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KCS 21 00 00

 

 

KCS 21 00 00 가설공사

 

 

 

 

 

 

 

 

 

 

가설공사

KCS 21 70 05 : 2022

 

 

 

 

 

 

안전시설공사

 

 

 

일반사항

 

 

2022223일 개정

http://www.kcsc.re.kr

 

 

 

 

 

 

 

 

 

 

 

 

 

 

 

 

 

 

 

 

 

 

 

 

 

 

 

 

 

 

 

 

 

 

 

 

 

 

 

 

 

   

 

 

 

 

 

 

 

 

 

 

 

 

 

 

 

 

 

 

 

 

 

 

 

 

 

 

 

 

 

건설기준 제정 또는 개정에 따른 경과 조치

 

 

이 기준은 발간 시점부터 사용하며, 이미 시행 중에 있는 설계용역이나 건설공사는 발주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종전에 적용하고 있는 기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고시에 대하여 202211일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3년째의 12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할 예정입니다.

 

건설기준 연혁

 

 

 

 

 

 

 

 

이 기준은 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에 따라 기존 건설기준(설계기준, 표준시방서) 간 중복·상충을 비교 검토하여 코드로 통합 정비하였다.

 

 

이 기준은 기존의 가설공사, 건축공사, 하수관거공사 표준시방서의 안전시설공사 일반사항에 해당되는 부분을 통합 정비하여 기준으로 제정한 것으로 연혁은 다음과 같다.

 

 

 

건설기준

주요내용

제정 또는 개정

(.)

가설공사표준시방서

가설공사표준시방서 제정

제정

(2002.5)

가설공사표준시방서

지하철, 항만, 터널 및 교량 등의 가설공사에 대한 시공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립

개정

(2006.12)

가설공사표준시방서

가설공사표준시방서 개정 및 설계편 제정

개정

(2014.8)

KCS 21 70 05 : 2016

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에 따라 코드화로 통합 정비함

제정

(2016.6)

KCS 21 70 05 : 2016

한국산업표준과 건설기준 부합화에 따라 수정함

수정

(2018.7)

KCS 21 70 05 : 2019

관련 법 개정사항 반영 및 용어 정의 신설

개정

(2019.4)

KCS 21 70 05 : 2022

최근 개정 법령 반영 및 기준 간 상충해소를 위한 가설기준 전체 정비

개정

(2022.2)

 

 

 

 

 

 

 

 

 

 

 

 

제 정 : 2016630

심 의 :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소관부서 :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관련단체 : 한국건설가설협회

개 정 : 2022223

자문검토 : 국가건설기준센터 건설기준위원회

 

 

작성기관 : 한국건설가설협회

 

 

 

 

목 차

 

 

 

 

 

 

1. 일반사항 1

1.1 적용 범위 1

1.2 참고 기준 1

1.3 용어의 정의 1

1.4 제출물 1

2. 자재 2

3. 시공 3

3.1 일반사항 3

3.2 안전시설 3

3.3 현장 품질관리 4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이 기준은 건설현장에서 작업 중에 위험발생이 예상되는 장소에 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안전시설의 시공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 고시

가설공사 표준안전작업지침

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

추락재해방지 표준안전작업지침

 

 

1.2.2 관련 기준

내용 없음

 

 

1.3 용어의 정의

낙하물 방지망 : 바닥, 도로, 통로 및 비계 등에서 자재,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 및 비계 외부에 수평면과 20° 이상 30° 이하로 설치하는 망

방호 선반 : 상부에서 작업도중 자재나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 및 비계 외부 안전 통로 출입구 상부에 설치하는 낙하물 방지망 대신 설치하는 목재 또는 금속 판재

수직 보호망 : 가설구조물의 바깥면에 설치하여 낙하물 및 먼지의 비산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설치하는 보호망

 

 

1.4 제출물

 

 

1.4.1 공종별 시공계획서

(1) 안전시설 각 단위 공정별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

(2) 안전시설 조립해체 작업 절차 및 주의사항

 

 

1.4.2 시공상세도 및 성적서 등

(1) 관련된 상세를 포함한 안전시설의 설치방법

(2) 구조계산서(KDS 21 00 00에서 정한 경우만 해당)

(3) 사용재료에 대한 안전인증서

(4) 공인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

 

 

1.4.3 안전관리계획서

(1) 안전관리계획서는 KCS 21 10 00에 따른다.

 

 

1.4.4 품질 및 환경관리계획서

(1) 안전시설재는 공급자의 제품자료 및 설치요령서, 품질시험 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2) 공사 시 발생하는 소음, 진동 등 자연훼손이 예상될 경우에는 이에 대한 보호시설과 건설 폐기물 처리 등의 환경보호 시설계획을 수립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4.5 공급원 승인요청서

(1) 수급인은 품질문서에 따라 해당 자재의 공급원 승인요청 서류를 준비하여야 한다. 다만, 자재의 선정을 위하여 필요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는 공사감독자와 협의하여 생략할 수 있다.

(2) 설계도서 및 현장여건이 제품설치 등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재의 설치 등을 위하여 필요한 설계도서 및 현장여건의 조정 요구사항을 제출하여야 한다.

(3)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표준(KS) 인증품에 대하여는 자재사용을 보고하고 사용할 수 있다.

 

 

2. 자재

(1) 안전시설의 자재는 KCS 21 10 00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 강재는 방청효과가 있는 도장 또는 도금을 한 것이어야 한다.

(3) 건설공사용 망은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건조한 장소에 보관할 것

자외선을 차단할 것

열기가 있는 곳에 가까이 보관하지 말 것

, 알카리, 솔벤트 및 기름 등에 접촉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보관하지 말 것

(4) 안전시설에 사용되는 자재의 선정은 시공상세도에 반영된 자재로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 및 제89조 및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2, 11조에 적합한 자재를 사용하여야 하고, 재사용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KCS 21 10 00(1.6.2)의 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며, 자재관리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은 KCS 21 10 00(1.6)에 따른다.

(5) 이 기준에서 규정한 자재 이외의 자재는 공인시험기관의 성능시험 등에 의하여 사용목적에 적합한 성능을 가진 제품을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3. 시공

 

 

3.1 일반사항

(1) 안전시설 시공 시에는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관리감독자의 지휘 하에 작업하여야 한다.

(2) 근로자는 반드시 안전모, 안전대 등의 보호구를 착용한 후에 작업하여야 한다.

(3) 안전시설은 공종별 시공계획서 및 시공상세도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4) 안전시설 시공 전에 구조, 강도, 기능 및 자재 등에 결함이 없는지 면밀히 검토하여야 한다.

(5) 시공과 감독에 편리하고 안전하도록 공사의 종류, 규모 및 장소 등에 따라 적합한 자재 및 방법으로 견고하게 설치하고 유지관리 하여야 한다.

(6) 설계 시에 고려된 경우를 제외하고, 사용 중이거나 작업 중일 때에는 안전시설을 이동하거나 변경하지 않아야 한다.

(7) 가설전선에 근접하여 안전시설을 설치하는 때에는 가설전선을 이설하거나 가설전선에 절연용 방호구를 장착하는 등 가설전선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8) 안전시설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관련 법규 및 시공상세도와 일치되게 시공하였는지 공사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9) 작업상 부득이하게 일부의 부재를 제거할 때에는 안전시설의 성능에 문제가 없음을 사전에 확인하여야 하며, 작업을 종료한 후에는 반드시 원상복구를 하여야 한다.

 

 

3.2 안전시설

(1) 통로, 작업발판의 끝 및 개구부 등과 같이 근로자의 추락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추락재해 방지시설을 하거나 충분한 강도를 가진 구조의 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추락재해 방지시설은 작업용 기구 및 공사용 자재 등의 지지재로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3) 작업으로 인하여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낙하물 방지망, 수직 보호망 및 방호 선반 등과 같은 낙하물재해 방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4) 낙하물재해 방지시설은 바람, 진동 및 충격 등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5) 재료의 반입 등으로 안전시설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관리감독자 지휘 하에 안전시설을 제거하고 작업종료 후 즉시 복원하여야 한다.

(6) 추락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장소와 지하층 개구부 주변은 충분한 조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7) 위험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하며, 어두운 장소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표시하여야 한다.

(8) 조립 및 해체 시기범위 및 절차를 근로자에게 교육하여야 한다.

(9) 작업 구역 내에는 당해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및 관련자 이외의 출입을 금지시켜야 한다.

(10) 바람 등 악천 후 기상 상태에서는 조립 및 해체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3.3 현장 품질관리

(1) 안전시설재는 불량 혹은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보수 또는 교체하여야 한다.

(2) 안전시설재는 설치 후 다음 사항에 대해 정기적인 검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특히 악천후 전후에 이상이 없는지 반드시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망 재료 및 로프의 파손 및 노화 여부

긴결재 및 연결 철물의 손상 및 부식 상태

긴결부, 접속부 및 설치부의 상태

비계 등에 부착된 상태

강풍에 대한 대책

 

 

 

집필위원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백승환

한국건설가설협회

이준성

가설안전이엔씨

서경도

종로산업안전

장덕배

동양미래대학교

 

 

 

 

국가건설기준센터 및 건설기준위원회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이영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경인

고려대학교

구재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석환

싸이러스주식회사기술연구소

김기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문성오

()한국비계기술원

김나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대성

()한국건설안전협회

김태송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성군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김희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수원

한국건설안전협회

류상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남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원훈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상문

다인과파트너

이승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성현

()예원구조컨설팅

이용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영만

수원과학대학교

주영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광길

에스폼

최봉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정석

제이슨이엔씨 구조기술사사무소

허원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현섭

한국안전보건공단

 

 

 

 

차정운

극동엔지니어링

 

 

 

 

최지선

한국도로협회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김동규

한국수자원공사

이종섭

고려대학교

김희대

세광종합기술단

이희상

한국도로공사

문준식

경북대학교

최경학

한국도로공사

박정권

한국토지주택공사

 

 

 

 

 

 

 

 

소관부처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유병수

기술혁신과

양성모

기술혁신과

백세영

기술혁신과

 

 

 

 

 

(분야별 가나다순)

 

 

 

 

 

KCS 21 70 05 : 2022

안전시설공사 일반사항

 

 

2022223일 개정

 

 

소관부서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관련단체 한국건설가설협회

12649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여주남로 654-38

Tel: 02-3283-7321 E-mail:kaseol114@naver.com

http://www.kaseol.or.kr

 

 

작성기관 한국건설가설협회

12649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여주남로 654-38

Tel: 02-3283-7321 E-mail:kaseol114@naver.com

http://www.kaseol.or.kr

 

 

 

국가건설기준센터

10223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대화동)

Tel:031-910-0444 E-mail:kcsc@kict.re.kr

http://www.kcsc.re.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0317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49595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4260
557 2022_KCS 21 50 05_가시설+설계기준_거푸집 및 동바리공사 일반사항_08 file 효선 2022.09.28 2164
556 2022_KCS 21 50 10_가시설+설계기준_초고층·고주탑 공사용 거푸집 및 동바리_09 file 효선 2022.09.28 1598
555 2022_KCS 21 50 15_가시설+설계기준_노출 콘크리트용 거푸집 및 동바리_10 file 효선 2022.09.28 1490
554 2022_KCS 21 50 20_가시설+설계기준_기타 콘크리트용 거푸집 및 동바리_11 file 효선 2022.09.28 1699
553 2022_KCS 21 60 05_가시설+설계기준_비계공사 일반사항_12 file 효선 2022.09.28 2021
552 2022_KCS 21 60 10_가시설+설계기준_비계_13 file 효선 2022.09.28 3686
551 2022_KCS 21 60 15_가시설+설계기준_작업발판 및 통로_14 file 효선 2022.09.28 2102
» 2022_KCS 21 70 05_가시설+설계기준_안전시설공사 일반사항_15 file 효선 2022.09.28 1701
549 2022_KCS 21 70 10_가시설+설계기준_추락재해 방지시설_16 file 효선 2022.09.28 2154
548 2022_KCS 21 70 15_가시설+설계기준_낙하물재해 방지시설_17 file 효선 2022.09.28 1974
547 20220223_가시설+설계기준KDS+및+가설공사+표준시방서KCS+개정_고시 file 효선 2022.09.28 1724
546 2022_KDS 21 10 00 가시설물 설계 일반사항_01 file 효선 2022.09.28 2024
545 2022_KDS 21 30 00 가설흙막이 설계기준_02 file 효선 2022.09.28 6784
544 2022_KDS 21 45 00 가설교량 및 노면복공_설계기준_03 file 효선 2022.09.28 2047
543 2022_KDS 21 50 00 거푸집 및 동바리_설계기준_04 file 효선 2022.09.28 5722
542 2022_KDS 21 60 00 비계 및 안전시설물설계기준_05 file 효선 2022.09.28 2723
541 202208_회전교차로_설계지침_00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2.09.28 1822
540 202208_회전교차로_설계지침_01_총칙 file 효선 2022.09.28 2166
539 202208_회전교차로_설계지침_02_특징과유형 file 효선 2022.09.28 2123
538 202208_회전교차로_설계지침_03_계획및설계기준 file 효선 2022.09.28 1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