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BsOCR_V0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키워드용으로 변환한것으로 다소 내용이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원본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14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 시공 기준검토8 회설계ㅇ 13202-388(01.7.30)1. 검토목적 기존 보강토 옹벽 공법의 뒷채움 자료 품질및 다짐방법에 대한 기준을 검토하여 적정 다짐 단가 산출기준을 수립코자함 . 보강토 몽 벽의 뒷채움 재료는 보강재 , 전면 판의 성질및설계개 념에 따라 결정 되어야하므로각 공법의 공학적 특성에 따라 뒷채움 재료의 품질 기준및 다짐방 범이상이 할수 A2.1 뒷채움 재료의 일반적 성질@ 흙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 효과를 구조대할수 있도록 내부 마찰 각이 클 것@ 배수 성이 양 호 하고 함수비 변화에 따른 강도 특성의 변화가 적을 것@ 입도분포가 양 호할 것@ 보강재의 내구성을 저하 시키는 화학적 성분이 적을 것 2.2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 재료 국ㆍ내외 기준보강토 옹벽의 뒷채움 재료의 국내외 기준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 최대 건조 밀도는 95%이상이고, 내부 마찰 각은 최소 25"이상을 제시함 .-200-국내 기준입도최대Tt&뜨대부건조비고aSezS7||saes(%)|' ㅣ로도| 디 찰 각 | ())도로설계 편람(1!)|, … 버 번체ono_- | ASAP I)(6건교부 20000.075mm (200 번 제),_0~15토목섬유 보 깅 재 모서으19007100AsO소 섬 지 쉬 만)(62Saar0.425077 (40 번체) 0~60Se85%이상| _에)한국 지반 공 하회 1998) ㅣ 0.075007 (200 번 체) | _ 0~15결정토목섬유 보 재강 Geotextle및 보강토 공법에 | 254.0mm (10inch)100관한 연구 |@)--(한국리건설 관 연구원 ,101.6mm(4inch) 100~7595°1985)0.074107 (200 번 차 |0~15구도.물 #조 기초 기준x=| 10077 08 번 체1000).=설계0.425077 (40번처)0~60.-|ASAESPI (6반(한국 지 공학회 1997)loo7émm (200 번체 |0~15| 수국외 기준 입도다짐 기준 7H)smfue |타 ㅣ 비고| 고모 ㅣ 구조 규정:(700) 프랑스 250mm- 100we! 33 또는 |95%이상 (MOT,평형 | 375 | (NFP핀 넬식 미국102mm (4inch)10095%이상 Hwa, |"040FOee |7 | AASHTO) suxis(rn(61999)No.2000~15-T-99)4001100~753007미국No410020ajgjow | ec. | SMOjAlsiziat 없는 경 (NCHA.) aoe | 667 미우 토질 종 류 별로| 블록 식1997)Noo 00-088BRT698) | a~적용No.200~35께이하-201 -국 업체별내적 현황 용뒷채움 재료 기준업체형식ㆍ| 최대 건 밀도조바고내부 마찰 (0)각다짐 두께」| 최대 경입(706)A At | Bilal | 25"이상 | 95%이상 ㅣ 37.500이하 ㅣ 25.4006 사 ㅣ 판 넬 식 ㅣ 25이상 |95%이상 | 37.500이하 ㅣ 25.400C AlBEA30"이상95%이상20cmDat | #4) |25이상90%0|A}20075.107 판 넬 식 ㅣ 30"이상 _| 95%이상 | 37.507이하 ㅣ 25.400E A} 블록 식 ㅣ 25“이상95%이상15~30em | 10.2cm3. 뒷채움 재료의 다짐방법 3.1 유 사 공정의 다짐 기준* 지중구조물 뒷채움 기준@ 뒷채움의 1 층 다짐 완료 후 두께는 2000이하이어야 하며 각 충은 5 『 2912의 『 방 범에의해구한최대 건조 밀도의 95%이상의밀도로균 일 하게 다짐을 하여야한 .(다 고속도로공사전 문 시방 ,서 2000)@ 노상토급의 재료를 사용 하여 뒷채움 하는 경우에는 다짐 후 두께는 20001 다짐 밀도가 최대건조 밀도의 95%, 지지력은 구조 본 적으로 2060000^으로 하고, 포장 체의 종류및 현 여건에 따라현장에서 15 또는2060007"를 현장 관리 지으로침사용함( 지중 구조물뒷채움 재료 선정 기준수립, 2000( 노상 다짐 기준@ 1 총 다짐 완료 후의 두께는 2000이하이어야 하며 각 중 마다 9 『 2312의 6, 0 또는 ㄷ방법에의하여정해진최대 건조 밀도의 95%이상의 밀도가 되도록균 일 하게 다 져 야한다.( 고속도로공사전 시방서, 문2000)- 202-표 1. 노상토 시방 기준분구공학적 성질다짐 두께최대 입 경000)100이하수정 080( 시방 다짐)100|상50001 체 통과 율 (%)25~10020000.080107체 통과율 (%)0~25a성지수10이하|3.2 보강토 옹벽뒷채움재료와 노 재료상다짐 기준비교@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 재료와 노상 재료와의 입도 분포를 비 교한 결과 그림1과 같이유 사하며,@ 최대 건조 밀도가 모두 95%이상으로 보강토 뒷채움과 노상 다짐 시 다짐에 너 지는 유 사 할 것으로 판단됨@ 결국, 보강토 옹벽 뒷채움 재료의 다짐 방법은 노상토 다짐 기준을 준 용할수 있DoSBas7A SAS (%)8386ㅎㅎ1010.10.0122(mm)그 립 1. 노상 재료와 보강토 옹벽 뒷채움 재료(지반 공학 ,1998)회의입도 분포 비교-203-33 SAE 옹벽뒷채움 재료 다짐 방법 그림 2, 보강토 뒷채움 다짐 개 략도@ 전면 판에서 1.5~2.00 까지는 인력 다짐 또는 소형 램 머로 다짐을 수행함. @ 다짐 장비는 벽 면에 평 행 하게 주행 함. (9 뒷채움 재의 포 설은 벽 면 측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수행함. @ 다짐 장비의급 정지 ,급 선 회를 피 함. @ 보강재 위에 뒷채움 재료를 포 설 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짐 장비가 주행 하지 않도록함.-204-4.1 뒷채움 재료 품ba모 63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입도입경통과 백 분 (%)율 |.내부 마찰 각 ㅣ 소성 지수)19 mm100삼 축 암 축 또는0.425 mm (40Ha))|o~eo|zASESet)3내부 마찰 각 ㅇ)0.075mm (200 번)| 체0~15256. @ 1 층 다짐 두께는 2001, 다짐 밀도는 최대 건조 밀도의 95%이상으로 하는 것을 원으로칙함. @ 다만,시공 시 보강재의 내구성이 확 되고보보강재와 뒷채움 재료의 마찰 각이설계시 고려된 값이상으로 발 휘될수 있는경우별도의 입도 분포및 다짐 두께 기준을 적용할수 있uo4.2 뒷체 움 재료의 다짐 단가 산출기준@ 보강토 옹벽뒷채움 재료는 입도 분포가 노상토와 유 사 하며 상 대 밀도는 95%이상이 요구되므로다짐 단가는 노상 기준을 준용 함이 타당함.4.3설계 적용방안@ 보강토 옹벽 뒷채움 공공사 비는 노상토에 포함 하여산출@. 적용시기ㅇ설계 중인 노선 : 2001년 8 월이후 준공 되는설계 부 터 적용ㅇ공사 중민 노선 : 시공 여건 올 고려하여공사 주관 부서에서 결정- 205-참고문헌1.FederalHighwayAdministration(1999),"MechanicallyStabilizedEarthWallsandReinforcedSoilSlopesDesignandConstructionGuidelines"FHWADemonstrationProject 82 Reinforced Soil Structures MSEWand RSSpp68~73.NationalConcreteMasonryAssociation(1997),"DesignManualfor SegmentalRetainingWalls”pp40 ~47.M.O.T.of France(1980),"ReinforcedEarth Structures: RecommendationsandRules ofthe Art?pp.3~4, 97~ 102.AN MS + (2000), “SEAHet)”pp407-42~44.한국 지반 공학회 (1998), “지반 공학 시리즈 9 토목섬유" 66231~233.한국 건설 기술 연구원 [1985), “66016116및 보강토 공법에 관한 연구" 0026-28.한국도로공 (2000),사" 지구조물중뒷채움 재료 선정 기준수립”도로 연구소 연 보고서구06 140~142 .한국도로공 (2000),사"고속도로 전 문 시방서(토목)"편 [64-21~4-27.- 206-2-14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 시공 기준검토8 회설계ㅇ 13202-388(01.7.30)1. 검토목적 기존 보강토 옹벽 공법의 뒷채움 자료 품질및 다짐방법에 대한 기준을 검토하여 적정 다짐 단가 산출기준을 수립코자함 . 보강토 몽 벽의 뒷채움 재료는 보강재 , 전면 판의 성질및설계개 념에 따라 결정 되어야하므로각 공법의 공학적 특성에 따라 뒷채움 재료의 품질 기준및 다짐방 범이상이 할수 A2.1 뒷채움 재료의 일반적 성질@ 흙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 효과를 구조대할수 있도록 내부 마찰 각이 클 것@ 배수 성이 양 호 하고 함수비 변화에 따른 강도 특성의 변화가 적을 것@ 입도분포가 양 호할 것@ 보강재의 내구성을 저하 시키는 화학적 성분이 적을 것 2.2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 재료 국ㆍ내외 기준보강토 옹벽의 뒷채움 재료의 국내외 기준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 최대 건조 밀도는 95%이상이고, 내부 마찰 각은 최소 25"이상을 제시함 .-200-국내 기준입도최대Tt&뜨대부건조비고aSezS7||saes(%)|' ㅣ로도| 디 찰 각 | ())도로설계 편람(1!)|, … 버 번체ono_- | ASAP I)(6건교부 20000.075mm (200 번 제),_0~15토목섬유 보 깅 재 모서으19007100AsO소 섬 지 쉬 만)(62Saar0.425077 (40 번체) 0~60Se85%이상| _에)한국 지반 공 하회 1998) ㅣ 0.075007 (200 번 체) | _ 0~15결정토목섬유 보 재강 Geotextle및 보강토 공법에 | 254.0mm (10inch)100관한 연구 |@)--(한국리건설 관 연구원 ,101.6mm(4inch) 100~7595°1985)0.074107 (200 번 차 |0~15구도.물 #조 기초 기준x=| 10077 08 번 체1000).=설계0.425077 (40번처)0~60.-|ASAESPI (6반(한국 지 공학회 1997)loo7émm (200 번체 |0~15| 수국외 기준 입도다짐 기준 7H)smfue |타 ㅣ 비고| 고모 ㅣ 구조 규정:(700) 프랑스 250mm- 100we! 33 또는 |95%이상 (MOT,평형 | 375 | (NFP핀 넬식 미국102mm (4inch)10095%이상 Hwa, |"040FOee |7 | AASHTO) suxis(rn(61999)No.2000~15-T-99)4001100~753007미국No410020ajgjow | ec. | SMOjAlsiziat 없는 경 (NCHA.) aoe | 667 미우 토질 종 류 별로| 블록 식1997)Noo 00-088BRT698) | a~적용No.200~35께이하-201 -국 업체별내적 현황 용뒷채움 재료 기준업체형식ㆍ| 최대 건 밀도조바고내부 마찰 (0)각다짐 두께」| 최대 경입(706)A At | Bilal | 25"이상 | 95%이상 ㅣ 37.500이하 ㅣ 25.4006 사 ㅣ 판 넬 식 ㅣ 25이상 |95%이상 | 37.500이하 ㅣ 25.400C AlBEA30"이상95%이상20cmDat | #4) |25이상90%0|A}20075.107 판 넬 식 ㅣ 30"이상 _| 95%이상 | 37.507이하 ㅣ 25.400E A} 블록 식 ㅣ 25“이상95%이상15~30em | 10.2cm3. 뒷채움 재료의 다짐방법 3.1 유 사 공정의 다짐 기준* 지중구조물 뒷채움 기준@ 뒷채움의 1 층 다짐 완료 후 두께는 2000이하이어야 하며 각 충은 5 『 2912의 『 방 범에의해구한최대 건조 밀도의 95%이상의밀도로균 일 하게 다짐을 하여야한 .(다 고속도로공사전 문 시방 ,서 2000)@ 노상토급의 재료를 사용 하여 뒷채움 하는 경우에는 다짐 후 두께는 20001 다짐 밀도가 최대건조 밀도의 95%, 지지력은 구조 본 적으로 2060000^으로 하고, 포장 체의 종류및 현 여건에 따라현장에서 15 또는2060007"를 현장 관리 지으로침사용함( 지중 구조물뒷채움 재료 선정 기준수립, 2000( 노상 다짐 기준@ 1 총 다짐 완료 후의 두께는 2000이하이어야 하며 각 중 마다 9 『 2312의 6, 0 또는 ㄷ방법에의하여정해진최대 건조 밀도의 95%이상의 밀도가 되도록균 일 하게 다 져 야한다.( 고속도로공사전 시방서, 문2000)- 202-표 1. 노상토 시방 기준분구공학적 성질다짐 두께최대 입 경000)100이하수정 080( 시방 다짐)100|상50001 체 통과 율 (%)25~10020000.080107체 통과율 (%)0~25a성지수10이하|3.2 보강토 옹벽뒷채움재료와 노 재료상다짐 기준비교@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 재료와 노상 재료와의 입도 분포를 비 교한 결과 그림1과 같이유 사하며,@ 최대 건조 밀도가 모두 95%이상으로 보강토 뒷채움과 노상 다짐 시 다짐에 너 지는 유 사 할 것으로 판단됨@ 결국, 보강토 옹벽 뒷채움 재료의 다짐 방법은 노상토 다짐 기준을 준 용할수 있DoSBas7A SAS (%)8386ㅎㅎ1010.10.0122(mm)그 립 1. 노상 재료와 보강토 옹벽 뒷채움 재료(지반 공학 ,1998)회의입도 분포 비교-203-33 SAE 옹벽뒷채움 재료 다짐 방법 그림 2, 보강토 뒷채움 다짐 개 략도@ 전면 판에서 1.5~2.00 까지는 인력 다짐 또는 소형 램 머로 다짐을 수행함. @ 다짐 장비는 벽 면에 평 행 하게 주행 함. (9 뒷채움 재의 포 설은 벽 면 측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수행함. @ 다짐 장비의급 정지 ,급 선 회를 피 함. @ 보강재 위에 뒷채움 재료를 포 설 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짐 장비가 주행 하지 않도록함.-204-4.1 뒷채움 재료 품ba모 63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입도입경통과 백 분 (%)율 |.내부 마찰 각 ㅣ 소성 지수)19 mm100삼 축 암 축 또는0.425 mm (40Ha))|o~eo|zASESet)3내부 마찰 각 ㅇ)0.075mm (200 번)| 체0~15256. @ 1 층 다짐 두께는 2001, 다짐 밀도는 최대 건조 밀도의 95%이상으로 하는 것을 원으로칙함. @ 다만,시공 시 보강재의 내구성이 확 되고보보강재와 뒷채움 재료의 마찰 각이설계시 고려된 값이상으로 발 휘될수 있는경우별도의 입도 분포및 다짐 두께 기준을 적용할수 있uo4.2 뒷체 움 재료의 다짐 단가 산출기준@ 보강토 옹벽뒷채움 재료는 입도 분포가 노상토와 유 사 하며 상 대 밀도는 95%이상이 요구되므로다짐 단가는 노상 기준을 준용 함이 타당함.4.3설계 적용방안@ 보강토 옹벽 뒷채움 공공사 비는 노상토에 포함 하여산출@. 적용시기ㅇ설계 중인 노선 : 2001년 8 월이후 준공 되는설계 부 터 적용ㅇ공사 중민 노선 : 시공 여건 올 고려하여공사 주관 부서에서 결정- 205-참고문헌1.FederalHighwayAdministration(1999),"MechanicallyStabilizedEarthWallsandReinforcedSoilSlopesDesignandConstructionGuidelines"FHWADemonstrationProject 82 Reinforced Soil Structures MSEWand RSSpp68~73.NationalConcreteMasonryAssociation(1997),"DesignManualfor SegmentalRetainingWalls”pp40 ~47.M.O.T.of France(1980),"ReinforcedEarth Structures: RecommendationsandRules ofthe Art?pp.3~4, 97~ 102.AN MS + (2000), “SEAHet)”pp407-42~44.한국 지반 공학회 (1998), “지반 공학 시리즈 9 토목섬유" 66231~233.한국 건설 기술 연구원 [1985), “66016116및 보강토 공법에 관한 연구" 0026-28.한국도로공 (2000),사" 지구조물중뒷채움 재료 선정 기준수립”도로 연구소 연 보고서구06 140~142 .한국도로공 (2000),사"고속도로 전 문 시방서(토목)"편 [64-21~4-27.- 206-


아래 이미지는 원본이 10페이지 이상일 경우 9페이지 까지만 만들어진 사항으로 전체내용을 보려면 아래 첨부된 원본 PDF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dlagytjs100@naver.com.pn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10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8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41
5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1_무도장 내후성 강교 적용 검토 file 효선 2023.12.29 986
5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2_콘크리트 포장면연마 적용기준 변경검토 file 효선 2023.12.29 825
5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3_교량 접속슬래브 설치구간 포장균열 억제를 위한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3.12.29 1247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4_보강토옹벽의 뒷채움 시공기준 검토 file 효선 2023.12.29 1017
5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5_터널 면벽식갱문 날개옹벽 온도철근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3.12.28 788
5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6_터널갱문부 화강석 부착방법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3.12.28 846
5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7_터널 피난연락갱 설치기준(안) file 효선 2023.12.28 1078
5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8_터널라이닝 보강철근 지지방안 검토 file 효선 2023.12.28 1029
5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19_터널Abut부 철근사용 검토 file 효선 2023.12.28 919
5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0_장대터널 공동구 검토 file 효선 2023.12.28 1152
5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1_터널갱구부 라이닝 콘크리트 철근보강(안) file 효선 2023.12.28 914
5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2_장대터널 비상시설용 계단 설치(안) file 효선 2023.12.28 1753
5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3_낙석방지시설 설치기준 개선검토 file 효선 2023.12.28 932
5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4_개선형 가드레일 세부 적용방안 수립 file 효선 2023.12.28 1048
5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5_돌망태공 설치단가 검토 file 효선 2023.12.28 992
5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6_비탈면 보호공 설치기준 검토 file 효선 2023.12.28 831
5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7_부체도로 방호시설 설치형식 검토 file 효선 2023.12.28 1001
5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8_연약지반 중앙분리대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3.12.28 914
5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29_가드휀스 설치기준 개선검토 file 효선 2023.12.28 939
5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1년_2-30_터널 세정오수 처리(안) file 효선 2023.12.28 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