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BsOCR_V0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키워드용으로 변환한것으로 다소 내용이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첨부된 원본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4 중 분대`종배수관설계적용방안검토(05.3 8)1. 검토목적콘크리트 흠 관으로설계 반영 중인 중분 대 종 배수 관의 시공성, 경제성을 파형강관과 비교 검토 하고, 시험 시공 결과에 따라 합리적인 적용방안을 검토코자함2. 파형 강관현장 적용성 검토결과(건설계 1030ㄱ108호, '02.10.28)[L 구분내용| 비고권의 제작ㅇ 용 융 아 연도 금 된 강 판에 파형을 형 성 하여횡단면'의 강 성을 증가 시킨 강관역학 특성 | ? 면 직 하중에 의한 권의 수 평 방향 변 위를 측 면의|토압으로 지탱 뒷채움디짐ㅇ 시공 후 뒷채 움 부 체 적 변화가 없어야 기초으로안정- 뒷채움다짐 밀도 90-95%필요ㅇ 일반 구간은 문제 없음부식 영향 | ㅇ 염 분이 참 유 된 물 혹은 페 수등이 흐르는 수로는별도의 부식 대책 강구 필요경제성ㅇ 종 배수관: 원 심 력 콘크리트관의 50~95%수준ㅇ 횡 배수관: 보강원 심 력 콘크리트관의 40% 수준ㅇ 경 량으로 시공성우수특징.ㅣ ㅇ 적은 인력 투 입으로 구조 능 공 부족해소ㅇ 기존 콘크리트흠 관에 비해경제성우수ㅇ 향 후 확대시행시행방안 ㅣㆍ종 배수관: 공 부서사 판단 시행- 횡 배수관: 시험 시공 후공사 시행 부서시행 판단※ 파형 강관 현장 적용성 검토결과 기초안전성, 경제성, 시공성등은 양 호 하나화 물에 의한 부식 대책 강 구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 됨 0g3. 파형 강관 부식 영향 검토ㅇ 아 연도 금 파형 강관의 염 수분 무시험 결과(188 연구보고서 1181001,1984)시간 0)표면 녹 발생율 (%)6703 TRB:0|123 *}3|(TRANSPORTATIONRESEARCHBOARD)※ 아 연도금 파형 강관은 장시간 염 화 물과 접 촉 시 부식 발생※ 중분 대 종 배수 관은 동절 구조 제설 작업 시 염 화 물의 영향을 받게 되며, 파형 강관특성상 파형의 골 부분에 장시간 체 류 수 발생으로 별도의 부식 방지 대책 필요4. 비교검토a@ul__sa(eh)~콘크리트 흠관epee apse|!mg| BIS HL aeeetml i내부이연도금 파 강형 관의Melee! SARIS BME |ie zx3 fbiei aie물리적 | 내구성양 호양호특성 | 내부식성|보통양호중량(0450)161.6he/m23.1ke/m시공성 | voto관연결]소켓 연몰탈결 충진)(내부방식커7플 밴드링공구조0.36hr/m0.13hr/m공사비_낙 율찰(@450)43,633 21/m40,03521/m 적용|적용@※ 절토부 종 배수 관은설계 1320도1-11호(04.4.92에의거 피 복 파형 강관으로설계단가 구조 적용※ 최근 발주 공 (2사 개노선 8 개 공구) 평균 낙 찰율 56.7% =) 60% 적용수관현장시험 시공 결과.- 141.1( ~ 141.6((순 천 방향) ㄴ=1750(0300)- 1593.06 ~ 154.1((순천 방향) ㄴ =1910(0300), ㄴ =340(2450)ㅇ 구조 ~ 2: 2004. 11. 13 ~ 11. 17 (209121)ㅇ 시방법공- 터파기후 내 면 피복 파형 강관 부설및 집수정 설치- 파형 강관의 바닥및 뒷채움은 양 질의 사질 토를 사용 하여 다짐oN Sa:- 콘크리트 흠 관은 인력 소 운반 설치가 어려우나, 피 복 파형 강관은 인력소운반 설치가가능 하며 시공성이 매우 양 후 +ㅇ 내구성 (안정성)- 내면 피 복으로 내염및 내 후 성이 뛰 어 날 것으로 판단됨6. 검토의견ㅇ 폴리에틸렌피복파형 강관은 기존의 콘크리트흠 관과 비 교 시- 단위 중량이 훨씬 구조 벼 워 관 부 설및 연결등 시공성이 우 수 히고- 관 내부에 폴리에틸렌 피 복으로 내부식 성이 우 수 하며- 낙 찰을 적용 시 다소경제적인 것으로 판단됨ㅇ 콘크리트 흠 관의공사비 중 인건비 비용은 51%인 반면 피 복 파형 강은관인건비 비용이 7%로서 향후, 인건비상 승 시 보다 경제적인 것으로 예상됨ㅇ시험 시공 결과 양호한 시공 성과 경제성이 입증 되어, 향 후_중앙분리대종배수 관은복파형 강으로관 구조:ㅇ설계 적용은 다 단계의 교통 전환수행으로신속한시공이 필요 하며, 제한된작업 공 간의 특성이 있는 확장 곰 사에 우선 적용ㅇ 현장여건에 따라 기존 콘크리트 흠 관과 병행 사용ㅇ공사 시방서및 표준도에 중분대 종 배수관 피복 파형 강관추가.7. 적용방안ㅇ '05년 준공 예정설계 용역 노선부터적용2-4 중 분대`종배수관설계적용방안검토(05.3 8)1. 검토목적콘크리트 흠 관으로설계 반영 중인 중분 대 종 배수 관의 시공성, 경제성을 파형강관과 비교 검토 하고, 시험 시공 결과에 따라 합리적인 적용방안을 검토코자함2. 파형 강관현장 적용성 검토결과(건설계 1030ㄱ108호, '02.10.28)[L 구분내용| 비고권의 제작ㅇ 용 융 아 연도 금 된 강 판에 파형을 형 성 하여횡단면'의 강 성을 증가 시킨 강관역학 특성 | ? 면 직 하중에 의한 권의 수 평 방향 변 위를 측 면의|토압으로 지탱 뒷채움디짐ㅇ 시공 후 뒷채 움 부 체 적 변화가 없어야 기초으로안정- 뒷채움다짐 밀도 90-95%필요ㅇ 일반 구간은 문제 없음부식 영향 | ㅇ 염 분이 참 유 된 물 혹은 페 수등이 흐르는 수로는별도의 부식 대책 강구 필요경제성ㅇ 종 배수관: 원 심 력 콘크리트관의 50~95%수준ㅇ 횡 배수관: 보강원 심 력 콘크리트관의 40% 수준ㅇ 경 량으로 시공성우수특징.ㅣ ㅇ 적은 인력 투 입으로 구조 능 공 부족해소ㅇ 기존 콘크리트흠 관에 비해경제성우수ㅇ 향 후 확대시행시행방안 ㅣㆍ종 배수관: 공 부서사 판단 시행- 횡 배수관: 시험 시공 후공사 시행 부서시행 판단※ 파형 강관 현장 적용성 검토결과 기초안전성, 경제성, 시공성등은 양 호 하나화 물에 의한 부식 대책 강 구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 됨 0g3. 파형 강관 부식 영향 검토ㅇ 아 연도 금 파형 강관의 염 수분 무시험 결과(188 연구보고서 1181001,1984)시간 0)표면 녹 발생율 (%)6703 TRB:0|123 *}3|(TRANSPORTATIONRESEARCHBOARD)※ 아 연도금 파형 강관은 장시간 염 화 물과 접 촉 시 부식 발생※ 중분 대 종 배수 관은 동절 구조 제설 작업 시 염 화 물의 영향을 받게 되며, 파형 강관특성상 파형의 골 부분에 장시간 체 류 수 발생으로 별도의 부식 방지 대책 필요4. 비교검토a@ul__sa(eh)~콘크리트 흠관epee apse|!mg| BIS HL aeeetml i내부이연도금 파 강형 관의Melee! SARIS BME |ie zx3 fbiei aie물리적 | 내구성양 호양호특성 | 내부식성|보통양호중량(0450)161.6he/m23.1ke/m시공성 | voto관연결]소켓 연몰탈결 충진)(내부방식커7플 밴드링공구조0.36hr/m0.13hr/m공사비_낙 율찰(@450)43,633 21/m40,03521/m 적용|적용@※ 절토부 종 배수 관은설계 1320도1-11호(04.4.92에의거 피 복 파형 강관으로설계단가 구조 적용※ 최근 발주 공 (2사 개노선 8 개 공구) 평균 낙 찰율 56.7% =) 60% 적용수관현장시험 시공 결과.- 141.1( ~ 141.6((순 천 방향) ㄴ=1750(0300)- 1593.06 ~ 154.1((순천 방향) ㄴ =1910(0300), ㄴ =340(2450)ㅇ 구조 ~ 2: 2004. 11. 13 ~ 11. 17 (209121)ㅇ 시방법공- 터파기후 내 면 피복 파형 강관 부설및 집수정 설치- 파형 강관의 바닥및 뒷채움은 양 질의 사질 토를 사용 하여 다짐oN Sa:- 콘크리트 흠 관은 인력 소 운반 설치가 어려우나, 피 복 파형 강관은 인력소운반 설치가가능 하며 시공성이 매우 양 후 +ㅇ 내구성 (안정성)- 내면 피 복으로 내염및 내 후 성이 뛰 어 날 것으로 판단됨6. 검토의견ㅇ 폴리에틸렌피복파형 강관은 기존의 콘크리트흠 관과 비 교 시- 단위 중량이 훨씬 구조 벼 워 관 부 설및 연결등 시공성이 우 수 히고- 관 내부에 폴리에틸렌 피 복으로 내부식 성이 우 수 하며- 낙 찰을 적용 시 다소경제적인 것으로 판단됨ㅇ 콘크리트 흠 관의공사비 중 인건비 비용은 51%인 반면 피 복 파형 강은관인건비 비용이 7%로서 향후, 인건비상 승 시 보다 경제적인 것으로 예상됨ㅇ시험 시공 결과 양호한 시공 성과 경제성이 입증 되어, 향 후_중앙분리대종배수 관은복파형 강으로관 구조:ㅇ설계 적용은 다 단계의 교통 전환수행으로신속한시공이 필요 하며, 제한된작업 공 간의 특성이 있는 확장 곰 사에 우선 적용ㅇ 현장여건에 따라 기존 콘크리트 흠 관과 병행 사용ㅇ공사 시방서및 표준도에 중분대 종 배수관 피복 파형 강관추가.7. 적용방안ㅇ '05년 준공 예정설계 용역 노선부터적용


아래 이미지는 원본이 10페이지 이상일 경우 9페이지 까지만 만들어진 사항으로 전체내용을 보려면 아래 첨부된 원본 PDF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dlagytjs100@naver.com.pn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057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74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405
81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_분기점 연결로 설계시행 방안 file 효선 2024.02.05 1246
8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2_교량 기초 시공시 발생토량(절토부) 토공유동관련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18
8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3_깍기비탈면 설계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90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4_중분대 종배수관 설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920
8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5_흙깍기부 초기집수정 설치위치 검토 file 효선 2024.02.05 999
8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6_터널 공동구 바닥부 여굴 처리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865
8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7_터널 교대근무조 적용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187
8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8_개착터널 인버트 설치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2.05 864
8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9_터널 측방배수관 재질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02.05 886
8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0_PSC빔 표준화 적정성 검토 file 효선 2024.02.05 855
8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1_교면배수구 설치기준 개선검토 file 효선 2024.02.05 851
8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2_프리케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교량바닥판 적용검토 file 효선 2024.02.05 899
8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3_구조물 표면마무리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929
8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4_강재트러스 합성거더교 적용성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56
80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5_탄성받침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1067
80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6_콘크리트 노출 바닥판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05 592
79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7_교각 시공용 리프트 공법 적용성 검토 file 효선 2024.02.05 952
79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8_다발철근의 적용성 검토 file 효선 2024.02.05 992
79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19_암파쇄 방호시설 설치지침 시행 file 효선 2024.02.05 864
79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6년_2-20_흙막이 가시설 설계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02.05 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