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6편 도로 경관_3.경관 설계 절차
2021.01.20 10:10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5권 포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 및 환경
포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
및 환경
제 10 편 포장
제 11 편 안전시설
제 12 편 부대시설
제 13 편 도로건설과 환경영향
제 14 편 방음시설
제 15 편 환경친화적 도로 건설
제 16 편 도로 경관
제5권
제 16 편 도로 경관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44
3.1 경관 설계 착수
(1) 착수 시기 : 기본설계단계 최적노선 결정 후 착수
(2) 업체참여 방식 : 협상에 의한 계약체결(제안서 80%+가격 20%)
① 제안서 평가로 우수한 디자인 업체 검증 및 선정
② 상위 2, 3위 업체 제안서 작성비용 보상
- 3백만 원 또는 사업 예산의 100분의5에 해당하는 금액 중 높은 금액 : 공공디자인 용역
의 제안서 보상의 기준 및 절차(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418-04호, ‘18. 1. 18)
- 관련 법령 : 공공디자인 용역의 제안서 보상의 기준 및 절차 제3조에 의거
(3) 참여 업체자격 : 디자인 전문 인력이 10명 이상인 전문 경관업체
① 경관 설계 및 시설물 디자인을 위해 풍부한 기술 노하우 보유한 전문업체 필요
② 공공디자인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공디자인 전문회사로 신고를 필한 업체
(4) 경관 설계 제안서 작성
① 제안 구간 : 횡단육교 등 특화시설물이 위치한 약 1 km 구간을 대표 경관 설계 안으로 제시
② 제출 방식
- 제안 내용을 주행 3D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한 동영상
- 경관 현황 분석 등 주요 검토 내용은 이미지로 제출
③ 제안 내용 : 경관 현황 및 경관 구간을 반영한 시설물 경관 설계를 제안
- 노선 경관 자원 및 경관 현황 분석
3. 경관 설계 절차
제16편 도로 경관
745
- 노선 디자인 기본 방향 및 경관 구간 설정
- 주요 조망점 선정 기준*(주행자 조망 분석, 외부조망 등 고려)을 수립
*본선 주행 중 원거리에서부터 조망, 고속도로 진입 시 조망, 타 도로에서의 조망 등
조망 대상 선정 기준을 수립하여 그 내용을 포함 제시
- 시설물별 수준 평가 및 랜드마크 대상시설물* 선정
*교량(본선 교량, 횡단 교량), 터널(터널 갱문, 터널 내부), 방음시설(방음벽, 방음터널),
옹벽(땅깎기부, 흙쌓기부) 등
- 자연경관과 어울릴 수 있는 시설물 디자인
- 자연경관에 순응 · 조화를 이루는 자연경관 구간 제안
∙ 계절별 자연경관을 느낄 수 있는 식재 방안
∙ 자연경관(수림대, 화단, 분리구간 녹지대) 구간 디자인
(5) 디자인 설계 제안서 작성
① 설계 대상 : 경관상 중요한 필수시설물 중에서 선정
- 노선 특성에 맞게 노선 담당자가 2개 시설물 선정
- 터널 갱문, 횡단육교, 교각, 교량 난간 방호벽, 방음벽, 땅깎기부 옹벽, 낙석방지책 중 선정
② 제안 범위 : 랜드마크(land mark)형 대상인 2개 시설물을 선정 디자인
- 시설물별로 랜드마크형, 타깃(target) 시설물형 디자인을 각각 2개 제안
∙ 랜드마크형 : 시설물 수준 평가 강조형
∙ 타깃 시설물형 : 조화형 또는 순응형
③ 제출 방식 : 시설물 디자인을 조감도 형식으로 제출
- 주행자 조망, 외부 조망, 타 도로에서의 조망 시점 등에서 제시
④ 제안 내용 : 우아하고 경쾌한 시설물 디자인
- 시설물별 수준 평가 결과 제시
- 디자인 설계 방향와 연관성, 디자인 컨셉(concept), 모티브 제시
- 운전자 관점에서 창의적이고 조형미 중심의 디자인 제안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46
<그림 3.1> 경관 설계 절차
NO
보완 YES
NO
보완
YES
NO
보완
YES
NO
보완
YES
NO
보완
YES
NO
보완
YES
보완
설 계 착 수
관련계획 조사
비교노선 선정
(노선 및 출입시설 검토)
시설물 위치 및 형식 검토
특정공법 심의(교량)
특정공법 심의(기타공법)
상세설계
공종별 세부방침
구조물 합동답사
공종별 상세설계
관계기관 및 주민설명회
자체 VE 시행
성과품 VE, 심의
교량 경간장 VE
기
본
설
계
실
시
설
계
설 계 단 계 경 관 설 계 업 체 업 무 감 독 업 무
경관설계 착수
경관 현황분석 및 경관계획 수립
Land Mark 시설물, 특화시설물,
일반시설물 디자인 개발
시설물 세부디자인 및
설계도면, 수량 및 단가 산출 (설계사)
경관설계 보고서 작성
경관 기본방향 및 경관 구간 설정
경관설계 대상 및 LandMark 대상 시설물 선정
제안서 평가 및 업체 선정
운전자 관점의 세부경관설계
LandMark 시설물 디자인 콘셉트 설정
경관 구간 선정 검토
설계 대상 결정
경관설계 검토
개발 디자인 결정
자문결과반영
심의결과반영
자문결과반영
검증결과반영
최적노선선정
(선형, 출입시설 검토)
경관설계 전문가 자문시행(자체)
경관 계획 검토
경관심의(기술심사처)
경관 및 디자인 설계 검증
(3D 시뮬레이션)
경관설계 보고서 검토
디자인전문가 자문 시행
(기술심사처)
세부 디자인 및 수량, 단가 확인
경관설계 3D 시뮬레이션 검토
(기타 특정공법 심의 前)
제16편 도로 경관
747
3.2 경관 현황 분석 및 경관 계획 수립
(1) 경관 현황 분석
① 대상 노선의 현황 분석
- 도로경관 특성과 지역경관 특성을 고려한 노선의 현황 분석
② 대상노선의 경관 현황과 계획 방향을 고려한 경관테마 설정
③ 경관상 중요한 시설인 랜드마크 대상 8개 필수 시설물에 대한 기본 구상 및 연출 방향 설정
- 필수 시설물 : 터널 갱문, 횡단 교량, 교각, 교량난간방호벽, 방음시설, 절토부 옹벽,
낙석방지책, 특수 교량(아치교, 현수교 등) 등
(2) 경관 계획 수립
① 도로 경관 유형별로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 방향 설정
- 유형 : 녹지경관, 수변경관, 역사 · 문화경관, 생활경관 등
② 경관 테마가 일관성 있게 유지되도록 계획 방향을 설정
3.3 경관 설계 자체 자문
(1) 자문 내용 : 경관 관련 계획, 주변 경관자원 및 경관 특성 분석에 대한 자문
① 대상지 주변 경관 관련 계획 조사 ‧ 분석의 적정성
② 경관상 중요한 시설 랜드마크 대상 8개 필수 시설물에 대한 기본 구상
(2) 자문 방법 : 자문의 객관성 ‧ 효율성 제고를 위해 경관 체크리스트를 중심으로 검토 및 의견 제시
(3) 자문 위원 : 경관전문가 3인 이상, 토목분야(도로, 구조 등) 포함하여 총 5인 이상으로 구성
① 경관전문가는 기존 경관 · 디자인분야 자문위원 활용
- 단, 해당 안건에 따라 非 자문위원 일시 위촉 및 위원 구성 탄력적 적용
② 자문단 구성 및 운영 : 경관용역 발주부서(설계처) 자체 시행
(4) 자문 결과 : 후속 단계인 디자인 기본방향 및 경관 구간 설정 과정에 반영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48
3.4 디자인 기본 방향 및 경관 구간 설정
(1) 디자인 기본 방향
① 경관 테마와 조화될 수 있는 디자인 컨셉 및 전략 수립
- 경관 분석을 통해 경관 이미지 제시
- 경관 이미지로 도출된 미래상을 구간별로 반영
② 경관 현황을 고려하여 시설별 디자인 기본 방향 설정
(2) 경관 구간 설정
① 주변 경관과 조화로운 경관 연출을 위해 체계적으로 구간 설정
- I.C와 I.C 구간 또는 연장 기준을 기본으로 하되, 주변 경관 현황 등을 감안하여 변경
- 경관을 고려한 구간별 계획 수립
② 고속국도 설계에서 구분 지을 수 있는 요소 검토
- 요소 : 경관 현황, 지역의 변화, 사업공구 구분, 분기점, 특화 거점
③ 랜드마크 대상 시설물을 구간별 적용할 수 있도록 구간 설정
3.5 랜드마크 대상 시설물 검토 및 경관 설계 대상 선정
(1) 랜드마크 시설물 검토
① 지역 상징 랜드마크 시설물의 선정 원칙 수립
- 예 : 시설물의 설치 간격, 초점 경관, 주변 경관 현황 등
② 랜드마크 유형별로 구분하여 검토
- 발생적 유형(자연적, 인위적), 형태적 유형(수직, 수평, 점, 선 ,면), 인지 영향에 따른
유형(도시의 정체성 형성, 도시의 이정표 역할) 등
③ 경관상 중요한 시설인 랜드마크 대상 8개 필수 시설물 선정
④ 시설물 평가 항목 및 기준 개량화
- 예 : 지역성, 유지관리성, 조망성, 지형성, 환경성 등
제16편 도로 경관
749
(2) 경관 설계 대상 선정
① 주행자 관점의 자연 경관 구간 선정
- 도로시설과 어울려서 시야가 머무르는 자연 풍경 구간 선정
② 자연경관 구간별 경관 콘셉트 선정
- 선형(線形) 구간(곡선부 외측 등) : 수림대, 화단 조성 등
- 점형(點形) 구간(녹지대, 분리구간) : 조형물 배치, 화단 조성, 비탈면 녹화, 생태환경림 조성 등
3.6 운전자 관점의 도로시설물 경관 설계, 랜드마크 시설물 디자인 콘셉트 설정
(1) 운전자 중심의 도로시설물 경관 설계
① 운전자의 조망을 고려한 시설별 형식(형태), 색채, 재료 등 선정
② 도로 선형 이미지를 반영한 연속적 경관 연출 설계
③ 시각적 위압감은 줄이고 균형감을 확보할 수 있는 경관 설계
(2) 특색 있는 자연경관 설계
① 주행 차량과 이용자의 안전 및 쾌적성을 추구하는 경관 설계
② 노선과 주변 경관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식재 계획
- 고속국도 주요 식재 현황 분석 및 포인트 식재 선정
- 복원, 순응, 사계를 기본방향으로 설정
∙ 복원 : 토목공사로 인해 훼손된 경관을 자연스럽게 복원할 수 있는 식재 계획 수립
∙ 순응 : 도로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시선을 압도하지 않는 순응형 식재 계획 도입
∙ 사계 : 단조로운 도로경관을 해소하도록 사계를 느낄 수 있는 포인트 식재 도입
(3) 랜드마크 시설물 디자인 콘셉트 검토
① 시설물의 설치 위치, 노선 특성, 지역적 특성 등을 고려한 디자인 테마 선정
② 독창적이며 예술적 가치를 가질 수 있는 디자인 콘셉트 선정
③ 주변의 조망을 고려한 개방적인 디자인 콘셉트 선정
(4) 관련 법규(도로교통법 등) 및 지침 적용여부 확인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50
3.7 경관 설계 3D 시뮬레이션 검토
(1) 검토 내용 : 경관상 중요한 시설물의 경관 설계 방향 검토
① 경관의 연속성 및 일관성, 주변 환경과의 조화 및 어울림
② 특정 공법 선정 시 경관 설계 내용이 반영되어야하는 시설물 검토
③ 경관 설계 자문 결과 및 조치 계획 설계 반영 여부 등
(2) 검토 방법 : 드론 촬영 영상, 항공뷰 등을 활용한 입체적 주행 3D 시뮬레이션 통해 검토
(3) 검토 시기 : 기타 공법 특정 공법 심의 전
(4) 검토위원회 구성 : 경관 전문가 3인 이상, 토목분야(도로, 구조 등)포함하여 총 5인 이상으로 구성
① 검증의 효율성 · 일관성을 위하여 경관 설계 자문위원 2인 이상 포함
② 경관전문가는 전체 위원의 1/2 이상이어야 하며, 3인 이상 평가 참여
- 단, 해당 노선 특성에 따라 非자문위원 일시 위촉 및 위원 구성 탄력적 적용
③ 검토위원회 구성 및 운영 : 경관 용역 발주부서(설계처)
- 현 경관위원회는 본 경관 설계 검증 절차로 대체
(5) 조치 계획 : 특정 공법 선정 시 필요한 경관 설계 사항은 심의 추천(안) 산정 시 반영
3.8 경관 심의(경관법 시행령 제18조제2항)
(1) 심의 내용 : 경관상 중요한 시설물의 규모, 배치, 형태 등의 설계방향
① 경관의 연속성 및 일관성, 주변 환경과의 조화
② 사전 검토 결과 및 조치 계획 설계 반영 여부 등
(2) 심의 방법 : 경관심의 효율성 및 연관성 확보를 위해 사업 특성에 따라 노선별 또는 구간별(필요
시 공구별) 시행
(3) 심의위원회 구성 : 경관 전문가 3인 이상, 토목분야(도로, 구조 등)포함하여 총 5인 이상으로 구성
제16편 도로 경관
751
① 사전 검토를 실시한 경우에는 사전 검토위원 2인 이상 포함
② 설계 심의와 통합 시행 시 경관전문가는 전체 위원의 1/3 이상, 3인 이상 심의 참여
- 단, 해당 안건에 따라 非자문위원 일시 위촉 및 위원 구성 탄력적 적용
(4) 심의 의결 : 심의 당일 최종 토론을 거쳐 참석위원 과반수 찬성으로 원안/조건부/재심의로 의결
(5) 조치 계획 : 심의위원이 검토 ‧ 제시한 의견에 대하여 조치 계획 작성 후 심의위원 확인 절차를
거쳐 심의 주관부서(기술심사처)에 제출
3.9 랜드마크 시설물, 특화 시설물, 일반 시설물 디자인 개발
(1) 공통사항
① 시설물별 디자인 기본 방향에 따른 디자인 시행
② 전체 구간과 구간별 디자인(형태, 색체, 재료 등) 컨셉 통일
③ 특화 시설물 및 일반 시설물의 모티브 마련 및 디자인 시행
(2) 랜드마크 시설물
① 디자인 방향 : 지역 상징 랜드마크화 할 수 있는 창의적인 디자인
- 노선의 경관 콘셉트에 맞는 랜드마크 시설물 선정 및 디자인
- 이용객의 장거리 주행에 따른 지루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디자인
- 고속주행자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시각적 연계성 및 조망 고려
- 창의적이고 조형미 중심의 디자인 콘셉트 발굴
② 대상시설물 : 경관상 중요한 8개 필수 대상시설 중에서 선정
- 터널 갱문, 횡단 육교, 교각, 교량 난간 방호벽, 방음시설, 땅깎기부 옹벽, 낙석방지책,
특수교량(아치교, 현수교 등) 등
∙ 노선의 특성에 따라 대상시설물 추가 가능
- 시설물 수준 평가 결과 점수가 높은 강조형 시설물을 랜드마크화
∙ 고속도로 공공디자인 매뉴얼에서 제시한 평가기준으로 평가 시행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52
(3) 특화 및 일반 시설물
① 디자인 방향 : 시설물에서 감성이 묻어날 수 있는 디자인 시행
- 시설물의 규모와 비례, 재료, 색체 등은 도로 주변의 자연환경, 시설물 등의 규모를 고
려하여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
- 이동경로에 따른 경관의 연속성 및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디자인
- 도로 시설물과 주변 시설물이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가지도록 디자인
- 시설물별 감성 디자인 컨셉 개발
② 대상시설물 : 랜드마크 대상 시설물 이외의 도로 시설물
- 도로시설물 : 비탈면 및 녹지대, 중앙분리대, 나들목 · 분기점, 휴게소 및 졸음쉼터,
요금소, 가로등, 터널관리소, 표지판, 안전시설물 등
- 시설물 수준 평가 결과가 조화형, 순응형 시설물을 대상으로 선정
∙ 고속도로 공공디자인 매뉴얼에서 제시한 평가기준으로 평가 시행
(4) 설계사 디자인 적용 가능 여부 확인
3.10 디자인 전문가 자문
(1) 자문 내용 : 경관상 중요한 시설물의 규모, 배치, 형태 등의 디자인에 대한 자문
① 경관의 연속성 및 일관성, 디자인의 주변 환경과의 조화
② 디자인의 창의성, 조형미, 우아함 등 검토
③ 디자인에 대한 시공 가능 적정성, 경제성 검토
④ 공공디자인 매뉴얼 반영 여부 등
(2) 자문 방법 : 노선의 특성에 따라 구간별 또는 공구별 시행
(3) 자문위원회 : 디자인 전문가 3인 이상, 토목분야(도로, 구조 등) 포함하여 총 5인 이상으로 구성
① 디자인 전문가는 기존 경관/디자인분야 자문위원 활용
- 단, 해당 안건에 따라 非자문위원 일시 위촉 및 위원 구성 탄력적 적용
② 자문단 구성 및 운영 : 기술심사처 시행
(4) 자문 결과 : 후속단계인 세부디자인 단계에서 적용
제16편 도로 경관
753
3.11 시설물 세부디자인, 설계도면, 수량 및 단가 산출
(1) 시설물 세부 디자인 시행
① 고속도로 공공디자인 매뉴얼 준용
② 시설물별 평가 결과와 체크리스트를 준용하여 최적화된 디자인 시행
③ 경관 심의 및 디자인 전문가 자문 결과를 반영한 디자인 시행
④ 고속도로 시설물 색채 가이드라인을 준용하여 계획
(2) 단계별 설계도서 작성 방안
단 계 검토 및 작성방법 담당자
디자인
개발 시
∙ 개발 디자인의 시공 가능 여부 ∙ 디자인에 적용되는 설계기준 및 이론 상세기준 ∙ 개발 디자인의 경제성 및 현실성
경관 설계
업체
상세
설계 시
∙ 도면작 성에 필요한 세부 디자인 제시
- 디자인 의도가 설계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세부디자인 단면 제시 ∙ 자재 등에 대한 기성 제품 확인 ∙ 디자인 구현이 필요한 시공 순서 제시
경관 설계
업체
∙ 경관 디자인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도면 작성
- 형태, 재질, 색채의 등의 구체적인 제시와 규격을 명확하게 기재 ∙ 자재 등은 최대한 기성 제품을 활용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도면 작성 ∙ 디자인 구현에 필요한 시공순서도 작성 ∙ 디자인 설계에 적용되는 설계기준 및 이론 상세기준에 맞게 수량 산출 ∙ 수량 산출 기준이 없는 자재는 타 노선 적용 사례 등을 비교분석 후 적용
설계사
상세 설계
완료 후
∙ 작성된 도면과 수량 산출 적정성 확인 ∙ 산출 단가의 적정성 확인
- 디자인 실현 가능한 단가 반영 여부
감독자
(3) 시공을 고려한 적정 수량 및 단가 산출
① 디자인 실현에 필요한 자재, 공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단가설명서, 단가산출서 및 수량산
출기준 작성
② 단가 구성은 세부 공종별로 구분 작성 및 견적 처리 최소화
당 초 변 경
견적 처리 등 식(SUM) 단가 현장 여건 반영이 가능한 공종별 단가
제5권 포장, 도로 안전·부대시설 및 환경
754
3.12 경관 및 디자인 설계 검증
(1) 검증 내용 : 경관 설계 및 경관상 중요한 시설물 디자인을 대상으로 검증
① 경관의 연속성 및 일관성, 주변 환경과의 조화 및 어울림
② 주행자의 안전 운행과 최종 경관 · 디자인 설계의 시각적 연계성
③ 경관심의 결과 및 조치계획 설계 반영 여부 등
(2) 검증 방법
① 입체적 주행 3D 시뮬레이션 통해 검증
② 경관 · 디자인설계 결과를 드론촬영 영상, 항공뷰 등을 활용
(3) 검증 시기 : 최종 디자인 설계 완료 전
(4) 검증위원회 구성 : 경관 또는 디자인 전문가 3인 이상, 토목분야(도로, 구조 등) 포함 총 5인 이상
① 검증의 효율성 · 일관성을 위하여 경관심의 심의위원 2인 이상 포함
② 경관 또는 디자인 전문가는 전체 위원의 1/2 이상, 3인 이상 평가 참여
- 단, 해당 노선 특성에 따라 非자문위원 일시 위촉 및 위원 구성 탄력적 적용
③ 검증 위원 구성 및 운영 : 경관용역 발주부서(설계처)
- 현 경관위원회는 본 경관 설계 검증 절차로 대체
(5) 조치 계획 : 최종 디자인 검증 결과를 반영한 디자인 도면 작성
3.13 경관 설계보고서 작성
(1) 경관 현황 분석부터 세부 시설물 디자인까지 중간 과정에 검토된 내용 모두 수록
(2) 경관 심의, 외부 자문결과 등 외부 전문가 자문의견 수록
(3) 경관 · 디자인 우수사례를 선정 경관보고서에 수록
(4)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하여 활용하도록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