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 11 -

제3장 BIM 전면설계 기준

3.1 BIM 데이터 표현 수준

3.1.1 BIM 데이터 표현 수준

BIM 데이터 표현 수준(LOD, Level of Development)은 데이터의 상세 수준

(Level of Detail)과 정보수준(Level of Information)으로 구분하여 형상적인 표현의

공종별 수준을 정하고 형상적인 표현 외 BIM 데이터의 속성을 표현하는 수준을

구분한 것으로 아래 표 3.1을 참조한다.

<표 3.1> BIM 데이터 표현 수준(LOD)의 구분

구 분 개 요 상세 수준(LOD) 정보 수준(LOI)

LOD

100

개념 모델

․ 개념 모델 수준

- 개념적 요소의 표현

․ 위치(STA)

LOD

200

개략 형상

모델

․ 개략 형상 모델 수준

- 개략적인 형상의 표현

․위치(STA)

․Elevation

․좌표(X, Y, Z)

LOD

300

정밀 형상

모델

․ 정밀 형상 모델 수준

- 정밀한 형상의 표현

․위치(STA)

․재료 속성 등

․ Elevation

․좌표(X, Y, Z)

편경사

LOD

350

정밀

형상과

연계정보

모델

․ 정밀 형상 모델 수준

- 철근 및 강연선 등 표현

․위치(STA)

․재료 속성 등

․ Elevation

․좌표(X, Y, Z)

편경사

․ 철근

※ 재료 속성 : 재질, 재료의 물리적 특성(강도, 규격 등) 등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 12 -

3.1.2 BIM 데이터 표현 수준 적용

1) 계약상대자는 BIM 활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용 공종별(토공, 배수공, 교량공,

터널공, 포장공, 부대공 등) 적정 BIM 데이터의 표현 수준(LOD)은 감독원과

협의하여 “BIM 수행계획서”에 작성하고 적용한다.

2) BIM 데이터의 표현 수준(LOD)은 기본설계, 실시설계, 시공 단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단계별 BIM 데이터의 활용성, 투입시간, 용량 등을 고려하여 설계

수준에 맞는 BIM 데이터의 표현 수준(LOD)을 결정해야 한다.

<표 3.2> 단계별 BIM 데이터 표현 수준(LOD) 구분(안)

구 분 개 요

기본

설계

실시

설계

시 공

LOD

100

․개념 데이터 수준

․노선선정이 가능한 절․성토 사면 포함

LOD

200

․개략형상 데이터 수준

․기본설계 : 비교노선 검토가 필요한 사면 또는 시설물

․실시설계 : 형상모형으로 수량산출이 가능한 시설물

○ ○

LOD

300

․정밀형상 데이터 수준

․실시설계 : 기본적인 모형으로 수량산출 가능한 시설물

○ ○ ○

LOD

350

․정밀형상과 연계정보 데이터 수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 ○

LOD

400

이상

․제작 데이터 수준, 준공 데이터 ○

3) BIM 데이터의 표현 수준(LOD)은 사업 전반의 공통 적용 수준을 선정하고,

활용도와 중요도가 높은 대상에 대해서 보다 상세한 수준으로 선정할 수 있다.

4) BIM 데이터의 표현 수준(LOD)은 「도로분야 발주자 BIM 가이드라인」과

조달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BIM 정보수준(BIL)을 참고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각 대상별 적용 표현 수준(LOD)은 “BIM 수행계획서(과업수행계획서)”에서

선정한다.

- 13 -

3.2 BIM 데이터 작성

3.2.1 일반 사항

1) BIM 지형 데이터의 작성은 노선선정 단계에서는 위성지도 또는 수치지도를

활용할 수 있으며, 상세설계단계에서는 최소한의 범위를 선정하여 측량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지형에 맞게 작성하여야 한다. BIM 지형 데이터의 작성은

3.2.4 BIM 지형 데이터 지침을 따른다.

2) BIM 지층 데이터의 작성은 지반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토질·지질 기술인이

판단하여 지층구성을 하여야 한다. BIM 지층 데이터의 작성은 3.2.5 BIM 지층

데이터 지침을 따른다.

3) 교량 및 터널 등의 시설물 계획은 BIM 데이터를 통해 설계자, 감독원 등 관계

자들과 충분한 공유를 통해 계획 하여야 하며, 정확한 지형과 지층에 관한

BIM 데이터가 완성 된 후 현황에 맞게 수정하여야 한다.

4) 각 분야별 상세설계는 BIM 철근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LOD 350 수준으로

작성하여야 하며, BIM 철근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LOD 300 수준으로

작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단, 길이나 개소수로 수량산출이 가능하거나

일부 부대공의 특정제품에 대한 BIM 데이터 표현 수준은 LOD 200 수준으로

BIM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5) BIM 데이터는 본 지침에서 제시하는 표현 수준(LOD)을 설계 단계별로 필요

수준에 맞게 작성하여야 한다.

6) BIM 데이터는 최종 목적구조물의 형상 표현이 가능한 공종은 모두 BIM

데이터에 반영하여야 하며, 「BIM기반 설계도 표준」및「BIM 기반 수량 산출

기준」에 의한 성과품 작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여야 한다.

7) 각 공종별로 국가기관 등에서 공통적으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가 있을 경우

이를 사용할 수 있고, 제공 라이브러리가 없는 경우에는 관련 설계기준에 적

합한 라이브러리를 자체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3.2.2 BIM 데이터 구성

1) 데이터를 작성할 경우 공종(도로, 교량, 터널 등)별로 각각의 BIM 설계 진행에

따른 BIM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 14 -

2) 공종별로 동일 좌표계에서 작성된 BIM 데이터는 조합에 의한 통합 데이터

구축 시 오차가 없도록 한다.

3) 공종별 BIM 데이터의 작성은 해당 분야의 BIM 데이터 작성 지침을 따른다.

<그림 3.1> 공종별 BIM 데이터 구성의 예시

도로 분야 토질 분야 교량 분야 터널 분야

3.2.3 구간 및 데이터 분할

1) BIM 데이터는 건설정보의 운영과 관리를 위해 공구별 데이터를 조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구축할 경우에도 오차가 없도록 좌표 및 표고 등의 정보를 포함

하여야 한다.

2) 도로는 지형, 지물, 본선도로, 연결로, 부체도로 등을 통합하여 시각화함으로써

설계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원활한 데이터 운용을

위하여 본선도로, 연결로, 부체도로 등으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도 있다.

3) 교량, 터널, 암거 등의 구조물은 각각의 시설물별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되 데이터 용량을 고려하여 동일 시설물 내에서도 구성 요소별로 구분하여

작성할 수 있다.

4) 분할된 구간이나 구조물의 속성 정보는 구간별 또는 구조물별로 분리되어 운영

되도록 해야 한다.

- 15 -

3.2.4 BIM 지형 데이터

1) BIM 지형 데이터는 기본설계 단계에서는 1:5,000도, 실시설계 단계에서는

1:1,000도 이상의 정밀도를 가져야 하며, 현황 측량이 완료된 지형도를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고,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측량결과를 이용한 작성도 가능하다.

2) BIM 지형 데이터는 좌표정보와 표고정보를 반드시 포함하여야 한다.

3) 무인비행장치 이용 측량이 수행된 경우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수집하여

BIM 지형 데이터를 구축하는데 활용한다.

4) BIM 지형 데이터는 설계단계별로 그 범위를 최적화하여야 한다. 계획단계에서

surface mapping을 통하여 비교노선 검토, 출입시설 및 연결로 형식 선정이

가능하도록 대상 면적의 범위를 선정한다.

5) BIM 지형 데이터 작성 시 계획노선의 기존 기반시설(도로, 하천, 철도, 지중

구조물 등) 및 기존 도로구조물(교량, 터널, 통로박스 등)은 도로 계획에 반영

되어야 하므로 포함하여 작성할 수 있다.

6) 노선선정이 완료된 상세설계 단계에서는 지층 데이터를 포함하는 solid 등의

요소를 이용한 BIM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데이터 용량을 고려하여 대상 면적의

범위를 최소화 할 필요성이 있다.

3.2.5 BIM 지층 데이터

1) BIM 지층 데이터 작성은 설계단계에 따른 정밀도를 갖는 지형도를 이용하여

작성된 원지반 지형 데이터와 무인비행장치 이용 측량의 결과 등을 이용하여

작성된 원지반 지형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으며, 보링조사를 시행하여 얻어진

지층 데이터에 근거하여 TIN(불규칙 삼각망) 방식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2) BIM 지층 데이터는 지반조사 보링 데이터(지반의 토층, 토질, 지하수위 등)와

토질 전문가의 검토․보완(지반조사 미시행 구간 보완) 작업을 거쳐 지층

데이터를 구축하고 3D 지형과 통합하여 구조물 기초설계와 땅깎기, 흙쌓기,

터파기 등의 설계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3) BIM 지층 데이터는 지반조사 보링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한 지층의 역전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보간하여 지층을 구성하여야 한다.

4) BIM 지층 데이터는 좌표정보와 표고정보를 반드시 포함하여야 하며, 지반

조사에 의한 보링 주상도 등은 BIM 지층 데이터에 포함하여야 한다.

- 16 -

3.2.6 도로분야 BIM 데이터 작성

1) 공통 사항

(1) 도로분야 BIM 데이터 작성은 관련 설계기준에 부합하도록 하여야 하며, 평면

선형, 종단선형, 횡단 구성, 토공, 배수공, 포장공, 부대공 등을 포함한다.

(2) 배수공의 경우 노면측구, 사면측구, 도로횡단에 포함되는 구조물(배수관, 암거)

등의 공종이 해당된다.

(3) 기본 도면의 단위는 미터(m)로 설정한다.

(4) 도로 본체를 구성하기 위한 횡단 구성요소를 정의하여 작성함을 원칙으로

한다.

(5) 평면선형, 종단선형, 횡단면도는 반드시 관련제원의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6) 도로선형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는 다음과 같다.

가. 측점(STA.), 평면제원(IP) 좌표, 직선, 원곡선, 완화곡선 제원

나. 종단제원(VIP), 종단경사, 종곡선 제원

다. 편경사

2) BIM 데이터 구성

(1) BIM 지형 데이터 작성 시 계획노선대의 기존기반시설(도로, 하천, 철도, 공항

등) 및 기존 도로 구조물(교량, 터널 등)은 분류하여 작성하며 각 구조물별

구체적인 작성방안은 감독원과 협의하여 제시 할 수 있다.

(2) 도로분야 BIM 데이터의 경우, 선형요소와 비선형요소에 대한 기준을 제시

한다.

(3) 도로분야 BIM 데이터 표현 수준(LOD)은 공종별 도로 전체 BIM 데이터

구축의 수준을 고려하며, 「BIM 기반 수량산출기준」에 맞게 결정되어야

한다.

<표 3.3> 도로분야 BIM 데이터 표현 수준(LOD)

구 분 LOD수준 모 델 구 성

토 공 200~300

땅깎기, 흙쌓기 등

(표토제거, 비탈면보호공 등 : LOD200)

배 수 공 200~350

측구, 배수횡단구조물 등

(암거, 옹벽 등 철근구조물 : LOD350)

포 장 공 200~350

아스팔트콘크리트, 시멘트콘크리트 등

(각종 포장줄눈 : LOD200)

부 대 공 200~300

표지판, 가드레일 등 연장 및 개소수 해당

(콘크리트 기초구조물 등 : LOD300)

- 17 -

3) 구간 및 객체 분할

(1) BIM 데이터의 운영과 관리를 위해 토공 구간별로 분할함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시 공구전체 모델을 조합에 의한 통합 데이터를 작성할 경우에도 오차가

없도록 한다.

(2) 본선도로, 연결로, 이설도로, 부체도로 등으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BIM 데이터를 작성한다.

(3) 분할된 구간이나 구조물의 속성 정보는 구간별 또는 구조물별로 분리되어

운영되도록 해야 한다.

4) BIM 데이터 작성

(1) 한국도로공사 「BIM 기반 수량산출기준」,「BIM 기반 설계도 표준」에 제시된

정보가 포함되도록 BIM 데이터를 작성해야한다.

(2) 평면선형, 종단선형, 횡단의 도로 BIM 데이터는 각 객체의 정보가 상호 연동

하여 작성되어야 한다.

3.2.7 교량분야 BIM 데이터 작성

1) 공통 사항

(1) 교량분야 BIM 데이터 작성은 관련 설계기준에 부합하도록 하여야 하며, 평면

선형, 종단선형, 횡단 구성, 상부공, 하부공, 포장공, 부대공 등을 포함한다.

(2) 교량 구조물은 도로의 선형을 기준으로 설계되므로 평면 및 종단 선형 계획을

반영하여 교량 구조물 BIM 데이터를 작성해야 한다. 또한, 편경사와 편경

사간의 변화구간이 반영된 BIM 데이터를 작성해야 한다.

(3) 도로 및 교량 설계 업무의 진행 과정에 따라 ① 노선 선정 시 교량 계획,

② 교량 경간장 계획, ③ 교량 형식의 선정, ④ 경관성 검토, ⑤ 교량별 상세

설계 등에 대하여 BIM 전면설계 방식으로 BIM 데이터를 작성하여야 한다.

(4) BIM 데이터의 표현 수준은 기본설계 단계와 실시설계 단계에서 다르게 적용

할 수 있으며, 기본설계 단계의 BIM 데이터은 표현 수준(LOD)을 하향하여

적용할 수 있다.

(5) 최종 교량 구조물의 BIM 데이터 작성은 설계도면 추출과 설계수량 산출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 18 -

2) BIM 데이터 구성

(1) 교량분야 BIM 데이터 표현 수준(LOD)은 주로 LOD 350을 적용하며, 세부

공종별 표현 수준은 교량 전체 BIM 데이터 구축의 수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표 3.4> 교량분야 BIM 데이터 표현 수준(LOD)

구 분 LOD 수준 모 델 구 성

토 공 200 터파기, 되메우기 등

상 부 공 350 바닥판, 거더, 난간 및 방호벽 등

교 대 공 350 교대 본체, 날개벽, 접속슬래브 등

교 각 공 350 교각 본체

부 대 공 200 교량받침, 신축이음, 배수시설, 점검시설 등

(2) BIM 철근 데이터는 한국도로공사 「BIM 기반 수량산출기준」,「BIM 기반

설계도 표준」과 과업내용서 등을 참고하여 업무 범위를 결정한다.

(3) “BIM 수행계획서”에 철근 데이터에 대한 업무 범위를 명시하고 그에 따라

BIM 철근 데이터를 작성한다.

3) 구간 및 객체 분할

(1) BIM 데이터는 건설정보의 운영과 관리를 위해 교량별로 분할함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시 교량별 모델을 조합에 의한 통합 데이터를 구축할 경우에도

오차가 없도록 한다.

(2) 교량별 BIM 데이터는 데이터 용량을 고려하여 구조 부재별(바닥판, 거더,

교대, 교각, 부대시설 등)로 객체를 분할하여 작성할 수 있으며, 각 부재는

통합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3) 분할된 교량과 구조 부재별 객체의 속성 정보는 교량별 또는 구조 부재별로

분리되어 운영되도록 해야 한다.

4) BIM 데이터 작성

(1) 한국도로공사 「BIM 기반 수량산출기준」,「BIM 기반 설계도 표준」에 제시된

정보가 포함되도록 BIM 데이터를 작성해야한다.

(2) BIM 데이터는 구조 부재별 좌표, 제원, 재료, 수량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야

하며, 해당 객체로부터 설계도면 추출과 설계수량 산출이 가능하도록 작성

하여야 한다.

- 19 -

3.2.8 터널분야 BIM 데이터 작성

1) 공통 사항

(1) 터널 구조물(본선, 피난연결통로, 수직구, 경사갱, 환기소, 옥외공동구 등)의

BIM 데이터 작성은 관련 설계기준에 부합하도록 작성해야 한다.

(2) 터널 구조물은 도로의 선형을 기준으로 설계되므로 평면 및 종단 선형 계획을

반영하여 터널 구조물의 BIM 데이터를 작성해야 한다. 또한, 횡단경사와

횡단경사간의 변화구간이 반영된 BIM 데이터를 작성해야 하고, 터널 환기

방식에 따른 이원화 단면 계획 시에는 제트팬 설치/미설치 구간과 그 사이의

변화구간이 BIM 데이터에 정확히 반영되어야 한다.

(3) 도로의 선형 계획에 종속되거나 일부사업에 국한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록볼트, 스틸그레이팅, 집수정, 소화전(기)함, Soil-Nailing, Earth

Anchor 등의 객체는 라이브러리를 제작․이용하여 터널 구조물의 BIM 데이터

작성에 적용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 가능 항목 예시 : 자재, 기성제품, 장비, 설비 등

(4) 터널 구조물 개별 항목중 적용 개소는 많으나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예 : 공동구 뚜껑 등) 항목의 BIM 데이터 작성은 해당 항목 전체를 데이터

표현 수준(LOD)을 낮추어 작성하거나 대표구간만 해당 항목의 데이터

표현 수준(LOD)으로 작성하고 그 외 구간은 데이터 표현 수준(LOD)을

낮추어 작성한다.

(5) 최종 터널 구조물의 BIM 데이터는 설계도면 추출과 설계수량 산출이 가능

하도록 작성하여야 한다.

2) BIM 데이터 구성

(1) 터널 구조물의 각 공종별 구체적인 작성방안은 본 지침을 참고하여 감독원과

협의하여 제시할 수 있다.

(2) 터널 단면의 BIM 데이터 작성 시 곡선과 곡선, 곡선과 직선, 직선과 직선간의

연결부(천단부와 측벽부, 측벽부와 바닥부)는 단차, 요철 등이 없이 매끄럽고

연속적인 형상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3) 터널분야 BIM 데이터 표현 수준(LOD)은 한국도로공사「BIM 기반 수량산출

기준」에 따라 작성함을 원칙으로 하고, 시공 BIM 작성 및 활용에 지장이

없는 항목과 설계단계(기본설계, 실시설계 등)의 목적에 따라서 감독원과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 20 -

<표 3.5> 터널분야 BIM 데이터 표현 수준(LOD)

구 분 세부 공종 LOD 비 고

굴 착 ∙총굴착, 설계굴착 등 LOD 200~300

버 력 처 리 ∙버력(암, 숏크리트) LOD 200~300

강 지 보 공 ∙격자지보, H-지보, U-지보 등 LOD 300

숏 크 리 트

∙숏크리트(일반, 강섬유) : 본선, 갱구부 LOD 200~300

∙와이어메쉬(갱구부) LOD 200

록 볼 트 ∙시스템, 랜덤, 접속부보강, 갱구부보강 LOD 300

콘 크 리 트

라 이 닝

∙콘크리트 타설, 철근가공 및 조립 등 LOD 200~350

∙신축 및 시공이음 등 LOD 200

∙거푸집, 철근처짐방지용앵커, 배면그라우팅 -

방 수

배 수

∙공동구뚜껑(콘크리트, 스틸플레이트), 스틸

그레이팅, 콘크리트 타설, 철근가공 및 조립 등 LOD 300~350

∙방수막(부직포), 배수관, 맹암거, 신축 및 시공

이음, 와이어메쉬 등 LOD 200

∙필터콘크리트, 용수처리, 비닐깔기, 암반

청소, 거푸집 등 -

보 조 공 법

∙선진보강 그라우팅(일반천공/직천공, 소구경

/대구경), 훠폴링 등 LOD 300

∙프리그라우팅, 선진수평보링 등 -

갱 문

∙철근 가공 및 조립, 콘크리트 등 LOD 300~350

∙터파기, 되메우기 및 다짐, 다웰바, 내장재,

지수판, 배수공 등 LOD 200

∙거푸집, 방수공, 비닐깔기 등 -

터 널

부속시설물

∙갱문가시설(임시갱문), 영구시설(세척수처리

시설, pH저감시설) 등 LOD 200

∙터널명판, 공사중설비, 방음문/방음커텐 등 -

기 타

부 대 공

∙내장(본선), 점검용사다리 등 LOD 200~300

∙방화문, 식별번호판, 가B/P 등 -

∙각종 계측기 -

∙자재 및 운반 등 해당공종참조

- 21 -

(4) 철근 관련 BIM 데이터는 한국도로공사「BIM 기반 수량산출기준」,「BIM

기반 설계도 표준」과 과업내용서 등을 참고하여 업무 범위를 결정한다.

(5) “BIM 수행계획서”에 철근 관련 BIM 데이터의 구체적인 업무 범위를 명시

하고 그에 따라 BIM 데이터를 작성한다.

(6) 기존 2차원 설계에서 곡선구간에 대한 철근 배근도 작성 시 직선으로만 표현

하고 수량을 산출하였으나, BIM 전면설계에서는 선형의 곡선반경을 고려하여

철근 관련 BIM 데이터를 작성한다.

(7) 철근 배근 관련(예 : 전단철근 등) BIM 데이터 작성시 컴퓨터 용량 및 처리

능력을 고려하여 대표구간만 해당 항목의 BIM 데이터를 표현하고 그 외

구간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

◦전단철근 배근시 전체 개소수가 많아서 BIM 데이터 작성 및 운영에

지장 초래 가능

(8) 철근 관련 BIM 데이터의 경우 설계단계에서는 콘크리트 라이닝 구조도

(본선, 갱문 및 개착터널 등)에 주철근과 배력철근 위주로 작성하고 시공

상세도에 필요한 조립도, 상세도 등은 시공단계에서 결정하여 작성하도록

한다.

3) 구간 및 객체 분할

(1) BIM 데이터는 건설정보의 운영과 관리를 위하여 원칙적으로는 공구별로

분할한다. 특히, 터널 내에서 공구가 분할되는 경우에는 원활한 BIM 데이터

운영을 위하여 BIM 데이터의 파일 용량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콘크리트

라이닝, 공동구 및 배수콘크리트 등 공종이나 항목의 공구간 접속부 처리에

대한 BIM 데이터가 통합 BIM 데이터에 포함되어야 한다.

(2) 공구 분할된 터널 구조물 BIM 데이터는 과업내용서에 제시된 기준에 부합

되게 작성한다. 또한, 향후 터널 단위로 운영될 수 있도록 BIM 데이터에

터널 구조물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과업내

용서나 관련 자료를 참고하고 필요시 감독원과 협의하여 추가 및 조정할

수 있다.

◦관련 정보 예시 : 공구별 터널 선형 정보(평면, 종단, 횡단), 터널 연장,

방재시설 설치간격 및 개소(피난연결통로(차량용, 대인용), 소화기함 등) 등

- 22 -

4) BIM 데이터 작성

(1) 한국도로공사 「BIM 기반 수량산출기준」,「BIM 기반 설계도 표준」에 제시된

정보가 포함되도록 BIM 데이터를 작성해야한다.

(2) 굴착 및 여굴(총굴착, 설계굴착)이 BIM 데이터에 포함되어 관련 정보가 추

출되도록 터널 구조물 BIM 데이터를 작성해야 한다. 총 굴착은 버력처리

수량 산출에 필요하고, 여굴은 숏크리트, 콘크리트 라이닝 등의 수량 산출에

반영된다.

3.3 설계도면 작성

3.3.1 설계도면 작성 원칙

1) BIM 데이터의 추출 활용

BIM 전면설계에 의한 설계도면은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각 공종별 도면 작성 기준은 한국도로공사 「BIM 기반 설계도 표준」에

의해서 작성한다.

2) 설계도면 임의 변경 금지

설계도면은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도면화하여야 하며 추출된 형상 등의

임의 변경을 금지하여 BIM 데이터와 설계도면의 내용은 동일하여야 한다.

3) 설계도면 추가 작업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설계도면에 대하여 문자, 치수선, 보조선 등 설계

도면의 완성에 필요한 2차원 추가요소는 기존의 2차원 도면 작성 시 방법을

참고하여 완성한다.

3.3.2 설계도면 작성 대상

1) 설계도면의 작성은 원칙적으로 BIM 데이터를 통해 작성하여야 하며, 불필요한

도면은 최대한 배제하여 각 공종별로 최적화 하여야 한다.

2) BIM 전면설계에 의해 작성된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각 공종별(도로,

교량, 터널 등) 설계도면 전체를 대상으로 하나, BIM 데이터로 작성이 불가능한

개념도, 설계기준 등의 경우는 기존의 2차원 설계방식의 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

- 23 -

3.3.3 형상 표현

1) 3차원 표현의 방법

(1) 발주자, 시공자 및 감리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도면을 가능한 3차원으로 표현하고, 공종간 상호모순이나 설계 불분명․누락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BIM 저작도구의 3차원 형상 표현 기능에 의하여 해당 부위를 알기 쉬운

각도와 크기로 표현한다. 등각 투영을 활용하여 각도는 왜곡이 없고 치수의

측정이 가능한 30° 각의 아이소메트릭 뷰(Isometric view)를 권장한다.

2) 3차원 표현을 위한 설계도면의 구성

(1) BIM 전면설계 방식에 의한 3차원 표현의 설계도면 작성을 기본으로 한다.

3.4 설계수량 산출

3.4.1 설계수량 산출 원칙

1) BIM 데이터의 추출 활용

BIM 전면설계에 의한 수량 산출은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산출하여야

하며, 세부 공종에 관한 산출 기준은 한국도로공사 「BIM 기반 수량산출

기준」에 의해 산출하며, 국토교통부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2016)」을

참조할 수 있다.

2) 설계수량 임의 변경 금지

설계수량은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산출하여야 하며 추출된 수량 등의

임의 변경을 금지하여 BIM 데이터와 설계수량의 내용은 동일하여야 한다.

3.4.2 설계수량 산출 대상 및 방법

1) 설계수량 산출 대상

BIM 저작도구에 의해 BIM 데이터의 작성이 가능한 최종 목적 구조물의 형상

표현이 가능한 공종을 설계수량 산출 대상으로 한다. 단, 시공 중 현장 상황에

의해 변경되며, 최종 목적 구조물 이외의 가설 구조물의 설계수량은 기존

2차원 도면 설계 방식에 의해 수동으로 수량을 산출한다.

- 24 -

2) 설계수량 산출 방법

(1) BIM 데이터로부터 추출이 가능한 수량은 「BIM 기반 수량산출기준」에

의해 산출하여야 하며, BIM 데이터 작성 불가 공종 등 BIM 데이터와 무관

하게 수학적인 접근 방식으로 산출하는 경우는 기존 방식에 의해 산출하여야

한다.

(2) 단위수량을 사용하는 공종 등은 해당 공종의 연장 또는 개소수만 추출하여

기존 단위수량과 연동하여 수량 산출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6
375 201509_공사시방서(1)제10장 시멘트콘크리트 포장공사 file 효선 2023.05.12 1515
374 201509_공사시방서(1)제11장 안전시설공사 file 효선 2023.05.12 784
373 201509_공사시방서(1)제12장 환경관리 및 부대공사 file 효선 2023.05.11 820
372 201509_공사시방서(1)제13장1편_재료 file 효선 2023.05.11 840
371 201509_공사시방서(1)제13장2편_재료 file 효선 2023.04.24 763
370 201509_공사시방서(1)제13장3편_재료 file 효선 2023.04.20 770
369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0편목차 file 효선 2023.04.20 834
368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1편 file 효선 2023.04.20 812
367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2편 file 효선 2023.04.20 832
366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3편 file 효선 2023.04.19 848
365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4편 file 효선 2023.04.07 792
364 198903_배수구조물설계법(기록보관용) file 사이트관리자 2023.02.18 961
363 201608_저토피 지중구조물 상부 포장파손 저감방안 file 효선 2022.12.21 827
362 202106_하이패스나들목 설계지침 제정(본문) file 효선 2022.11.25 1231
361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목차 file 땅콩 2021.08.30 933
360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1장_일반사항 file 땅콩 2021.08.30 1033
359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2장_기본사항 file 땅콩 2021.08.30 1192
»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3장_BIM전면설계기준 file 땅콩 2021.08.30 4327
357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4장_스마트설계지침 file 땅콩 2021.08.30 998
356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부속서_1_BIM전면설계_과업내용서표준(안)_목차 file 땅콩 2021.08.30 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