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2020_도로설계요령_제2권_토공 및 배수_6편 배수시설_1.개요
2021.01.18 13:30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2권 토공 및 배수
토공 및 배수
제5편 토공
제6편 배수시설
제7편 암거
제2권
제 6 편 배수시설
제6편 배수시설
429
1.1 개요
도로의 배수계획은 노면, 비탈면, 도로 인접 지 및 지하배수 등 배수 구역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수리 현상을 조사, 분석하고 배수시설물을 통해 유입된 물을 자연스럽고 신속하게 처리
할 수 있도록 한다.
도로의 배수시설은 측구, 도수로, 집수정, 배수관 및 배수 암거 등이 있으며, 도로건설로 인
한 소하천 이설(개수로), 도시계획도로에 설치되는 우수받이, 우수관로, 맨홀 등도 있다.
신규 도로 계획 시 기존의 배수에 미치는 영향과 홍수 발생으로 인하여 도로가 받는 영향을
계획 · 설계단계에서 검토한다. 도로건설 예정지가 하천변에 위치하여 범람의 피해를 받을 가
능성이 있거나 기타 다른 수리적 요인으로 공용 중에 침수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입지 여건
과 수리학적인 조건을 분석 하고, 계획단계에서부터 수리 · 수문, 토질 및 기초, 구조 분야의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도로 노선을 결정한다.
1.2 용어정의
(1) 강우강도 : 일정기간 동안 내린 강우량을 단위시간에 내리는 강우량으로 표시한 것
(2) 강우강도곡선 : 강우지속기간과 그 때의 최대강우강도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시한 곡선도
(3) 개수로 : 대기압을 받으면서 자유수면을 가지고 물이 흐르는 수로
(4) 개거 : 지표면에 만든 수로
(5) 관거 : 개거와 암거의 총칭으로써 도로 배수시설 및 하수도시설의 우수 관거로 사용
(6) 관수로 : 수로단면에 물이 가득 찬 상태로 압력 차이에 의하여 흐르는 수로
(7) 구조물 배수 : 교량, 고가, 터널, 옹벽 등의 우수를 처리하는 것
(8) 그레이트 : 배수구의 뚜껑 등에 쓰이는 격자 모양의 철물
(9) 노면배수 : 도로 노면의 우수를 원활히 처리하여 교통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
1. 개요
제2권 토공 및 배수
430
(10) 노상 : 포장을 지지하는 포장하부 지반
(11) 도로저류시설 : 우수의 직접유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우수를 도로내 또는 지하에 침투시
키거나 저류시키는 시설
(12) 도로침투시설 : 우수를 도로내의 지하로 침투시켜서 우수의 노면유출을 저감시키는 시설
(13) 도시지역 : 시가지를 형성하고 있는 지역이나 그 지역의 발전 추세로 보아 시가지로 형
성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
(14) 맨홀 : 배수관 속의 점검이나 청소, 배수관의 연결이나 접합 등을 위해 설치된 시설
(15) 범람원 : 하천 양쪽의 자연제방 너머에 물이 범람하면 물에 잠기는 곳
(16) 배수 : 하천을 따라 유역내의 물을 제거하는 것, 건축물이나 부지 내에서 우수나 오
폐수 등을 배제하는 것, 배수공 등을 활용하여 과잉지 표수나 지중수를 인위적
으로 배제하는 것
(17) 비탈면배수 : 땅깎기, 흙쌓기에 의한 비탈면에서 지표를 통하여 유하하는 우수나 비탈
면에서 용출된 지하수를 배제하여 침식이나 안정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배수
(18) 선배수시설 : 도로 노면수를 연속적으로 배제시키기 위해 중앙분리대와 길어깨 부분에
연속하여 설치하는 시설
(19) 설계홍수량 : 홍수특성, 홍수빈도, 홍수피해의 가능성과 사회적 · 경제적 요인을 함께 고
려한 배수구조물의 설계기준으로 채택하는 최대 유량
(20) 시공기면 : 시공의 기준이 되는 높이
(21) 우수받이 : 도로 및 단지 등에서 흘러오는 우수를 모아 배수관으로 유출 시키는 받이
(22) 유역면적 : 도로 배수시설의 용량에 기여하는 면적
(23) 유출계수 : 특정 유역면적 내에서 일정기간에 걸쳐서 총강우량에 대한 총 유출량의
비율
(24) 조도계수 : 흐름이 있는 경계면의 거친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
(25) 지방지역 : 도시지역 외의 지역
(26) 지속기간 : 유역의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부터 홍수량 산정지점까지 강우가 도달하
는 시간
(27) 지하차도 : 지반을 굴착하여 도로의 기능을 하는 구조물을 시공한 후, 되메움과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시공되는 도로
제6편 배수시설
431
(28) 집수거 : 도로의 우수나 지표수를 모으는 집수정
(29) 집수정 : 우수를 한곳으로 모으기 위해 설치하는 시설
(30) 첨두유입량 : 해당시설물로 유입되는 최대 유량을 말하며, 지하구조물의 경우는 지하수
유입량을 포함
(31) 첨두유출량 : 배수유역에서 유출되는 최대유량
(32) 측구 : 도로의 노면배수를 위해 도로 끝 또는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만든 도랑
(33) 토석류 : 집중호우 등에 의한 산사태가 일어나서 토석이 물과 함께 하류 로 밀려 떠내려
가는 현상
(34) 편책 : 용출수 등에 의하여 사면이 침식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하는 울타리 형태의
보호공
(35) 토석류대책시설 : 토석류로 인한 시설물의 피해를 방지 또는 저감시키기 위한 시설
(36) 횡단배수 : 도로와 도로 인접지역으로 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도로를 횡단 하여 하천
또는 수로 등으로 배수시키기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