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201206_61020 배선
2023.09.01 15:36
61020 배선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가. 이 절은 전기, 정보통신, 소방설비, 제어, 계측설비 배선공사에 적용한다.
나. 정보통신공사의 배선공사와 관련하여 이 절에 없는 사항은 “71020 통신케이블”을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절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다음 절의 해당 사항에 따른다.
61010 배관
61011 강제받침벽틀내 배관
61012 무량복합구조(FCW)배관․배선
61013 방화구획관통부위 내화충전
61014 케이블트레이
61030 공동구내 전기공사
71020 통신케이블
1.3 적용규준
다음 규준은 이 절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한국산업표준(KS)
KS C 2306 전기 절연용 폴리염화비닐 점착 테이프
KS C 2618 압축 단자
KS C 2620 동선용 압착 단자
KS C 2621 동선용 나압착슬리브
KS C 2625 공업용 단자대
KS C 2810 옥내 배선용 전선 접속구 통칙 분리불능형
KS C 3342 근거리 통신 케이블
KS C 3610 고주파 동축 케이블(폴리에틸렌 절연 편조형)
KS C 8323 옥내 배선용 전선 접속 공구
KSC IEC 60227-3 정격전압 450/750V이하 염화비닐절연케이블-제3부: 배선용 절연전선
KSC IEC 60227-5 정격전압 450/750V이하 염화비닐절연케이블-제5부: 유연성비닐케이블(코드)
KSC IEC 60245-4 정격전압 450/750V이하 고무절연케이블-제4부: 코드 및 가요케이블
KSC IEC 60502-1 정격전압 1kV~30kV압출성형절연전력케이블 및 그 부속품-제1부:1kV/3kV 케이블
KSC IEC 60502-2 정격전압 1kV~30kV압출성형절연전력케이블 및 그 부속품-제2부:6kV/30kV 케이블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11510 제출물 관리”에 따라 제출한다.
1.4.1 자재 제품자료
가. 시험성적서
전선 및 케이블(KS품 제외)의 제조업자 자체시험성적서
나. 증명서
전기용품안전인증서 사본
다. 자재 승인 또는 신고 제품은 [60510 전기공사일반사항 붙임3 승인 및 신고자재목록]과 같다
1.4.2 시공계획서
가. 옥내·외 부하 평형계획서
1.4.3 보고서
가. 절연저항 측정보고서
1.5 운반, 보관, 취급
전선 및 케이블은 우수에 젖지 않도록 하고,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하여야 한다.
2. 자재
2.1 전선 및 케이블
2.1.1 일반사항
전선과 케이블의 종류 및 크기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2.1.2 KS 전선 및 케이블
가. 450/750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HFIX)은 KS C 3341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나. 고무코드 및 비닐코드는 KS IEC 60245-4,5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다. 450/750V 비닐절연 비닐시스 케이블은 KS IEC 60502-1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라. 가교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케이블(CV) KS IEC 60502-1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마. 제어용 비닐절연 비닐시스 케이블(CVV)은 KS IEC 60502-1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바. 고주파 동축케이블은 KS C 3610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사. 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 시내쌍케이블(CPEV)은 KS C 3603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아. 600V 내화( 및 난연) 케이블(FR8)은 IEC 331의 750℃ ‐ 3시간 내화시험 및 IEEE 383의 수직트레이불꽃시험(VTFT) 기준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1.3 전기용품 안전인증품인 전선 및 케이블
가. 전선(HFIX) 및 케이블(CV, EV, FR-8)은 전기용품기술기준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나. 절연체에 금속체의 보강층(차폐층)을 갖는 케이블(CVS, CVV‐S, CCV‐S)은 전기용품기술기준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2 부속품
가. 전기절연용 비닐접착 테이프
전선, 케이블 등의 접속부의 절연물로 KS C 2306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나. 절연용 비닐튜브
전선, 케이블 등의 색구별이 불가능할 경우 사용한다.
다. 동선용 압착단자
전력용 기기내부 및 기기상호 배선에 사용하는 연동연선 또는 단선의 전선을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KS C 2620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라. 동선용 나압착슬리브
기기용배선 및 옥내배선에 사용하는 연동연선 및 단선의 전선 상호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며, KS C 2621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마. 공업용 단자대
전선의 접속, 분기 또는 중계를 목적으로 주로 전기 제어기기, 제어반, 배전반 등의 내부에 사용하며, KS C 2625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바. 옥내 배선용 전선 접속구(Wire connector)
전선을 분기하거나 리드선을 인출할 때 사용하는 전선 접속구로, KS C 2810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사. 케이블 타이
케이블 타이는 케이블 트레이 및 덕트 내의 케이블을 피더별로 묶어 고정할 때 사용하며, 전선 및 케이블 규격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3. 시공
3.1 시공일반
3.1.1 준비
배선은 전선관, 덕트, 케이블트레이, 박스 및 각종 함류를 청소하고 건조시킨 후 입선을 하여야 한다.
3.1.2 전선의 색구별
전선의 색구별은 다음과 같이 하여 부하평형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부분적으로 색구별이 불가능할 경우 절연튜브(흑색, 적색, 청색 등)로 구별하여야 한다.
구 분 |
전 압 측 |
접지측 (중성선) |
접 지 |
교 류 |
흑색, 적색, 청색 |
백색 또는 회색 |
녹색 |
직 류 |
청 색, 적 색 |
|
|
3.1.3 통신선과의 이격거리
옥내 강전류 전선과 통신선과의 이격거리는 다음과 같이 유지하여야 한다.
가. 전압 300V 이하 : 6㎝ 이상(애자사용공사시 전선과 이격거리: 10㎝ 이상)
나. 전압 300V 초과 : 15㎝ 이상
다. 강전류전선이 케이블일 경우에는 접촉되지 않도록 시설
3.1.4 입상간선의 고정
입상간선은 풀박스내에 U찬넬을 설치하고 고무패킹을 씌워 클램프로 고정하여야 한다.
3.1.5 전력간선의 말단처리
전력간선의 말단은 반드시 규격에 맞는 동선용 압착단자를 사용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3.1.6 입선시 윤활유의 사용
전선 및 케이블 입선시 윤활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시스에 유해하지 않아야 하며,굳거나 배관에 들러붙지 않는 구리스나 금속성 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백색 와셀린 등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3.2 전선의 시공
가. 전선의 배관내 입선시에는 절연물에 손상이 없도록 하고, 동선의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나. 전선의 접속은 전선의 전기저항 증가와 절연저항 및 인장강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행되어야 한다.
다. 전선의 접속을 위하여 전선의 피복을 제거할 때는 전선의 심선이 손상을 받지 않도록 와이어 스트리퍼(WIRE STRIPPER) 등으로 제거한다.
라. 전선의 접속은 내선규정1430-7의 규정에 따르며, 접속부는 전선의 절연강도보다 높아지도록 적절한 방법으로 완전히 절연확보를 한다. 테이프 등으로 절연하는 경우 자연상태에 방치하면 자연히 벗겨지는 현상이 없는 것으로 한다.
마. 전선의 접속은 배관용 박스, 풀박스 또는 기구내에서만 시행하여야 한다.
바. 전선의 박스내 접속은 전선 접속구를 사용하여야 하며, 난연성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사. 전선과 기기의 단자접속은 압착단자를 사용하고 버스바와의 접속시는 스프링와셔를 사용하여야 한다.
아. 슬리브의 압축과정에서 슬리브내 공극이 많을 시는 전선가닥으로 충진하여 접속이 완전하도록 압착하여야 한다.
자. 전선을 1본밖에 접속할 수 없는 구조의 단자에 2본 이상의 전선을 접속하지 않는다.
차. 동선용 압착단자와 전선사이의 충전부는 비닐캡으로 씌워야 한다.
3.3 케이블의 시공
가. 케이블을 구부리는 경우에는 피복이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그 굴곡부의 곡률반경은 원칙적으로 케이블 완성품 외경의 6배(단심의 것은 8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나. 케이블을 전선관에 인입할 경우에는 케이블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금속제의 박스에 인입하는 경우에는 고무 붓싱 등을 사용하여 케이블 손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다. 케이블을 조영재에 부설할 경우에는 케이블에 적합한 새들 등으로 그 피복을 손상하지 않도록 조영재에 튼튼하게 부설하여야 한다.
라. 습기가 있는 장소에는 가급적 케이블 시공을 피하되, 부득이한 경우에 습기가 있는 장소 등에 케이블을 고정할 때에는 케이블 고정제, 너트, 볼트, 나사, 와셔 등과 케이블이 고정되는 건축구조물 등이 부식하여 케이블이 노후화되어 떨어지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강구한다.
마.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케이블(CNCV, CV, CVV‐S 등)은 접속시 수분 침입으로 수트리(WATER TREE)현상에 의한 절연파괴 사고방지를 위하여 우천시, 습기가 많은 경우에는 시행하지 아니하며, 작업자의 땀 등이 침입하거나 물방울 등이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특별히 유의한다.
바. 저압 케이블의 접속은 동선용 나압착 슬리브 조인트 후 열경화성 수축튜브, 레진주입키트 또는 자기 수축형 튜브를 사용하여야 한다.
사. 케이블 포설시 집중하중으로 인하여 트레이 및 케이블이 손상되지 않도록 롤러 등의 포설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아. 케이블 포설시에는 제조업자가 제시하는 허용장력 이하의 힘으로 당겨야 한다.
자. 케이블은 은폐배선의 경우에 있어서 케이블에 장력이 가하여지지 않도록 시설한다.
차. 케이블 규격이 큰 단심케이블을 동상으로 여러 개 설치 시 전자적 평형을 고려하여 시설한다.
카. 케이블 상호간 또는 기구단자와 접속 시는 캐비닛, 아웃렛박스 또는 접속함 등의 내부에서 접속하여 접속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타. 트레이 및 덕트내 케이블은 간선회로별로 2m 마다 케이블타이로 고정하여야 한다.
파. 공동구내 배관 및 케이블은 직선거리 50m 및 분기 개소마다 용도별로 표찰을 부착하여야 한다.
하. 모든 맨홀 내부의 배선은 용도별 표찰을 설치하여야 한다.
거. 맨홀 내부의 배선은 침수되지 않도록 측면 케이블 지지대에 케이블타이로 고정한다.
너. 수중장소에 케이블 설치 시 반드시 수중용 케이블을 설치한다.
3.4 덕트내 배선
가. 금속덕트 내에서는 전선을 접속하지 말아야 한다. 다만, 전선을 분기하는 경우로서 그 접속점을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나. 전선류는 유지, 보수, 관리 등을 고려하여, 각 회로별로 구분되도록 섞이거나 꼬이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 금속덕트 배선을 수직으로 또는 경사지게 시설하는 경우에는 전선의 이동을 막기 위하여 전선을 적당한 방법으로 고정하여야 한다.
라. 덕트 내 배선은 각 회로별로 밴드 등을 이용해 묶어서 설치하여야 한다.
마. 덕트 내에 설치되는 전선류는 유지ㆍ보수시 각 회로를 판별하기 편리하도록 각 굴곡개소 및 수평거리 50m 이내마다 소정의 회로명(번호 또는 기호)을 표시한 꼬리표를 설치하여야 한다.
3.5 현장 품질관리
3.5.1 보호
입선 후 전선관용 박스는 오염물질의 침투를 막고 전선의 보호를 위하여 기구 취부시까지 적절한 방법으로 보양하여야 한다.
3.5.2 절연저항측정
저압전로의 절연저항은 전선상호간, 전선과 대지간, 개폐기 또는 과전류 차단기로 구분될 수 있는 전로마다 1㏁ 이상이어야 한다.
3.6 현장 뒷정리
3.6.1 청소
가. 배선 및 결선공사 후 여분의 전선 잔재는 깨끗하게 청소하여야 한다.
나. 입선 시는 반드시 박스청소를 완료한 후 입선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