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설계행정

설계행정 ❙ 53

17

설계행정

시공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단계별 기초현황

관리 프로세스 구축

설계처-2726

(2022.08.30.)

1 추 진 목 적

 설계단계에서 시공*·유지관리성 및 위해요소** 등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이 가능한 기초현황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 건설 및 유지관리단계에서 발생될 위해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시공·유지관리성 향상을 도모코자함

* 시공성 저하 사례 (양평∼이천, 2공구) : 공구내 교각 직경이 상이하여

거푸집도 각각 제작필요 → 시공성 저하 ☞ 교각직경 통일시 시공성 향상

교각 직경 2.3m 2.5m 2.6m

개 수 1 1 2

** 위해요소 발생사례 (상주∼영천) : 도로결빙 관리소홀로 미끄럼연쇄 추돌사고

→ 인명피해(사망7, 부상 41명) 발생

☞ 결빙위험지수 도입을 통한 위해(危害)요소 최소화 가능 (설계처-2828, 2020)

2 추 진 경 위

 2009. 2 : 설계감독 Check List 개정

- 감독 Check List(1994년), 설계도서 작성기준(2005년) 통합․개정(163개 항목)

 2011. 6 : 설계업무 매뉴얼 및 Check List 제정

- Check List : 설계감독 Check List(2009년) 전면 수정보완(326개 항목)

 2014. 8 : 설계 “검측 Check List” 도입

- 검측 Check List(127개 항목)와 일반 Check List(268개 항목) 구분

* 검측 Check List : 설계 단계별 감독원 필수 확인항목

* 일반 Check List : 설계행정 등 설계사, 감독원이 알아야 할 항목

설계과정에서 확인뿐만 아니라

설계성과에 대해 의사결정할 수 있는 기초현황 관리체계 필요

54 ❙ 설계행정

3 설계단계 기초현황 관리프로세스 구축

 기초현황관리프로세스  기초현황관리항목선정  기초현황 관리·운영

∙3·3 확인·검증체계

- 설계단계별 : 3단계

- 확인주체별 : 3회

∙시공성, 유지관리성 등을

고려한기초현황항목발굴

∙일관성 유지를 위해

표준양식 마련

∙관리보고서 작성 후

방침수립시 결재

∙매년 초 업데이트

 기초현황 관리프로세스 구축

o 설계 세부검토보다는 설계단계별 의사결정이 가능한 성과중심으로

기초현황 관리항목 선정

o 기초검증 프로세스 구축 : 3·3 확인·검증 체계

- 설계단계별 : 노선선정, 구조물계획, 성과품 등 3단계

- 검증주체별 : 1차 확인(설계사), 2차 확인(감독), 3차 검증(담당팀장)

구분 기초현황 관리프로세스

기존

개선

설계착수 노선계획

VE단계

(자체VE포함) 방침수립

부적합

최적

시공성/유지관리

검증

Feedback 기초현황보고서 첨부

구조물계획

성과품

1차 확인

(설계사)

2차 확인

(노선감독)

3차 검증

(노선팀장)

의사결정이 가능한

성과중심의 검증

※ 기존 체크리스트는 본 방침과 별도로 확인

설계행정

설계행정 ❙ 55

 기초현황 관리항목 선정

o 시공성, 유지관리성 및 위해요소를 고려한 기초현황 항목선정

구분 노선선정 구조물형식 성과품 계

항목수 15 3 6 24

※ 주요착안 사항 : 시공성, 유지관리성, 안전성, 재난관련 사항 등

o 기초확인 관리항목 주요내용 [세부내용-붙임 1]

설 계 단 계 구 분 항목

노 선 선 정(15)

출입시설(IC, 졸음쉼터,휴게소 등) 3

구조물(교량,터널) 7

기하구조 3

재난관리 2

구 조 물 계 획(3) 교량 3

성 과 품(6)

토공 1

교량 4

터널 1

 기초현황 관리·운영 방안

o 기초현황 확인을 위한 항목별 표준양식 마련 [붙임-2]

※예시) 노선-01 출입시설간 간격 2km 미만인 구간 위치

최근설계 해당개소 본과업 해당개소

비고

평균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0.12 0 1 0.2 0 1 대책-별첨

o 설계단계별 기초현황 보고서 작성 후 보고·결재 [붙임-3]

- (시 기) 노선방침 수립 시 / 교량계획VE 요청 시 / 성과품심의 요청 시

- (보고내용) 사업개요, 기초현황 및 최근노선(2개 이상) 비교 등

※ 필요시 최적판단 사유 및 대책방안 제시

- (결재방법) 팀장급 이상 결재, 단 설계처 모든 팀장에게 협조 시행

o 기초현황 항목 업데이트 실시 : (정기) 매년 초 (상시) 필요시

4 적 용 방 안

 실시설계 중 노선 : 본 방침 적용

56 ❙ 설계행정

붙 임 자 료(별첨)

붙임 1 기초현황 항목

붙임 2 단계별 기초현황 항목 작성양식

붙임 3 (노선선정 단계) 기초현황 보고서 샘플

붙임 4 기초현황 항목에 대한 대책수립(예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8714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512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164
15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1.17 380
152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_안전활동 및 현장 직업특성을 반영한 공사기간 산정 세부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7 164
15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2_설계단계 건설엔지니어링 업무 안전관련 법령 의무사항 이행방안 file 효선 2025.01.17 151
151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3_작업자 안전 확보를 위한 가시설물 적정 비용 반영 검토 file 효선 2025.01.17 131
151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4_안전비용의 적정 집행을 위한 「현장상주 안전보조원」설계적용 검토 file 효선 2025.01.17 175
15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5_설계단계 중장기 탄소저감 추진방안 file 효선 2025.01.16 149
151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6_출입시설구간 도로구역결정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35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7_시공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단계별 기초현황 관리프로세스 구축 file 효선 2025.01.16 147
15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8_특정공법 설계 및 사후 평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224
15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9_BIM설계성과의 체계적관리 및 활용성증대를 위한「목적물기반설계내역서」작성기준 file 효선 2025.01.16 170
15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0_BIM 설계도 작성 개선 및 활용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73
15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1_고속도로 신설 및 확장구간 MMS 표준자료 구축체계 수립 file 효선 2025.01.16 156
15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2_레미콘 현장 배치플랜트(BP) 안전관리 및 공사비 현실화 file 효선 2025.01.16 187
15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1-13_「이행보증보험제도」 도입을 통한 주택사업자 소음대책 규제 혁신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28
15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2-1_진출입부 역주행 방지 종합 대책 file 효선 2025.01.16 162
15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1_장기 거동 특성을 반영한 비탈면 보강 영구앵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54
15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2_현장 작업여건을 반영한 배수시설 형상 및 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67
15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3_비탈면 현황도 작성을 위한 깎기 비탈면 분할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6 192
15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1_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PSC 거더 배치간격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83
15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2_GFRP 보강근 잠정 설계·시공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6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