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3권 교량

 

교 량

제8편 교량

제8-1편 교량 계획

제8-2편 교량 상부 구조물

제8-3편 교량 하부 구조물

제8-4편 내진 설계

제8-5편 교량 부대시설물

제8-6편 교량의 확폭

제8-7편 옹벽

제8-8편 가설 구조물

제3권

 

제 8-8 편 가설 구조물

 

제8-8 가설 구조물

903

9.1 일반사항

축도는 축도 내 토사, 재하 중인 케이슨 구체 중량 등에 대해서 충분히 견고한 구조로 해야 한다.

축도란 시공장소의 수심과 흙자루 · 목재널말뚝 · 강널말뚝 등에 따라서 원형 ·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둘레를 만들고 내부에 토사를 충분히 넣어 섬을 만드는 것으로, 수심이 매우

얕은 경우에도 조류 · 파도 · 유수 · 홍수 등을 고려해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심이 깊은 경우에는 강널말뚝에 의한 이중물막이공의 방법이 있지만, 수심이 매우 깊은 경

우나 하상지반이 연약하여 축도중량을 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일물막이공에 의한 축도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축도용 물막이 끝단은 파랑 등의 영향을 받으므로

시공 시 최고 수위보다 0.5 m 정도 높게 할 필요가 있고, 또 케이슨 구체에서 축도 벽면까지

는 작업대(지보공 등)를 고려해서 2 m 정도는 확보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단일물막이공에 의한 축도만을 고려하고 이중물막이공

에 의한 축도 등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1.2m

2.0m 정도

<그림 9.1> 축도의 설계

9. 단일물막이공에 의한 축도 설계

제2권 교량

904

9.2 재 료

축도에 사용하는 물막이 재료로는 강널말뚝의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하천 및 항만의 물막이 방법으로서 시공의 신속성, 확실성 및 안전성, 철거, 해체 시의 용이

성을 고려하여 강널말뚝에 의한 물막이공을 규정한 것이다. 그러나 강널말뚝의 타입이 불가

능한 경우 또는 조류가 심한 장소에서 급속시공의 경우에는 콜게이트 셀을 적용하거나 흙자

루, 목재널말뚝으로 시공할 수도 있으므로 재료의 선정에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9.3 물막이벽의 설계

물막이벽은 자립식 강널말뚝 벽으로서 설계하도록 하지만 원형으로 띠장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띠장

위치를 지점으로 한 강널말뚝 벽으로 설계하여도 좋다.

(1) 물막이벽에 작용하는 하중은 물막이벽 앞면, 배면의 토압, 잔류수압, 케이슨 구체에 의한 재하중을

고려한다.

(2) 강널말뚝 근입길이의 계산 및 단면계산은 ʻ5. 강널말뚝방식 흙막이공 및 단일물막이공의 설계ʼ에

준하기로 한다.

(3) 축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상저면 지반의 지지력, 세굴, 부풀음 등에 대하여 중분히 검토

해야 한다.

단일물막이공에 의한 축도 구조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분류한다.

띠장용 밴드

<그림 9.2> 축도의 구조

제8-8 가설 구조물

905

9.4 띠 장

원형 축도인 경우 사용하는 체결재는 축도의 구조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축도는 물막이공과 같이 엄격한 구조는 필요 없으나 수심이 있는 장소나 연약지반에서는 흙

막이벽의 널말뚝이 케이슨 중량과 뒤채움 토사의 토압 때문에 외측으로 전도되어 케이슨구체

에 손상을 주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되므로 와이어로프나 형강 등 체결재로 외측에서 체결하여

내력이 있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띠장 부재는 원칙적으로 인장력에만 견디면 된다.

<그림 9.3> 축도의 전도에 대한 대책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159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854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514
155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8.갱구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9 1992
154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7.터널 안정성 해석 file 황대장 2021.01.19 1058
153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6.콘크리트 라이닝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9 2728
152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5.지보 구조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9 1448
151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4.굴착 및 발파패턴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9 1638
150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3.조사 file 황대장 2021.01.19 1028
149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2.계획 file 황대장 2021.01.19 1868
148 2020_도로설계요령_제4권_터널_9-1편 터널 본체_1.개요 file 황대장 2021.01.19 1289
147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편집위원 및 자문위원 file 황대장 2021.01.18 856
»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9.단일물막이공에 의한 축도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8 1060
145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8.케이슨 지수벽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8 897
144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7.가설교량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8 1122
143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6.이중 물막이공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8 938
142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5.강널말뚝방식 흙막이공 및 단일물막이공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8 1544
141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4.버팀보방식 H말뚝 흙막이공의 설계 file 황대장 2021.01.18 1452
140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3.재료 file 황대장 2021.01.18 1858
139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2.조사 및 계획 file 황대장 2021.01.18 913
138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8편 가설 구조물_1.일반사항 file 황대장 2021.01.18 1030
137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7편 옹벽_8.특수 옹벽(보강토 옹벽) file 황대장 2021.01.18 2092
136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_교량_8-7편 옹벽_7.기타 설계 · 시공 상의 주의사항 file 황대장 2021.01.18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