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13-13 리 벳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강구조물 공사에 사용하는 리벳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KS B 1102 열간 성형 리벳

KS D 3557 리벳용 원형강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리벳의 종류

강구조물에 쓰이는 리벳의 종류 및 재료는 표 13-13-1과 같다.

 

13-13-1 리벳의 종류 및 재료

 

구 분

재 료

주 용 도

둥 근 머 리 리 벳

접 시 머 리 리 벳

둥근접시머리리벳

납 작 머 리 리 벳

KS D 3557

일 반 용

 

 

2.2 리벳의 기계적 성질

2.2.1 리벳의 머리를 약 800 로 가열하여 머리지름이 호칭지름의 2.5배인 평면이 되도록 눌렀을 때 가장자리에 터짐이 생겨서는 안 된다.

2.2.2 리벳의 몸통을 상온에서 180 °로 구부려서 끝이 닿도록 하였을 때 바깥쪽에 터짐 및 흠이 생겨서는 안 된다.

 

2.3 리벳의 모양 및 치수

리벳의 표면은 매끈하고 해로운 터짐 · 균열 · · 겹침 및 뒤틀림 등의 결함이 없어야 하며, 모양 및 치수는 KS B 1102에 따른다.

2.4 검사 및 기타

리벳의 검사방법 및 기타사항은 KS B 1102 에 따른다.

 

3. 시 공

해당없음

 

 

 

 

13-14 고장력 볼트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강구조물 공사에 사용하는 고장력 볼트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KS B 0201 미터 보통 나사

KS B 0211 미터 보통 나사의 허용한계치수 및 공차

KS B 1010 마찰 접합용 고장력 6각 볼트, 6각 너트, 평와셔의 세트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고장력 볼트의 구성 및 종류

각 세트는 마찰접합용 고장력 육각 볼트 1· 마찰접합용 고장력 육각 너트 1· 마찰 접합용 고장력 평와셔 2개로 구성되며, 그 종류 및 등급은 표 13-14-1과 같다.

 

13-14-1 고장력 6각볼트의 종류 및 등급

 

세 트 의 종 류

적용하는 구성부품의 기계적 성질에 의한 등급

기계적 성질에 의한 종류

토오크 계수치에 의한 종류

볼 트

너 트

와 셔

1

A

F 8T

F 10

(F8)

F 35

B

2

A

F 10T

F 10

B

(3 )

A

(F11T)

B

4

A

F 13T

F 13

B

 

( )를 붙인 것은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2.2 나 사

볼트 및 나사는 KS B 0201에 규정하는 미터 보통 나사로 하고, 그 정밀도는 KS B 02116 H/6 g 으로 한다.

 

다만, 너트의 유효지름에 대하여는 최대허용치수를 표 13-14-2에 표시하는 값으로 한다. 또한 볼트의 나사는 전조에 의하여 가공한 것으로 한다.

 

13-14-2 너트의 유효지름에 대한 허용치수 (단위 : mm)

 

나사의 호칭

M 12

M 16

M 20

M 22

M 24

유효지름의 최대허용치수(mm)

11.063

14.913

18.600

20.600

22.316

 

 

2.3 기계적 성질

2.3.1 볼트 시험편의 기계적 성질

볼트 시험편의 기계적 성질은 표 13-14-3의 규격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13-14-3 볼트 시험편의 기계적 성질

 

볼트의 기계적 성질에 의한 등급

항복강도

(N/mm2)

인장강도

(N/mm2)

연 신 율

(%)

단면 수축율

(%)

F 8T

640 이상

800,1000

16 이상

45 이상

F 10T

900 이상

1,0001,200

14 이상

40 이상

F 11T

990 이상

1,1001,300

14 이상

40 이상

F 13T

1170 이상

1,3001,500

12 이상

35 이상

 

2.3.2 볼트 제품의 기계적 성질

볼트 제품의 기계적 성질은 표 13-14-4 인장하중(최소) 미만에서 파단 되

어서는 안되며, 인장하중을 증가시켰을 때 볼트 머리가 떨어져 나가서는

안 된다.

 

13-14-4 볼트 제품의 기계적 성질

 

볼트의 기계적 성질에 의한 등급

인 장 하 중 (최소) (kN)

경 도

나 사 의 호 칭

M12

M16

M20

M22

M24

M27

M30

F 8T

67.4

125.4

195.8

242.7

282.0

367.0

449.0

HRC 1831

F 10T

84.3

156.7

244.8

303.4

352.5

458.8

561.3

HRC 2738

F 11T

92.7

172.4

269.8

333.7

387.8

504.7

617.4

HRC 3040

F 13T

109.6

203.7

318.2

394.4

458.3

596.4

729.7

HRC 4045

 

비 고 : 볼트 제품이 인장시험을 한 것에 대하여는 인수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경도 시험을 생략할 수 있다.

 

2.3.3 너트의 기계적 성질

너트 제품의 기계적 성질은 표 13-14-5의 규격에 합격한 것이어야 한다.

 

13-14-5 너트제품의 기계적 성질

 

너트의 기계적 성질에 의한 등급

경 도

보 증 하 중

최 소

최 대

F 8

HRB 85

HRB 100

13-14-4 볼트 인장

하중(최소)과 같다

F 10

HRB 95

HRB 35

F 13

HRB 30

HRB 40

 

 

2.3.4 와셔의 경도

와셔 제품의 경도는 표 13-14-6의 규격에 합격한 것이어야 하며, 침탄 · 담금질 · 뜨임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13-14-6 와셔제품의 경도

 

와셔의 기계적 성질에 의한 등급

경 도

F 35

HRC 3545

 

 

(1) 볼트의 표면은 거칠지 않고 사용상 해로운 터짐 · · 끝 굽음 · ·나사산의 상처 등의 결점이 없어야 하며, 너트와 와셔의 표면도 거칠지 않고 사용상 해로운 터짐 · · · 녹 등의 결점이 없어야 한다.

(2) 모양 및 치수는 KS B 1010중 부표1~부표3에 따른다.

 

2.4 측정 및 시험방법

마찰접합용 고장력 육각 볼트 세트에 대한 측정 및 시험방법은 KS B 1010에 따르며, F13T 고장력 볼트 제품의 수소지연파괴 민감도에 대한 시험방법은 KS B 1010 부속서 1에 따른다.

 

3. 시 공

해당없음

 

 

 

 

13-15 도 료

13-15-1 노면 표시용 도료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표준은 교통 표지선을 그리는데 사용하는 도료로서 안료, 수지, 유리알, 충전용 재료 등을 원료로 사용한 도료에 대하여 규정한다.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판 및 조

KS E 3605 분괴 혼합물샘플링 방법 통칙

KS L 2521 도로 표지 도료용 유리알

KS L 6003 연마지

KS M 0016 원자 흡광 분석 방법 통칙

KS M 0032 고주파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방출 분광 분석 방법 통칙

KS M 2707 정제 글리세린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의 시험방법

KS M 5550 도료용 색 분류 기준

KS M 6518 가황 고무 물리 시험방법

KS M ISO 1513 도료와 바니시시험용 시료의 검사와 제조방법

KS M ISO 151, 도료와 바니시시험용 표준판

KS M ISO 2814 도료와 바니시동형 동색 도료의 은폐율(은폐력) 비교

KS M ISO 3251 도료, 바니시 및 플라스틱 비휘발분 함량 측정

KS M ISO 63532 화학 분석용 시약2규격1

KS M ISO 11890-1 페인트와 바니시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 1: 다른방법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종류

도료는 색상에 따라 흰색(색번호 37875), 노란색(색번호 33538), 파란색(색번호 35250)으로 구분하며 성상과 시공 방법의 차이에 따라 다음의 5종류로 나눈다.

, 재귀반사율 성능이 요구되는 노면 표지용 도료는 2, 4, 5종을 적용한다.

1: 상온 건조형 노면 표지용 도료

2: 수용성 노면 표지용 도료

3: 가열형 노면 표지용 도료

4: 융착식 노면 표지용 도료

5: 상온 경화형 플라스틱 도료

차선 테이프

 

2.2 품질관리

도료의 품질은 표 13-15-1-1의 기준에 합격한 것이어야 한다.

 

 

 

13-15-1-1 노면 표시용 도료의 품질기준

 

종 류

항 목

1

(상온형 노면표지용 도료)

2

(수용성 노면표지용 도료)

3

(가열형 노면표지용 도료)

주도(K.U.)

80 ~ 130

80 ~ 120

80 ~ 130

용 기 내 에 서 의 상 태

내용물에 딱딱한 덩어리, 이물질이 없어야 하며, 저었을 때 쉽게 균일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불점착 건조성

20분 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야 한다.

10분 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야 한다.

열 안정성

-

용기 내에서의 상태를 만족하고

주도가 141 K.U 이하이어야 한다.

시험한 후 변질되거나, 주도가 5

K.U 이상 증가하지 않아야 하며,

내세척 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도막의 겉모양

주름, 얼룩, 부풀음, 갈라짐, 점착성 등이 없고 핀홀, 작은 입자 등이 많지 않을 것.

45 °, 0 °

확산반사율

흰색

80 이상

은폐율(%)

흰색

90 이상

90 이상

90 이상

노란색

80 이상

80 이상

80 이상

파란색

90 이상

90 이상

90 이상

블리딩성

아스팔트판 위에 칠했을 때 심한 블리딩이 없어야 한다.

내마모성

마모 감량이 100 회전에 대하여 500 mg 이하

촉진 내후성

 

흰색

160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을 한 후 45°, 0° 확산 반사율이 70이상이어야 하고 갈라짐, 부풀음, 떨어짐 등

이 없어야 한다.

노란색

파란색

160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을 한 후 갈라짐, 부풀음, 떨어짐 등이 없고 색변화는 명도차 6단위를 넘지 않

아야 한다

내수성

물에 24시간 침지시켰을 때, 갈라짐, 부풀음, 주름, 변색 등이 없어야 한다.

내알칼리성

수산화칼슘 포화 용액에 18시간 침지시켰을 때 갈라짐, 부풀음, 주름, 변색 등이 없어야 한다.

냉동 안정성

-

주도가 10 K.U 이상 상승 또는

10 % 이상의 저하가 없어야 한다.

-

안료분(도료 중%)

40 ~ 60

-

50 이상

불휘발분(도료 중 %)

60 이상

55 이상

65 이상

내세척성

-

800회 이상

-

색상

흰 색

KS M 555037875와 큰 차이가 없을 것.

노란색

KS M 555033538과 큰 차이가 없을 것.

파란색

KS M 555035250과 큰 차이가 없을 것.

(비휘발분 중 %)

0.06 이하

카드뮴(비휘발분 중 %)

0.01 이하

휘발성 유기화합물 함량

450 g/L 이하

200 g/L 이하

450 g/L 이하

내마모도시험(20만회)

[150 mcd/(m‧�lx)이상]

(흰색기준)

 

구분

등급

재귀반사도 성능

흰색

R0

규정없음

R2

RL100

R3

RL150

R4

RL200

R5

RL300

노란색

R0

규정 없음

R1

RL80

R3

RL150

R4

RL200

 

 

비고 1사용자가 도료에 유리알을 살포 또는 혼합하고 사용하기 위하여 다음 시험을 요구할 수 있다.

a) 유리알 살포 시험 유리알이 도막에 얼룩지지 않고 부착되어야 한다.

b) 유리알 고착률 유리알이 90 % 이상 고착되어 있어야 한다.

c) 혼합 안정성 혼합하여 (20±0.5)에서 48시간 방치했을 때, 주도가 120 K.U 이하이어야 한다.

비고 2사용자가 도료에 유리알을 살포하여 사용할 때에는 KS L 25211호를 도료 1 L

800 g 비율로 젖은 도막 위에 살포하며, 유리알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에는 KS L 25211, 2호를 도료 1 L500 g 비율로 혼합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비고 3RL 은 반사휘도계수로서 도로표지에 빛의 반향과 수직이 되는 장소의 조도가 E일때 관찰 방향의 재귀반사성능 L의 계수를 의미한다. 또한 부속서 D 노면 표지용도료에 관한 재귀반사성능 관리지침을 따라서 노면이 건조한 상태의 야간시인성에 대한 재귀반사성능을 뜻한다.

 

 

13-15-1-1 노면표시용 도료의 품질기준(계속)

 

종 류

항 목

4

(융착식 도로 표지용 도료)

연화점()

SP0

-

SP1

65

SP2

80

SP3

95

SP4

110

연화점 변화 (ΔSP)

± 10 이내

압입시간

IN0

규정 없음

IN1

5~45

IN2

46~5

IN3

2~5

IN4

6~20

IN5

20

저온

충격성

등급

검사온도()

쇠공

검사통과시료수

CI0

규정없음

-

규정없음

CI1

0

(66.8 ± 0.2)g

6

CI2

-10±3

(66.8 ± 0.2)g

6

CI3

-10±3

(110 ± 0.2)g

6

불점착 건조성

3분 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야 한다.

도막의 겉모양

주름, 얼룩, 부풀음, 갈라짐, 떨어짐이 없어야 한다.

색도

UV 노화전

0.80 이상 (흰색)

0.40 이상 (노란색)

UV 노화후

(200시간) (Δβ)

0.05 이하(흰색)

0.05 이하 (노란색)

내열처리

후 색도

(200 ,

6시간)

UV 노화전(β)

0.75 이상(흰색)

0.40 이상 (노란색)

UV 노화후

(200시간)

(Δβ)

0.05 이하(흰색)

0.05 이하 (노란색)

내알카리성

수산화칼슘 포화 용액에 18시간 침지시켜도 갈라짐 및 변색이 없어야 한다.

불휘발분(도료 중 %)

99 이상

(비휘발분 %)

0.06 이하

카드뮴(비휘발분 %)

0.01 이하

색도(좌표)

(초기 및 내열처리 후)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들어올 것. (흰색)

x:0.355, 0.305, 0.285, 0.335

y:0.355, 0.305, 0.325, 0.375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들어올 것. (노란색)

x:0.494,0.545,0.465,0.427

y:0.427,0.455,0.535,0.483

내마모도시험(20만회)

[150 mcd/(mHlx)이상]

(흰색기준)

 

구분

등급

재귀반사도 성능

흰색

R0

규정없음

R2

RL100

R3

RL150

R4

RL200

R5

RL300

노란색

R0

규정 없음

R1

RL80

R3

RL150

R4

RL200

 

 

13-15-1-1 노면표시용 도료의 품질기준(계속)

 

종 류

항 목

5

(상온 경화형 플라스틱 도료)

용기내 상태

내용물에 딱딱한 덩어리, 이물질이 없어야 하며, 저었을 때 쉽게 균일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도막의 겉모양

주름, 얼룩, 부풀음, 갈라짐, 떨어짐이 없어야 한다.

내마모성

마모 감량이 100 회전에 대하여 300 mg 이하

안료분(도료중%)

40 이상

불점착 건조성

40분 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야 한다.

블리딩성

아스팔트 위에 칠했을 때 심한 블리딩이 없어야 한다.

내알카리성

수산화칼슘 포화 용액에 18시간 침지시켜도 갈라짐 및 변색이 없어야 한다.

(불휘발분%)

0.06 이하

카드뮴(불휘발분 %)

0.01 이하

휘발성 유기화합물 함량

200 g/L 이하

색도(좌표)

(초기)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들어올 것. (흰색)

x:0.355, 0.305, 0.285, 0.335

y:0.355, 0.305, 0.325, 0.375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들어올 것. (노란색)

x:0.494, 0.545, 0.465, 0.427

y:0.427, 0.455, 0.535, 0.483

색도(Luminance Factor)

UV 노화 전 (β)

0.80 이상

 

0.40 이상

색도(Luminance Factor)

UV 노화 후 (200시간)(Δβ)

0.05 이상

0.005 이상

내마모도시험(20만회)

[150 mcd/(mlx)이상]

(흰색기준)

 

구분

등급

재귀반사도 성능

흰색

R0

규정없음

R2

RL100

R3

RL150

R4

RL200

R5

RL300

노란색

R0

규정 없음

R1

RL80

R3

RL150

R4

RL200

 

 

비고 1RL 은 반사휘도계수로서 도로표지에 빛의 반향과 수직이 되는 장소의 조도가 E일 때 관찰 방향의 재귀반사성능 L의 계수를 의미한다. 또한 부속서 D 도로표지용도료에 관한 재귀반사성능 관리지침을 따라서 노면이 건조한 상태의 야간시인성에 대한 재귀반사성능을 뜻한다.

 

 

13-15-1-2 차선 테이프 품질기준

 

항 목

차선 테이프 품질기준

흰색

노란색

재귀반사도

(입사각 : 88.76 °,

관찰각 : 1.05 °)

 

재귀 반사성능

RL [ mcd/(mlx) ]

흰색

노란색

재귀 반사성능 I

(Wet Recovery)

500

(250)

300

(250)

재귀 반사성능 II

250

175

 

미끄럼저항

 

분류

BPN

Type I

BPN 45

Type II

BPN 55

 

색도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들어올 것.

X : 0.355, 0.305, 0.285, 0.335

Y : 0.355, 0.305, 0.325, 0.375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들어올 것.

X : 0.494, 0.545, 0.465, 0.427

Y : 0.427, 0.455, 0.535, 0.483

치수

크랙이 없어야 하며, 가장자리가 일정하며, 직선이고, 깨지지 않아야 한다.

접착강도

 

시험 온도

접착강도(N)

10

4.88 이상

24

4.88 이상

46

4.88 이상

 

내마모도시험(20만회)

[150mcd/(mtlx)이상]

 

구분

등급

재귀반사도

[ mcd/(mlx) ]

흰색

R0

규정 없음

R2

RL 100

R3

RL 150

R4

RL 200

R5

RL 300

노란색

R0

규정 없음

R1

RL 80

R3

RL 150

R4

RL 200

 

 

비고 1.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면 시공 시 타이닝 부분이 틈이 발생되므로 공간을 완전히 면처리 후 시공 하여야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음.

비고 2.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면 시공 시 아스팔트 유분 등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 후 시공하여야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음.

ASTM D4505-05 (Standard Specification for Preformed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ing Tape for Extended Service Life) 참조

 

 

 

2.3 시료 채취 및 시험방법

노면 표시용 도료에 대한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M 6080 에 따른다.

 

2.4 포장 및 표시

포장단위는 1, 2, 3종은 실부피를 기준하여 4 , 18, 180  단위로, 4종은 실무게 25 kg으로 포장하며, 포장용기에는 품명, 종류, 용도, 실부피(1, 2, 3), 실무게(4), 제조년월일 및 로트 번호,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없음

 

 

 

 

 

 

 

 

 

 

 

 

 

 

 

 

 

 

 

 

 

 

 

 

 

 

13-15-2 강교용 방청도료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강교용 방청 도료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KS D 9502 염수분무 시험방법(중성, 아세트산 및 캐스 분무 시험)

KS E 3071 석회석의 화학 분석 방법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 시험방법

KS M 5307 타르 에폭시 수지 도료

KS M 5980 도료의 흐름 저항성 시험방법

ASTM E 291 Chemical Analysis of Caustic Soda and Caustic Potash

(Sodium Hydroxide and Potassium Hydroxide)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종 류

방청도료의 종류는 무기질 아연말 샵 프라이머, 무기질 아연말 도료, 염화고무계 중도.상도 도료, 염화고무 MIO 도료, 에폭시계 방청도료, 고고형분 에폭시계 도료, 우레탄계 도료, 불소 수지계 도료, 세라믹계 방식 도료,세라믹계 우레탄 도료, 실록산계도료, 수용성 무기질 아연말 도료,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 에폭시계 아연말 도료,무용제 에폭시계 방청도료, 수용성 에폭시계 방청도료,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가 있다.

 

2.2 품질기준

도료의 품질은 SPS-KPIC에 합격한 단체인증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13-15-2-1 무기질 아연말 샵프라이머 (SPS-KPIC 5006-1759)

 

항 목

품 질

방 법

건조도막의 두께

흐름,핀홀,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가사시간(혼합, h, 20°C)

5이상

SPS-KPIC 5006-1759

건조시간 (경화, h, 25°C)

24이내

KS M 5000-2511,2512

비휘발분 (혼합, 중량%)

45이상

KS M ISO 3251

가열잔분(혼합)중 아연함량(중량%)

50이상

KS M 5000-5171

KS M ISO 3549

방청성(168h)

점 녹이나 도막의 부풀음 박리가 없을것

KS D 9502

 

 

 

13-15-2-2 무기질 아연말 도료 (SPS-KPIC 5001-1754)

 

항 목

품 질

방 법

건조도막의 두께

흐름,균열,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비중 (주체, 25°C)

1.0 이상

KS M ISO 2811-1

비휘발분 (, 중량%)

30 이상

KS M ISO 3251

가사시간(혼합, h, 20°C)

5 이상

SPS-KPIC 5001-1754

건조시간 (경화, 혼합, h, 25°C)

48 이내

KS M 5000-2511

총고형분 (혼합, 중량%)

78 이상

KS M ISO 3251

안료분 (총고형분 중, 중량%)

85 이상

KS M ISO 14680-1

총아연말분(1) (안료분 중, 중량%)

87 이상

KS M 5000-5171

KS M ISO 3549

총아연말분(1) (총고형분 중, 중량%)

74 이상

 

 아연말의 성분은 KS M ISO 3549 (도료용 아연말 안료)에 따른다.

 

 

 

13-15-2-3 염화고무계 중도,상도 도료 (SPS-KPIC 5007-1760)

 

항 목

품 질

방 법

중 도

상 도

연 화 도 (N.S)

3 이상

5 이상

KS M 5000-2141

주 도 (KU, 25°C)

90 100

70 85

KS M 5000-2122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비 중 (25°C)

1.1 이상

0.9 이상

KS M ISO 2811-1

흐 름 성 ()

300 이상

100 이상

KS M 5980

비휘발분 (중량%)

50 이상

35 이상

KS M ISO 3251

건조시간 (경화, h)

24 이내

KS M 5000-2511,2512

 

 

13-15-2-4 염화고무 MIO 도료 (SPS-KIPC 5008-1761)

 

항 목

품 질

방 법

건조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주 도 (KU, 25°C)

90 110

KS M 5000-2122

비 중 (25°C)

1.3 이상

KS M ISO 2811-1

비휘발분 (중량%)

55 이상

KS M ISO 3251

흐 름 성 ()

350 이상

KS M 5980

 

) MIO : Micaceous Iron Oxide (운모상 산화철)

 

13-15-2-5 에폭시계 방청도료 (SPS-KPIC 5005-1758)

 

항 목

품 질

방 법

건조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주 도 (KU, 25°C)

80 100

KS M 5000-2122

비 중 (혼합)

1.3 이상

KS M ISO 2811-1

비휘발분 (혼합, 중량%)

65 이상

KS M ISO 3251

흐 름 성 (혼합, )

300 이상

KS M 5980

건조시간 (경화, h, 25°C)

10 이내

KS M 5000-2511,2512

가사시간 (혼합, h, 20°C)

4 이상

SPS-KPIC 5005-1758

 

 

13-15-2-6 고고형분 에폭시계 도료 (SPS-KPIC 5002-1755)

 

항 목

품 질

방 법

건조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혼합성 (혼합)

균일하게 혼합될 것

SPS-KPIC 5002-1755

비중 (주제)

1.3 이상

KS M ISO 2811-1

주도 (주제, KU, 25°C)

90 이상

KS M 5000-2122

비휘발분 (주제, 중량%)

80 이상

KS M ISO 3251

건조시간 (경화, h, 25°C)

24 이내

KS M 5000-2511,2512

가사시간 (혼합, h, 20°C)

2 이상

SPS-KPIC 5002-1755

흐 름 성 (혼합, )

500 이상

KS M 5980

부피 고형분 (%)

80 이상

KS M ISO 3233

 

 

13-15-2-7 우레탄계 도료 (SPS-KIPC 5003-1756)

 

항 목

품 질

방 법

건조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색 상

견본품과 비교하여 차이 없을 것

KS M 5000-3011

비중 (주제)

1.1 이상

KS M ISO 2811-1

주도 (주제, KU)

70 90

KS M 5000-2122

비휘발분 (주제, 중량%)

60 이상

KS M ISO 3251

연화도(주제, NS)

6 이상

KS M 5000-2141

광택 (60°, %)

80 이상

KS M ISO 2813

건조시간 (경화, h, 25°C)

24 이내

KS M 5000-2511,2512

가사시간 (혼합, h, 20°C)

4 이상

SPS-KIPC 5003-1756

흐 름 성 (혼합, )

175 이상

KS M 5980

은폐율(%) (1)(2)

백 색

90 이상

KS M ISO 2814

기타색

80 이상

촉진 내후성 (300h, (%))

90 이상

KS M ISO 11507

 

 기타색은 백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상으로 한다.

 특녹색이나 특청색과 같이 프탈로시아닌계 아조 또는 디아조계 안료를 사용한

도료는 은폐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13-15-2-8 불소 수지계 도료 (SPS-KPIC 5004-1757)

 

항 목

품 질

방 법

건조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비휘발분 (주제, 중량%)

백색

50 이상

KS M ISO 3251

기타색

40 이상

연화도(주제, NS)

6 이상

KS M 5000-2141

광택 (60°, %)

70 이상

KS M ISO 2813

건조시간 (경화, h, 25°C)

8 이내

KS M 5000-2511,2512

가사시간 (혼합, h, 20°C)

5 이상

SPS-KPIC 5004-1757

용제 가용분 중의 불소 (주제, %)

15 이상

SPS-KPIC 5004-1757

은폐율(%) (1)(2)

백 색

90 이상

KS M ISO 2814

기타색

80 이상

층간 부착성 (/상도) (3)

이상 없을 것

KS M ISO 2409

유연성 (3)

이상 없을 것

KS M ISO 1519

내알카리성 (3)

이상 없을 것

SPS-KPIC 5004-1757

내산성 (3)

이상 없을 것

SPS-KPIC 5004-1757

냉열반복시험 (3)

이상 없을 것

SPS-KPIC 5004-1757

내충격성 (3)

균열, 벗겨짐이 없을 것

KS M ISO 6272-1

촉진 내후성

(1,000h) (3)

광택유지율(%)

90 이상

KS M ISO 11507

쵸킹

1 이하

KS M ISO 4628-6

 

 기타색은 백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상으로 한다.

 특녹색이나 특청색과 같이 프탈로시아닌계 아조 또는 디아조계 안료를 사용한 도료는 은폐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시험편은 도장계열의 최상층까지 도장한 상태에서 시험한다.

 

13-15-2-9 세라믹계 방식 도료 (SPS-KPIC 5009-1762)

 

항 목

품 질

방 법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건조시간 (경화, h, 25°C)

24 이내

KS M 5000-2511,2512

가사시간 (혼합, h, 20°C)

2 이상

KS M ISO 9514

흐 름 성 (혼합, )

250 이상

KS M ISO 16862

부피 고형분 (혼합, %)

60 이상

KS M ISO 3233

비 중 (주제) (25°/25°C)

1.3 이상

KS M ISO 2811-1

주 도 (주제, KU) (25°/25°C)

95 이상

KS M 5000-2122

연 화 도 (주제, NS)

4 이상

KS M 5000-2141

염수분무시험 (168h)

녹과 부풀음이 없을 것

KS D 9502

 

 

 

13-15-2-10 세라믹계 우레탄 도료 (SPS-KPIC 5010-1763)

 

항 목

품 질

방 법

건조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색 상

견본품과 비교하여 차이 없을 것

KS M 5000-3011

비휘발분 (주제, 중량%)

50 이상

KS M ISO 3251

연 화 도 (주제, NS)

6 이상

KS M 5000-2141

광 택 (60°, %)

70 이상

KS M ISO 2813

건조시간 (경화, h, 25°C)

24 이내

KS M 5000-2511,2512

흐 름 성 (혼합, )

175 이상

KS M ISO 16862

은폐율(%) (1)(2)

백 색

90 이상

KS M ISO 2814

기타색

80 이상

내 산 성 (3) (168 h)

도막의 갈라짐, 부풀음, 주름, 떨어짐, 벗겨짐, 변색 등이 없을 것

KS M ISO 2812-1

내알카리성 (3) (168 h)

도막의 갈라짐, 부풀음, 주름, 떨어짐, 벗겨짐, 변색 등이 없을 것

KS M ISO 2812-1

촉진 내후성 (3) (168 h, %)

80 이상

KS M ISO 11507

 

기타색은 백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상으로 한다.

 특녹색이나 특청색과 같이 프탈로시아닌계 아조 또는 디아조계 안료를 사용한 도료는 은폐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시험편은 도장계열의 최상층까지 도장한 상태에서 시험한다.

 

13-15-2-11 실록산계 도료 (SPS-KPIC 5011-1764)

 

항 목

품 질

방 법

건조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색 상

견본품과 비교하여 차이 없을 것

KS M 5000-3011

비 중 (주제, 25°C)

1.1 이상

KS M ISO 2811-1

주 도 (주제, KU, 25°C)

80 100

KS M 5000-2122

비휘발분 (주제, 중량%)

60 이상

KS M ISO 3251

연 화 도 (주제, NS)

6 이상

KS M 5000-2141

광 택 (60°, %)

70 이상

KS M ISO 2813

건조시간 (경화, h, 25°C)

24 이내

KS M 5000-2511,2512

가사시간 (혼합, h, 20°C)

4 이상

SPS-KPIC 5011-1764

흐 름 성 (혼합, )

250 이상

KS M 5980

은폐율(%) (1)(2)

백 색

90 이상

KS M ISO 2814

기타색

80 이상

촉진 내후성

(700h) (3)

광택유지율(%)

90 이상

KS M ISO 11507

쵸킹

1 이하

KS M ISO 4628-6

 

 기타색은 백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상으로 한다.

 특녹색이나 특청색과 같이 프탈로시아닌계 아조 또는 디아조계 안료를 사용한 도료는 은폐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시험편은 도장계열의 최상층까지 도장한 상태에서 시험한다.

13-15-2-12 수용성 무기질 아연말 도료 (SPS-KPIC 5012-1765)

 

항 목

품 질

방 법

건조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가사시간 (h, 20°C)

5 이상

SPS-KPIC 5012-1765

경화건조시간 (h, 25°C)

24 이하

KS M 5000-2511

비휘발분 (주제부, 중량 %)

18 이상

KS M ISO 3251

VOCS 함량 (g/L)

10 이하

KS M ISO 11890-1,2

비 중 (주제, 25°C)

1.0 이상

KS M ISO 2811-1

균 열 성

이상 없을 것

SPS-KPIC 5012-1765

총고형분(혼합도료중, 중량 %)

65 이상

KS M ISO 3251

안료분 (총고형분중, 중량 %)

85 이상

KS M ISO 14680-1

총아연말분 (안료분중, 중량 %)

92 이상

KS M 5000-5171

총아연말분 (총고형분중, 중량%)

85 이상

KS M ISO 3549

 

 

13-15-2-13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 (SPS-KPIC 5013-1766)

 

항 목

품 질

방 법

건조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가사시간 (h, 20°C)

2 이상

SPS-KPIC 5013-1766

경화건조시간 (h, 25°C)

24 이하

KS M 5000-2511,2512

비휘발분 (주제부, 중량 %)

55 이상

KS M ISO 3251

VOCS 함량 (g/L)

80 이하

KS M ISO 11890-1,2

비 중 (주제부, 25°C)

1.3 이상

KS M ISO 2811-1

저장 안정성 (주제)

주걱으로 저었을 때 쉽게 균일한 상태로 되며, 덩어리짐, 엉김, 겔 및 기타 결함이 없어야 한다.

KS M 5000-2031

흐 름 성 (혼합도료, )

300 이상

KS M 5980

주 도 (주제, KU, 25°C)

85 이상

KS M 5000-2122

 

 

 

13-15-2-14 고형분 용적비의 관리기준

 

도료 명칭

고형분 용적비

관리기준

비 고

무기질 아연말계 도료

60% 이상

KS M ISO 3233

에폭시계 방청도료

50% 이상

고고형분 에폭시계도료

80% 이상

우레탄계 도료

50% 이상

불소수지계 도료

30% 이상

실록산계 도료

60% 이상

세라믹계 방식도료

80% 이상

세라믹계 우레탄도료

50% 이상

 

 

13-15-2-15 회수 사용되는 철을 함유한 금속 연마제의 청정도 규격(Specification for Cleanliness of Recycled Ferrous Metallic Abrasives

: SSPC-AB2 연마제 기준 No.2)

 

구 분

기 준

비 고

비 마찰재 잔유물

1 % 미만

(by weight)

납 성분함량

0.1% 미만

(by weight)

수용성 오염물

1000micro-ohms/cm 미만

전기 전도성

기 름 함 량

물 속에 침지 시 오일이육안으로 검출되지 않을 것

 

요 구 사 항

상기조건이 모두 충족 시 재사용하며, 불합격 시 재정재 되어야 함.

 

 

2.2.1 에폭시계 아연말 도료 (SPS-KPIC 5015-1918)

도료의 품질은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부록2, 도료의 품질관리 기준 또는 한국페인트잉크협동조합 단체규격에 따른다.

2.2.2 무용제 에폭시계 방청도료 (SPS-KPIC 5016-1917)

도료의 품질은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부록2, 도료의 품질관리 기준 또는 한국페인트잉크협동조합 단체규격에 따른다.

2.2.3 수용성 에폭시계 방청도료 (SPS-KPIC 5017-1919)

도료의 품질은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부록2, 도료의 품질관리 기준 또는 한국페인트잉크협동조합 단체규격에 따른다.

2.2.4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 (SPS-KPIC 5018-1920)

도료의 품질은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부록2, 도료의 품질관리 기준 또는 한국페인트잉크협동조합 단체규격에 따른다.

2.2.5 아연알루미늄 용사 재료규격

도료의 품질은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부록2, 도료의 품질관리 기준에 따른다.

2.3 시료 채취 및 시험방법

강교용 방청도료에 대한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은 SPS-KPIC 규격에 따른다.

 

2.4 포장 및 표시

포장단위는 실부피를 기준하여 1, 4, 10, 18, 20등 각각의 개별 규격에 따라 포장하며, 포장용기에는 품명, 단체표준번호,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

종류, 용도, 실부피, 제조년월일 및 로트 번호,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등을 개별 규격의 표시 사항에 따라 표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없음

 

 

13-15-3 아연 알루미늄 피막처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강구조물공사에 사용하는 고장력 볼트에 사용되는 아연 알루미늄 피막처리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ASTM F 1136 Standard Specification for Zinc/Aluminium Corrosion Protective Coatings for Fasteners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품질기준

품질은 표 13-15-3-1의 규격에 합격한 것이어야 한다.

 

13-15-3-1 아연 알루미늄 피막처리

 

시 험 항 목

품 질 기 준

외 관

이상 없을 것

부 착 력

5 % 이상

부식저항성

(염수분무시험, 720 시간)

적청이 없을 것

부 풀 음 (염수분무시험 후)

부풀음 및 박리가 없을 것

도막두께

(6 12)

 

 

2.2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아연 알루미늄 피막처리에 대한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은 ASTM F 1136에 따른다.

 

 

2.3 표 시

포장 용기의 보기 쉬운 곳에 제품명, 종류, 제조년월일 및 제조자명 또는 약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없음

 

 

13-15-4 아연 알루미늄 용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가드레일, 방음벽 지주, 가로등, 낙석방책, 표지판 지주 등의 철구조물에 사용되는 아연 알루미늄 용사 공법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참조한다.

KS D ISO 2063 금속 및 무기질피막 - 아연, 알루미늄 및 합금 열용사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품질기준

아연 알루미늄 용사의 품질은 표 13-15-4-1의 시방 및 규격에 따른다

 

13-15-4-1 아연 알루미늄 용사 시방 규격

 

구 분

표면처리

도장순서

적용 규격

건조도막두께

()

외 부

SSPC-SP10

 

조면형성제(필요시)

-

 

1st

아연알루미늄 용사

100

 

2nd

봉공처리제(실리케이트)

5~10

 

 

 

105 이상

내 부

-

 

기화성 방청제

100 g/m이상

 

 

13-15-4-1 아연 알루미늄 용사

 

표면처리

SSPC-SP10

함 량

아연(Zn) : 알루미늄(Al) : 지르코늄(Zr)

10~15(%) : 85~90(%) : 0.5 이상(%)

아연(Zn) 순도

99.99 %

알루미늄(Al) 순도

99.7 %

 

 

13-15-4-2 봉공처리제(수용성 실리케이트 도료)

 

구 분

수용성 오르가노 실리케이트(Hydro-Organo-Silicate )

도막두께()

5~10

고형분(%)

20 이상

색 상

무색(투명)

내수성(24hr)

부풀음 등 이상없을 것

건조시간

지촉 건조(Set to Touch) : 4시간 이하

고화 건조(Dry-Hard) : 24시간 이하

 

 

13-15-4-3 기화성 방청제(KS T 1085)

 

종 류

사용 범위에 따른 구분

1L

철강에 비철금속이 코팅되어 있는 경우, 그리고 철강과

비철금속이 조합되어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것

2L

철강에 한하여 사용 가능한 것

 

 

 

2.2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아연 알루미늄 용사에 대한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ISO 2063에 따른다.

 

2.3 표 시

포장 용기의 보기 쉬운 곳에 제품명, 종류, 제조년월일 및 제조자명 또는 약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없음

 

 

 

 

 

 

 

 

 

13-16 도로표지 도료용 유리알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도로표지용 도료에 사용하는 무색 투명한 반사용 유리알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A 5101-1 시험용체-1: 금속 망 체

KS E 3605 분괴 혼합물의 샘플링 방법 통칙

KS L 2521 도로 표지 도료용 유리알

KS L 6512 연마재의 시료 채취 방법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종류

유리알은 입도에 따라 1(1, 2), 2(1, 2), 3(1, 2)6종으로 분류한다.

 

2.2 품질기준

품질은 표 13-16-1, 13-16-2의 규격에 합격한 것이어야 한다.

 

 

 

 

 

 

 

 

 

 

 

13-16-1 유리알 입도 (KS L 2521)

 

종류

항목

1

2

3

비 중

2.4 2.6

입 도

표준망체 (1)

850에 남는 것 0% (2)

850을 통과하고

600에 남는 것 530%

600을 통과하고

300에 남는 것 3080%

300을 통과하고

106에 남는 것 1040%

106을 통과하는 것 05%

표준망체 (1)

600에 남는 것 0%

600을 통과하고

300에 남는 것 4090%

150에 통과하는 것 05%

 

 

 

 

표준망체 (1)

212에 남는 것 0%

90을 통과하는 것 04%

 

 

 

 

 

 

외관, 형성

구상의 입자로서 타원, 예각, 불투명, 이물질 및 입자간의 융착등의 결점이 있는 것의 총계가 (3) 20% 이하일 것

굴 절 율

1: 1.50 이상 1.90 미만, 2: 1.90 이상

내 수 성

0.01N염삼의 소비량이 10이하이고 유리알의 표면에 흐름이 없을 것

0.01N염산의 소비량이 15이하이고, 유리알 표면에 흐름이 없을 것

 

 KS A 5101-1에 규정하는 안지름 200 mm 또는 150 mm, 깊이 4 5 mm 또는 60 mm

시험용체로서 표 15-103에 규정한 눈의 벌림이 있는 것을 말한다.

 질량 백분율(%)을 표시한다.

 개수 백분율(%)을 표시한다.

 

13-16-2 도로표지용 우천시 유리알 품질기준

 

항 목

품질기준

비중

2.0이상

재귀반사도

(입사각 : 88.76 °,

관찰각 : 1.05 °)

 

구 분

RL [ mcd/(mlx) ]

흰색

노란색

재귀 반사성능

(Wet Recovery)

350

(250)

300

(250)

 

겉모양

고굴절율의 유리알을 포함한 구상형태 입자로 타원, 공기혼합물,

이물 등의 결점이 없어야 하며, 페인트와 부착력이 있어야 함

 

 

2.3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도로표지용 도료에 사용하는 유리알에 대한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L2521에 따른다.

 

2.4 표 시

포장 용기의 보기 쉬운 곳에 제품명, 종류, 제조년월일 및 제조자명 또는 약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없음

 

 

 

 

13-17 콘크리트용 표면보호재료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도장막을 형성하거나 유기 또는 무기 재료를 콘크리트 표층부에 침투시켜 외부로 부터 염소이온, 이산화탄소, 물 등의 유해물질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M 5000 : 도료 및 관련 원료의 시험 방법

KS M ISO 2812-1 도료와 바니시-액체 저항성 측정

(1:일반 시험 방법)

KS M 2010 원유 및 석유제품 인화점 시험방법

KS F 4930 콘크리트 표면도포용 액상형 흡수방지재

KS F 4936 콘크리트 보호용 도막재

KS F 2456 급속 동결 융해에 대한 콘크리트의 저항 시험 방법

ASTM D 5095 발수처리에 사용되는 실란, 실록산 및 실란-실록산

혼합재료의 비휘발성분량 결정방법

SS 13 72 44 굳은 콘크리트의 동결박리 저항성 시험방법(A)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종류

콘크리트 표면보호재료는 해양 및 제설제 환경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중성화, 동해, 화학적 침식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도막재와 해양 및 제설제 환경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동해방지용, 흡수방지식 교면방수용, 콘크리트 포장용, 알칼리골재반응 억제용 흡수방지재로 분류한다.

 

2.2 품질기준

품질은 표 13-17-1 13-17-2의 규격에 합격한 것이어야 한다.

 

 

13-17-1 도막재

 

구분

항 목

기 준 값

시험 방법

용기 내에서의 상태

이상 없을 것

KS M 5000

혼 합 성

소정 배합에 따라

균일하게 혼합될 것

도장 작업성

이상 없을 것

경화 건조시간

16~24시간 이내에

경화 건조상태로 될 것

도 막

형 성

후 의

겉모양

표준 양생 후

주름, 잔갈림, 핀홀,

변형 및 벗겨짐이

생기지 않을 것

KS F 4936

촉진 내후성 시험 후

G냉 반복 시험 후

내알칼리성 시험 후

내염수성 시험 후

중성화 깊이()

1.0 이하(촉진 10)

염화물이온 침투 저항성

(Coulombs)

1000 이하

투습도(g/mwday)

50.0 이하

내 투 수 성

투수되지 않을 것

부 착

강 도

표준 양생 후

1.5 이상

촉진 내후성 시험 후

․フ냉 반복 시험 후

내알칼리성 시험 후

내염수성 시험 후

균 열

대응성

-20

잔갈림 및 파단되지

않을 것

20

촉진 내후성 시험 후

동결융해 저항성주

외관상 변화 없을 것

내구성지수 80 % 이상

(300 싸이클 기준)

KS F 2456

(A)

 

동결융해저항성 시험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한국도로공사 설계기준배합 중 2

콘크리트 규격(24 )의 배합을 사용한다.

 

 

 

 

 

 

13-17-2 흡수방지재

 

항 목

기 준 값

비 고

․コ무기 구분

유기질계

무기질계

KS F 4930

침투깊이()

4.0이상

-

내흡수

성 능

 

표 준 상 태

물흡수 계수비 0.10 이하

내 알칼리성 시험 후

저온고온 반복

저항성 시험 후

촉진 내후성

시험 후

물흡수 계수비 0.20 이하

내 투 수 성 능

투수비 0.1 이하

염화이온 침투 저항성능()

교면 방수용 : 1.0 이하

그 외 : 3.0 이하

용 출

저 항

성 능

 

냄새와 맛

탁도

색도

(Pb)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pH

페놀

증발 잔류분

잔류 염소의 감량

이상 없을 것.

2도 이하

5도 이하

0.1 mg/L 이하

10 mg/L 이하

6~10

0.005 mg/L 이하

30 mg/L 이하

0.2 mg/L 이하

내 산 성

이상무

KS M ISO

2812-1

미끄럼 저항감소

10 % 이하

KS F 2375

동결박리 저항성

100회 이후 건전

SS 13 72

44(A)

인 화 점

80 이하에서 불꽃이

발생하지 않을 것

KS M 2010

유효성분함량

ASR 억제용 실란계의

유효성분 함량 40 % 이상

ASTM D

5095

 

 흡수방지재를 도포하고 열화처리를 하지 않은 시험체를 말한다.

 무기질계인 경우는 침투비성막형(浸透非成膜形)으로서 방수막을 형성하지 않고, 모세관공극에 시멘트 수화물과 동일한 형태의 생성물을 생성하여 조직을 치밀화 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물 또는 염소이온(Cl-)의 침투를 억제하는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침투깊이의 측정이 불가능하여 침투 깊이 성능을 규정하지 않는다.

 , 흡수방지재의 침투깊이가 3 이하일 경우, 흡수방지재 침투깊이 이하로 염화이온이 침투 되었을 때는 성능기준에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용에 적용할 경우에 적용한다.

 알칼리골재 반응 억제를 위해 적용하는 흡수방지재는 실란계 재료를 추천한다.

 

 

2.3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콘크리트 표면보호재료에 사용하는 도막재 및 흡수방지재로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은 도막재의 경우 KS F 4936 KS M 5000, KS F 2456(A)에 따르며, 흡수방지재는 KS F 4930, KS M ISO 2812-1, KS M2010, SS 13 72 44(A), ASTM D 5095 등에 따른다.

 

2.4 표 시

포장 용기의 보기 쉬운 곳에 제품명, 종류, 제조년월일 및 제조자명 또는 약

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 없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6
375 201509_공사시방서(1)제10장 시멘트콘크리트 포장공사 file 효선 2023.05.12 1515
374 201509_공사시방서(1)제11장 안전시설공사 file 효선 2023.05.12 784
373 201509_공사시방서(1)제12장 환경관리 및 부대공사 file 효선 2023.05.11 820
372 201509_공사시방서(1)제13장1편_재료 file 효선 2023.05.11 840
371 201509_공사시방서(1)제13장2편_재료 file 효선 2023.04.24 763
» 201509_공사시방서(1)제13장3편_재료 file 효선 2023.04.20 770
369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0편목차 file 효선 2023.04.20 834
368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1편 file 효선 2023.04.20 812
367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2편 file 효선 2023.04.20 832
366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3편 file 효선 2023.04.19 848
365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4편 file 효선 2023.04.07 792
364 198903_배수구조물설계법(기록보관용) file 사이트관리자 2023.02.18 961
363 201608_저토피 지중구조물 상부 포장파손 저감방안 file 효선 2022.12.21 827
362 202106_하이패스나들목 설계지침 제정(본문) file 효선 2022.11.25 1231
361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목차 file 땅콩 2021.08.30 933
360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1장_일반사항 file 땅콩 2021.08.30 1033
359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2장_기본사항 file 땅콩 2021.08.30 1192
358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3장_BIM전면설계기준 file 땅콩 2021.08.30 4327
357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4장_스마트설계지침 file 땅콩 2021.08.30 998
356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부속서_1_BIM전면설계_과업내용서표준(안)_목차 file 땅콩 2021.08.30 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