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2-1_진출입부 역주행 방지 종합 대책
2025.01.16 14:24
❚2022년도 설계실무지침
교통 및 기하구조 02
2-1 진출입부 역주행 방지 종합 대책
교통 및 기하구조 ❙ 103
교통 및
기하구조
21
교통 및 기하구조
진출입부 역주행 방지 종합 대책 교통처-5049
(2022.12.09.)
1 추 진 배 경
o 부산외곽순환선 금정IC 역주행 우려 보도*, 진출입부 역주행 사고 지속
발생** 등 역주행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필요
* 관련기사 : 사고 나면 부랴부랴...역주행 미리 막을 순 없나(SBS, ‘22.01.17.)
** ‘22년 10월까지 역주행 사고 5건 중 3건 진출입부 역주행 사고
2 현황 및 문제점
추진경과
o ‘13. 4. : 고속도로 역주행 사고 종합 방지대책(교통처-1839)
- 휴게소, 연결로, 평면교차로 역주행 방지시설 정비, 단속 강화, 의식 개선
o ‘18. 5. : 역주행 사고 예방대책 개선방안(교통처-1857)
- 연결로, 평면교차로 역주행 방지시설 보강 및 역주행 방지시스템 설치
o ‘20. 9. : 역주행 사고(휴게소) 예방대책 강화방안(교통처-4302)
- 휴게소 역주행 방지시설 보강 및 역주행 방지시스템 유지관리방안 등
* 기존 역주행 방지 대책 및 시설 기준 (붙임1)
역주행 사고 현황
o (발생현황) 최근 5년간(‘18.∼’22.10.) 역주행 사고 36건, 사망자 12명 발생
- 역주행 사고 치사율(33.3%)은 일반사고(9.9%)에 비해 3.4배 높음
구 분 계 2018 2019 2020 2021 2022(~10월)
사 고(건) 36 4 8 14 5 5
사망자(명) 12 3 4 4 1 -
부상자(명) 36 5 7 15 1 8
o (시간대별) 야간(18~06시)에 주로 발생(75%)하며, 심야(0~2시)에 최대
구 분 계 6-8 8-1010-1212-1414-1616-1818-2020-2222-24 0-2 2-4 4-6
사고(건) 36 1 1 1 2 2 2 1 2 4 16 2 2
사망자(명) 12 3 - 1 - - - - - 1 7 - -
104 ❙ 교통 및 기하구조
o (역주행 유형) 음주, 질병의 경우 ‘본선 유턴’이 많고 정상인 경우
‘진출입부 역진입*’과 ‘후진’ 발생
구 분 계 본선 유턴 진출입부 역진입 후진
계 36 19 (53%) 14 (39%) 3 (8%)
음주 14 8 6 -
질병 2 1 1 -
정상 8 - 5 3
불명 12 10 2 -
* 진출입부 역진입: 착오 등으로 IC, 휴게소에서 역진입
역주행 방지지설 운영 현황
o (안내체계) 금정IC 등 나들목 내 평면교차로 역주행 방지 안내 미흡
- 역주행 금지 표지, 노면색깔유도선 등 방지시설이 위치별 상이
- 야간 및 우천 시 표지, 노면표시의 시인성 저하로 위험성 높음
* 나들목 내 평면교차로 현황 및 역주행 방지시설 설치현황(붙임2)
o (역주행 방지시스템) 고장 발생 시 즉각 조치체계가 미비하고 역
주행 발생 시 상황실로 미전파(40개소, 82%)하여 신속 대응 불가
- 현장에서만 고장 여부 점검 가능(반기 1회 점검시행)
- 상황실 전파 9개소도 개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통합상황관리 어려움
분석결과
o [Time] 역주행 사고가 빈번한 야간(75%)에 주목
o [Place] 진출입부 방향착오・경로혼선(39%) 대책에 집중
* 본선 유턴(53%)은 운전자 과실이 주원인으로 시설개량 한계 존재. 본선 역주행
검지, 고순대 합동 역주행 신속대응 훈련, 음주단속 등 실시중
o [Occasion] 음주 역주행 등 비상 상황에서 상황실 신속 대응 필요
시사점
평면교차로 야간 착오진입 방지 및 진출입부 역주행
방지시스템 개선이 핵심
교통 및 기하구조 ❙ 105
교통 및
기하구조
3 개 선 방 안
개선 방향
추진내용 운전자
↓ 진출입부 접근
1.나들목 내 안내체계 정립 역주행 방지 안내 예방 표지, 노면표시 등 설치기준 야간 시인성 강화 ↓ 착오진입
2. 역주행 방지시스템 개선 현장 역주행 경고 정주행 유도
역주행 방지시스템 원격관리 역주행 전파 체계 구축
↓ 역주행 지속(음주 등)
상황실 인지 신속 대응
1 나들목 내 안내체계 정립
표지 및 노면표시 등 설치기준
o 주행경로별 표지 및 노면표시 일관성 확보
* 평면교차로 주행경로
- (경로1) 고속도로 본선에서 요금소로 진출하는 좌회전 이동류
- (경로2) 요금소를 지나 고속도로 본선으로 진입하는 좌회전 이동류
구 분 경로 1 경로 2
설치도
표지
․‘주행경로 안내’, ‘우측면 통행’,
‘진입금지’ 또는 ‘역주행 금지’
표지 각 1개소 이상
․‘도로표지’, ‘우회전 금지’, ‘진입
금지’ 또는 ‘역주행 금지’, 표지
각 1개소 이상
노면
표시
․‘노면색깔 유도선’, ‘유도선 표시’, ‘역주행 금지 노면표시’, ‘정지선’
* 세부 설치 기준(붙임3), 규격(붙임4), 예산 산출내역(붙임5)
106 ❙ 교통 및 기하구조
o 노면색깔 유도선 색상 및 규격
- (색상) ‘경로 1’ 분홍색, ‘경로 2’ 녹색으로 경로별 색상 지정
* 본선에서 진출하여 주행속도가 높은 ‘경로1’에 재귀반사성능이 높은 분홍색 적용
- (규격) 내마모성 및 시인성 증진을 위한 우천형 차선 적용
* 2022년 차선도색 시행방안(교통처-1236호, 2022.04.01.)으로 기시행
- (길이) 정지선 전방 50m부터 통과 후 5m 까지 설치
o 도류화 시설 개선
- 도류화 효과 제고를 위한 물리적 유도시설(시선유도봉 등) 조정
당 초 개 선
야간 시인성 강화
o 노면색깔유도선 중앙에 매립형 LED 도로표지병 시범 설치
- (대상) 부산외곽순환선 금정나들목 내 평면교차로 노면색깔유도선
- (색상) 노면색깔 유도선과 동일하게 ‘경로 1’ 분홍색, ‘경로 2’ 녹색
- (간격) 점선부 4m, 실선부 6m * 세부 규격(붙임4) 참조
o 교차로 상충구역의 조도 기준 1.5배 상향
- 야간에 운전자가 전방 상황 및 교차로의 기하구조를 쉽게 인지
하도록 교차로 상충구역의 조도 기준을 주변부보다 높게 적용
▣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 조명시설 편(국토교통부)
5.3 상충구역의 조명 설치 : 야간 교통사고의 위험이 높은 상충구역에서는 산정된
조명등급보다 1단계 높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충구역 조명시설 기준】
구분 기존* 개선
노면휘도 1cd/㎡ 1.5cd/㎡
* IC 조명시설 기준
교통 및 기하구조 ❙ 107
교통 및
기하구조
2 역주행 방지시스템 개선
역주행 방지시스템 원격관리
o 역주행 방지시스템 원격관리를 위한 표준 통신규격 제시
- (내용) 시스템 위치, 동작상태 등 상시 원격관리
* 역주행 방지시스템 표준 통신규격(안)(붙임6)
역주행 전파 체계 구축
o 상황실 운영자의 역주행 차량 인지 체계 마련
구분 기 존 개 선
현 장
역주행 운전자 역주행 운전자
검지 ↓ ↑ 경고 검지 ↓ ↑ 경고
역주행 방지시스템 역주행 방지시스템
40개소 9개소 전체(49개소)
(전파×) ↓전파* ↓ 전파(도공IoT망)
상황실
비상벨 등** 도공 IoT 모니터링 시스템(업무망)
↓ 인지 ↓ 인지
상황실 운영자 상황실 운영자
* 외부통신망(KT, SKT 등) / ** 비상벨, 웹페이지 등 제조사별 시스템
* 역주행 발생 시 대응 방안(붙임7)
o (시범운영) 기존 역주행 방지시스템(2개소) 내 IoT 통신 기능 추가
구분 노선 위치 예산
(백만원)
역주행
건수*
비고
계 10
1 남해1지선 동마산IC 접속 평면교차로 5 3 ‘22년 사고
2 남해1지선 서마산IC 접속 평면교차로 5 11
* 최근 5년 교통 상황관리 시스템 등록 건수 기준
o 추진계획
- ‘23. 1.~2. : 시범운영 구간 통신장치 설치(지사) 및 IoT 통신망 수용
- ‘23. 1.~3. : IoT 모니터링 시스템 내 기능 개발 및 검증(ITS처)
- ‘23. 4.~5. : 확대방안(교통 상황관리시스템 연계, 운영 매뉴얼 등) 수립
108 ❙ 교통 및 기하구조
4 조 치 사 항
2023년 사업계획 반영 [기획조정실]
o 소요예산 : 253백만원
구 분 금액(백만원) 예산과목
계 253
역주행 방지 표지체계 183
도로개량-안전시설
매립형 LED 도로표지병 9
상충구역 조도보완(가로등 등기구 교체) 51
역주행 방지시스템 IoT 전환(2개소) 10
교차로 상충구역 조도 기준 반영 및 공사 시행 [시설처]
IoT 통신망 수용 및 운영시스템 개발 [ITS처]
설계 및 건설 중 나들목에 위 안내체계 반영 [건설처, 설계처]
o 향후 나들목 내 평면교차 설계 지양, 필요시 회전교차로 설치 및
도류화 철저
역주행 방지시설 설치 [지역본부, 지사]
o 역주행 방지시스템 설치 전 교통처와 사전 협의 필요
교통 및 기하구조 ❙ 109
교통 및
기하구조
붙 임 자 료(별첨)
붙임 1 기존 역주행 방지 대책 및 시설 기준
붙임 2 나들목 내 평면교차로 및 역주행 방지시설 설치 현황
붙임 3 나들목 내 평면교차로 역주행 방지시설 설치기준
붙임 4 나들목 내 평면교차로 역주행 방지시설 규격
붙임 5 나들목 내 평면교차로 역주행 방지시설 예산 산출내역
붙임 6 역주행 방지 시스템 표준 통신규격(안)
붙임 7 역주행 발생 시 현장대응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