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1_장기 거동 특성을 반영한 비탈면 보강 영구앵커 설계기준 개선
2025.01.16 14:05
❚2022년도 설계실무지침
토공 및 배수공 03
3-1 장기 거동 특성을 반영한 비탈면 보강 영구앵커 설계기준 개선
3-2 현장 작업여건을 반영한 배수시설 형상 및 원가 개선
3-3 비탈면 현황도 작성을 위한 깎기 비탈면 분할 기준 수립
토공 및 배수공 ❙ 111
토공 및
배수공
31
토공및배수공
장기 거동 특성을 반영한 비탈면 보강 영구앵커
설계기준 개선
설계처-1846
(2022.06.20.)
1 검 토 목 적
o 비탈면 보강 공사에 적용하고 있는 영구앵커에 대하여 경년변화에 따른
장기거동특성(긴장력 손실 등)을 반영한 설계기준 마련을 통하여
비탈면의 장기 안전성 확보 및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기하고자 함
2 관련기준 및 추진경위
o ‘06. 5 :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표준시방) 제정
* 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2016)에 따라 코드화로 정비 후 “앵커” 편으로 관리 및 개정
o ‘09.12 : 그라운드 앵커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매뉴얼 제정(국토부, ‘09)
* (‘21.8) 유지관리 절차, 점검 및 수량, 보수보강 방안 제시
o ‘11. 7 : 재긴장 가능 앵커 설계적용 방안(설계처-1984)
* 재긴장이 가능한 형식의 영구앵커에 대한 적용방안 검토
o ‘14. 2 : 앵커보강 비탈면 관리방안(도로처-873)
* 주요구조물 안전관리 실태 감사원 감사결과에 따라 관리방안(잠정안) 수립
☞ 설계긴장력 대비 10%이상 변화 발생 시 재긴장 등 조치 규정 마련
※ 감사원 감사결과 통보 (2013. 12)
․ 앵커의 잔존긴장력 측정하여 설계긴장력 이상으로 관리
․ 앵커 유지관리 매뉴얼을 제정하여 효율적 유지관리 방안 마련
o ‘15~19 : 앵커보강 비탈면(356개소, 60,711공) 잔존긴장력 측정(재난관리처)
o ‘17. 9 : 비탈면 보강용 그라운드 앵커 유지관리 매뉴얼(도교원)
* 앵커 점검종류, 점검 항목, 시험시기, 방법 및 보수보강 방안 수립
o ‘20. 12 : 그라운드 앵커 장기거동특성 분석* 및 유지관리전략 수립 연구(도교원)
* 영구앵커 계측 결과 분석을 통한 긴장력 감소 특성 분석
112 ❙ 토공 및 배수공
3 현 실태 및 문제점
(현실태) 지반 보강용 앵커는 시간 경과에 따른 긴장력 감소가 일
반적으로 발생되는 구조로
o 목표 설계하중(유효긴장력) 보다 큰 정착하중(초기긴장력)을 도입하여
시공 및 유지관리 중에 발생 가능한 하중감소를 대비하고 있으나
o 지반특성으로 장기적으로 발생하는 지반 등의 크리프에 의한 긴장력
손실적용 기준은 부재
* 설계기준에서 지반크리프는 초기긴장력 산정 시 고려 항목으로만 명시
※ 정착하중(초기긴장력) 산정
설계앵커력 + 단기세트량(3∼6mm) / 장기릴렉세이션(3∼6%), 크리프(기준부재) 하중감소량
☞ 초기 긴장력 산정 시 시간경과에 따른 긴장력 감소 요인이 적
절히 반영되지 않아 공용 중 앵커력 부족현상 발생
(문제점) 고속도로 비탈면에 적용된 영구앵커에 대한 잔존긴장력 실태조사
(‘14~’19, 356개소, 60,711공) 결과 89%(309개소, 54,134공) 잔존 긴장력 부족
o 잔존긴장력 부족 시 안전율 저하 등 비탈면 안정성 저하로 인한
비탈면 붕괴 가능성 내포 (붙임 #1)
o 또한, 앵커 재긴장으로 유지관리 비용(‘15∼’20, 141억원) 과다 소요
※ 앵커 재긴장 유지관리 투입현황 [재난관리처-2099, ‘20. 7. 3]
구분 계 ‘15 ‘16 ‘17 ‘18 ‘19 ‘20
계 309/54,134 51/17,151 14/1,856 18/4,336 185/23,568 26/5,163 15/2,060
재긴장
196/35,169
(141억)
27/12,075
(48억)
12/1,366
(6억)
18/4,336
(17억)
126/15,689
(63억)
-
13/1,703
(7억)
하자처리
113/18,965
(76억)
24/5,576
(20억)
2/490
(2억)
-
59/7,879
(32억)
26/5,163
(21억)
2/357
(1억)
* 측정된 잔존긴장력의 평균이 설계긴장력과 비교해서 10% 이상 감소 시 재긴장,
10% 이상 증가할 경우는 비탈면 안정성 정밀점검 시행
토공 및 배수공 ❙ 113
토공 및
배수공
4 앵커 긴장력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앵커 긴장력 감소 특성
시간경과에따른앵커의긴장력감소곡선(JGS, 1997) 앵커의 긴장력 손실발생 모식도(JGS, 1997)
[단기 특성] 긴장 시 발생하는 긴장력 감소량으로 ①쐐기의 set량, ②
쉬스관과 강연선 마찰손실, ③배면지반 즉시침하로 구분
o (쐐기의 set량) 설계기준에서 3 ~ 6mm가 제시되어 설계자별로
상이하게 적용하여 초기 긴장력 산정
☞ 실제 긴장력 도입 시 사용하는 장비규격을 고려한 세트량 산정 필요
※ 인장시 사용하는 배열판의 깊이는 제조사별로 5∼12mm 다양
(배열판 깊이 5mm) (배열판 깊이 6mm) (배열판 깊이 9mm)
o (쉬스관과 강연선 마찰손실) 지반보강에 사용되는 앵커의 경우는
직선 형태로 초기 긴장력 산정 시 쉬스관 마찰손실 미고려
* 교량구조물과 같이 프리스트레스 도입 형상이 곡선인 경우 고려
o (지반 즉시침하) 긴장력 도입 전 선행하중 재하로 즉시침하는
고려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계 반영
* 설계 시 가정조건에 부합되도록 배면지반 숏크리트 처리 등 기 반영 (붙임 #5)
114 ❙ 토공 및 배수공
[장기 특성] 정착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긴장력 감소량으로 ④
강연선 릴렉세이션, ⑤⑥암반/강연선과 그라우트의 부착력, ⑦지반 크리프로 구분
o (인장재 릴렉세이션) 검증된 재료(강봉 3%, 강연선 5%) 사용으로 개선 불필요
o (암반/강연선과 그라우트의 부착력) 그라우트 강도 등 제시된 품
질기준이 없어 설계자 판단에 따라 설계반영
☞ 내구성(부착력) 및 시공성(W/C)을 고려한 품질기준 제시 필요
o (지반 크리프) 지반의 크리프 현상으로 인한 침하량 및 앵커의
긴장력 손실량은 명확히 제시되지 않아 설계 시 미반영
☞ 영구앵커 적용 배면지반 조건에 적합한 설계기준 마련 필요
5 앵커의 거동특성을 반영한 설계기준 검토
기 준
개 선
긴장력 손실을 감안 초기 긴장력 산정기준 개선
앵커력 유지를 위한 그라우트 품질기준 정립 등
1 초기 긴장력 산정기준 개선
현 설계기준 (초기긴장력 산정 시 고려항목)
구 분 기 준 비 고
단기
쐐기(Wedge)
세트량
Δ
∼× × 개선 필요
지반즉시침하 시공 시 선행하중으로 반영 -
장기
강재
릴렉세이션
× m ax ×
여기서, : 릴렉세이션 계수 (3~5%)
: 인장재 단면적, m ax : 인장재 인장강도
-
지반크리프
․주변 지반상황 고려 설계
(적용기준이 없어 미반영)
개선 필요
※ Ps = Pd + [ Pw3∼6mm(개선필요) + Pr3∼5% ]현행 + Pc적용기준 부재
․ Ps 초기긴장력(정착하중) / Pd 설계긴장력 / Pr 인장재 릴렉세이션 : 3∼5%
․ Pw 웨지감소(set) : 개선 / Pc 지반크리프 : 미반영 ☞ 추가반영 필요
토공 및 배수공 ❙ 115
토공 및
배수공
설계기준 개선 검토
o [개선] 쐐기(Wedge) 세트량 산정기준 : 정착장치 배열판 깊이
쐐기(wedge)에 의한 세트량은 시공 시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을 위한 앵커
정착구의 쐐기의 물림 시 발생되는 미끄러짐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인장
재와 정착장치의 미끄러짐(활동)으로 인한 인장재의 되돌림량을 의미
- (현 행) 세트량에 의한 긴장력 감소량은 설계기준에서 3~6mm를
제시되어 설계자별로 상이하게 적용
- (개 선) 정착 시 사용하는 배열판 깊이를 적용하여 감소량 산정 (붙임 #2)
* 시험결과 적용 배열판 깊이만큼 긴장력 감소량 발생
Δ
× ×
여기서, Δ = 정착시 set량에 의한 긴장력 감소량
· = (현행) set량(3∼6mm) →(개선) 6mm(배열판 깊이)
· = 강연선의 단면적(mm2)
· = 강연선의 탄성계수(MPa) · = 강연선의 자유길이(m)
☞ 설계 시는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열판 깊이 6mm를 적용하여 산정
* 단, 시공 시 배열판 깊이가 설계 시 검토된 규격 이외인 경우 재산정하여 시공
o [제정] 크리프에 의한 하중감소 반영 : 설계 앵커력 × (5~15)%
크리프(Creep)는 외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증가가 없어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한 앵커의 긴장력 감소
- (현 행) 초기 긴장력 산정 시 미고려
- (개 선) 배면지반 조건에 따라 설계 긴장력의 5~15% 반영(붙임 #3)
※ 배면 지반조건별 크리프 감소율 (그라운드 앵커 장기거동특성 분석, ‘20년 도교원)
배면지반조건 옹벽구조물 암반+숏트리트 암반 비고
추가 긴장력
(설계긴장력 대비)
5% 10% 15%
* 토사지반에는 원칙적으로 영구앵커 시공 불가하며, 부득이 적용이 필요할
경우 옹벽 등 대안 적용 및 즉시침하량과 장기침하를 반영하여 별도 설계
116 ❙ 토공 및 배수공
- (강연선) 초기 긴장력 상향으로 적용 설계하중에 따라 1본 추가 반영
* 단, 적용 강연선은 최소 4본이상 적용
※ 강연선 적용수량 검토
(적용예시) 강연선 설계조건 (규격 ) Φ 12.7mm, (허용하중) 110KN/본(약 11ton/본)
설계긴장력(KN) 350미만 350∼400 400∼450 450∼500 500초과
강연선
(본)
당초 4 4 또는 5 5 계산
개선 4 5 6 계산
* 강연선 추가 시 약 7만원/공으로 공사비 증액은 미미
2 그라우트 및 수압구조물 설계기준
그라우트 설계기준
그라운드앵커 공법에서의 그라우트 기준강도는 지반과의 부착력 증가효과
뿐만 아니라 인장재와의 마찰력의 증가도 유발하기 때문에 장기적 앵커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 따라서 긴장을 실시하는 시기를 규정하는 기준강
도가 되어야 함. 상기에서 명시된 강도는 인장을 실시하는 강도를 의미함.
o (현 행) 설계자별로 상이하게 적용
* 일반적으로 설계기준압축강도로 24Mpa를 반영
o (개 선) 긴장력 도입 압축강도* 30MPa (W/B 45~50%) (붙임 #4)
* 설계기준압축강도(재령28일)가 아닌 긴장력 도입 전 압축강도
- 배합비는 W/B 45∼50%*를 기준으로 하고 후속작업 시기 단축
등 시공여건을 감안 혼화재료 사용량 조정 가능
* W/B 45% 적용 시 4∼7일을 기점으로 30MPa을 상회하는 것으로 검토
구 분 설계반영
재 료
·현장변동성감안W/B 45%, 혼화재료(팽창재) 2%를기준으로수량산출
* 현장여건, 배합조건에 맞춰 수량 및 재료 조정가능
구조계산
· 앵커체와 그라우트 허용부착력은 그라우트 압축강도 30MPa
기준으로 산정
토공 및 배수공 ❙ 117
토공 및
배수공
수압구조물 설계 기준
o 수압구조물에 지압블록*을 설치하는 경우 구조물 형상, 앵커 하
중 및 앵커 길이 감안 추가 철근 배근
* 앵커 각도조절을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 철근이 배근되지 않아 편심 등
으로 인한 파손발생
문제점(편심에 의한 블록파손) 개선
앵커 홀
철근 추가배근
수압판
※ 수압구조물 제작 시 지압블럭에 철근 추가 반영
※ 기타 설계 및 시공 시 착안사항
o (설 계) 초기 긴장력이 과소 산정되지 않도록 검토 (앵커 설계예시, 붙임#6)
- 세트량 : 강연선 자유길이( ) 적용 시 정착장을 제외한 자유장 부분의
길이만을 적용 ⇒ 정착장 길이를 제외하여 산정
- 릴렉세이션 : ① 사용 인장재에 맞는 릴렉세이션 감소율 적용
(PS - 강봉 3%, 강연선 5%)
② 산정식( × m ax × )에서 인장강도( m ax ) 적용 시
항복하중× 0.8 적용
o (시 공) 시공 오류로 인한 긴장력 손실 방지 (시공 오류사항 및 대책, 붙임#7)
- (시공 전) 정착장치 배열판 깊이, 규격 확인 ☞ (시공 중) 긴장력 도입 시
배열판 적용오류 방지
- 시공 전 산정된 초기 긴장력 산정 결과 및 배면지반 평탄화 확인 후 시공
- 설계도서에 명기된 천공각도 및 정착각도 확인, 현장 여건을 감안하여
수압판 앵커 각도조절 블록 시공상세 검토 및 시공
118 ❙ 토공 및 배수공
6 검토결론 및 적용방안
검토결론
o 정착하중(초기기장력) 산정
※ Ps = Pd + [ Pw배열판깊이 + Pr + Pc (Pd×크리프 감소율)추가반영 ]
․ Ps 초기긴장력(정착하중) / Pd 설계긴장력 / Pr 인장재 릴렉세이션 : 3∼5%
․ Pw 웨지감소(set) : 배열판 깊이(6mm) / Pc 크리프 : Pd×(5∼15% )
- (쐐기 세트량) 정착 시 사용하는 배열판 깊이를 적용 (6mm)
* 단, 시공 시 배열판 깊이가 설계 시 검토된 규격 이외인 경우 재산정하여 시공
- (크리프 감소율) 배면지반 조건에 따라 설계긴장력의 5~15% 추가반영
* 초기 긴장력 상향으로 적용 설계하중에 따라 1본 추가 반영 필요
※ 배면 지반조건별 크리프 감소율
배면지반조건 옹벽형 암반+숏트리트 암반
추가 긴장력 5% 10% 15%
o 그라우트 설계기준 : 긴장력 도입 압축강도 30Mpa(W/B 45~50%)
* (구조계산) 허용부착력 그라우트 압축강도 30MPa 기준으로 산정
o 수압판 앵커 지압블럭 철근 추가
o 기타 설계 및 시공 시 착안사항을 감안하여 앵커적용
적용방안
o 설계 및 공사* 중 노선 : 본 방침 적용
* 본방침기준적용을원칙으로하되현장여건을감안사업주관(시행)부서판단하여적용
o 공용 중 노선 : 신규 유지보수 및 보강 공사 시 적용
향후계획
o 국가 설계기준 개정 추진 (‘22하반기, 도교원 협업)
* 지반크리프, 그라우트 품질기준의 경우는 현재 『KDS 11 60 00 : 2020 앵커
설계기준』에 미반영 되어 있어, 국가기준 개정까지 잠정 기준으로 적용
토공 및 배수공 ❙ 119
토공 및
배수공
붙 임 자 료(별첨)
붙임 1 그라운드 앵커 실태조사 결과
붙임 2 앵커 세트량 검토
붙임 3 지반크리프 감소율 검토
붙임 4 그라우트 품질기준 검토
붙임 5 앵커 배면지반관련 개선방침
붙임 6 앵커 표준 설계 (예시)
붙임 7 앵커 시공 오류 사례 및 대책
붙임 8 전문가 자문회의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