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KCS 14 00 00

 

 

KCS 14 00 00 구조재료공사

 

 

 

 

 

 

 

 

 

 

KCS 14 20 30 : 2022

 

 

 

 

 

 

수밀 콘크리트

구조재료공사

 

 

2022111일 개정

http://www.kcsc.re.kr

 

 

 

 

 

 

 

 

 

 

 

 

 

 

 

 

 

 

 

 

 

 

 

 

 

 

 

 

 

 

 

 

 

 

 

 

 

 

 

 

 

 

 

 

 

 

 

 

 

 

 

 

 

 

 

 

 

 

 

 

 

 

 

 

 

 

 

 

 

건설기준 제정 또는 개정에 따른 경과 조치

 

 

이 기준은 발간 시점부터 사용하며, 이미 시행 중에 있는 설계용역이나 건설공사는 발주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종전에 적용하고 있는 기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고시에 대하여 202211일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3년째의 1231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할 예정입니다.

 

 

 

건설기준 연혁

 

 

이 기준은 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에 따라 기존 건설기준(설계기준, 표준시방서) 간 중복상충을 비교 검토하여 코드로 통합 정비하였다.

 

 

이 기준은 기존의 콘크리트 설계기준에 해당되는 부분을 통합 정비하여 기준으로 제정한 것으로 제개정 연혁은 다음과 같다.

 

 

 

건설기준

주요내용

제정 또는 개정

(.)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정

제정

(1962.5)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무근, 철근, 포장, 댐 콘크리트 시방서 통합

기존 국토건설청 규준, 제료규격 및 시험방법을 한국공업규격(KS)으로 개정

개정

(1968.12)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건설기술의 대형화, 다양화, 새로운 공법 및 자재개발에 따른 시방서 일부개정

개정

(1977.12)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강도설계법에 따라 시방서 개정

개정

(1985.1)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국내외 시방서 및 지침서등의 연관성 검토

구조물의 설계, 시공, 공사품질관리 전반에 대한 시방이 되도록 개정

개정

(1988.12)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내구성 향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준안 마련

유동화 콘크리트, 구조물 유지관리에 관한 규정 신설

개정

(1996.6)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현행 설계편과 시공편으로 구성된 표준시방서를 시공기준으로 작성

개정

(1998.12)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허용균열폭, 피복두께, 인장철근 정착길이 수정

벽체의 부재 적용범위 구체화

개정

(2003.4)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순환골재 재활용 등 친환경 콘크리트 품질확보방안 신설

고유동, 폴리머, 섬유보강 콘크리트 신설

개정

(2009.9)

KCS 14 20 30 : 2016

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에 따라 코드화로 통합 정비

제정

(2016.6)

KCS 14 20 30 : 2016

한국산업표준과 건설기준 부합화에 따라 수정함

수정

(2018.7)

KCS 14 20 30 : 2021

콘크리트 건설기준에 대한 최신 기술 반영

콘크리트 건설기준의 적합성 검토 및 정비

개정

(2021.2)

KCS 14 20 30 : 2022

한국산업표준과 건설기준 부합화에 따라 수정함

개정

(2022.1)

 

 

 

 

 

 

 

 

 

 

 

 

 

 

 

 

 

 

 

 

 

 

 

 

 

 

 

 

 

 

 

 

 

 

 

 

 

 

 

 

 

 

 

 

 

 

 

 

 

 

 

 

제 정 : 2016630

심 의 :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소관부서 :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관련단체 : 한국콘크리트학회

개 정 : 2022111

자문검토 : 국가건설기준센터 건설기준위원회

 

 

작성기관 : 한국콘크리트학회

 

 

 

 

목 차

 

 

 

 

1. 일반사항 1

1.1 적용범위 1

1.2 참고 기준 1

1.3 용어의 정의 1

1.4 수밀 콘크리트 일반 2

1.5 제출물 2

2. 자재 2

2.1 구성재료 2

2.2 배합 2

2.3 재료 품질관리 3

3. 시공 3

3.1 시공일반 3

3.2 운반 4

3.3 타설 4

3.4 양생 4

3.5 현장품질관리 4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콘크리트 공사에 있어서 높은 수밀성을 요구하는 콘크리트의 재료 및 시공에 대한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한다.

(2) 이 기준은 투수, 투습에 의해 안전성, 내구성, 기능성, 유지관리 및 외관 변화 등의 영향을 받는 구조물인 각종 저장시설, 지하구조물, 수리구조물, 저수조, 수영장, 상하수도시설, 터널 등 높은 수밀성이 필요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한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내용없음

 

 

1.2.2 관련 기준

KCS 14 20 10 일반콘크리트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방법

KS F 2562 콘크리트용 팽창재

KS F 2597 압력하에서 콘크리트의 물 침투 깊이 시험방법

KS F 4926 콘크리트용 수밀 혼화재

 

 

1.3 용어의 정의

균열저감제(crack reducing agent):콘크리트의 블리딩을 저감시키고, 시공 후 수화과정에서 콘크리트의 결함부를 충전하는 불용성 혹은 난용성 화합물을 생성시켜 소성수축, 건조수축 등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수축균열을 억제하는 기능성 혼화 재료

수밀 혼화재(waterproofing admixture):콘크리트의 수밀성을 보다 높게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콘크리트용 혼화재

수밀성(watertightness):투수성이나 투습성이 작은 성질

수밀콘크리트(watertight concrete):수밀성이 큰 콘크리트 또는 투수성이 작은 콘크리트

콜드조인트(cold joint):먼저 타설된 콘크리트와 나중에 타설된 콘크리트 사이에 완전히 일체화가 되어있지 않은 이음

팽창재(expansive additive):시멘트와 물의 수화반응에 의해 에트린자이트 또는 수산화칼슘 등을 생성하고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팽창시키는 작용을 하는 혼화 재료

포졸란(pozzolan):혼화재의 일종으로서 그 자체에는 수경성이 없으나 콘크리트 중의 물에 용해되어 있는 수산화칼슘과 상온에서 천천히 화합하여 물에 녹지 않는 화합물을 만들 수 있는 실리카질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미분말 상태의 재료

1.4 수밀 콘크리트 일반

(1) 수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은 설계 내용을 충분히 검토하여 균열, 콜드조인트, 이어치기부, 신축이음, 허니컴, 재료 분리 등 외부로부터 물의 침입이나, 내부로부터 유출의 원인이 되는 결함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수밀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는 균일하고 치밀한 조직을 갖는 콘크리트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재료, 배합, 비빔, 타설, 다지기 및 양생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 수밀을 요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이음부 및 거푸집 긴결재 설치 위치에서의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필요에 따라 방수를 하여야 한다.

(4) 수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할 때 반드시 시공이음, 신축이음 등을 두어야 할 경우에는, 이음부를 대상으로 별도의 방수공 또는 충전재를 계획하여 책임기술자의 승인을 얻어 시공 후 누수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1.5 제출물

(1) 제품 자료

(2) 그 밖의 사항은 KCS 14 20 10(1.6)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2. 자재

 

 

2.1 구성재료

(1) 수밀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재료에 관한 사항은 KCS 14 20 10(2)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2) 수밀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혼화 재료는 KCS 14 20 10(2.1.5)에 적합한 공기연행제, 감수제, 공기연행감수제, 고성능공기연행감수제 또는 포졸란 등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수밀성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혼화 재료로서 팽창재, 방수제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효과를 확인하고 사용 방법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2.2 배합

(1) 배합은 콘크리트의 소요의 품질이 얻어지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 및 물-결합재비는 되도록 작게 하고, 단위 굵은 골재량은 되도록 크게 한다.

(2) 콘크리트의 소요 슬럼프는 되도록 작게 하여 180 mm를 넘지 않도록 하며,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할 때에는 120 mm 이하로 한다.

(3)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키기 위해 공기연행제, 공기연행감수제 또는 고성능공기연행감수제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공기량은 4% 이하가 되게 한다.

(4) -결합재비는 5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2.3 재료 품질관리

(1) 수밀 콘크리트의 품질 검사는 표 2.3-1에 따른다.

(2) 그 밖의 항목은 KCS 14 20 10(2.3)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종류

항목

시험검사 방법

시기횟수

판단기준

방수제

KS F 4926

품질 항목

제조회사의 시험성적표에 의한 확인 또는 KS F 4926의 방법

제조회사별 공사 시작 전, 공사 중 1/월 이상 및 장기간 저장한 경우

KS F 4926에 적합할 것

팽창재

KS F 2562

품질 항목

제조회사의 시험성적표에 의한 확인 또는 KS F 2562의 방법

KS F 2562에 적합할 것

압축강도로

추정할 경우

KS F 2405의 방법

1/일 또는 구조물의 중요도와 공사의 규모에 따라 120마다 1, 배합이 변경될 때마다

KCS 14 20 10

(3.5-3)에 적합할 것

-결합재비

1)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수량분석과 시멘트의 계량값으로부터 구하는 방법

2)골재의 표면수율과 콘크리트재료의 계량값으로부터 구하는 방법

KCS 14 20 10

(3.5-2)에 준하여 소요의 값에 만족할 것

 

 

 

3. 시공

 

 

3.1 시공일반

(1) 수밀 콘크리트의 시공과 관련하여 이 장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KCS 14 20 01, KCS 14 20 10의 규정에 따른다.

(2) 소요 품질을 갖는 수밀 콘크리트를 얻기 위해서는 적당한 간격으로 시공 이음을 두어야 하며, 그 이음부의 수밀성에 대하여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는 가능한 연속으로 타설하여 콜드조인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수밀 콘크리트는 누수 원인이 되는 건조수축 균열의 발생이 없도록 시공하여야 하며, 0.1 mm 이상의 균열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를 검토하여야 한다.

(5) 2.1(3)의 수밀성 향상 위한 방수제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방수제의 사용 방법에 따라 배치플랜트에서 충분히 혼합하여 현장으로 반입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사용 방수제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 혼합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이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책임기술자의 승인을 얻어 관리하여야 한다.

(6) 거푸집의 긴결재로 사용한 볼트, 강봉, 세퍼레이터 등의 아래쪽에는 블리딩 수가 고여서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물의 통로를 만들어 누수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누수에 대하여 나쁜 영향이 없는 재질 및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3.2 운반

(1) 방수제가 혼합된 콘크리트는 재료 분리, 슬럼프의 저하, 공기량의 감소가 최소가 되도록 취급하고 운반하여야 한다.

(2) 운반으로 인해 필요한 콘크리트 품질이 변화하지 않아야 한다.

 

 

3.3 타설

(1) 연속 타설 시간 간격은 외기온도가 25 를 넘었을 경우에는 1.5시간, 25 이하일 경우에는 2시간을 넘어서는 안 된다. 다만, 특별한 방법을 강구한 경우에는 책임기술자의 지시에 따르거나 승인을 받아 이 시간의 한도를 변경할 수 있다.

(2) 콘크리트 다짐을 충분히 하며, 가급적 이어치기를 하지 않아야 한다. 부득이 이어치기를 할 때는 그 방법과 방수처리는 공사시방서 또는 책임기술자의 지시에 따른다.

(3) 시공이음을 적용할 경우 시공이음의 위치, 구조 및 간격, 재료 등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4) 연직 시공 이음에는 지수판 등 물의 통과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방수처리제 등의 재료 및 도구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3.4 양생

(1) 수밀콘크리트는 충분한 습윤 양생을 실시하여야 한다.

(2) 팽창재와 방수제의 콘크리트 응결지연에 대한 영향을 확인한 후 양생기간,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시기를 정하여야 한다.

 

 

3.5 현장품질관리

(1) 단위수량의 변화, 이어치기의 시간 간격의 변동, 습윤 양생기간의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품질관리 및 검사 방법을 정하여야 한다.

(2) 수밀 콘크리트의 수밀성 시험은 KS F 2597에 따른다.

(3) 수밀 콘크리트를 공사할 때 현장에 반입되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KCS 14 20 10(3.5)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4) 2.1(3)의 수밀성 향상 위한 방수제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KS F 4926의 관련 시험을 시행하거나, 확인하여 품질기준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5) 2.1(3)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수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 방수제의 성질을 고려하여야 하고, 응결지연 특성이 다른 방수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현장 품질시험이 이루어지도록 사전에 충분히 관리하여야 한다.

(6) 이 기준에서 명시하지 않은 품질관리 및 검사 사항은 KCS 14 20 10(3.5)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집필위원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배기선

한양대학교

이진용

캐어콘

신홍철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장봉석

K-water

 

 

 

 

자문위원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김은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재요

광운대학교

신영수

이화여자대학교

이성로

목포대학교

장승엽

한국교통대학교

최기봉

가천대학교

최연왕

세명대학교

최완철

숭실대학교

한천구

청주대학교

홍건호

호서대학교

 

 

 

 

국가건설기준센터 및 건설기준위원회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이영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지상

서경대학교

구재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경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기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창우

티섹구조엔지니어링

김태송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강수

서울시립대학교

김희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성수

창민우구조컨설턴트

류상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영진

한국콘크리트학회

원훈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춘호

중부대학교

이승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노병철

상지대학교

이여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재훈

영남대학교

이용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지훈

진화기술공사

주영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채규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최봉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장봉석

K-water

허원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장승엽

한국교통대학교

 

 

 

 

조재열

서울대학교

 

 

 

 

차수원

울산대학교

 

 

 

 

최정욱

한국콘크리트학회

 

 

 

 

홍건호

호서대학교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김성수

대진대학교

오상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희대

세광종합기술단

이수빈

고려개발

신명수

울산과학기술원

 

 

 

 

 

 

 

 

국토교통부

 

 

성 명

소 속

성 명

소 속

유병수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양성모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백세영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KCS 14 20 30 : 2022

 

수밀 콘크리트

2022111일 개정

 

 

소관부서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

 

 

관련단체 한국콘크리트학회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22 한국과학기술회관 신관 1009

Tel:02-568-5985 E-mail:kci@kci.or.kr

http://www.kci.or.kr

 

 

작성기관 한국콘크리트학회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22 한국과학기술회관 신관 1009

Tel:02-568-5985 E-mail:kci@kci.or.kr

http://www.kci.or.kr

 

 

 

 

국가건설기준센터

10223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대화동)

Tel:031-910-0444 E-mail:kcsc@kict.re.kr

http://www.kcsc.re.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0324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49597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4267
577 20220111_KCS_14_20_22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섬유보강 콘크리트_07 file 효선 2022.09.28 2045
576 20220111_KCS_14_20_24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팽창 콘크리트_08 file 효선 2022.09.28 1604
» 20220111_KCS_14_20_30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수밀 콘크리트_09 file 효선 2022.09.28 1793
574 20220111_KCS_14_20_32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고유동_콘크리트_10 file 효선 2022.09.28 1898
573 20220111_KCS_14_20_33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고강도 콘크리트_11 file 효선 2022.09.28 2066
572 20220111_KCS_14_20_42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매스 콘크리트_12 file 효선 2022.09.28 3207
571 20220111_KCS_14_20_43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수중 콘크리트_13 file 효선 2022.09.28 1994
570 20220111_KCS_14_20_44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해양 콘크리트_14 file 효선 2022.09.28 1899
569 20220111_KCS_14_20_53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_15 file 효선 2022.09.28 2056
568 20220111_KCS_14_20_60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외장용 노출 콘크리트_16 file 효선 2022.09.28 1955
567 20220111_KCS_14_20_70_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_합성구조 콘크리트_17 file 효선 2022.09.28 1564
566 20220111_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KDS+및+콘크리트구조공사+표준시방서KCS+개정 file 효선 2022.09.28 1733
565 20211216_공통공사+표준시방서KCS+제개정 file 효선 2022.09.28 2331
564 2022_KCS 21 10 00_가시설+설계기준_가설공사 일반사항_01 file 효선 2022.09.28 1952
563 2022_KCS 21 20 05_가시설+설계기준_현장가설공급설비 및 가설시설물_02 file 효선 2022.09.28 3233
562 2022_KCS 21 20 10_가시설+설계기준_건설지원장비_03 file 효선 2022.09.28 1986
561 2022_KCS 21 30 00_가시설+설계기준_가설흙막이 공사_04 file 효선 2022.09.28 7679
560 2022_KCS 21 40 00_가시설+설계기준_가설물막이, 축조도로, 가설도로, 우회도로_05 file 효선 2022.09.28 2009
559 2022_KCS 21 45 05_가시설+설계기준_가설교량_06 file 효선 2022.09.28 2029
558 2022_KCS 21 45 10_가시설+설계기준_노면 복공_07 file 효선 2022.09.28 2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