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고속도로 BIM 데이터작성기준_2020_2장 배수 및 옹벽공사
2021.01.27 15:34
목차
1
개요·························제1장토공사1-1 ·························제2장배수및옹벽공사 2-1 ·························제3장교량공사3-1 ·························제4장포장공사4-1 ·························제5장부대공사5-1 ·························제6장터널공사6-1 ·························
제2장 배수및 옹벽공사
제2장 배수 및 옹벽공사
공 종 명 규 격 수량 단위 비고
2. 배수 및 옹벽공 식
2.01 토공
a 측구터파기공
a-1 측구터파기 ( 토사 ) 인력 10%+ 기계 90% M3
a-2 측구터파기 ( 리핑암 ) 인력 10%+ 기계 90% M3
a-3 측구터파기 ( 발파암 ) 인력 10%+ 기계 90% M3
a-4 측구되메우기및다짐 ( 토사 ) 기계 M3
a-5 되메우기 비다짐 M3
b 구조물터파기
b-1 구조물터파기 ( 육상토사 ) 0-2m( 인력 10%+ 기계 90%) M3
b-2 구조물터파기 ( 육상토사 ) 2-4m( 인력 10%+ 기계 90%) M3
b-3 구조물터파기 ( 육상토사 ) 4-6m( 인력 10%+ 기계 90%) M3
b-4 구조물터파기 ( 육상토사 ) 6-8m( 인력 10%+ 기계 90%) M3
b-5 구조물터파기 ( 육상토사 ) 8~10m( 인력 10%+ 기계 90%) M3
b-6 구조물터파기 ( 육상토사 ) 10~12m( 인력 10%+ 기계 90%) M3
b-7 구조물터파기 ( 육상리핑암 ) 0-2m( 인력 10%+ 기계 90%) M3
b-8 구조물터파기 ( 육상리핑암 ) 2-4m( 인력 10%+ 기계 90%) M3
b-9 구조물터파기 ( 육상리핑암 ) 4-6m( 인력 10%+ 기계 90%) M3
b-10 구조물터파기 ( 육상리핑암 ) 6-8m( 인력 10%+ 기계 90%) M3
b-11 구조물터파기 ( 육상발파암 ) 0-2m( 인력 10%+ 기계 90%) M3
b-12 구조물터파기 ( 육상발파암 ) 2-4m( 인력 10%+ 기계 90%) M3
b-13 구조물터파기 ( 육상발파암 ) 4-6m( 인력 10%+ 기계 90%) M3
b-14 구조물터파기 ( 육상발파암 ) 6-8m( 인력 10%+ 기계 90%) M3
b-15 구조물터파기 ( 용수토사 ) 0-2m( 인력 10%+ 기계 90%) M3
b-16 구조물터파기 ( 용수토사 ) 2-4m( 인력 10%+ 기계 90%) M3
b-17 구조물터파기 ( 용수토사 ) 4-6m( 인력 10%+ 기계 90%) M3
b-18 구조물터파기 ( 용수토사 ) 6-8m( 인력 10%+ 기계 90%) M3
2-1
고속국도 제00호선 00~00간 건설공사
공 종 명 규 격 수량 단위 비고
b-19 구조물터파기 ( 용수토사 ) 8-10m( 인력 10%+ 기계 90%) M3
b-20 구조물터파기 ( 용수토사 ) 10-12m( 인력 10%+ 기계 90%) M3
b-21 구조물터파기 ( 용수리핑암 ) 0-2m( 인력 10%+ 기계 90%) M3
b-22 구조물터파기 ( 용수리핑암 ) 2-4m( 인력 10%+ 기계 90%) M3
b-23 구조물터파기 ( 용수리핑암 ) 4-6m( 인력 10%+ 기계 90%) M3
b-24 구조물터파기 ( 용수발파암 ) 0-2m( 인력 10%+ 기계 90%) M3
b-25 구조물터파기 ( 용수발파암 ) 2-4m( 인력 10%+ 기계 90%) M3
b-26 구조물터파기 ( 용수발파암 ) 4-6m( 인력 10%+ 기계 90%) M3
b-27 구조물터파기 ( 용수발파암 ) 브레이커기계터파기 M3
c 되메우기및다짐 ( 토사 )
c-1 되메우기및다짐 기계 M3
c-2 되메우기및다짐 비다짐 M3
d 물푸기 HR 수동
2.02 측구공
a L 형측구
a-1 L 형측구 ( 형식 -1)
a-1-1 L 형측구 ( 형식 -1)( 원가 ) 0.25×0.45 M( 기계 )-토사 , 리핑 , 발파 10M 미만-표준 M
a-1-1 L 형측구 ( 형식 -1)( 표준시장 ) 0.25×0.45 M( 기계 )-토사 , 리핑 , 발파 10M 미만-표준 M
a-1-2 L 형측구 ( 형식 -1-1)( 원가 ) H=0.45 M( 기계 )-쌓기부 M
a-1-2 L 형측구 ( 형식 -1-1)( 표준시장 ) H=0.45 M( 기계 )-쌓기부 M
a-1-3 L 형측구 ( 형식 -1-2)( 원가 ) H=0.45 M( 기계 )-녹지대 M
a-1-3 L 형측구 ( 형식 -1-2)( 표준시장 ) H=0.45 M( 기계 )-녹지대 M
a-1-4 L 형측구 ( 형식 -1-3)( 원가 ) H=0.45 M( 기계 )-길어깨보강부 M
a-1-4 L 형측구 ( 형식 -1-3)( 표준시장 ) H=0.45 M( 기계 )-길어깨보강부 M
a-1-5 L 형측구 ( 형식 -1-3-1)( 원가 ) H=0.43 M( 기계 )-길어깨보강부 M
a-1-5 L 형측구 ( 형식 -1-3-1)( 표준시장 ) H=0.43 M( 기계 )-길어깨보강부 M
a-1-6 L 형측구 ( 형식 -1-3-2)( 원가 ) H=0.48 M( 기계 )-길어깨보강부 M
2-2
제2장 배수 및 옹벽공사
공 종 명 규 격 수량 단위 비고
a-1-6 L 형측구 ( 형식 -1-3-2)( 표준시장 ) H=0.48 M( 기계 )-길어깨보강부 M
a-2 L 형측구 ( 형식 -2)
a-2-1 L 형측구 ( 형식 -2-1)( 원가 ) 0.605×1.20 M( 기계 )-토사 20M 미만 -표준 M
a-2-1 L 형측구 ( 형식 -2-1)( 표준시장 ) 0.605×1.20 M( 기계 )-토사 20M 미만 -표준 M
a-2-2 L 형측구 ( 형식 -2-1)( 원가 ) 0.605×1.20 M( 기계 )-리핑 20M 미만 -표준 M
a-2-2 L 형측구 ( 형식 -2-1)( 표준시장 ) 0.605×1.20 M( 기계 )-리핑 20M 미만 -표준 M
a-2-3 L 형측구 ( 형식 -2-1)( 원가 ) 0.605×1.20 M( 기계 )-발파 20M 미만 -표준 M
a-2-3 L 형측구 ( 형식 -2-1)( 표준시장 ) 0.605×1.20 M( 기계 )-발파 20M 미만 -표준 M
a-2-4 L 형측구 ( 형식 -2-2)( 원가 ) 0.605×1.30 M( 기계 )-토사 20M 미만 터널입출구부구간-표준 M
a-2-4 L 형측구 ( 형식 -2-2)( 표준시장 ) 0.605×1.30 M( 기계 )-토사 20M 미만 터널입출구부구간-표준 M
a-2-5 L 형측구 ( 형식 -2-2)( 원가 ) 0.605×1.30 M( 기계 )-리핑 20M 미만 터널입출구부구간-표준 M
a-2-5 L 형측구 ( 형식 -2-2)( 표준시장 ) 0.605×1.30 M( 기계 )-리핑 20M 미만 터널입출구부구간-표준 M
a-2-6 L 형측구 ( 형식 -2-2)( 원가 ) 0.605×1.30 M( 기계 )-발파 20M 미만 터널입출구부구간-표준 M
a-2-6 L 형측구 ( 형식 -2-2)( 표준시장 ) 0.605×1.30 M( 기계 )-발파 20M 미만 터널입출구부구간-표준 M
a-2-7 L 형측구 ( 형식 -2-2)( 원가 ) 0.605×1.30 M( 기계 )-쌓기부구간 -표준 M
a-2-7 L 형측구 ( 형식 -2-2)( 표준시장 ) 0.605×1.30 M( 기계 )-쌓기부구간 -표준 M
a-2-8 L 형측구 ( 형식 -2-3)( 원가 ) 0.500×0.96 M( 기계 )-토사 , 터널입출구부 추월차로구간-표준 M
a-2-8 L 형측구 ( 형식 -2-3)( 표준시장 ) 0.500×0.96 M( 기계 )-토사 , 터널입출구부 추월차로구간-표준 M
a-2-9 L 형측구 ( 형식 -2-3)( 원가 ) 0.500×0.96 M( 기계 )-리핑 , 터널입출구부 추월차로구간-표준 M
a-2-9 L 형측구 ( 형식 -2-3)( 표준시장 ) 0.500×0.96 M( 기계 )-리핑 , 터널입출구부 추월차로구간-표준 M
a-2-10 L 형측구 ( 형식 -2-3)( 원가 ) 0.500×0.96 M( 기계 )-발파 , 터널입출구부 추월차로구간-표준 M
a-2-10 L 형측구 ( 형식 -2-3)( 표준시장 ) 0.500×0.96 M( 기계 )-발파 , 터널입출구부 추월차로구간-표준 M
a-2-11 L 형측구 ( 형식 -2-3)( 원가 ) 0.500×0.96 M( 기계 )-쌓기부 -표준 M
a-2-11 L 형측구 ( 형식 -2-3)( 표준시장 ) 0.500×0.96 M( 기계 )-쌓기부 -표준 M
a-2-12 L 형측구 ( 형식 -2-4)( 원가 ) 1.130×0.96 M( 기계 ) M
a-2-12 L 형측구 ( 형식 -2-4)( 표준시장 ) 1.130×0.96 M( 기계 ) M
a-2-13 L 형측구 ( 형식 -2-5)( 원가 ) 0.930×0.96 M( 기계 ) M
2-3
고속국도 제00호선 00~00간 건설공사
공 종 명 규 격 수량 단위 비고
a-2-13 L 형측구 ( 형식 -2-5)( 표준시장 ) 0.930×0.96 M( 기계 ) M
a-2-14 L 형측구 ( 형식 -2-6)( 원가 ) 1.035×1.30 M( 기계 ) M
a-2-14 L 형측구 ( 형식 -2-6)( 표준시장 ) 1.035×1.30 M( 기계 ) M
a-3 L 형측구 ( 형식 -3)
a-3-1 L 형측구 ( 형식 -3)( 원가 ) 1.20×2.30 M( 인력 )-발파 20M 이상 -표준 M
a-3-1 L 형측구 ( 형식 -3)( 표준시장 ) 1.20×2.30 M( 인력 )-발파 20M 이상 -표준 M
a-4 L 형측구 ( 형식 -4)
a-4-1 L 형측구 ( 형식 -4)( 원가 ) 0.70×0.35M( 기계 )-부체도로용 , 깎기부 -표준 M
a-4-1 L 형측구 ( 형식 -4)( 표준시장 ) 0.70×0.35M( 기계 )-부체도로용 , 깎기부 -표준 M
a-4-2 L 형측구 ( 형식 -4-1)( 원가 ) H=0.35M( 기계 )-부체도로용 , 쌓기부 M
a-4-2 L 형측구 ( 형식 -4-1)( 표준시장 ) H=0.35M( 기계 )-부체도로용 , 쌓기부 M
a-4-3 L 형측구 ( 형식 -4-2)( 원가 ) H=0.35M( 기계 )-국도부체도로용 , 쌓기부 M
a-4-3 L 형측구 ( 형식 -4-2)( 표준시장 ) H=0.35M( 기계 )-국도부체도로용 , 쌓기부 M
a-5 L 형측구 ( 형식 -5)
a-5-1 L 형측구 ( 형식 -5)( 원가 ) 2.50×0.35M( 인력 )-소단측구 , 깎기부 -표준 M
a-5-1 L 형측구 ( 형식 -5)( 표준시장 ) 2.50×0.35M( 인력 )-소단측구 , 깎기부 -표준 M
a-5-2 L 형측구 ( 형식 -5-1)( 원가 ) 1.00×0.20 M( 인력 )-소단측구 , 깎기부 -표준 M
a-5-2 L 형측구 ( 형식 -5-1)( 표준시장 ) 1.00×0.20 M( 인력 )-소단측구 , 깎기부 -표준 M
a-6 L 형측구 ( 형식 -6)
a-6-1 L 형측구 ( 형식 -6)( 원가 ) 1.00×0.20M( 인력 )-소단측구 , 쌓기부 -표준 M
a-6-1 L 형측구 ( 형식 -6)( 표준시장 ) 1.00×0.20M( 인력 )-소단측구 , 쌓기부 -표준 M
a-6-2 L 형측구 ( 형식 -6-1)( 원가 ) ( 인력 )-쌓기부 , 돌붙임구간 M
a-6-2 L 형측구 ( 형식 -6-1)( 표준시장 ) ( 인력 )-쌓기부 , 돌붙임구간 M
a-6-3 L 형측구 ( 형식 -6-2)( 원가 ) ( 인력 )-쌓기부 , 사면조정구간 M
a-6-3 L 형측구 ( 형식 -6-2)( 표준시장 ) ( 인력 )-쌓기부 , 사면조정구간 M
a-7 L 형측구 ( 형식 -7)
a-7-1 L 형측구 ( 형식 -7-1)( 원가 ) H=0.45M( 기계 )-분리구간 , 깎기부 M
2-4
제2장 배수 및 옹벽공사
공 종 명 규 격 수량 단위 비고
a-7-1 L 형측구 ( 형식 -7-1)( 표준시장 ) H=0.45M( 기계 )-분리구간 , 깎기부 M
a-7-2 L 형측구 ( 형식 -7-2)( 원가 ) H=0.45M( 기계 )-분리구간 , 쌓기부 M
a-7-2 L 형측구 ( 형식 -7-2)( 표준시장 ) H=0.45M( 기계 )-분리구간 , 쌓기부 M
a-8 L 형측구 ( 형식 -8)
a-8-1 L 형측구 ( 형식 -8-1)( 원가 ) H=0.45M( 기계 )-졸음쉼터구간 , 깎기부 M
a-8-1 L 형측구 ( 형식 -8-1)( 표준시장 ) H=0.45M( 기계 )-졸음쉼터구간 , 깎기부 M
a-8-2 L 형측구 ( 형식 -8-2)( 원가 ) H=0.45M( 기계 )-졸음쉼터구간 , 쌓기부 M
a-8-2 L 형측구 ( 형식 -8-2)( 표준시장 ) H=0.45M( 기계 )-졸음쉼터구간 , 쌓기부 M
a-8-3 L 형측구 ( 형식 -8-3)( 원가 ) H=0.45M( 기계 )-졸음쉼터구간 , 녹지대 M
a-8-3 L 형측구 ( 형식 -8-3)( 표준시장 ) H=0.45M( 기계 )-졸음쉼터구간 , 녹지대 M
a-8-4 L 형측구 ( 형식 -8-4)( 원가 ) H=0.50M( 기계 )-국도 , 지방도 M
a-8-4 L 형측구 ( 형식 -8-4)( 표준시장 ) H=0.50M( 기계 )-국도 , 지방도 M
a-8-5 L 형측구 ( 형식 -8-5)( 원가 ) H=0.50 M( 인력 )-국도 , 지방도 M
a-8-5 L 형측구 ( 형식 -8-5)( 표준시장 ) H=0.50 M( 인력 )-국도 , 지방도 M
a-9 L 형측구 ( 형식 -9)
a-9-1 L 형측구 ( 형식 -9)( 원가 ) H=0.40M( 기계 )-국도및지방도용 , 쌓기부 M
a-9-1 L 형측구 ( 형식 -9)( 표준시장 ) H=0.40M( 기계 )-국도및지방도용 , 쌓기부 M
a-10 L 형측구 ( 형식 -10)
a-10-1 L 형측구 ( 형식 -10)( 원가 ) H=0.45~1.20M( 인력 )-변화구간 M
a-10-1 L 형측구 ( 형식 -10)( 표준시장 ) H=0.45~1.20M( 인력 )-변화구간 M
a-11 L 형측구 ( 형식 -11)
a-11-1 L 형측구 ( 형식 -11)( 원가 ) H=1.20~2.30M( 인력 )-변화구간 M
a-11-1 L 형측구 ( 형식 -11)( 표준시장 ) H=1.20~2.30M( 인력 )-변화구간 M
a-12 L 형측구 ( 형식 -12)
a-12-1 L 형측구 ( 형식 -12-1)( 원가 ) 1.0×0.40M( 기계 )-군도 M
a-12-1 L 형측구 ( 형식 -12-1)( 표준시장 ) 1.0×0.40M( 기계 )-군도 M
a-12-2 L 형측구 ( 형식 -12-2)( 원가 ) 1.25×1.20M( 기계 )-군도 M
2-5
고속국도 제00호선 00~00간 건설공사
공 종 명 규 격 수량 단위 비고
a-12-2 L 형측구 ( 형식 -12-2)( 표준시장 ) 1.25×1.20M( 기계 )-군도 M
a-13 L 형측구 ( 형식 -13)
a-13-1 L 형측구 ( 형식 -13)( 원가 ) H=0.45~1.20M( 인력 )-표지판지주보호 M
a-13-1 L 형측구 ( 형식 -13)( 표준시장 ) H=0.45~1.20M( 인력 )-표지판지주보호 M
a-14 L 형측구 ( 형식 -14)
a-14-1 L 형측구 ( 형식 -14)( 원가 ) H=1.20M( 기계 )-국도및지방도용 , 깎기부 M
a-14-1 L 형측구 ( 형식 -14)( 표준시장 ) H=1.20M( 기계 )-국도및지방도용 , 깎기부 M
a-15 L 형측구 ( 형식 -15)
a-15-1 L 형측구 ( 형식 -15)( 원가 ) H=2.30M( 기계 )-국도및지방도용 , 깎기부 M
a-15-1 L 형측구 ( 형식 -15)( 표준시장 ) H=2.30M( 기계 )-국도및지방도용 , 깎기부 M
a-16 L 형측구 ( 형식 -16)
a-16-1 L 형측구 ( 형식 -16)( 원가 ) H=0.50~1.20M( 인력 )-국도및지방도용 , 변화구간 M
a-16-1 L 형측구 ( 형식 -16)( 표준시장 ) H=0.50~1.20M( 인력 )-국도및지방도용 , 변화구간 M
a-17 L 형측구 ( 형식 -17)
a-17-1 L 형측구 ( 형식 -17)( 원가 ) H=1.20~2.30M( 인력 )-국도및지방도용 , 변화구간 M
a-17-1 L 형측구 ( 형식 -17)( 표준시장 ) H=1.20~2.30M( 인력 )-국도및지방도용 , 변화구간 M
a-18 L 형측구 ( 형식 -18)
a-18-1 L 형측구 ( 형식 -18)( 원가 ) H=0.40~2.30M( 인력 )-국도및지방도용 , 변화구간 M
a-18-1 L 형측구 ( 형식 -18)( 표준시장 ) H=0.40~2.30M( 인력 )-국도및지방도용 , 변화구간 M
a-19 L 형측구 ( 형식 -19)
a-19-1 L 형측구 ( 형식 -19)( 원가 ) 0.50×0.50M( 기계 )-리도 M
a-19-1 L 형측구 ( 형식 -19)( 표준시장 ) 0.50×0.50M( 기계 )-리도 M
b U 형측구
b-1 U 형측구 ( 형식 -1)
b-1-1 U 형측구 ( 형식 -1)( 원가 ) 0.3×0.15M( 영업소 , 휴게소 )-표준 M
b-1-1 U 형측구 ( 형식 -1)( 표준시장 ) 0.3×0.15M( 영업소 , 휴게소 )-표준 M
b-1-2 U 형측구 ( 형식 -1-1)( 원가 ) 0.3×0.30M( 영업소 , 휴게소 )-표준 M
2-6
제2장 배수 및 옹벽공사
공 종 명 규 격 수량 단위 비고
b-1-2 U 형측구 ( 형식 -1-1)( 표준시장 ) 0.3×0.30M( 영업소 , 휴게소 )-표준 M
b-1-3 스틸그레이팅 설치 형식 -1,1-1( 자재제외 ) EA
b-2 U 형측구 ( 형식 -2)
b-2-1 U 형측구 ( 형식 -2) 0.6×0.60M( 시가지 , 휴게소 )-표준-콘크리트덮개 M
b-3 U 형측구 ( 형식 -3)
b-3-1 U 형측구 ( 형식 -3) 0.6×0.80M( 시가지 , 휴게소 )-표준-콘크리트덮개 M
b-4 U 형측구 ( 형식 -4)
b-4-1 U 형측구 ( 형식 -4) 0.6×1.00M( 시가지 , 휴게소 )-표준-콘크리트덮개 M
b-5 U 형측구 ( 형식 -5)
b-5-1 U 형측구 ( 형식 -5)( 원가 ) 0.3×0.50M(IC, 분리구간 )-표준 M
b-5-1 U 형측구 ( 형식 -5)( 표준시장 ) 0.3×0.50M(IC, 분리구간 )-표준 M
b-6 U 형측구 ( 형식 -6)
b-6-1 U 형측구 ( 형식 -6)( 원가 ) 0.3×0.60M-배수 M
b-6-1 U 형측구 ( 형식 -6)( 표준시장 ) 0.3×0.60M-배수 M
b-7 U 형측구 ( 형식 -7)
b-7-1 U 형측구 ( 형식 -7)( 원가 ) 0.8×0.80M-배수 M
b-7-1 U 형측구 ( 형식 -7)( 표준시장 ) 0.8×0.80M-배수 M
b-8 U 형측구 ( 형식 -8)
b-8-1 U 형측구 ( 형식 -8)( 원가 ) 0.4×0.40M-용수 M
b-8-1 U 형측구 ( 형식 -8)( 표준시장 ) 0.4×0.40M-용수 M
b-9 U 형측구 ( 형식 -9)
b-9-1 U 형측구 ( 형식 -9)( 원가 ) 0.5×0.50M-용수 M
b-9-1 U 형측구 ( 형식 -9)( 표준시장 ) 0.5×0.50M-용수 M
b-10 U 형측구 ( 형식 -10)
b-10-1 U 형측구 ( 형식 -10)( 원가 ) M
b-10-1 U 형측구 ( 형식 -10)( 표준시장 ) 0.6×0.60M-용수 M
b-11 U 형측구 ( 형식 -12)
2-7
고속국도 제00호선 00~00간 건설공사
공 종 명 규 격 수량 단위 비고
b-11-1 U 형측구 ( 형식 -12)( 원가 ) 0.3×0.45M-옹벽 M
b-11-1 U 형측구 ( 형식 -12)( 표준시장 ) 0.3×0.45M-옹벽 M
b-12 U 형측구 ( 형식 -13)
b-12-1 U 형측구 ( 형식 -13)( 원가 ) 0.5×0.50M-옹벽 M
b-12-1 U 형측구 ( 형식 -13)( 표준시장 ) 0.5×0.50M-옹벽 M
b-13 U 형측구 ( 형식 -14)
b-13-1 U 형측구 ( 형식 -14)( 원가 ) 0.3×0.30M-옹벽 M
b-13-1 U 형측구 ( 형식 -14)( 표준시장 ) 0.3×0.30M-옹벽 M
b-14 U 형측구 ( 형식 -15
b-14-1 U 형측구 ( 형식 -15)( 원가 ) 0.8×0.45M-옹벽 M
b-14-1 U 형측구 ( 형식 -15)( 표준시장 ) 0.8×0.45M-옹벽 M
c V 형측구
c-1 V 형측구 ( 형식 -1)
c-1-1 V 형측구 ( 형식 -1)( 원가 ) 1.01×0.45M-표준 M
c-1-1 V 형측구 ( 형식 -1)( 표준시장 ) 1.01×0.45M-표준 M
c-2 V 형측구 ( 형식 -2)
c-2-1 V 형측구 ( 형식 -2)( 원가 ) 1.10×0.60M-표준 M
c-2-1 V 형측구 ( 형식 -2)( 표준시장 ) 1.10×0.60M-표준 M
c-3 V 형측구 ( 형식 -3)
c-3-1 V 형측구 ( 형식 -3-1)( 원가 ) 1.46×0.60M-표준 M
c-3-1 V 형측구 ( 형식 -3-1)( 표준시장 ) 1.46×0.60M-표준 M
c-3-2 V 형측구 ( 형식 -3-2)( 원가 ) 1.80×0.60M-표준 M
c-3-2 V 형측구 ( 형식 -3-2)( 표준시장 ) 1.80×0.60M-표준 M
d 산마루측구
d-1 산마루측구 ( 형식 -1)
d-1-1 산마루측구 ( 형식 -1)( 원가 ) 1.01×0.45M-표준 M
d-1-1 산마루측구 ( 형식 -1)( 표준시장 ) 1.01×0.45M-표준 M
2-8
제2장 배수 및 옹벽공사
공 종 명 규 격 수량 단위 비고
d-2 산마루측구 ( 형식 -2)
d-2-1 산마루측구 ( 형식 -2)( 원가 ) 1.10×0.60M-표준 M
d-2-1 산마루측구 ( 형식 -2)( 표준시장 ) 1.10×0.60M-표준 M
d-3 산마루측구 ( 형식 -3)
d-3-1 산마루측구 ( 형식 -3-1)( 원가 ) 1.22×0.80M-표준 M
d-3-1 산마루측구 ( 형식 -3-1)( 표준시장 ) 1.22×0.80M-표준 M
d-3-2 산마루측구 ( 형식 -3-2)( 원가 ) 1.34×1.00M-표준 M
d-3-2 산마루측구 ( 형식 -3-2)( 표준시장 ) 1.34×1.00M-표준 M
d-4 산마루측구 ( 형식 -4)
d-4-1 산마루측구 ( 형식 -4-1)( 원가 ) L 형산마루측구 M
d-4-1 산마루측구 ( 형식 -4-1)( 표준시장 ) L 형산마루측구 M
d-4-2 산마루측구 ( 형식 -4-2)( 원가 ) L 형산마루측구 + ( 동물유도휀스 -부대이월 ) M
d-4-2 산마루측구 ( 형식 -4-2)( 표준시장 ) L 형산마루측구 + ( 동물유도휀스 -부대이월 ) M
d-4-3 산마루측구 ( 형식 -4-3)( 원가 ) L 형산마루측구 + ( 동물유도휀스 +점검계단-부대이월 ) M
d-4-3 산마루측구 ( 형식 -4-3)( 표준시장 ) L 형산마루측구 + ( 동물유도휀스 +점검계단-부대이월 ) M
d-5 산마루측 쏘일시멘트 인력비빔 타설
d-5-1 쏘일시멘트 ( 원가 ) 되메우기 M3
d-5-2 쏘일시멘트 ( 표준시장 ) 되메우기 M3
e 쌓기부다이크
e-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1) 일반구간
e-1-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1-1)( 원가 ) 0.25×0.45M( 일반 -콘크리트 , 아스팔트 , 절삭포장보수구간 )-표준 M
e-1-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1-1)( 표준시장 ) 0.25×0.45M( 일반 -콘크리트 , 아스팔트 , 절삭포장보수구간 )-표준 M
e-1-2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1-2)( 원가 ) 0.25×0.60M( 일반 -아스팔트 , 덧씌우기포장보수 , 종단오목구간 )-표준 M
e-1-2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1-2)( 표준시장 ) 0.25×0.60M( 일반 -아스팔트 , 덧씌우기포장보수 , 종단오목구간 )-표준 M
e-2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
e-2-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1) 길어깨보강부
e-2-1-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1-1)( 원가 ) 0.25×0.15M+0.33M( 콘크리트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33CM)-표준 M
2-9
고속국도 제00호선 00~00간 건설공사
공 종 명 규 격 수량 단위 비고
e-2-1-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1-1)( 표준시장 ) 0.25×0.15M+0.33M( 콘크리트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33CM)-표준 M
e-2-1-2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1-2)( 원가 ) 0.25×0.15M+0.30M( 콘크리트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30CM)-표준 M
e-2-1-2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1-2)( 표준시장 ) 0.25×0.15M+0.30M( 콘크리트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30CM)-표준 M
e-2-1-3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1-3)( 원가 ) 0.25×0.15M+0.28M( 콘크리트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28CM)-표준 M
e-2-1-3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1-3)( 표준시장 ) 0.25×0.15M+0.28M( 콘크리트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28CM)-표준 M
e-2-1-4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1-4)( 원가 ) 0.25×0.15M+0.26M( 콘크리트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26CM)-표준 M
e-2-1-4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1-4)( 표준시장 ) 0.25×0.15M+0.26M( 콘크리트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26CM)-표준 M
e-2-2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
e-2-2-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1)( 원가 ) 0.25×0.15M+0.33 M( 아스콘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33CM)-표준 M
e-2-2-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1)( 표준시장 ) 0.25×0.15M+0.33 M( 아스콘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33CM)-표준 M
e-2-2-2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2)( 원가 ) 0.25×0.15M+0.30 M( 아스콘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30CM)-표준 M
e-2-2-2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2)( 표준시장 ) 0.25×0.15M+0.30 M( 아스콘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30CM)-표준 M
e-2-2-3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5)( 원가 ) 0.25×0.15M+0.27 M( 아스콘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27CM)-표준 M
e-2-2-3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5)( 표준시장 ) 0.25×0.15M+0.27 M( 아스콘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27CM)-표준 M
e-2-2-4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7)( 원가 ) 0.25×0.15M+0.23 M( 아스콘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23CM)-표준 M
e-2-2-4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7)( 표준시장 ) 0.25×0.15M+0.23 M( 아스콘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23CM)-표준 M
e-2-2-5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1)( 원가 ) 0.25×0.15M+0.33 M( 콘크리트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37CM)-표준 M
e-2-2-5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1)( 표준시장 ) 0.25×0.15M+0.33 M( 콘크리트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37CM)-표준 M
e-2-2-6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6)( 원가 ) 0.25×0.15M+0.24 M( 콘크리트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24CM)-표준 M
e-2-2-6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2-2-6)( 표준시장 ) 0.25×0.15M+0.24 M( 콘크리트포장연결로보강구간 ,T =24CM)-표준 M
e-3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3)
e-3-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3-1)( 원가 ) 0.25×0.15M+0.33M( 방음벽구간 ,T=33CM)-표준 M
e-3-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3-1)( 표준시장 ) 0.25×0.15M+0.33M( 방음벽구간 ,T=33CM)-표준 M
e-3-2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3-2)( 원가 ) 0.25×0.15M+0.30M( 방음벽구간 ,T=30CM)-표준 M
e-3-2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3-2)( 표준시장 ) 0.25×0.15M+0.30M( 방음벽구간 ,T=30CM)-표준 M
e-3-3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3-3)( 원가 ) 0.25×0.15M+0.28M( 방음벽구간 ,T=28CM)-표준 M
e-3-3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3-3)( 표준시장 ) 0.25×0.15M+0.28M( 방음벽구간 ,T=28CM)-표준 M
2 -10
제2장 배수 및 옹벽공사
공 종 명 규 격 수량 단위 비고
e-4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4)
e-4-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4)( 원가 ) 분리구간 M
e-4-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4)( 표준시장 ) 분리구간 M
e-4-2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4-1)( 원가 ) 분리구간 M
e-4-2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4-1)( 표준시장 ) 분리구간 M
e-5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5)
e-5-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5)( 원가 ) 군도구간 M
e-5-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5)( 표준시장 ) 군도구간 M
e-6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6) M
e-6-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6)( 원가 ) 군도구간 M
e-6-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6)( 표준시장 ) 군도구간 M
e-7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7)
e-7-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7)( 원가 ) 연약지반구간 M
e-7-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7)( 표준시장 ) 연약지반구간 M
e-8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8)
e-8-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8)( 원가 ) 리도구간 M
e-8-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8)( 표준시장 ) 리도구간 M
e-9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9)
e-9-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9)( 원가 ) 국도구간 M
e-9-1 콘크리트다이크 ( 형식 -9)( 표준시장 ) 국도구간 M
f 동물이동경사로
f-1 동물이동경사로 형식 -1 개소
f-2 동물이동경사로 형식 -2 개소
f-3 동물이동경사로 형식 -3-1 개소
f-4 동물이동경사로 형식 -3-2 개소
2.03 맹암거
a 맹암거 ( 유공관있음 ) A=0.25 -0.50M2( 일반부 )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