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0_BIM 설계도 작성 개선 및 활용 방안
2025.01.16 15:12
설계행정
설계행정 ❙ 77
110
설계행정
BIM 설계도 작성 개선 및 활용 방안 설계처-4210
(2022.12.15.)
1 추 진 목 적
BIM 전면설계 중 도면 작성 관련 현안인 이중작업 문제* 해결을
위해 BIM 설계도 표준 개정
* BIM 모델링 후 도면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엔지니어의 인력수행 작업이 과도
현장의 BIM 활용 증대를 위해 기존 종이도면을 대체하여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태블릿용 디지털 도면체계 마련
2 추 진 경 위
BIM 설계도 표준
o ‘18. 10. : 고속도로 BIM 설계도 표준 잠정기준 수립
- 양평이천 2공구 BIM 시범설계 성과품 작성
o ‘20. 7. : 고속도로 BIM 설계도 표준 제정
- 대산당진 4공구 BIM 전면설계 성과품 작성
o ‘22. 3. ~ 4. : 도면기준 관련 특별제안 공모 및 개선(안) 마련
* 공모결과 : 13개社36건 접수 → 최우수(1), 우수(2), 장려(4) 선정
- 특별제안 아이디어를 반영‧고도화하여 도면기준 개선(안) 마련
o ‘22. 5. ~ 10. : 전문가 워크숍, S/W개발사 협의, 관계자 의견수렴
- 설계‧시공 엔지니어, S/W개발자 등 전문가 합동 워크숍(5월)
- 국내‧외 S/W사와 자동 도면생성 기능 개발 등 MOU 체결(6월)
- 개선(안)에 대한 설계사, 건설부서(건설처, 사업단) 의견수렴(8~10월)
태블릿용 디지털 도면
o ‘22. 2. ~ : “태블릿용 디지털 도면 개발” 특별과업 수행 중
- 시설물별(교량, 터널 등) 도면체계 표준(안) 마련 및 전문가 자문
78 ❙ 설계행정
3 BIM 도면 작성‧활용 방안
(1) BIM 설계도 표준 개정
◈ BIM에서 형상 추출 용이, 추가 작업이 최소화되도록 내용 간소화
◈ S/W에 의한 도면 자동생성 기능 개발에 유리하도록 규격 표준화
BIM에서 형상 추출이 용이하도록 등각면도를 줄이고 내용 간소화
o (당초) 종이도면을 통해 BIM 모델의 적정성을 검토할 수 있도록
3차원 등각면도를 기본 뷰로 BIM 도면 작성
o (개정) BIM 모델 적정성은 S/W를 통해 별도 검토하고, 도면은 평면
‧단면의 뷰 표현을 기본으로 필수 내용만으로 표현 간소화*
* BIM 모델을 통해 다양한 공사정보 확인 가능하므로 표현 간소화 가능
➡
S/W에 의한 자동도면 생성에 유리하도록 “A3”로 규격 표준화
o (당초) 종‧평면도는 세로방향 길이가 임의로 변화하는 비규격으로
S/W에 의한 도면 생성 자동화에 불리하고, 실제 “A1” 크기의 도면을
“A3”로 출력하여 사용함에 따라 출력도면에서 축척이 맞지 않음
o (개정) 모든 도면의 도곽을 “A3”로 표준화하고, A3 규격에 맞도록
축척을 변경 적용
설계행정
설계행정 ❙ 79
- 특히, 종‧평면도는 “A3”도면으로 작성하기 위해 수평과 수직의
축척을 동일하게 적용
➡
A1을 A3로 출력, 도면상 축척 불일치 A3 표준화, 도면상에서 실제 축척 일치
H=1:1,000, V=1:200 (1:5 비율) 수평, 수직 동일 S=1:2,000 (1:1 비율)
도면 상단의 중복 문구를 삭제하고, 제도영역과 정보영역을 구분하여
지면 활용과 정보 전달의 효율성 향상 도모
o (당초) 상‧하단의 “도면제목”, “공사명” 등이 중복되어 제도영역이
축소되고, 제도정보과 노트정보가 도면상에 임의로 배치됨
o (개정) 도면 상단의 중복 정보를 삭제, 제도영역과 정보영역을 구분
➡
제도영역 정보영역
공사명, 공구명 중복
⇨
도면 상단 공사명, 공구명 삭제
도면제목, 보조설명 중복 도면 상단 도면제목, 보조설명 삭제
노트정보의 임의 배치 제도영역과 정보(노트)영역 구분
80 ❙ 설계행정
BIM 설계 특성을 반영한 도면 개선
o (배수계획도) 종‧평면도에서 배수계획 내용을 분리하여 별도 작성
- 종‧평면도에 배수계획이 통합 작성됨에 따라 BIM 모델에서 형상
추출 후 후처리 작업 과다 → 배수계획이 필요한 토공구간에
한해 “배수계획평면도” 별도 작성 (※교량, 터널 구간 제외)
o (좌표관리도) BIM 데이터 활용하여 시공 중 필요한 좌표 정보 제공
- 구조물 시공 중 필요한 좌표정보를 설계 BIM 모델의 정보를
통해 “좌표관리도”를 작성
(신설) 배수계획평면도 (신설) 좌표관리도
o (철근재료표) BIM S/W에서 추출된 재료표를 가공 없이 원본 이용
- 기존 양식 철근재료표 작성을 위해 BIM 모델에서 후처리 작업
과다 → BIM S/W에서 추출된 재료표를 그대로 수록하여 사용
➡ㅇ
철근 종류, 직경별로 별도 정리 S/W에서 자동생성되는 결과물 활용
설계행정
설계행정 ❙ 81
(2) 태블릿용 디지털 도면 작성 ‧ 활용
◈ BIM의 현장 활용을 위해 태블릿 기반의 디지털 도면체계 수립
(도면형식) 태블릿PC 성능(데이터 용량), 경제성, 사용성 등을 종합
고려*하여 “3D PDF” 형식 적용
* BIM Viewer와 3D PDF 비교
구 분 BIM Viewer 3D PDF
데이터
클라우드 기반의 BIM 원본파일
(별도 변환작업 불필요)
BIM 원본모델을 3D PDF 변환
(원본을 PDF 변환 후 사용)
경제성 연간 2천만원 이상(1개 공구) 저가의 PDF Viewer 사용
사용성
인터넷 연결 필요
(데이터량 大, 뷰잉속도 느림)
인터넷 불필요, 태블릿 저장 사용
(데이터량 小, 뷰잉속도 양호)
(도면체계) 기존 종이도면을 대체 가능하고, 현장검측 업무에 활
용 가능하도록 도면 세분화
o (구성) 태블릿 성능(데이터크기) 고려, 검측업무에 직접 활용 위해
검측단위*로 세분화
* 【구성 예】 (종이도면) 교각 구조도 → (디지털 도면) 기초, 기둥, 코핑부로 분할 작성
o (정보) 검측 필요정보(위치정보[좌표, 레벨], 부재치수[길이, 폭, 높이],
재료정보[강도, 철근종류‧직경 등] 등) 수록
o (도면연계) 종이도면에 QR코드를
삽입하여 태블릿 도면과 연계
* QR코드 스캔 → 부재별 도면 확인
82 ❙ 설계행정
4 적 용 방 안
BIM 설계도 표준
o 설계 중 노선 : 본 방침 적용
태블릿용 디지털 도면
o 시범적용 및 사용성 검증 : 시공 중 노선 대상 선정*(건설처 협조)
* 양평이천 건설공사 테스트베드 구간 등 시범적용 후 보완
o 디지털 도면 작성 효율화 기술개발 추진
- 계양-강화 등 신규 착수노선 효율적 적용을 위한 디지털 도면 작
성 자동화 기술개발 용역 시행(‘23)
5 향후 추진계획
‘22. 12. : BIM 기반 설계도 표준 개정
* BIM S/W 개발사와 협업을 통해 도면추출 자동화를 위한 S/W 기능개선 추진
‘22. 12. : 태블릿용 디지털도면 작성 매뉴얼 수립
‘23. 1. ~ 12. : 디지털 도면작성 효율화 기술용역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