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KCS 21 00 00

 

KCS 21 00 00 가설공사

 

 

 

 

 

가설공사

KCS 21 45 05 : 2022

 

 

 

가설교량

 

2022223일 개정

http://www.kcsc.re.kr

 

 

 

 

 

 

 

 

 

 

 

 

 

 

 

 

 

 

 

 

 

 

 

 

 

 

 

 

 

 

 

 

 

 

 

 

 

 

건설기준 제정 또는 개정에 따른 경과 조치

 

이 기준은 발간 시점부터 사용하며, 이미 시행 중에 있는 설계용역이나 건설공사는 발주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종전에 적용하고 있는 기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고시에 대하여 202211일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3년째의 12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할 예정입니다.

 

 

 

건설기준 연혁

 

 

이 기준은 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에 따라 기존 건설기준(설계기준, 표준시방서) 간 중복·상충을 비교 검토하여 코드로 통합 정비하였다.

 

이 기준은 기존의 가설공사, 공동구, 하수관거공사, 하천공사 표준시방서의 가설교량에 해당되는 부분을 통합 정비하여 기준으로 제정한 것으로 연혁은 다음과 같다.

 

 

건설기준

주요내용

제정 또는 개정

(.)

가설공사표준시방서

가설공사표준시방서 제정

제정

(2002.5)

가설공사표준시방서

지하철, 항만, 터널 및 교량 등의 가설공사에 대한 시공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립

개정

(2006.12)

가설공사표준시방서

가설공사표준시방서 개정 및 설계편 제정

개정

(2014.8)

KCS 21 45 05 : 2016

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에 따라 코드화로 통합 정비함

제정

(2016.6)

KCS 21 45 05 : 2018

생활안전건설기준 강화에 따른 관련항목 개정

개정

(2018.6)

KCS 21 45 05 : 2022

최근 개정 법령 반영 및 기준 간 상충해소를 위한 가설기준 전체 정비

개정

(2022.2)

 

 

 

 

 

 

 

 

 

제 정 : 2016630

심 의 :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소관부서 :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관련단체 : 한국건설가설협회

개 정 : 2022223

자문검토 : 국가건설기준센터 건설기준위원회

 

작성기관 : 한국건설가설협회

 

 

 

목 차

 

 

 

1. 일반사항 1

1.1 적용 범위 1

1.2 참고 기준 1

1.3 용어의 정의 1

1.4 제출물 1

2. 자재 1

3. 시공 2

3.1 일반사항 2

3.2 가설교량 4

3.3 지지말뚝 4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이 기준은 지하철, 교량 및 터널 등의 토목공사에 수반되는 가설교량의 시공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내용 없음

 

1.2.2 관련 기준

KCS 24 00 00 교량공사

KS B 1002 6각 볼트

KS B 1012 6각 너트 및 6각 낮은 너트

KS B 2819 구조물용 토크-전단형 고장력 볼트, 6각 너트 및 평와셔의 세트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15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7004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KS D 7006 고장력 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KS F 4602 기초용 강관 말뚝

KS F 4603 H형강 말뚝

KS F 4605 강관 시트파일

 

1.3 용어의 정의

가설교량: 공사용 기자재와 토사를 운반하기 위해서 임시로 가설된 교량 또는 우회도로(철도포함)을 위한 임시 교량을 말한다.

 

1.4 제출물

(1) 제출물의 범위는 공사의 범위와 종류에 따라 공사시방서에 따르며, 제출물에 포함되는 내용은 KCS 21 30 00에 따른다.

 

2. 자재

(1) 가설교량에 사용하는 재료는 KDS 21 45 00에 적합한 구조용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구조용 형강은 KS F 4602, KS F 4603 KS F 4605, 형강 또는 형강은 KS D 3503SS275 또는 KS D 3515SM275에 적합하여야 한다.

(3) 볼트 및 너트는 KS B 1002, KS B 1012 KS B 2819A등급에 적합한 강제 볼트 및 너트이어야 한다.

(4) 용접봉은 KS D 7004, KS D 7006에 적합한 것으로 E4301, E5001 일루미나이트계, E 4316, E5016, E5316, E5816, E6216, E7016, E7616, E8016 저수소계를 사용하여야 한다.

(5) 강관 말뚝은 KS F 4602에 적합한 형강, H형강 말뚝은 KS F 4603에 적합한 형강, 강관시트파일은 KS F 4605에 적합한 형강으로 승인된 시공상세도에 명시된 대로 가설교량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치수를 가진 제품이어야 한다.

(6) 재사용품을 가설교량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KCS 21 10 00(1.6.2)의 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며, 자재관리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은 KCS 21 10 00에 따른다.

(7) 한국산업표준(KS) 제품이 아닌 일반제품을 사용할 때는 반입자재에 대하여 사용 전에 품질시험 성적서를 공사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8) 이 기준에서 규정한 재료 이외의 재료는 공인시험기관의 성능시험 등에 의하여 사용목적에 적합한 제품을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3. 시공

 

3.1 일반사항

(1) 수급인은 현장의 지형, 지반조사 및 수위 등의 현장조건을 면밀히 파악한 후 시공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 가설교량의 높이는 최대 홍수위 및 수면교통을 감안하여 계획하여야 하며, 수급인은 시공 전 해당 관리청에 가설교량의 설치기간, 설치범위에 대하여 공사감독자에게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교통표지판, 경광등 등의 유도표지를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여야 한다.

(4) 대규모 구조물 공사로 장기간에 걸쳐 시공되는 경우에는 가설물막이를 현장여건에 따라 설치하고 육상 작업장으로부터 가설물막이와 병행하여 가설교량을 설치한다.

(5) 가설교량의 설치위치는 홍수 시의 유수에 대하여 관리상 본 공사 하류로 하며, 가설물막이 하류에 근접한 지점으로 한다.

(6) 고수부지로부터의 연결부분은 홍수 시에 유수흐름에 장애가 되지 않아야 하며, 제방의 안정성에 위해한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7) 가설교량은 가설물막이의 설치속도에 맞추어 차례로 연장하고, 가설물막이에 연결되는 분기선은 가설물막이 철거와 동시에 철거한다.

(8) 분기부는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하여 충분한 넓이를 확보해야 한다.

(9) 볼트 조임 후 이탈되지 않도록 안전장치 및 볼트에 대한 안전관리 일지를 정기적으로 작성하여야 한다.

 

3.2 가설교량

(1) 가설교량의 설계하중은 DB-24, 대형공사용 기계의 상재하중, 공사용 기계의 수평하중 및 기타 유수, 토압, 파도, 바람에 의한 수평력 및 온도하중을 기준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2) 가설교량의 폭은 교통소통과 안전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3) 가설교량은 공용기간 중 파손이 없는 포장단면이나 복공판을 설치하여야 하며, 필요시 양질의 충격완화용 성토재료로 시공할 경우에는 재료가 유실되지 않도록 부직포를 설치할 수 있다.

(4) 가설교량의 좌우측에는 난간을 설치하여야 하며 난간의 높이는 노면으로부터 0.9m 이상, 1.2m 이하이어야 하며, ·우측 난간은 추락방지를 위해 와이어 로프 등으로 결속하여야 한다.

(5) 가설교량의 좌·우측 방호울타리에는 야간에 반사체를 4m 간격으로 포장면으로부터 0.9m 높이에 설치하여 차량시선을 유도하여야 한다.

(6) 가설교량의 하부기초는 소요 지내력이 확보되도록 시공하여 차량통행 시 계측시스템 등을 통해 하부기초가 설계에서 고려된 허용침하량 이내로 관리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7) 공사용 가설교량 설치 시 다음 사항에 따른다.

포장 노면의 계획고는 평수위(MWL)를 감안하여 1m 이상 여유고를 확보하여야 한다.

하천상의 가교 설치 시 유수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가교의 설치에 대한 관할 하천관리기관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평수위(MWL)에 대한 자료가 없거나 관측이 곤란한 경우 가설교량 설치기간을 고려한 설계빈도로 홍수위를 산정한 후 공사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8) 우회용 가설 교량 설치 시 다음 사항에 따른다.

기존교량의 계획고 또는 제방의 계획고를 기준으로 하되 기존 교량의 여유고 부족으로 교체되는 경우 가설교량 거더 하단이 기존 교량 슬래브 하단보다 높게 설치되어야 한다.

최소 지간장 적용 시 기존 교량의 설치 지간장을 기준으로 계획하고 부득이 확장이 필요한 경우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9) 횡단도로상의 가설교량은 차량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설계기준 등에서 정한 형하여유고를 확보하고 소요 차로수 및 차로폭이 유지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10) 가설교량의 교대부분에는 기존도로 및 접속도로의 토공부에 손상이 없도록 흙막이 벽 등 보호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11) 해상에 가설교량을 설치할 경우에는 가교통과 유속을 측정하여 현장여건에 맞는 계획을 수립하여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12) 가설교량은 공사완료 후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철거 및 원상복구 하여야 한다.

(13) 가설교량 접속부 포장 단차는 원활한 차량소통에 문제가 없도록 연결부를 시공하여야 한다.

(14) 기존 교량에 보도가 있거나 시민의 통행이 빈번할 때 가설교량 외측은 통행이 가능한 인도와 안전난간대를 설치하여야 한다.

 

3.3 지지말뚝

(1) 지지말뚝 설치 시 가이드 빔(beam)을 설치하여 강재의 연직도를 검사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2) 말뚝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심도를 표시하여 근입 정도를 지표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근입 깊이까지 말뚝을 설치하여야 한다.

(3) 지지층 지반이 풍화암 이상의 암층으로 구성되어 직접 항타 시공 시 인접 건물이나 지장물의 피해가 예상되어 민원 등의 우려가 있을 경우 직접 항타를 피하고 천공을 하여야 한다.

(4) 천공 지지말뚝의 관입이 용이하도록 천공하여야 하며, 말뚝 선단 근입 시 지지 지반이 풍화암 이하일 경우 1.0m 이상, 연암 이상 시 0.5m 이상 근입되도록 하여야한다.

(5) 천공 후 지지말뚝은 연직을 유지하여야 하며 작업 중 확인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6) 천공면 상단부의 붕괴가 우려될 경우에는 케이싱 등을 설치하여 천공면을 보호하여야 한다.

(7) 지지말뚝을 이음 연결하여 사용할 때는 인접 말뚝의 이음 위치가 동일 높이에서 시공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8) 말뚝선단이 지지층에 도달하여 설계지지력을 얻었다는 근거와 소요 근입장에 도달하면 말뚝 관입을 중지하여야 한다. 하지만 현장 지반의 여건에 따라 파일의 근입장이 설계도서와 다른 경우 파일 지지력 추정방법을 통해 파일 항타를 중지 할 수 있다.

(9) 말뚝을 설계지지력이 얻어지는 깊이까지 관입을 한 후에 수준측량기를 사용하여 설계도서 상의 계획고까지 측량을 실시한다. 측량 후 말뚝의 두부 상단의 위치에 마킹을 한 후 두부정리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10) 천공 및 항타장비는 말뚝의 종류, 중량, 근입 깊이, 타입본수, 토질, 주위환경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장비를 선택하여야 한다.

(11) 말뚝선단이 지지층에 도달하여도 설계지지력을 확보하였는지 말뚝재하시험을 실시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집필위원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신찬근

한국건설가설협회

임상훈

광제건설

신효희

신한이엔시

한상희

보금개발

 

 

 

국가건설기준센터 및 건설기준위원회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이영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경인

고려대학교

구재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석환

싸이러스주식회사기술연구소

김기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문성오

()한국비계기술원

김나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대성

()한국건설안전협회

김태송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성군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김희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수원

한국건설안전협회

류상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남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원훈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상문

다인과파트너

이승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성현

()예원구조컨설팅

이용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영만

수원과학대학교

주영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광길

에스폼

최봉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정석

제이슨이엔씨 구조기술사사무소

허원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현섭

한국안전보건공단

 

 

차정운

극동엔지니어링

 

 

최지선

한국도로협회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김동규

한국수자원공사

이종섭

고려대학교

김희대

세광종합기술단

이희상

한국도로공사

문준식

경북대학교

최경학

한국도로공사

박정권

한국토지주택공사

 

 

 

 

 

소관부처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유병수

기술혁신과

양성모

기술혁신과

백세영

기술혁신과

 

 

 

(분야별 가나다순)

 

 

 

 

KCS 21 45 05 : 2022

가설교량

 

2022223일 개정

 

소관부서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관련단체 한국건설가설협회

12649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여주남로 654-38

Tel: 02-3283-7321 E-mail:kaseol114@naver.com

http://www.kaseol.or.kr

 

작성기관 한국건설가설협회

12649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여주남로 654-38

Tel: 02-3283-7321 E-mail:kaseol114@naver.com

http://www.kaseol.or.kr

 

 

국가건설기준센터

10223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대화동)

Tel:031-910-0444 E-mail:kcsc@kict.re.kr

http://www.kcsc.re.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0324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49597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4267
577 20220111_KCS_14_20_22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섬유보강 콘크리트_07 file 효선 2022.09.28 2045
576 20220111_KCS_14_20_24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팽창 콘크리트_08 file 효선 2022.09.28 1604
575 20220111_KCS_14_20_30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수밀 콘크리트_09 file 효선 2022.09.28 1793
574 20220111_KCS_14_20_32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고유동_콘크리트_10 file 효선 2022.09.28 1898
573 20220111_KCS_14_20_33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고강도 콘크리트_11 file 효선 2022.09.28 2066
572 20220111_KCS_14_20_42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매스 콘크리트_12 file 효선 2022.09.28 3207
571 20220111_KCS_14_20_43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수중 콘크리트_13 file 효선 2022.09.28 1994
570 20220111_KCS_14_20_44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해양 콘크리트_14 file 효선 2022.09.28 1899
569 20220111_KCS_14_20_53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_15 file 효선 2022.09.28 2056
568 20220111_KCS_14_20_60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외장용 노출 콘크리트_16 file 효선 2022.09.28 1955
567 20220111_KCS_14_20_70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합성구조 콘크리트_17 file 효선 2022.09.28 1564
566 20220111_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KDS+및+콘크리트구조공사+표준시방서KCS+개정 file 효선 2022.09.28 1733
565 20211216_공통공사+표준시방서KCS+제개정 file 효선 2022.09.28 2331
564 2022_KCS 21 10 00_가시설+설계기준_가설공사 일반사항_01 file 효선 2022.09.28 1952
563 2022_KCS 21 20 05_가시설+설계기준_현장가설공급설비 및 가설시설물_02 file 효선 2022.09.28 3233
562 2022_KCS 21 20 10_가시설+설계기준_건설지원장비_03 file 효선 2022.09.28 1986
561 2022_KCS 21 30 00_가시설+설계기준_가설흙막이 공사_04 file 효선 2022.09.28 7679
560 2022_KCS 21 40 00_가시설+설계기준_가설물막이, 축조도로, 가설도로, 우회도로_05 file 효선 2022.09.28 2009
» 2022_KCS 21 45 05_가시설+설계기준_가설교량_06 file 효선 2022.09.28 2029
558 2022_KCS 21 45 10_가시설+설계기준_노면 복공_07 file 효선 2022.09.28 2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