 기타 개선 필요사항 발굴 및 검토 붙임 4
※ 붙 임 : 1. 표준시장단가 세부구성요소별 산출근거
2. V형 및 산마루측구 단가 개선 검토
3. L3측구 인력 및 기계타설 비교 검토
(이하 별도첨부)
4. 향후 추가 개선 검토사항
5. 변경 표준도면 1식
6. 배수구조물 단면 개선 비교 검토
7. 단가산출서
8. 소단측구 안전난간 구조검토서. 끝.
128 ❙ 토공 및 배수공
붙임1 표준시장단가 세부구성요소별 산출 근거
□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 적용공종 및 단가 (’22, 국토부)
【표준도 및 적용기준(V형측구)】
① “국도설계실무요령(국토교통부)”의 해당 공종・규격의 표준도를 준용한다.
[V형 측구]
· Type-1 : D-1,070mm, H-450mm
· Type-2 : D-1,160mm, H-600mm
· Type-3 : D-1,400mm, H-1,000mm
② 본 단가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 아래 예시에 제시된 목적물 세부구성요소
별 단가와 도면 등으로부터 산출한 목적물 세부구성요소별 수량을 적용하여
목적물 단위당 단가를 산출한다. 필요시, 거푸집, 콘크리트타설 등의 세부
규격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단가집 “대분류 E. 현장타설콘크리트공
사” 해당규격의 표준시장단가를 적용한다.
③ 작성예시
분류 내역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 비고
본체
(A)
*실설계수량×표준시장단가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무근콘크리트 m³ ( ) 23,019 ( A1 ) ㆍEC110.12000
합판거푸집 간단, 0~7m m² ( ) 36,570 ( A2 ) ㆍED001.01000
보통, 0~7m m² ( ) 41,779 ( A3 ) ㆍED001.02000
유로폼 간단, 0~7m m² ( ) 29,093 ( A4 ) ㆍED402.01000
보통, 0~7m m² ( ) 33,257 ( A5 ) ㆍED402.02000
철근현장가공
및 조립 TYPE-Ⅱ ton ( ) 665,526 ( A6 ) ㆍEE001.30000
소계 A1~A6의 합(①)
부대공
(B)
*실설계수량×시중물가
수축줄눈 m ( ) ( ) ( B1 )
신축이음 m ( ) ( ) ( B2 )
비닐깔기 m² ( ) ( ) ( B3 )
소계
B1~B3의 합( ② )
※항목별로 직접계상이 곤란한 경우
본체공사비 ①의 2%를 계상
합계 ①+② 목적물 단위당 단가
토공 및 배수공 ❙ 129
토공 및
배수공
붙임2 V형측구 및 산마루측구 단가 개선 검토
□ 변경단가 산출 및 비교 (금액단위 : 원)
구분 형식 변경 규격
당초(적용단가)
변경단가 단가상승
표준시장 별도산출
V형
측구
(표준시장)
1 0.9×0.6m (87,796) 79,960 142,613 54,817(62%)
2 1.1×0.6m (110,846) 102,822 145,112 34,266(31%)
3-1 1.4×0.6m - (110,232) 148,865 38,633(35%)
3-2 1.82×0.6m 174,267 (112,980) 172,195 59,215(52%)
산마루
측구
(표준시장)
1 0.9×0.6m (85,818) 88,705 142,613 56,795(66%)
2 1.1×0.6m (112,427) 114,217 145,112 32,685(29%)
3-1 1.4×0.6m - (149,282) 148,865 -417(-0.3%)
3-2 1.82×0.6m 185,581 (185,615) 172,195 -13,420(-7%)**
* (형식3-1) 도공 방침(’03.12, 측구 규격 세분화)에 따라 추가된 형식으로 단일 표준시장단가 없음
** (형식3-2) 벽체높이 축소에 따라 거푸집 수량 감소(4.388→2.8m2)로 단가 소폭 감소
※ 표준시장단가를 활용한 단가산출 예시[V형측구 형식-1(‘22년 上)]
130 ❙ 토공 및 배수공
□ 세부구성요소별 단가변경 현황
o V형측구
(금액단위 : 원)
구분
V형 측구 (`22년 상반기 표준시장단가) 단가
당 초 변 경 상승
명칭 규격 할증 단가 명칭 규격 할증* 단가 증 액
(증가율)
콘크
리트
타설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무근
콘크
리트
- 23,019
무근콘크
리트타설
/펌프차
매우불량**
(슬럼프8~12,
타설규모
30m3이하)
단가보정
10%,
노무비
25%
78,876
55,857
(243%)
거푸집
설치
유로폼
보통,
0~7m
- 33,257 유로폼
보통,
0~7m
노무비
25%
40,241
6,984
(21%)
철근
설치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Type-
2
- 665,526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Type-2
노무비
25%
813,606
148,080
(22%)
* 콘크리트 타설규모 및 슬럼프에 따른 단가보정(1.10), 지세별 노무비 할증(야산지25%)
** (적용유형) 절/성토부 비탈면에 시공되는 구조물로 펌프차 작업에 제약이 매우 큰 시설물
o 산마루측구
(금액단위 : 원)
구분
산마루 측구 (`22년 상반기 표준시장단가) 단가
당 초 변 경 상승
명칭 규격 할증 단가 명칭 규격 할증* 단가 증 액
(증가율)
콘크
리트
타설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소형
구조물
노무비
25%*
50,347
무근콘크
리트타설
/펌프차
매우불량
(슬럼프8~12,
타설규모
30m3이하)
단가보정
10%,
노무비
25%
78,876
28,529
(57%)
거푸집
설치
유로폼
보통,
0~7m
노무비
25%
40,241 유로폼
보통,
0~7m
노무비
25%
40,241
-
(0%)
철근
설치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Type-
2
노무비
25%
813,606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Type-2
노무비
25%
813,606
-
(0%)
* ’20년 설계원가 검증 시 원가개선 사항[설계원가 검증 및 피드백 시스템 구축방안(’20.10)]
토공 및 배수공 ❙ 131
토공 및
배수공
□ 콘크리트 타설 단가보정 및 노무비 할증 근거
o V형측구 타설수량 검토
형식
기초 타설 벽체 타설 평균
단위수량(m2) 100m 수량(m3) 단위수량(m2) 100m 수량(m3) (m3)
1 0.150 15.0 0.241 24.1
24.7
2 0.180 18.0 0.241 24.1
3-1 0.225 22.5 0.241 24.1
3-2 0.404 40.4 0.300 30.0
※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 적용공종 및 단가(’22년 상반기)
【콘크리트타설 단가보정】
‣ 타설규모 및 슬럼프에 따라 시장단가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1회 타설규모㎥)
무근콘크리트 타설
양호 보통 불량 매우불량
8~12 15이상 8~12 15이상 8~12 15이상 8~12 15이상
표준
시장단가
30이하 2.06 1.98 1.95 1.88 1.87 1.80 1.10 1.05
30~40이하 1.80 1.72 1.73 1.65 1.68 1.60 1.04 1.00
40~50이하 1.63 1.55 1.58 1.50 1.54 1.46 1.00 0.95
50~70이하 1.44 1.37 1.42 1.34 1.39 1.32 0.95 0.90
70~100이하 1.25 1.18 1.24 1.17 1.23 1.16
100~150이하 1.06 1.00 1.06 1.00 1.06 1.00 -
150~200이하 0.92 0.86 0.93 0.87 0.93 0.88
200초과 0.83 0.77 0.84 0.78 0.85 0.79
【지세별 노무비 할증】
‣다음의 지세별 구분에 따라 노무비를 할증 적용한다.
* 야산지(25%), 번화가(2, 4, 6차로 각 30%, 25%, 20%), 주택가(15%)
※ 지세구분 내역표
지구
구분 평 탄 지 야 산 지 산 악 지
지 형
평지 또는 보통 야산
으로 교통이 편리한
곳
험한 야산지대 및 수
목이 우거진 보통 산
악지대로서 교통이
불편한 곳
산림이 우거진 험준한
산악지대로서 교통이
극히 불편한 곳
지 세 평지 또는
보통 야산
험한 야산 또는 보통
산악 험한 산악
높이 해발 100m 미만 300m 미만 400m 미만
기준 표고 50m 미만 150m 미만 200m 미만
통행
조건
도로
구배
통행
대소로(유)
완 만
양 호
대로(무)
완 급
불 편
대소로(무)
극 급
극히불량
자연
환경
지세
수목
기상
양 호
소수 또는 소목
보 통
불 편
보통 또는 약간울창
불 편
불 량
울 창
불 편
기타
조건
교통편
숙소
통신
인력동원
차도에서 500m 이내
편 리
〃
〃
차도에서 1km이내
불 편
〃
〃
차도에서 1km이상
극히 불편
불 가
〃
132 ❙ 토공 및 배수공
붙임3 L3측구 인력 및 기계타설 비교 검토
구 분 인력타설 기계타설
시 공
방 안
· 거푸집 설치, 기초 및 구체 2단계 타설
· 기초-구체 사이 연결철근 설치
· 기초, 하단 및 상단 3단계 타설
· 기초-하단-상단 사이 연결철근 설치
· 하단-상단 사이 연결부 홈(30mm) 설치
단면도
시공성
작업시간 과다 소요되며, 타설
난이도上, 숙련도에 따라 품질 좌우
인력대비 작업시간 단축 및
시공성 우수, 품질 일관적
안전성
거푸집 인양 시 크레인 사용이
불가피하여 안전사고 유발 가능
안전사고 요인 적음
경제성
아스콘 360,597원/m 153,546원/m
콘크
리트 357,591원/m 144,331원/m
※ 단가산출서 별도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