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9-12 콘크리트 포장장비 관리요령

건설계획처-2827(2008. 10. 14) 

추진배경

 

 

국내 운영중인 콘크리트 포장장비의 성능, 제조사별 장비특성 및

장비 운영시 유의사항을 참고하여 포장장비 선정운영함으로써

건설공사 품질향상에 기여코자 함

 

 

 

포장 및 장비 사용현황

 

콘크리트 포장물량

 

년 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수량

(m)

221,976

93,682

214,117

121,255

41,368

15,716

91,120

148,810

 

2차로 기준, 공사중 및 발주전 노선

포장장비 사용현황

 

구 분

노 선

본선 포장

나들목(IC) 포장

비 고

‘07

준공

노선

청원-상주, 익산-장수

현풍-김천, 무안-광주

고창-장성 등 5개노선

SP1600

SP850

본 선 : SF550

 

나들목 : GP2600

(IC연결로) 일부사용

공사중

노선

대전-당진

SP1600

SP850

본선 : SF550

일부사용

부산-울산

SP1600

SP850

목포-광양

SP1600

SP850

안성-음성

SP1600

SP500

춘천-동홍천

SP1600

SP850

논산-전주

SP1200, 1600

-

여주-양평

SP1600

-

 

 

 

 

주요장비 특성

 

주요 제원

 

구분

Wirtgen(독일)

Gomaco, C.M.I(미국)

주요장비

- SP1600, SP1200+DBI

- SP850, SP850 Vario

- SP500

- Gomaco : GP2500, 2600

- C. M. I : SF550A, 550B

SF450B

바이브레터

- 전기식

- 일괄적으로 진동수 조절

- 진동수가 많음

- 유압식

- 개별 진동수 조절가능

- 진동수 상대적으로 적음

오실레이팅 빔

×

탬핑 바

×

에지 조절 시스템

×

Side Bar

몰드 뒤에서 삽입

몰드 아래에서 삽입

 

붙임 1포장장비별 세부 제원

 

단점 비교

 

구분

Wirtgen(독일)

Gomaco, C.M.I(미국)

장점

- 바이브레터 진동수가 크고 장비

중량 및 엔진출력이 커 저슬럼프

에서도 평탄성 양호

- 몰드가 콘크리트의 저항에 변형

하지 않을 강도를 지님

- 유압식 바이브레터 사용으로 진동수

개별조절 및 부분적인 교체 가능

- 에지부분 처짐 조절 가능

- 바이브레터의 부품 교환 용이

- 상부몰탈 미형성으로 내구성 향상

단점

- 바이브레터 진동이 커 몰탈이

상부로 많이 올라와 45년 후

포장면이 거칠어질 우려

- 바이브레터 고장시 개별적인

교환이 어려움

- 장비가 상대적으로 고가임

- 몰드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취약

- 탬퍼방식에 의한 상부 몰탈층 미형성

으로 상부 콘크리트면이 다소 거칠어

보이는 경향이 있음.

 

 

 

 

 

관리요령

 

장비별 운영시 고려사항

 

구 분

특 성

SP1600

- 대체로 중량(57ton 내외)이 크고 시공실적이 풍부

- 저슬럼프(01cm 정도)로 작업이 가능하나 믹싱, 성형성

등을 고려하여 슬럼프 34cm 내외가 적정

SP1200

- 신형장비로 중간정도 중량(47ton)이며 시공 초기단계

- DBI 삽입 등의 관계로 슬럼프는 5cm 내외가 적정

SP850

- 연결도로 및 본선(터널) 포장 장비(40ton)이며, 시공실적 풍부

- 슬럼프 34cm 내외가 적정

SP500

- 연결도로 포장 장비(30ton), 시공실적이 풍부

- 슬럼프 34cm 내외가 적정

SF450B

- 중량(60ton)이 크며 SF450B보다 SF550A, 550B장비가

성능 우수

- 시공실적이 풍부, 슬럼프 34cm 내외가 적정

GP2600

- 연결도로 포장 장비, 시공실적 다소 있음

- 슬럼프 34cm 내외 적정

GP2500

- 포장 초기단계 본선 포장 장비 과거 시공실적 다소 있음

- 최근 연결도로 포장장비로 시공실적 적음

- 슬럼프 45cm 내외 적정

 

 

 

 

주요 확인사항

 

구 분

확 인 사 항

고장시 시공 중단발생

교체부품 수량 사전 확보

부가장비 장착여부 사전확인

Vibrator 작동여부

Vibrator 적정 갯수 확인, 추가 여유분 확보

적정 Vibrator 진동수 확인 (7,0009,000vib/min)

장비 정지시 바이브레이터 전원 차단 확인

타이바 삽입기 작동여부

타이바 삽입장치 삽입깊이 확인

흔적 발생하지 않도록 다짐위치 확인

장비와 슬럼프 관계

사용장비에 적합한 슬럼프 유지

상부측에 모르타르가 집중되지 않도록 잔골재율 확인

나들목 등의 장비 선정 및 관리

·횡단의 고경사에 따른 적정장비 및 관리방법 확인

고중량에 따른 배수구 손상

작업전 주변 시설물 보호 확인

콘크리트 포장단부 처짐

처짐감소를 위한 사이드판 보강여부 확인

구 접속부 시공이음부 평탄성 불량

인력포설 지양, 기계포설 가능여부 확인

콘크리트 생산 관리

믹서 혼합시간 준수 (최소 1분 이상)

세골재 함수비 관리 철저 (3% 이하)

·종방향 타이닝 간격, , 깊이 확인

타이닝 장비 확인(, 간격, 닳음 정도)

적정깊이가 유지될 수 있는 강선의 강도 여부

DBI(다웰바자동삽입기) 작동 여부

다웰바 삽입깊이 철저히 확인

시공에 필요한 최저슬럼프 여부 확인

교량접속슬래브 포설

가급적 인력포설에서 기계포설로 개선

사이드폼부, 탈착가능 등 장비활용여부 확인

 

붙임 2국내 주요 장비보유 현황

붙임 3바이브레이터 상세도

 

현상별 원인 및 조치사항

 

 

 

 

붙임 1포장장비별 세부제원

 

구 분

SP-1600

SP-1200

SP850

SP850vario

SP500

4 track

4 track

4 track

4트랙

4트랙

제작회사

Writgen(독일)

Writgen(독일)

Writgen(독일)

Writgen(독일)

Writgen(독일)

용 도

2, 3차선포장

2, 3차선포장

1, 2차선포장

1, 2차선포장

1, 2차선포장

1. 차체

- 중량(ton)

- 포장폭(m)

- 최대포장두께(mm)

- 연료탱크 용량()

 

57135

516

450

800

 

4570

3.512

450

420

 

2944

2.59.0

500

400

 

2944

38.5

450

450

 

2944

38.5

450

450

2. 엔진

- 제작회사

- 형식

- 출력(hp)

- 엔진속도(rpm)

 

Caterpillar

3406 DI-TA

402

2,100

 

Caterpillar

8.3C300

300

2,100

 

Caterpillar

3306 DI-TA

249

2,100

 

Caterpillar

3306 DI-TA

249

2,100

 

Caterpillar

3306 DI-TA

249

2,100

3. 주행장치

- 작업속도(m/min)

- 주행속도(m/min)

 

05

020

 

06

029

 

06

020

 

06

020

 

05

017

4. 자동감지기

- 부착수량

- 작동방식

 

6

전기식

 

6

전기식

 

6

전기식

 

6

전기식

 

6

전기식

5. 작업장치

- 오거

- 스트라이크 오프

- 바이브레타

수량

방법

- 템퍼바

 

스프레더방식

유압식 상하조정

 

48

전기식

-

 

스프레더방식

유압식 상하조정

 

36

전기식

-

 

스프레더방식

유압식 상하조정

 

24

전기식

-

 

스프레더방식

유압식 상하조정

 

24

전기식

-

 

스프레더방식

유압식 상하조정

 

24

전기식

-

비 고

 

DBI 정착

 

 

 

 

 

 

 

구 분

GP2600

SF450B

SF550A

SF550B

2 track

4 track

4 track

4 track

4 track

제작회사

Gomaco(미국)

Gomaco(미국)

CMI(미국)

CMI(미국)

CMI(미국)

용 도

1, 2차선포장

1, 2차선포장

2, 3차선포장

2, 3차선포장

2, 3차선포장

1. 차체

- 중량(ton)

- 포장폭(m)

- 포장두께(mm)

- 연료탱크 용량()

 

3335

3.669.75

-

390

 

3840

3.669.75

-

390

 

60

612

610

600

 

60

612

610

600

 

67

615.2

800

600

2. 엔진

- 제작회사

- 형식

- 최고출력(hp)

- 엔진속도(rpm)

 

Caterpillar

3126B DITA

230

2200

 

Caterpillar

3126B DITA

230

2200

 

Caterpillar

CAT3406B

425

2100

 

Caterpillar

CAT3406B

425

2100

 

Caterpillar

CAT3406B

425

2100

3. 주행장치

- 작업속도(m/min)

- 주행속도(m/min)

 

-

021

 

-

016

 

01.6

040

 

01.6

040

 

02.4

040

4. 자동감지기

- 부착수량

- 작동방식

 

6

전기식/유압식

 

6

전기식/유압식

 

6

유압식

 

6

유압식

 

6

유압식

5. 작업장치

- 오거

- 스트라이크 오프

 

- 바이브레타

수량

방법

각도 및 깊이조정

- 템퍼바(/)

 

스크류방식

유압식 상하조정

 

 

1624

유압식

상하조정

0120

 

스크류방식

유압식 상하조정

 

 

1624

유압식

상하조정

0120

 

스크류방식

유압식 상하조정

 

 

1836

유압식

상하조정

0145

 

스크류방식

유압식 상하조정

 

 

1836

유압식

상하조정

0145

 

스크류방식

유압식 상하조정

 

 

1836

유압식

상하조정

0145

비 고

 

 

 

 

 

 

 

붙임 2국내 주요 장비보유 현황

 

 

구 분

장비종류

보유대수()

비고

Wirtgen

(독일)

SP-1600

14

본선

SP-1200

1

본선

SP-850

5

본선, 연결로

GP-2500

3

연결로

GP-2600

1

연결로

SP-500

3

연결로

Gomaco, C.M.I

(미국)

SF-450B

1

본선

SF-550A

1

본선

SF-550B

1

본선

30

 

 

 

붙임 3바이브레이터 상세도

 


진동기의 위치가 몰드와 근접시 표면 몰탈 발생 과다

 

몰드와 최소 7cm 이격

진동기의 유효 진동 다짐 영역이 40cm(±25cm) 이므로 진동기의 위치가 몰드 저판 높이에 위치할 때는 포장 하부(5cm)는 유효 진동권을 벗어나며 몰탈 과다 발생

진동기의 위치를 포장체 상단에서 5cm 깊이에 위치

진동기의 위치가 몰드 저판 10cm 이상 하부에 위치할 경우 과진동으로 몰탈 과다 발생

SP1600 오실레이팅빔 전면에 몰탈제거

적정 진동수(7,000~9,000Vib/min) 조정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5
177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8-1_제설자재창고 설치기준 변경 및 중기 설치계획 file 효선 2025.01.15 282
177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Ⅰ_2022년도 고속도로 설계실무지침 (요약본) 효선 2025.01.15 1812
177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Ⅱ_실무지침 수록 목록 (1998년 통합본~2022년) file 효선 2025.01.15 634
177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1.15 299
177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1_BIM설계기술 조기 정착을 위한 BIM 설계평가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5 140
177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2_드론 통합측량 추진방안 file 효선 2025.01.15 140
176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3_공종별로 산재되어 있는 안전항목을 통합한 안전관리 대공종 신설 file 효선 2025.01.15 191
176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4_도로구역 및 지형도면 통합고시 추진(안) file 효선 2025.01.15 160
176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5_설계안정성 검토 업무 내실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50
176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6_고속도로 적정공사기간 확보방안 검토(안) file 효선 2025.01.15 168
176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1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5 174
176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2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지침 내 안내 표지판 내용 수정 알림 file 효선 2025.01.15 141
176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3_고속도로 교통수요예측 내실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35
176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3-1_고속도로 통로암거 규격개선 file 효선 2025.01.15 237
176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3-2_깎기 및 쌓기 비탈면 옹벽 상단배수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311
176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1_말뚝기초 횡방향 설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173
175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2_스트럿-타이 모델링 개선 등을 통한 교각 코핑 설계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183
175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3_교량 난간 방호벽 절개부위 보강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93
175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4_고속도로 장수명 설계추진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60
175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5_PSC거더 구조 안정성 향상을 위한 횡만곡 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