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5권 포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 및 환경

 

포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

및 환경

제 10 편 포장

제 11 편 안전시설

제 12 편 부대시설

제 13 편 도로건설과 환경영향

제 14 편 방음시설

제 15 편 환경친화적 도로 건설

제 16 편 도로 경관

제5권

 

제 16 편 도로 경관

 

제16편 도로 경관

709

1.1 도로 경관의 개념

경관이란 어떤 대상(경관 대상)을 인간(경관 주체)이 바라봄으로써 성립하는 심상 또는 이미

지로서, 단순하게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바라볼 때 발생하는 인간의 심적 현상을 의

미한다.

경관은 눈에 비치는 모든 사물을 대상으로 하지만 경관의 중심이 되는 사물은 그것을 둘러싸

고 있는 환경으로 구분되며, 그 중심이 되는 사물을 경관의 주 대상이라 한다.

도로 경관은 도로가 경관의 중심이 되는 것으로서, 도로의 기능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과 조

화되어 미관적 · 생태적 가치를 높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것으로, 자연 · 풍경 · 환경 · 장

소 · 지리학 · 생태학 등의 개념과 비교를 통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그림 1.1> 도로 경관의 개념

1. 개요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10

1.2 도로 경관의 특징

도로 경관의 유형은 시점의 고정성 여부에 따라 정지 경관(지점 경관), 연속 경관(이동 경관)

으로 나누어진다.

정지 경관은 관광지나 도시의 전망대에서 전망을 보는 것과 같이 고정적인 시점에서 얻을

수 있는 경관을 의미하며, 투시도 · 사진적인 전망이고, 시간적으로는 비교적 단시간의 현상

이다.

연속 경관은 자동차를 운전할 때와 같이 시점을 이동시켜 차례로 변하여 가는 장면을 잇달아

체험하여 가는 경관으로, 시간적으로 그다지 길지 않고, 대상 자체의 형상은 변화하지 않는

특성을 나타낸다.

경관의 변화는 시점의 변화에 따라 다르며, 이와 같은 종류의 경관을 이동 경관이라 하고,

특히, 시간에 따른 경관의 변화가 현저하거나 시점의 이동경로가 한정되는 경우를 연속 경관

이라고 한다.

<표 1.1> 도로 경관의 구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내부 경관

정지 경관

∙ 서있는 보행자의 시점 ∙ 정차하여 있는 운전자의 시점 ∙ 휴식하는 도로 이용자의 시점

속도 경관

∙ 이동하는 보행자의 시점 ∙ 운전하는 운전자의 시점 ∙ 차량에 승차한 탑승자의 시점

외부 경관 정지 경관 ∙ 주변 지역 주민의 시점 ∙ 원거리에서 전망하는 관망자의 시점

도로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도로 요소, 연도 요소, 원경 요소 등이 있으며, 이들 요소들

이 조화되어 좋은 경관을 이루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로 점용물을 지장물로 생각하여 경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나 발상의 전환으로 이를 도로 경관의 순기능을 갖는 요소로

바꾸는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과 검토가 요구된다.

도로 경관은 그 시점이 도로 내 · 외부에 있으므로 위치 변화에 따라 경관이 달라진다. 도로

내부의 시점에는 횡단면과 포장면, 부속시설물 등이 설계하고자 하는 경관의 중심이 되며,

도로 외부의 시점에서는 비탈면, 터널, 교량 등이 측면적 계획의 중심이 되므로 도로의 경관

에서는 항상 내부 경관과 외부 경관 양쪽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제16편 도로 경관

711

<외부 경관> <내부 경관>

<그림 1.2> 도로 경관의 유형별 개념도

도로 내의 시점은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므로 시점의 위치와 이동 속도에 따라 경관이 달라지

며, 이동 속도가 빠를 경우 경관 대상은 도로 본체와 부속시설 전체 형상이 되지만, 고정된

시점과 이동 속도가 비교적 느린 시점에서는 도로의 포장과 부속시설의 재료 형상 등 상세한

부분이 경관의 중심이 된다.

<표 1.2> 도로 경관의 범위

구역 거리 지각 대상

근경역 100 m 내외 수목 한 그루가 명료하게 보이는 범위

중경역 500 m 내외 수목의 전체 형태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

원경역 1000 m 이상 배경 · 지형 인식, 스카이라인 형성

<표 1.3> 도로 경관의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주요 요소

도로 요소

도로 전체 ∙ 기하구조, 횡단면 구성, 도로 구조

부속시설물 ∙ 방호울타리, 도로 조명, 교통표지판, ∙ 안내표지판, 도로 식재

점용물 ∙ 전주, 간판, 환기구, 컨트롤 박스

주변 요소 주변 시설

∙ 주유소, 휴게시설, 정류장 ∙ 상가, 주택, 공장, 자동차 관련시설 ∙ 논, 밭, 하천, 조경시설

원경 요소

자연 요소 ∙ 호수, 산, 해안, 산림

인공 요소 ∙ 장대교량, 터널, 철탑, 대형구조물, 고압선로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12

1.3 경관과 디자인의 구분

1.3.1 경관과 디자인의 구분

구 분 경 관 디자인

정 의

경관(景觀)이란 자연, 인공 요소 및 주민의 생활

상(生活相) 등으로 이루어진 일단(一團)의 지역환

경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경관법 제2조)

디자인이란 물품의 형상ㆍ모양ㆍ색채 또는 이들

을 결합한 것으로서 시각을 통하여 미감(美感)을

일으키게 하는 것(디자인보호법 제2조)

관 련 법 경관법 공공디자인법, 디자인보호법

설 계

추구방향

∙ 자연경관과 어울릴 수 있는 시설물의 형태,

배치 등의 경관요소 설계 ∙ 자연경관에 순응·조화를 이루는 자연경관

구간 설계

- 계절별 자연경관을 느낄 수 있는 식재 방안

- 자연경관구간(수림대, 화단, 분리구간

녹지대) 디자인 ∙ 도로시설과 자연풍경의 접점을 미려하게 연출

∙ 운전자 관점에서 창의적, 조형미 중심의 디자인 ∙ 우아하고 경쾌한 시설물 디자인 ∙ 인공시설물에 예술적 감성이 충족되는 디자인 ∙ 지역상징 랜드마크화 할 수 있는 창의적 디자인 ∙ 고속국도 이용자의 장거리 주행에 따른 지루함

을 해소시킬 수 있는 디자인

1.3.2 경관 설계와 시설물 디자인의 구분

구 분 경관 설계 시설물 디자인

정 의

도로경관설계란 도로의 기본설계 단계에 주로

해당하며, 도로경관을 구현하기 위한 평면선형,

종단선형, 횡단면, 구조물 등의 경관계획 및 설

계(도로설계편람-경관편, 용어의 정의)

도로시설물 디자인이란 : 도로의 상세설계 단계

에 주로 해당하며, 도로경관을 구현하기 위한 도

로시설물 등의 경관계획 및 디자인(도로설계편람

-경관편, 용어의 정의)

특 징

∙ 노선 중심 ∙ 디자인 포함 ∙ 노선계획, 토공계획, 횡단계획, 구조물계획,

교차로계획 등 검토 ∙ 경관심의(경관법 시행령 제18조)

- 총사업비가 500억 원 이상인 사업

∙ 시설물 중심 ∙ 경관설계의 한 요소 ∙ 선형설계, 토공설계, 횡단설계, 교량설계,

터널설계, 부대공설계, 교차로설계,

휴게소 설계 등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173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866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524
235 고속도로 BIM 데이터작성기준_2020_2장 배수 및 옹벽공사 file 황대장 2021.01.27 797
234 고속도로 BIM 데이터작성기준_2020_1장 토공사 file 황대장 2021.01.27 845
233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터널분야_01도면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99
232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터널분야_00목차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774
231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교량분야_04부대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3857
230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교량분야_03하부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10350
229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교량분야_02상부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42
228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교량분야_01공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25
227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도로분야_05부대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20
226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도로분야_04포장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788
225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도로분야_03배수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52
224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도로분야_02토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59
223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도로분야_01공통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743
222 BIM 기반 설계도 표준_202007_도로분야_00목차_내용없음 file 황대장 2021.01.26 825
221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6편 도로 경관_편집위원 및 자문위원 file 황대장 2021.01.20 836
220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6편 도로 경관_4.기존 도로의 경관 개선 file 황대장 2021.01.20 810
219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6편 도로 경관_3.경관 설계 절차 file 황대장 2021.01.20 1024
218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6편 도로 경관_2.경관 계획 file 황대장 2021.01.20 901
»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6편 도로 경관_1.개요 file 황대장 2021.01.20 891
216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5편 환경친화적 도로건설_4.환경친화적인 도로 노선선정 file 황대장 2021.01.20 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