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3편 교량 하부 구조물_2.조사 및 계획
2021.01.18 15:15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3권 교량
교 량
제8편 교량
제8-1편 교량 계획
제8-2편 교량 상부 구조물
제8-3편 교량 하부 구조물
제8-4편 내진 설계
제8-5편 교량 부대시설물
제8-6편 교량의 확폭
제8-7편 옹벽
제8-8편 가설 구조물
제3권
제 8-3 편 교량 하부 구조물
제8-3편 교량 하부 구조물
355
2.1 조사
하부구조 설계를 위한 지반조사 및 실내실험은 KDS 24 14 51:2016 교량하부구조설계기준(한계상
태설계법)에 따른다.
2.2 흙의 분류
흙의 분류는 흙의 공학적 분류방법(KS F 2324)으로 분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표 2.1> 흙의 공학적 분류방법
주 요 구 분
분류
기호
대 표 명 분 류 방 법
조립토
No.200
체 통과
50%
이하
자갈
No. 4체
통과분
50%
이하
깨끗한
자갈
GW
입도분포 양호한 자갈
또는 자갈모래 혼합토
입도곡선으로
모래와 자갈의
비율을 정한다.
세립분
(No.200체
이하)의 백분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눈다.
5%이하
GW, GP,
SW, SP
12%이상
GM, GC,
SM, SC
D60
CU = ???????? : 4이상
D10
(D30)2
CC = ?????????????????? : 1 ~ 3
D10×D60
GP
입도분포 불량한 자갈
또는 자갈모래 혼합토
GW 분류기준에 맞지 않는다.
세립분을
함유한
자갈
GM
실트질 자갈, 자갈 모래
실트 혼합토
소성도에서
A선 아래
또는 PI < 4 소성도에서
사선을 한
부분에서는
이중기호로
GC 분류한다.
점토질 자갈, 자갈 모래
점토 혼합토
소성도에서
A선 위
또는 PI > 7
2. 조사 및 계획
제3권 교량
356
주 요 구 분
분류
기호
대 표 명 분 류 방 법
조립토
No.200
체 통과
50%
이하
모래
No.
4체통과
분 50%
이상
깨끗한
모래
SW
입도분포 양호한 모래
또는 자갈 섞인 모래
5 ~ 12%
경계선에서는
복기호
D60
CU = ???????? : 6이상
D10
(D30)2
CC = ?????????????????? : 1 ~ 3
D10×D60
SP
입도분포 불량한 모래
또는 자갈 섞인 모래
SW 분류기준에 맞지 않는다
세립분을
함유한
모래
세립분을
함유한
모래
SM
실트질 모래
실트 섞인 모래
소성도에서
A선 아래
또는 PI < 4
소성도에서
사선을 한
부분에서는
이중기호로
SC 분류한다.
점토질 모래
점토 섞인 모래
소성도에서
A선 위
또는 PI > 7
세립토
No.200
체 통과
50%
이상
실트 및 점토
LL < 50
ML
무기질 점토, 극세사,
암분, 실트 및 점토질
세사
<그림 2.1> 세립토의 분류를 위한 소성도
CL
저·중소성의 무기질 점토,
자갈섞인 점토, 모래 섞인
점토, 실트 섞인 점토,
점성이 낮은 점토
OL
저소성 유기질 실트,
유기질 실트 점토
실트 및 점토
LL > 50
MH
무기질 실트, 운모질 또는
규조질 세사 또는 실트,
탄성이 있는 실트
CH
고소성 무기질 점토, 점질
많은 점토
OH
중 또는 고소성 유기질
점토
유 기 질 토 PT
이탄토 등 기타
고유기질토
제8-3편 교량 하부 구조물
357
2.3 흙의 단위체적중량
흙의 단위체적중량은 토질시험 결과에 따라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토질시험을 하지 않는 경우
에는 표 2.2에 값을 참고할 수 있다.
<표 2.2> 흙의 단위체적중량
종 류 상 태
지하수위 이상에
있는 흙의
단위체적중량(kN/m3)
성
토
자갈섞인 모래 다져진 것 20
모 래 다져진 것
입도가 좋은 것 20
입도가 나쁜 것 19
사 질 토 다져진 것 19
점 성 토 다져진 것 18
자
연
지
반
자 갈
조밀한 것 또는 입도가 좋은 것
조밀하지 않은 것 또는 입도가 나쁜 것
20
18
자갈섞인 모래
조밀한 것
조밀하지 않은 것
21
19
모 래
조밀한 것 또는 입도가 좋은 것
조밀하지 않은 것 또는 입도가 나쁜 것
20
18
사 질 토
조밀한 것
조밀하지 않은 것
19
17
점 성 토
단단한 것(손가락으로 세게 눌러 약간 들어감,
N = 8 ~ 15)
약간 연한 것(손가락으로 보통 힘으로 눌러 들어감,
N = 4 ~ 8)
연한 것(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N = 2 ~ 4)
18
17
16
점토 및 실트
단단한 것(손가락으로 세게 눌러 약간 들어감,
N = 8 ~ 15)
약간 연한 것(손가락으로 보통 힘으로 눌러 들어감,
N = 4 ~ 8)
연한 것(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N = 2 ~ 4)
17
16
14
(가) 지하수위 이하에 있는 흙의 단위체적중량은 표 2.2에서 9를 뺀 값을 사용한다.
(나) 쇄석은 자갈과 같은 값으로 한다. 또 암버력, 암괴의 경우에는 종류 · 형상 · 크기 및 간극에
따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 자갈 섞인 사질토 또는 자갈 섞인 점성토에서는 혼합비율 및 상태에 따라서 적당한 값을
정한다.
제3권 교량
358
(라) 지하수위는 시공 후인 경우 평균치를 고려한다.
(마) 입도가 나쁜 모래란 예를 들면 입경이 균등한 모래를 말한다. 자갈의 경우도 같다.
2.4 점착력 및 전단저항각
흙의 전단강도는 원칙적으로 토질시험을 실시하여 구해야 하지만 표 2.3에 나타낸 값을 참고할 수도
있다.
<표 2.3> 흙과 암반의 전단저항각 및 점착력
종 류 상 태
전단저항각
(?)
점착력
(kN/m2)
성
토
자갈 및 자갈
섞인 모래
다져진 것 40 0
모 래 다져진 것
입도가 좋은 것 35 0
입도가 나쁜 것 30 0
사 질 토 다져진 것 25 30 이하
점 성 토 다져진 것 15 50 이하
자
연
지
반
자 갈
조밀한 것 또는 입도가 좋은 것
조밀하지 않은 것 또는 입도가 나쁜 것
40
35
0
0
자갈섞인 모래
조밀한 것
조밀하지 않은 것
40
35
0
0
모 래
조밀한 것 또는 입도가 좋은 것
조밀하지 않은 것 또는 입도가 나쁜 것
35
30
0
0
사 질 토
조밀한 것
조밀하지 않은 것
30
25
30 이하
0
점 성 토
단단한 것(손가락으로 세게 눌러 약간 들어감,
N = 8 ~ 15)
약간 연한 것(손가락으로 보통 힘으로 눌러 들어감,
N = 4 ~ 8)
연한 것(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N = 2 ~ 4)
25
20
15
50
30
15
점토 및 실트
단단한 것(손가락으로 세게 눌러 약간 들어감,
N = 8 ~ 15)
약간 연한 것(손가락으로 보통 힘으로 눌러 들어감,
N = 4 ~ 8)
연한 것(손가락이 쉽게 들어감, N = 2 ~ 4)
20
15
10
50
30
15
암
반
연암, 이암 원래의 지반함수비를 지닌 코어로 시험함 경우 무시
일축압축강도의
1/2
경 암 유사한 지반을 구하여서 시험결과를 이용하는 경우 무시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추정
제8-3편 교량 하부 구조물
359
(가) 흙의 전단강도는 가능한 한 토질시험을 실시하여 결정해야 한다. 특히 연약지반을 구성하는
점착력을 갖는 흙의 전단강도는 반드시 토질시험을 실시하여 결정해야 한다.
(나) 표 2.3에 나타낸 전단저항각 및 점착력의 값은 압밀-비배수(압밀-급속) 전단에 대한 값이다.
(다) 표 2.3에서는 흙쌓기에 대한 지하수, 용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라) 쇄석, 암버력, 암괴 등은 대체로 자갈에 준하여도 좋다.
(마) 자갈 또는 암괴가 섞인 사질토 및 점성토에서는 혼합비율,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값을 정한다.
(바) 시험에 의하지 않고 자연지반의 점토, 실트 및 점성토의 점착력을 결정하는 경우 표 2.3에
주어진 전단저항각과 추정된 선행하중에서 전단강도를 구하고 그 전단강도로 점착력을 가
정하여도 된다.
(사) 점성토의 점착력은 부득이한 경우 C = 6 ~ 10N(kN/m2)으로 추정할 수 있다.
2.5 지지지반의 선정
기초는 양질의 지지층에 지지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기초의 목적은 상부공 및 구체에서의 하중을 기초지반에 안전하고 확실하게 전달하는데 있
다. 따라서 충분한 두께를 갖는 양질의 지지층에 지지시켜야 한다. 양질인 지지층의 표준이
되는 N값은 표 2.4와 같다.
그러나 적당한 강도를 갖는 지반에서 어느 정도의 침하를 허용할 수 있을 때는 구조물의 중
요도와 경제성을 고려해서 마찰말뚝을 사용하는 편이 좋은 경우도 있다.
<표 2.4> 지지층과 N값
지지층
층의 분류
양질의 층 견고한 층
사질토
점성토
30 < N < 50
20 < N < 30
50 ≤ N
30 ≤ N
또, 부득이 중간의 얇은 층에 지지시키는 경우 하층에 대한 충분한 조사를 하고 지지력의 감
소 · 침하량의 산정을 해야 하며, 상부구조를 포함한 전체의 안정성에 대한 검토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제3권 교량
360
(2) N치 보정기준
N치 보정은 N치가 100이하인 토사에 대하여 적용하며 사용할 경험식의 유도 배경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보정한다.
각 보정항목에 대한 보정은 식 2.1을 이용한다.
N'60 = N × CN × η1 × η2 × η3 × η4 (2.1)
N60 = N × η1 × η2 × η3 × η4
여기서, N'60 : 해머효율 60%로 보정한 표준관입시험 결과
N60 : 유효응력보정만을 제외하고 보정한 표준관입시험 결과
N : 각 장비별 표준관입시험 결과
CN : 유효응력에 대한 보정
η1 : 해머효율 보정계수
η2 : 롯드길이 보정계수
η3 : 샘플러 종류에 대한 보정계수
η4 : 공경에 대한 보정계수
<표 2.5> 해머종류별 효율(η1)
해머종류 도넛(donut)형 안전(safety)형 자동(trip)형 개량 자동(modified auto-donut)형
효율 0.46 0.65 0.54 0.54
* 사용하는 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직접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보정하는 것이 바림직함
유효 상재하중에 대한 보정(CN) (Liao and Withman,1986)은 (2.2) 식을 사용한다.
CN P ′ (2.2)
여기서, P' : 시험위치의 유효상재압력(MPa)
<표 2.6> 롯드 길이에 따른 에너지 효율(η2)(Skempton, 1986)
롯드 길이(m) 효율(η2)
3 ~ 4 0.75
4 ~ 6 0.85
6 ~ 10 0.95
> 10 1.00
제8-3편 교량 하부 구조물
361
<표 2.7> 샘플러 종류별 효율(η3)(Skempton, 1986)
샘플러 종류 효율(η3)
라이너가 없는 경우 1.2
라이너가 있음 1.0
<표 2.8> 굴착 홀의 직경에 따른 효율(η4)(Skempton, 1986)
굴착홀 직경(mm) 효율(η4)
65 ~ 115 1.00
150 1.05
200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