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건설산업 BIM 시행지침

발주자편

 

2022. 07.

 

02 건설산업 BIM 시행지침_발주자 편

 

머리말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라는 세계적 흐름에 맞추어 디지털 전환의 핵심인 계획-설계-조달-시공-유지관리 단계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건설데이터의 통합과 공유, 건설사업 이해관계자 간 소통의 도구로 건설정보모델링(BIM)기술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BIM 기술은 2차원 도면을 3차원 모델로 변환하는 것을 넘어 건설프로세스의 통합과 이해관계자들 간 협업을 촉진시켜 건설산업을 혁신시켜나갈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이 지침은 2020년 12월에 발간한 건설사업에 BIM 적용을 위한 기본원칙과 표준을 다루는 최상위 공통지침인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을 공공 및 민간 발주처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 세부 기준과 BIM 성과품의 작성·납품 및 활용에 대한 방법과 절차 등을 참조하여 발주처별로 특성에 맞게 적용지침을 마련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습니다.

이 지침은 BIM 적용절차, 데이터 및 성과품 작성․납품기준, 품질검토 기준을 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BIM 활용사례도 담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수행주체별 업무의 범위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 세부 내용을 구분하여 [발주자 편], [설계자 편] 및 [시공자 편]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습니다. 이 시행지침을 기반으로 BIM을 도입․활용하고자 하는 발주자는 사업의 유형 및 실무 특성에 따라 세부 시행방안을 정하는 「분야별 BIM 적용지침」과 「분야별 BIM 실무요령」을 마련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국토교통부는 이 지침이 폭넓게 활용되기를 바라며, 활용 과정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보완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그간 바쁘신 중에도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본 지침의 발간 작업에 참여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2년 07월

국토교통부 기술안전정책관 김 영 국

 

머 리 말

04 건설산업 BIM 시행지침_발주자 편

목차 05

제1장

개요

1.1 일반사항 11

1.1.1 지침의 개요 11

1.1.2 시행지침 활용의 의의 12

1.2 지침의 구성 13

1.2.1 지침의 기본체계 13

1.2.2 발주자편 구성 및 기본원칙 16

1.2.3 발주자편 세부 구성 18

1.2.4 시행지침의 우선 적용대상에 대한 원칙 18

1.3 지침의 사용주체 및 역할 19

1.3.1 발주처 19

1.3.2 건설사업관리기술인 19

1.4 BIM 데이터 책임과 권한 20

1.4.1 BIM 데이터 책임 20

1.4.2 BIM 데이터 권한 20

1.4.3 BIM 데이터 보안 20

1.5 용어 21

제2장

BIM 발주절차

2.1 BIM 발주절차 개요 27

2.2 사업 착수 전 단계 29

2.2.1 BIM 발주계획 수립 29

2.2.2 BIM 사업발주 방식 선정 31

06 건설산업 BIM 시행지침_발주자 편

2.3 사업 준비 단계 32

2.3.1 BIM 조직 구성 32

2.3.2 BIM 평가계획 수립 33

2.3.3 BIM 요구사항 정의 34

2.3.4 BIM 대가 마련 35

2.4 발주서류 준비 및 작성 단계 35

2.4.1 BIM 발주문서 작성 35

2.4.2 BIM 수행계획서 (BEP; BIM Execution Plan) 36

2.5 사업 공고 단계 38

2.5.1 사업공고 준비 38

2.5.2 사업공고 38

2.6 제안 평가 및 선정 단계 39

2.7 계약 및 보완 39

2.8 사업 수행 및 관리 단계 40

2.9 납품 성과품 품질 검토 단계 40

2.10 성과품 관리 단계 41

제3장 발주자 BIM 요구사항

3.1 발주자 BIM 요구사항 정의 45

3.2 BIM 조직 및 인프라 구성 45

3.2.1 BIM 조직구성 45

3.2.2 BIM 수행 인프라 마련 46

목차 07

3.3 BIM 상세수준 47

3.4 BIM 모델 48

3.5 BIM 속성 50

3.6 BIM 성과품 작성 및 납품 51

3.6.1 구성기준 및 절차 51

3.6.2 폴더체계 구성 51

3.6.3 BIM 데이터 파일 포맷 51

3.7 BIM 성과품 품질 검토 53

3.7.1 BIM 품질검토 기준 구성 53

3.7.2 BIM 품질검토 방법 및 절차 53

부속서 [부속서 1] BIM 과업지시서 작성 가이드(예시) 59

[부속서 2] BIM 수행계획서 양식 (예시) 69

[부속서 3] BIM 결과보고서 양식 (예시) 9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62062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80460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65949
727 201812_KDS 51 14 45 하천환경 계획 file 효선 2023.03.16 3660
726 201812_KDS 51 14 50 하천친수 계획 file 효선 2023.03.15 7228
725 201812_KDS 51 17 00 하천내진 설계 file 효선 2023.03.15 4773
724 201812_KDS 51 40 05 하천보 file 효선 2023.03.15 5321
723 201812_KDS 51 40 10 하천어도 file 효선 2023.03.14 7100
722 201812_KDS 51 40 15 하천취수시설 file 효선 2023.03.14 6007
721 201812_KDS 51 40 20 내륙주운시설 file 효선 2023.03.14 4220
720 201812_KDS 51 50 05 하천제방 file 효선 2023.03.13 6736
719 201812_KDS 51 50 10 하천호안 file 효선 2023.03.13 6131
718 201812_KDS 51 50 15 하천수제 file 효선 2023.03.13 3713
717 201812_KDS 51 50 20 하천하상유지시설 file 효선 2023.03.13 5686
716 201812_KDS 51 50 25 하천수문 file 효선 2023.03.13 7663
715 201812_KDS 51 50 30 하천통문 file 효선 2023.03.13 4451
714 201812_KDS 51 50 35 하천내수배제 및 우수유출저감시설 file 효선 2023.03.13 4953
713 201812_KDS 51 50 40 하천사방시설 file 효선 2023.03.13 8567
712 201812_KDS 51 50 45 하천하구시설 file 효선 2023.03.13 7512
711 201812_KDS 51 60 05 하천정화시설 file 효선 2023.03.13 4705
710 201812_KDS 51 70 05 여울과 소 file 효선 2023.03.13 4083
709 201812_KDS 51 80 05 하천친수시설 file 효선 2023.03.13 4784
708 201812_KDS 51 90 05 하천수로터널 file 효선 2023.03.13 6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