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목차

1.1 일반사항

1.2 지침의 기본사항

1.3 용어

제 1 장

총 론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8

1

총 론

9

1.1 일반사항

1.1.1 BIM(건설정보모델링, 이하 "BIM"이라 한다) 도입 개요

BIM기반 디지털 전환을 통해 건설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재도약

도입

비전

BIM 도입으로 건설의 디지털 정보와 프로세스를 통합하는 협업 체계를 구현하고 데이터 기반의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생산성 향상은 물론

위험요소를 최소화하고 품질, 안전 및 친환경을 극대화함으로써 건설 산업의 디지털화를 달성한다.

도입

목표

발주자

• 문서 오류 및 누락 최소화

• 협업과 의사소통 강화

• 재작업 감소

• 건설 비용 감소

• 건설기간 단축

• 민원 및 소송 감소

• 건설정보의 통합관리 및 활용 강화

수급인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 협업과 의사소통 강화

• 설계·시공 오류 최소화

• 설계변경 및 재작업 감소

• 설계·시공비용 감소

• 프로젝트 리스크 저감

• 생산성 개선

• 현장의 안전성 확보

건설사업

관리자

(감리, CM, PM 등)

• 발주자-수급인과의 협업 및 의사소통 강화

• 사업수행의 관리 전문성 강화

• 적극적인 신기술 도입

• 사업의 공기, 비용 및 품질관리 강화

• 건설정보의 디지털화 강화

도입

효과

1.1 일반사항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10

1.1.2 건설산업의 BIM 활용의 의의

⊁⊁ BIM 활용은 건설의 전(全) 생애주기 동안의 업무 목표, 용도 및 효과 등을 고려하여 관련 정보를 생산·수집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BIM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건설단계 간에 정보가 연계되어 활용될 수 있어야 하며 표준화된 방식으로 상호 주체간의 협업이 가능해야 한다.

⊁⊁ BIM은 건설자동화 및 디지털 엔지니어링을 위한 모든 스마트건설 산업의 핵심 데이터이자 도구로서 스마트건설 관련 지침은 본 기본지침과 연계되어 마련되어야 한다.

(1) 설계

⊁⊁ BIM은 엔지니어링과 모델링 내용의 가시화를 통해 주체들 간의 신속하고 원활한 협의에 기여 할 수 있다.

⊁⊁ 시설물, 건축물, 구조물, 지형 및 지반정보 등에 대한 공간, 형상 및 속성정보를 포함함으로써 도면을 추출하고 설계 수량을 자동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 모델기반의 정보 유통을 통해 고품질의 설계가 가능하고 사전제작 구조물에 대한 시공성 확보를 통해 설계 역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 3차원 가시화를 통해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계단계에서 사전 검토할 수 있다.

(2) 시공

⊁⊁ BIM기반 가상시공을 통해 공정, 비용 및 품질관리 등 시공계획을 사전 검토 및 예측하고 자재조달의 최적화에 활용할 수 있다.

⊁⊁ 2차원 설계 도면으로 불가능한 입체적인 간섭 및 공법 검토 등 품질 확인에 활용할 수 있다.

⊁⊁ BIM은 시공과정과 공법 등을 가시화하여 위험 작업 예측과 안전대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시공 상태의 시각화를 통해 예측되는 민원 발생 등에 효율적 사전대응이 가능하다.

⊁⊁ BIM을 계측기기와 연계하여 시공관리 및 검측의 가시화와 설계변경에 활용할 수 있다.

1

총 론

11

(3) 유지관리

⊁⊁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설물·건축물 등의 안전상태를 입체공간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유지관리 대상 시설의 열화 및 성능을 평가하며, 보수보강에 대한 공법을 결정하는 등 입체적·선제적인 유지관리 및 보수보강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 BIM은 GIS 등의 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각 건설단계(조사, 설계, 시공)에서 작성된 각종 데이터(공간 및 속성정보 등)를 유지관리 및 보수보강 업무의 통합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 기존 유지관리 데이터와 BIM을 결합하여 관계자 간 데이터 공유를 통해 데이터를 검색·취득·재가공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자산관리가 가능하다.

(4) 스마트건설에서의 BIM 활용

⊁⊁ BIM 설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구축 및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설계 자동화에 활용 할 수 있다.

⊁⊁ 정확한 BIM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조물의 공장제작, 현장조립 등 제작 및 시공 장비 등과 연동하여 조립식 공법(Prefabrication), 모듈화 공법(Modularization), 탈현장건설공법

(OSC; Off-Site Construction), 3D프린팅, 시공 자동화 등에 활용할 수 있다.

⊁⊁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IoT(Internet of Things)와 연계한 디지털트윈의 구축과 건설 디지털 데이터 통합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1.1 일반사항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12

1.2 지침의 기본사항

1.2.1 지침의 기본체계

(1) 지침 구성 및 위계

⊁⊁ BIM 관련 지침은 건설산업 전반에서 BIM 적용을 위한 기본원칙과 표준을 다루는 최상위 공통지침인 ‘기본지침’과 BIM 적용 시 성과품의 작성ㆍ납품 및 활용에 대한 방법과 절차 등 세부 기준을 다루는 ‘시행지침’, 그리고 발주처가 기본 및 시행지침을 반영하여 세부 시행 방안을 별도로 마련하는 ‘적용지침’과 ‘실무요령(선택)’ 등으로 구성된다.

⊁⊁ Level 1은 국토교통부가 전반적인 건설산업에 대한 BIM 적용을 위해 마련하는 기본지침 ( Level 1-1)과 시행지침( Level 1-2)이 해당하며, Level 2는 각 발주처가 해당 사업유형이나 발주처의 특성에 맞추어 분야별로 마련하는 적용지침( Level 2-1)과 실무요령( Level 2-2)이 해당한다.

그림 1 >> 기본지침 및 하위 지침의 위계

1

총 론

13

Level 1 : 국토교통부 마련

⊁⊁ 1-1: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이하 “기본지침”이라 한다.)”으로 건설산업 전반의 BIM 관련 국가 최상위 지침이다.

⊁⊁ 1-2: “ 건설산업 BIM 시행지침(이하 “시행지침”이라 한다.)”으로 기본지침을 반영하여 건설 산업 공통의 BIM 성과품 작성·납품·활용 및 정보관리 등의 공통 시행지침*이다.

* 시행지침: 2021년도 상반기에 마련하여 배포할 예정

Level 2 : 각 발주처가 마련

⊁⊁ 2-1: “분야별 BIM 적용지침(이하 “적용지침”이라 한다.)”으로 기본지침 및 시행지침을 반영하여 분야별 특성에 따라 실제 건설사업 수행을 위해 발주처별로 실무 수준의 BIM 세부 업무 지침과 이의 실행에 필요한 관련 참조문서를 필수적으로 마련한다.

⊁⊁ 2-2: “분야별 BIM 실무요령(이하 “실무요령”이라 한다.)”으로 적용지침의 실행을 위해 실무자들이 참고해야 하는 BIM 업무절차 및 방법 등을 다루며, 발주처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

으로 마련한다.

* 시행지침: 2021년도 상반기에 마련하여 배포할 예정

(2) 지침의 작성 주체

Level 1

⊁⊁ 기본지침(Level 1-1)과 시행지침(Level 1-2)은 국토교통부가 마련하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가BIM센터가 지원한다.

Level 2

⊁⊁ 발주처는 기본지침(Level 1-1) 및 시행지침(Level 1-2)의 원칙과 기준에 따라 적용지침(Level 2-1)을 필수적으로 마련하고, 세부적인 실무적 사항을 담은 실무요령(Level 2-2) 등은 선택적으로 마련한다.

⊁⊁ 발주처는 적용지침(Level 2-1)과 함께 BIM 요구사항정의서, 과업지시서, 수행계획서 및 관련 보고서 등 주요 제출 문서에 대한 세부 서식을 준비하여 제공한다.

⊁⊁ 발주처는 필요에 따라 사업분야별로 실무요령(Level 2-2)을 마련하여 BIM 적용 수준을 달리 할 수 있다.

1.2 지침의 기본사항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14

⊁⊁발주처별 여건에 따라 분야별로 별도로 마련하거나, 통합하여 마련할 수 있다.

⊁⊁ Level 1이 개정될 경우 발주처는 Level 2에 그 변경사항을 반영해야 한다.

(3) 지침의 사용 주체

⊁⊁ 기본지침은 발주자, 수급인, 건설사업관리자 등 직접적인 건설관계자와, BIM전문기업 그리고 시설물정보관련 및 연구관련 종사자 등이 BIM사업의 도입 및 활용에 적용할 수 있다.

• 국가, 지자체, 공사·공단, 기타 공공·민간 건설사업 발주처 등

발주자

• 설계사, 시공사, 유지관리사 및 협력업체 등

수급인

• PM, CM, 감리 등

건설사업관리자

(4) 지침 관련 근거

⊁⊁ BIM 관련 지침은 건설산업의 BIM 활성화를 위한 정부정책 실행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으며, 다음의 기본계획에 근거한다.

제6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18~’22)

• 인프라 BIM 활성화 추진에 따라 BIM 가이드라인과 활성화 방안 마련

제5차 건설사업정보화기본계획(’18~’22)

• BIM 활성화를 위한 로드맵 및 관련 지침 마련으로 BIM 적용 의무화 추진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18)

• 스마트 건설기술의 핵심인 BIM이 시장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공공사업에 BIM을 단계적으로 의무화 추진

건설 엔지니어링 발전방안(’20)

• BIM 등 스마트 건설기술 확보를 위해 건설 전 분야에 적용 가능한 BIM 설계 지침 및 국가

BIM센터 근거를 마련하고 국가 BIM 프로그램 및 연관 S/W의 개발 및 보급 확산 추진

1

총 론

15

1.2 지침의 기본사항

1.2.2 기본지침 구성 및 기본원칙

(1) 기본지침의 구성 목적

⊁⊁ 기본지침은 발주처 및 분야별로 개발되는 BIM 적용지침의 실무적용 혼선을 방지하고, 디지털 정보의 원활한 공유·교환·관리 및 일관성 있는 업무수행을

유도하기 위한, 국가 최상위 지침으로서 건설 산업의 BIM 적용 원칙과 방향성을 제시한다.

⊁⊁ 기본지침은 BIM의 개념, 절차, 모델 생성, 모델 활용을 위해 각 건설단계에서 관계자(발주자, 수급인, 건설사업관리자 등)의 업무 내용 및 범위와 이를 수행하기 위해 참고해야할 기준과 방안 등을 제공하고 발주처가 마련해야 할 적용지침 작성을 위한 대원칙을 제시한다.

(2) 기본지침과 시행지침의 관계

⊁⊁ 기본지침의 목표와 선언적 내용에 근거하여 건설사업의 최상위 BIM 실행방안을 담은 시행 지침을 마련한다. 시행지침은 기본지침의 하위 지침으로써 BIM 성과품 작성·납품·활용 및 디지털 정보관리와 BIM관련 표준 및 협업체계 등 건설산업 공통의 실행방안을 제시한다.

(3) 기본지침의 대상 범위

내용적 범위

⊁⊁ 기본지침은 BIM을 적용한 건설사업 과정에서의 협업, 데이터 관리와 표준 등 사업 수행을 위한 기본적 절차와 방향을 제시하고, BIM 적용 원칙 및 단계, 방법, 계획 등에 대한 선언적 내용을 구성 범위로 한다.

⊁⊁ 건설사업 전반의 기술적, 제도적 측면의 상세 사항은 다루지 아니하며, 추후 관련 규정의 개선 필요에 따라 기본지침에 내용을 반영한다.

적용대상 범위

⊁⊁ 기본지침은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정의) 제1호에 따른 건설산업(건설공사를 대상으로 하는 건설업 및 건설용역업을 말한다.)을 적용대상으로 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16

【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 】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건설산업"이란 건설업과 건설용역업을 말한다.

2. "건설업"이란 건설공사를 하는 업(業)을 말한다.

3. "건설용역업"이란 건설공사에 관한 조사, 설계, 감리, 사업관리, 유지관리 등 건설공사와 관련된 용역(이하 "건설용역"이라 한다)을 하는 업(業)을 말한다.

4. "건설공사"란 토목공사, 건축공사, 산업설비공사, 조경공사, 환경시설공사, 그 밖에 명칭과 관계없이 시설물을 설치ㆍ유지ㆍ보수하는공사(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부지조성공사를 포함한다)

및 기계설비나 그 밖의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공사 등을 말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사는 포함하지 아니한다.

가. 「전기공사업법」에 따른 전기공사

나.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른 정보통신공사

다. 「소방시설공사업법」에 따른 소방시설공사

라. 「문화재 수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문화재 수리공사

5.∼15. (생 략)

⊁⊁ 다만,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 제4호에서 적용 예외로 하는 전기공사, 정보통신공사, 소방 시설공사, 문화재 수리공사 등 분리발주 되는 공사는 발주자의 필요에 따라 본 기본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4) 기본지침의 BIM 적용 수준에 대한 원칙

⊁⊁ 건설공사의 조사-설계-발주-조달-시공-감리-유지관리 등 전(全) 생애주기 단계에 대한 BIM 적용을 원칙으로 한다.

⊁⊁ 특히, 설계단계에서 BIM 적용은 전면 BIM설계(이하, “BIM 설계”라 한다.)를 원칙으로 하며, 이때 BIM 모델은 후속 단계에 지속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품질과 연계성을 확보하여 작성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 BIM 설계는 시공단계의 활용을 고려하여 처음부터 3차원 기반의 BIM 모델을 작성하되 BIM 모델로부터 기본도면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일부 BIM 모델로 표현이 불가능하거나 불합리한 상세부분의 설계에 대해서는 보조도면을 활용할 수 있다.(표1 참조)

⊁⊁ 시공이나 유지관리 등 설계 이후의 단계부터 BIM을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환설계나 역설계 등을 통해 BIM 모델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시공단계에 활용하는 경우에는 전면 BIM설계에 준하는 BIM 모델을 확보하도록 한다.

1

총 론

17

1.2 지침의 기본사항

표 1 >> 전면 BIM 설계의 모델 및 도면 구분

3D

2D

BIM 모델

기본 도면

보조 도면

• 기존 2차원 도면을 대체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3차원 모델

• BIM모델로부터 추출하여 작성된 도면 (BIM모델에 포함하여 제출하거나 디지털 파일로 제출 가능)

• BIM모델로 표현이 불가능하거나 불합리한 경우 보조적으로 작성하여 활용하는 일부 상세도 등의 2차원 도면

⊁⊁ 기본지침은 프로젝트의 발주방식에 따라 각 단계에 독립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사업별로 사업특성, 사업규모, 적용효과 등을 고려하여 발주자가 BIM 적용여부 및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5) 기본지침의 우선 적용대상에 대한 원칙

⊁⊁ 기본지침은 모든 사업발주 방식에 적용할 수 있으나, BIM 적용의 국내 도입 환경과 수준을 고려하여 설계·시공 일괄입찰(턴키), 기본설계 기술제안 입찰 및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

(CM at Risk)방식 등 설계·시공 통합형 사업에 우선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18

1.3 용어

건설정보모델링

BIM

•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시설물의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3차원 모델 기반으로 통합하여 건설 정보와 절차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상호 연계하고 디지털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체계를의미한다.

BIM 적용 • 적용 시설물 자산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표현을 설계, 시공 및 운영단계의 의사결정의 근거로 사용하여 건설관련 업무의 객관성, 효율성,

정확성 등을 극대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

BIM 설계 • 설계·시공 등 건설사업의 각종 업무수행에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BIM 저작도구를 통해 BIM 모델을 작성하고, 도면 등 그 외 필요한 설계도서는

BIM 모델로부터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BIM 모델 • 시설물의 3차원 형상과 속성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의미한다.

BIM 라이브러리 • 모델 안에서 시설물을 구성하는 단위 객체로서, 여러 프로젝트에서 공유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한 객체 정보의 집합을 의미한다.

BIM 성과품 • BIM 요구정의서 등의 요건에 의하여 납품 제출하는 BIM 모델 및 관련 자료를 통칭하며, BIM 모델, BIM 모델사용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외부

데이터, BIM 모델로부터 추출된 연관 데이터 및 디지털화된 도서정보의 집합을 의미한다.

정보 • 의사전달, 해석 또는 가공이 가능하도록 정형화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BIM 과업지시서 • BIM 활용목적, BIM 적용 대상 및 범위, BIM 데이터 작성 및 납품 요구 사항 등 사업에 대한 발주자가 BIM 과업에 필요한 필수사항을 정의한

문서를 의미하며, BIM 요구정의서를 포함한다.

BIM 요구정의서

(BIM Requiremens)

• 발주처가 BIM 적용 업무수행에 충족되어야 할 요구사항을 전체적으로 정의한 문서를 의미하며, BIM 정보요구정의서(BIM information

requirements)와 BIM 절차요구정의서(BIM process requirements)가 포함된다.

1

총 론

19

BIM 수행계획서

• BEP; BIM Execution Plan

• 수급인이 BIM 과업지시서 및 요구정의서를 충족하기 위하여 BIM 적용 업무의 수행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문서를 의미한다.

BIM 저작도구

• 수급인이 BIM 모델을 작성하는데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BIM 활용도구

• BIM 성과품의 확인, 검토, 분석, 가공 등의 기능을 하나 이상 수행하도록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건설표준정보

모델

•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es

• 소프트웨어 간에 BIM 모델의 상호운용 및 호환을 위하여 개발한 국제 표준(ISO 16739)기반의 데이터 포맷을 의미한다. 공개된 표준규격의 범위 내에서 BIM 모델의 공유, 교환, 활용 및 보존 등에 사용된다.

개방형 BIM

• Open BIM

• BIM 데이터의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해 ISO 및 buildingSMART International에서 제정한 국제표준 규격의 BIM데이터를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다양한 주체들이 서로 개방적으로 원활한 공유 및 교환함으로써 BIM 도입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활용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공통정보관리

환경

• CDE; Common Data Environment

• 업무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주체가 생성하는 정보를 중복 및 혼선이 없도록 공동으로 수집, 관리 및 배포하기 위한 환경을 의미한다.

통합건설정보

분류체계

• 건설공사의 제반단계에서 발생되는 건설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의미한다.

작업분류체계

•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 프로젝트 팀이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실행하는 작업을 계층 구조로 세분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

비용분류체계

• CBS; Cost Breakdown Structure

• 사업수행자가 수행 한 모든 작업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작업 분류 체계 (WBS)의 실제 비용 구조를 의미한다.

객체분류체계

• OBS; Object Breakdown Structure

• 작업 단위가 아닌 BIM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객체관점의 공간-시설-부위 단위의 위계 구조를 의미한다.

1.3 용어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20

공간객체

•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정의된 3차원의 부피를 표현하는 객체를 의미한다.

부위객체

• 시설물 또는 구조물의 부위를 표현하는 BIM 객체를 의미한다.

여유공간

• 시설물 모델에 장비, 배관 등을 배치하기 위하여 예비하거나 또는 시공, 시설사용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접근성, 점검, 안전 등을 위하여 확보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관리감독자

• 발주청 등의 소속으로 건설사업을 사업수행자에게 의뢰하고 관리·감독하는 자를 의미한다.

수급인

• 관리감독자로부터 건설사업을 의뢰받아 수행하는 자를 의미한다.

BIM모델상세 수준

• 기본지침에서 제시하는 BIM모델의 상세수준에 대한 공통 용어이며, 100~500의 6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는 생애주기 단계별 모델상세 수준을 정의한

것이다.

LOD

• LOD; Level of Developmen

•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BIM 모델의 상세수준으로, 형상정보와 속성 정보가 연계되어 단계를 거치면서 최종 준공(as-built) 모델로 생성 되는 수준을 의미한다.

국제표준기구

• IS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 각종 분야의 제품·서비스의 국제적 교류를 용이하게 하고, 상호 협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 표준화 위원회를 의미한다.

LandXML

• LandXML; Land extensible markup language

• 토지 개발 및 운송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목 공학 및 조사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특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데이터 파일 형식을 의미한다.

COBie

• COBie; Construction Operations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 건설 자산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공간 및 장비를 포함하는 자산정보를 정의한 국제표준(ISO 15686-4)을 의미한다.

bSDD

• bSDD; buildingSMART Data Dictionary

• 건설객체의 개념, 속성, 분류체계를 다양한 언어로 정의한 것을 의미한다.

1

총 론

21

1.3 용어

생애주기비용

• LCC; Life Cycle Cost

• 시설물·건축물 등의 계획-설계-입찰-계약-시공계획-시공-인도-운영- 폐기처분 단계 등의 전(全) 생애주기 단계에서 발생되는 모든 비용을 의미한다.

수치지형모델

• DTM; Digital Terrain Model

• 식생과 건물 등과 같은 물체가 없는 지표면을 표현하는 모델을 의미한다.

휴대용문서형식

• PDF; Portable Document Format

• 어도비 시스템즈에서 개발한 전자 문서 형식을 의미한다.

BIMFORUM

• 건설시설물의 기본 LOD(Level of Development) 사양을 BIM 규약으로 매년 발간하는 미국 AIA(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에서 설립한 조직을

의미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0317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49595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4260
497 202201_하수도설계기준 개정(안)(최종)_07_찌꺼기처리시설설계기준 file 효선 2022.08.17 1755
496 202201_하수도설계기준 개정(안)(최종)_08_분뇨처리시설설계기준 file 효선 2022.08.17 1519
495 202201_하수도설계기준 개정(안)(최종)_09_일반관리시설및설계시고려사항 file 효선 2022.08.17 2030
494 202204_설계용역평가업무PQSOQTP매뉴얼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2.08.17 1568
493 202204_설계용역평가업무PQSOQTP매뉴얼_01_제도개요 file 효선 2022.08.17 1738
492 202204_설계용역평가업무PQSOQTP매뉴얼_02_사업수행능력평가 file 효선 2022.08.17 2133
491 202204_설계용역평가업무PQSOQTP매뉴얼_03_기술인평가서평가 file 효선 2022.08.17 1753
490 202204_설계용역평가업무PQSOQTP매뉴얼_04_기술제안서평가 file 효선 2022.08.16 1532
489 202204_설계용역평가업무PQSOQTP매뉴얼_05_평가위원회운영특별규정 file 효선 2022.08.16 1605
488 202012_건설산업+BIM+기본지침최종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2.08.16 2446
» 202012_건설산업+BIM+기본지침최종_01_총론 file 효선 2022.08.16 1593
486 202012_건설산업+BIM+기본지침최종_02_BIM적용절차및기준 file 효선 2022.08.16 1657
485 202012_건설산업+BIM+기본지침최종_03_BIM주요표준의적용 file 효선 2022.08.16 1782
484 202012_건설산업+BIM+기본지침최종_04_BIM협업체계 file 효선 2022.08.16 1525
483 202109_출렁다리+안전관리+매뉴얼 file 효선 2022.08.16 1933
482 20212025_국토교통부_고시_제2021-1125호_제2차+도로관리계획 file 효선 2022.08.09 2294
481 210924국토교통부고시제20211109호제2차국가도로망종합계획20212030 file 효선 2022.08.09 1363
480 210924제2차국가도로망종합계획고시본+최종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2.08.09 1864
479 210924제2차국가도로망종합계획고시본+최종_01_계획의개요 file 효선 2022.08.09 2211
478 210924제2차국가도로망종합계획고시본+최종_02_추진현황및평가 file 효선 2022.08.09 1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