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201206_61011 강제받침벽틀내 배관
2023.09.01 17:32
61011 강제받침벽틀내 배관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절은 무량건식주택의 강제벽틀내 배관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절
이 절과 관련 있는 사항중 이 절에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다음 절에 따른다.
61010 배관
1.3 적용규준
다음 규준은 이 절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한국산업표준 (KS)
KSC 8454 합성수지제 휨(가요)전선관 (PF)
KSC 8456 합성수지제 휨(가요)가요전선관용 부속품 (PF)
KSC 8436 합성수지제 박스 및 커버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11510 제출물 관리”에 따라 제출한다.
1.4.1 자재 제품자료
다음 품목에 대한 제조업자의 제품 자료
가.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 (PF)
나. 이종연결관 (CD-PF)
다. PF관 커플링, 커넥터, 앤드커플링
라. 박스지지용 보강재
마. 나사못
바. 자재 승인 또는 신고 제품은 [60510 전기공사일반사항 붙임3 승인 및 신고자재 목록]과 같다.
1.4.2 시공상세 도면
가. 건축 단위세대 강제벽틀 전개도 위에 세대분전반, 스위치, 콘센트 등 설치상세도
나. 건식 EPS의 계량기함, 통신단자함, TV 증폭기함, 배관 등 설치 상세도
1.5 품질보증
1.5.1 견본시공
무량건식벽체 주택은 감독자가 지정하는 위치에 평형별로 1세대씩 견본 시공한다.
1.5.2 공사전 협의
아래사항에 대하여는 그 위치 및 설치, 고정방법 등에 대하여 해당공사 착수에 앞서 “11020 협의 및 조정”에 따라 건축, 기계공사 수급인과 작업 착수전 협의를 하여야 한다.
가. 건축 부분
슬래브 철근 시공전 강제벽틀 설치위치 먹줄표시, 스터드 간격, 보강채널 설치위치
나. 기계 부분
온도조절기 박스 위치, 건식 PD내 계량기함 설치위치
1.6 운반, 보관, 취급
운반, 보관 및 취급은 “61010 배관”에 따른다.
2. 자 재
2.1 일반사항
배관의 규격은 설계도면에 따른다.
2.2 합성수지제 전선관(PF) 및 부속품 등
다음 해당 표준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종 류 |
해당 표준 |
비 고 |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PF) |
KS C 8454 |
|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PF)부속 |
KS C 8456 |
커플링에는 잠금장치가 있어야 한다. |
합성수지제 박스 및 커버 |
KS C 8436 |
|
앤드커플링 |
150×40×(33-60) |
거푸집 탈형시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
보강철물 |
500×80, 0.8t |
아연도금 강판 |
나사못 |
#6×1" |
냄비머리 또는 Wafer 머리 |
3. 시공
3.1 공통사항
철근 배근전 슬래브 상판 위에 강제벽틀이 설치될 위치에 먹줄넣기(건축공사)가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가. 배관공사
1) 앤드 커플링내의 배관은 인출을 고려하여 최대한 길게 한다.
2) 이종연결관 또는 커플링 결속시 걸림쇠가 확실히 결속 되도록 한다.
3) 배관 및 박스의 중심간 간격을 최소 160mm 이상 유지하여야 하며, 박스 3개를 나란히 설치할 때에는 좌측 및 우측 박스는 스터드에 밀착하여 시공한다.
4) 석고보드면의 평활도 유지를 위해 스터드에 보강철물 고정시 규정된 나사를 사용한다.
5) 동일 벽체내 횡배관시 배관이 스터드를 관통할 경우는 스터드를 천공하는 홀은 벽체구조에 영향이 없도록 배관만 관통할 수 있는 최소크기로 미려하게 천공 한다.
6) 관의 곡률반경은 관내경의 6배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나. 석고따기
박스위치의 마감이 석고판일 경우 석고판 구멍따기는 미려하게 마감하여야 하며 박스의 마감면과 석고 보드면이 들뜬 경우에는 틈을 석고로 충전한다.
다. 방음공사
세대간 상호 연결되는 배관의 양측말단은 방음을 위하여 PVC패킹 또는 기타 방음효과가 있는 재료로 충전하여야 한다.
3.2 시공 절차 분석
별도 표기(*) 없는 공사는 본공사에서 제외됨
3.2.1 무량건식 벽체의 건축공사 일반순서
외벽체 설치 → 방바닥 미장 → 내벽체 설치
3.2.2 슬래브 공사시
가. 거푸집 상판위에 철근 배근전 철제벽틀과 슬래브가 교차하는 곳에 먹놓기(건축공사)를 하고 스터드 전개상세도 상에 표기된 박스위치에 배관 인출을 위하여 *앤드커플링을 설치한다.
나. 기타 배관공사는 “61010 배관” “합성수지제가요전선관공사”에 따른다.
3.2.3 외벽의 경우 (철망판넬 마감시)
방수턱 설치→* 앤드커플링내 배관 인출하여 커플링 연결(CD-PF) → 러너 설치 →창호, 분합, 세대현관문틀 개구부위치 확인 → 스터드 및 창틀, 문틀 보강틀 설치→
* 박스 및 배관(PF) 설치 → 섬유강화시멘트판 설치 및 집섬보드 설치→ *박스석고보드 따기 → 창틀, 문틀 고정 → 철망판넬 설치 → 스프레이미장 → 외벽미장
3.2.4 외벽의 경우 (ALC 판넬 또는 블록 마감시)
ALC 파넬 또는 블록 나누기 위치표시 → 창틀, 문틀 개구부 확인위치 → ALC 판넬 또는 블록 재단 및 설치 → 문틀 고정→* 앤드커플링내 배관 인출하여 커플링 연결(CD-PF) → 외벽 러너 및 스터드 설치→* 박스 및 배관(PF) 설치 → 집섬보드 설치 → *박스 석고보드 따기
3.2.5 내벽의 경우
먹넣기(방바닥 난방코일 위치 확인) → *앤드커플링내 배관 인출하여 커플링연결(CD-PF) → 러너 설치 → 스터드 설치→* 배관(PF) 및 박스 설치 → 조립식욕실 벽판세우기 → 방문틀, 반침문틀 고정 → 석고보드 일면 설치 → *보강철물 2차 고정 → 실링제 충진→차음재, 단열재 부착 → 석고보드 설치→*박스 석고보드 따기 → 천장 및 바닥 상, 하 차음 실링제 충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