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9-9_터널유출수 종합관리대책 개선방안
2024.02.28 11:37
9-9터널유출수 종합관리대책 개선방안
환경관리실-1961
(2008. 8. 5)
추진목적
□「터널유출수 종합관리대책」(건설환경실-2409, 2007.11.28)에 의해 설치
계획된 “타일세척수 처리시설”을 개선하여 유출수 발생량에 따라
규격 적용을 다양화하도록 함
□ “PH 저감시설”의 설치위치를 구체화하고, PH 조정 목적에 맞는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시설규모와 형태를 조정함
타일세척수 처리시설 개선방안
□ 당초시설 개념도 및 문제점
○ 개 념 도
○ 문 제 점
․터널별로 상이한 타일세척수 처리용량과 현장지형을 고려하지 않고
침전조 갯수 및 규격 일괄 적용
․유지관리용 배출구 ⑤, ⑥의 활용이 용이하도록 위치변경 필요
□ 개 선 방 안
○ 개 념 도
○ 개선방안
구 분 |
당 초 |
개 선 방 안 |
비 고 |
|
침전조⑴,⑵ |
침전기능 |
침전조 (1),(2) 설치 |
침전조(1),(2) 또는 (1)만 설치 (타일세척수 처리용량 고려) |
[붙임#1] |
침전조⑶ |
여과기능 |
침전조 (3) 설치 (자갈:70cm, 모래:60cm) |
침전조 (3) 설치 (자갈:모래의 포설높이 비율을 1 : 1로 유지) |
|
시 설 규 격 |
크기 |
규격 일괄 적용 (W=2.0m,L=2.0m,H=1.5m) |
규격 조정 적용 (현장 지형여건을 고려하여 W, L, H 조정) |
|
배출구 |
①,②, ③,④ |
설치 |
설치 (당초와 동일위치) |
|
⑤,⑥ |
침전조 중간 격벽에 설치 |
침전조 외부에서 잔류수 배출이 가능하도록 측면 벽에 설치 |
|
|
부직포 |
보호층 |
설치 (침전조(3) 상단) |
설치 안함 |
|
모래유실 방지용 |
부직포 설치 (침전조(3) 배출구) |
모래유실 방지망 설치 (당초와 동일위치) |
[붙임#4] |
Ⅲ |
|
pH 저감시설 개선방안
□ 당초시설 개념도 및 문제점
○ 개 념 도
○ 문 제 점
․설치위치 지형여건을 고려한 설치면적 최소화 필요
․pH 조정목적(알카리성→중성)에 맞도록 약품투입시설 종류 조정
설치 필요
․별도의 중화조(약품투입조)를 타일세척수 처리시설의 침전조로
활용하는 방안 강구 필요
□ 개 선 방 안
○ 개 념 도
○ 개선방안
구 분 |
당 초 |
개 선 방 안 |
비고 |
설치위치 |
타일세척수 처리시설 유입전 위치 |
타일세척수 처리시설에 PH저감시설 설치조 연결 설치 |
설치조는 침전조와 동일 재질 적용 (철근 콘크리트) |
약품 투입시설 |
약품탱크 3개 설치 |
황산 약품탱크 1개 설치 |
|
중화조 |
별도설치 |
삭제 (침전조(1)을 중화조로 활용) |
침전조(1) 내부 에폭시 코팅 실시 |
Ⅳ |
|
적 용 방 안
□ 타일세척수 처리시설
○ 설계 및 건설중인 터널 : 개선방안 적용
○ 운영중인 터널
․당초 시설규격 적용 : 10개소 (시범설치대상) (‘08. 6. 완료)
․개선방안 규격 적용 [붙임#2] 참조
- 219개소 : 2008년 설치
* 교통량이 많은 노선 및 터널연장 350m이상 터널
- 59개소 : 2009년 설치 (지사별 자체 사업계획 수립․시행)
본부 |
처리시설 소요(개소) |
2008년 설치 |
2009년 이후 설치3) |
비 고 |
||
당 초1) |
변 경2) |
시범설치완료 |
하반기예정 |
|||
계 |
229 |
288 |
10 |
219 |
59 |
|
경기 |
25 |
27 |
2 |
25 |
- |
|
강원 |
50 |
52 |
2 |
35 |
13 |
|
충청 |
40 |
45 |
2 |
36 |
7 |
|
호남 |
47 |
56 |
- |
43 |
13 |
|
경북 |
40 |
64 |
2 |
47 |
15 |
|
경남 |
27 |
46 |
2 |
33 |
11 |
|
1) 당초 계획 : 상․하행 양방향 통합 처리(각 터널별 1개소)
2) 변경 계획 : 터널유출수 배출경로 분리에 따른 수량 증가 (각 터널별 1~3개소)
3) 터널연장 350m미만 터널
※ 강릉5터널 : 미설치
[평상시 터널유출수(약 630㎥/청소시간) 대비 청소중 타일세척수(약 26㎥/
청소시간) 비율(약 4%)이 현저히 작으므로, 별도의 시설없이 자체 정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설치대상에서 제외]
□ pH 저감시설
○ 설계 및 건설중인 터널 : 개선방안 적용
○ 운영중인 터널 : [붙임#3] 참조
․대상터널 : 10개 터널 (11개소)
※ 수리, 수암, 강릉4, 구봉, 종천, 웅천, 장성2, 장성3, 김해, 창원2
※ 당초 설치 계획된 임고1, 함안1터널은 pH 중성 수렴으로 설치 제외
붙 임 자 료 |
붙임 1 : 타일세척수 처리시설 유형 및 규격 산정 붙임 2 : 타일세척수 처리시설 설치대상 터널 현황 (운영 중 터널) 붙임 3 : pH 저감시설 설치대상 터널 현황 (운영 중 터널) 붙임 4 : 타일세척수 처리시설 시공․운영시 유의사항 붙임 5 : pH 저감시설 시공․운영시 유의사항 |
[붙임 #1]
타일세척수 처리시설 유형 및 규격(W,L,H) 산정
Ⅰ. 처리시설 규격 산정 절차
□ 처리시설 용량(Q0) 결정 방법
Q0 = [Q1 + Q2] / 2 |
○ 시설 내 최대누적량 산정결과 비교
- 터널연장 및 일 유출량 적은 경우 [연장 520m, 일 유출량 40㎥]
구분 |
세척수 사용량 |
작업속도 (m/min) |
최대누적량 (㎥) |
비 고 |
||
터널설계실무자료집 기준 |
15ℓ/m |
16.7 |
6.50 |
Q1 |
||
청소 장비 기준 |
브러쉬 방식 |
ZT33-372 |
4.9ℓ/㎡ |
8.0 |
2.47 |
Q2 |
LTC90 |
2.5ℓ/㎡ |
12.0 |
0.84 |
|
||
고압살수 방식 |
경기본부 (16톤카고) |
1.36ℓ/㎡ |
77.2 |
1.2 |
|
|
호남본부 (25톤카고) |
1.54ℓ/㎡ |
72.5 |
1.3 |
|
- 터널연장 및 일 유출량 큰 경우 [연장 1,405m, 일 유출량 180㎥]
구분 |
세척수 사용량 |
작업속도 (m/min) |
최대누적량 (㎥) |
비 고 |
||
터널설계실무자료집 기준 |
15ℓ/m |
16.7 |
18.4 |
Q1 |
||
청소 장비 기준 |
브러쉬 방식 |
ZT33-372 |
4.9ℓ/㎡ |
8.0 |
8.4 |
Q2 |
LTC90 |
2.5ℓ/㎡ |
12.0 |
3.4 |
|
||
고압살수 방식 |
경기본부 (16톤카고) |
1.36ℓ/㎡ |
77.2 |
3.2 |
|
|
호남본부 (25톤카고) |
1.54ℓ/㎡ |
72.5 |
3.7 |
|
○ Q0 결정
- 터널설계실무자료집 기준 : 시설처리용량 과다 산정 우려
- 청소장비제원 기준 : 과소 산정 우려 및 장비별 산출값 상이
☞ 터널설계실무자료집 기준 최대누적량(Q1) 및 청소장비 제원
기준 가장 큰 값(Q2)를 평균하여 시설처리용량(Q0)으로 결정
□ Q1 및 Q2 산정방법
Q1 = [A+B1-C] × D1 Q2 = [A+B2-C] × D2 |
A. 터널 지하유출수량
일 유출량의 범위 (㎥/일) |
0~10 |
10~30 |
30~50 |
50~100 |
100~200 |
200~300 |
적 용 값(A) (㎥/min) |
0.007 |
0.021 |
0.035 |
0.069 |
0.139 |
0.208 |
※ 일유출량이 300 ㎥ 이상일 경우 : A=일유출량 ÷ 1,440
B. 청소시 세척수 발생량
B1. 고속도로 터널설계 실무자료집 기준 발생량 : 0.250㎥/min
* 세척수 사용량 : 15ℓ/m, 청소 속도 : 1,000m/hr ☞ 세척수량(Q) = (15ℓ÷1,000㎥) × 1,000m/hr×(1/60) = 0.25㎥/min |
B2. 터널 청소장비(ZT33-332) 제원 기준 발생량 : 0.0784㎥/min
C. 청소 중 처리시설 밖으로의 유출량
* 배출구 면적을 크게 설치하는 경우 : C=[0.3(m/min)×2×출구면적(㎡)]
∙투수계수(k) 산정 모래유실방지망 투수계수(0.01m/sec) × 0.5(안전율) = 0.005m/sec=0.3m/min ∙동수경사(i) 산정 (자갈층에서의 에너지 손실은 무시) |
Ⅱ. 산정 예시
□ 터널연장 및 터널 지하유출량이 적은 경우
1. ○○터널 현황
구분 |
터널연장 |
일 유출수량 |
비 고 |
상행 |
520m |
40㎥/일 |
상행과 하행 유출수 배출 경로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
하행 |
545m |
60㎥/일 |
* 처리시설 상․하행 각각 설치 ☞ 해당 행선의 터널연장 및 유출수량 적용
(상․하행 유출수가 합류된다면, 일 유출수량은 상․하행 수량을 합산한 값을
적용하며 터널연장은 양방향 중 터널연장이 긴 한쪽 방향 연장을 적용함)
2. ○○터널(상행) 처리시설내 최대 누적량(Q1, Q2) 산정
A. 터널 지하유출수량 : 0.035㎥/min
* 일 유출수량이 30~50㎥일 경우 0.035㎥/min 적용
B. 청소시 세척수 발생량
B1. 고속도로 터널설계 실무자료집 기준 : 0.250㎥/min
B2. 터널 청소장비(ZT33-332) 제원 기준 : 0.0784㎥/min
C. 청소 중 처리시설 밖으로의 유출량 : 0.0754㎥/min
* 배출구 면적을 Φ200관 4개 설치로 가정
Q1 = [A+B1-C] × D1
= [0.035 + 0.250 - 0.0754] × 31
= 6.50㎥
Q2 = [A+B2-C] × D2
= [0.035 + 0.0784 - 0.0754] × 65
= 2.47㎥
3. 처리시설 유형 결정
Q0 = 4.49㎥ |
⇒ |
[(L×W×H)×2단] 설치 |
※ Q1 과 Q2의 평균값 |
※ Q0 〈 10㎥ |
4. 처리시설 규격(W, L, H) 결정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시설 소요용량(Q0)을 상회하도록 규격 결정
[예시]
* 오염물질 저감효과는 높이(H)에 비례하므로 가급적 H를 크게 설치
□ 터널연장 및 터널 지하유출량이 큰 경우
1. △△터널 현황
구분 |
터널연장 |
일 유출수량 |
비 고 |
상행 |
1,355m |
100㎥/일 |
상행과 하행 유출수가 시설 설치 지점에서 합류됨 |
하행 |
1,405m |
80㎥/일 |
* 상․하행 유출수가 처리시설 전에서 합류되므로,
☞ 일 유출수량은 상․하행 수량을 합산한 값(180㎥/일)을 적용
* 터널 청소는 한 방향씩 실시하므로 양방향에서 청소 세척수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으므로,
☞ 터널연장은 일방향 행선의 연장(1,405m)을 적용
(상․하행 유출수 배출경로가 분리된다면 처리시설은 상․하행
각각 설치하며, 이 경우 해당행선의 터널연장 및 유출수량을 적용함)
2. △△터널 처리시설내 최대 누적량(Q1, Q2) 산정
A. 터널 지하유출수량 : 0.139㎥/min
* 일 유출수량이 100~200㎥일 경우 0.139㎥/min 적용
B. 청소시 세척수 발생량
B1. 고속도로 터널설계 실무자료집 기준 : 0.250㎥/min
B2. 터널 청소장비(ZT33-332) 제원 기준 : 0.0784㎥/min
C. 청소 중 처리시설 밖으로의 유출량 : 0.1696㎥/min
* 배출구 면적을 Φ300관 4개 설치로 가정
C=[0.3(m/min)×2×0.2827(㎡)] = 0.1696 ㎥/min
Q1 = [A+B1-C] × D1
= [0.139 + 0.250 - 0.1696] × 84
= 18.4㎥
Q2 = [A+B2-C] × D2
= [0.139 + 0.0784 - 0.1696] × 176
= 8.41㎥
3. 처리시설 유형 결정
Q0 = 13.4㎥ |
⇒ |
[(L×W×H)×3단] 설치 |
※ Q1 과 Q2의 평균값 |
※ Q0 ≥ 10㎥ |
4. 처리시설 규격(W, L, H) 결정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시설 소요용량(Q0)을 상회하도록 규격 결정
[예시]
* 오염물질 저감효과는 높이(H)에 비례하므로 가급적 H를 크게 설치 권장
[붙임 #2]
타일세척수 처리시설 설치대상 터널 현황
본부 |
지사 |
2008년 설치 |
2009년 이후 설치 |
터널명(개소) |
터널명(개소) |
||
경기 |
계 |
22개터널 (27개소) |
- |
인천 |
소래(1) |
- |
|
시흥 |
수암(1), 수리(1), 안양(1), 광명(1), 삼막(1) |
- |
|
군포 |
반월(1), 광교(1) |
- |
|
화성 |
용담(1), 팔곡(1), 순산(1), 평택(1) |
- |
|
수원 |
- |
- |
|
경안 |
중부1(1), 중부2(1), 중부3(1), 하번천(1), 광지원(1), 산곡(1) |
- |
|
동서울 |
광암(3), 청계(2) |
- |
|
이천 |
마성(2), 양지(2) |
- |
|
강원 |
계 |
31개터널(37개소) |
11개터널(13개소) |
원주 |
강천(1) |
- |
|
대관령 |
둔내(1), 봉평(1), 진부1(1), 진부3(1), 대관령1(1), 대관령4(2), 대관령5(1), |
진부2(1) |
|
강릉 |
강릉1(1), 강릉4(1) |
동해(1) |
|
홍천 |
만종(2), 횡성(1), 공근(1), 삼마치(1), 남산(1), 굴지(1), 원무1(1), 원무2(1) |
원창(2) |
|
제천 |
단양(2), 적성(1), 제천(1) |
치악1(1), 치악2(1), 치악3(1), 치악4(1), 금대1(1), 금대2(1) |
|
충주 |
연풍(1), 장연(2), 추점(2), 조곡(1), 매현2(2), 두정(1), 장고개(1), 만정(1), 가금(1), 중원(1) |
매현1(2), 탄용(1), |
본부 |
지사 |
2008년 설치 |
2009년 이후 설치 |
터널명(개소) |
터널명(개소) |
||
충청 |
계 |
29개터널(38개소) |
5개터널(7개소) |
천안 |
- |
- |
|
대전 |
대전(1), 구봉(1), 안영1(1), 안영2(1), 구완(1) |
- |
|
논산 |
- |
- |
|
진천 |
진천(1) |
- |
|
영동 |
황간(1), 영동(2), 영동1(2), 옥천4(1), 옥천3(1), 옥천1(2), 증약(1) |
옥천2(1), 삼양(1), |
|
무주 |
육십령(1), 오동(1), 오두재(2), 적상(2), 가옥(1), 마달(1), 집재(2), |
- |
|
당진 |
- |
운산(2) |
|
보령 |
종천(1), 비인(1), 웅천(1) |
대명(1), |
|
보은 |
문의1(2), 피반령(2), 수리티(1), 내서2(1), 내서3(1), 내서4(2) |
수한(2), |
|
호남 |
계 |
31개터널 (43개소) |
13개터널(13개소) |
전주 |
원덕(2), 호남(2) |
- |
|
광주 |
문평5(1), 노안(1) |
문평1(1), 문평2(1), 문평3(1), 문평4(1), |
|
순천 |
순천2(1), 순천1(1), 석곡(2) |
광양(1) |
|
남원 |
- |
- |
|
부안 |
- |
- |
|
함평 |
함평나비(1), 보평(2), 몽탄3(1), 몽탄2(1), 무안1(1), 함평(2), 영광2(1), 영광1(1) |
몽탄1(1), 무안4(1), 무안3(1), 무안2(1) |
|
담양 |
문수산(2), 장성1(2), 장성2(1), 장성3(1), 장성4(2), 대덕(2) |
고창(1), 송강정(1) |
|
진안 |
소양2(1), 소양1(1), 곰티(2), 부귀1(1), 부귀2(1), 상관2(1), 진안2(1), 진안3(2), 방곡(1), 장수(2) |
상관1(1), 진안1(1) |
본부 |
지사 |
2008년 설치 |
2009년 이후 설치 |
터널명(개소) |
터널명(개소) |
||
경북 |
계 |
29개터널 (49개소) |
10개터널 (15개소) |
구미 |
- |
- |
|
대구 |
- |
경주(3) |
|
고령 |
고령(1) |
합천(1), 해인사(1) |
|
군위 |
금호(1), 다부(1), 가산(1), 군위(1) |
읍내(1), 장천(1), 일직(2) |
|
영주 |
보문(2), 봉현(1), 죽령(3) |
풍산(2) |
|
상주 |
상주(2), 공검(2), 진남(3), 문경2(2), 문경새재(2), 낙동(2) |
불정(1), 문경1(1) |
|
영천 |
도평(1), 백안(2), 와촌(2), 임고1(2), 임고2(2), 임고3(2), 임고4(2), 달전(1) |
- |
|
성주 |
고령1(2), 고령3(1), 고령4(1), 성주(1), 김천1(2), 김천2(2), 김천3(2) |
고령2(2) |
|
경남 |
계 |
21개터널 (35개소) |
6개터널(11개소) |
울산 |
- |
- |
|
양산 |
- |
- |
|
창녕 |
달성2(1), 달성(1), 달성1(2) |
- |
|
창원 |
김해(1), 함안1(1), 함안2(1), 창원1(2), 창원2(1) |
- |
|
진주 |
진주(3) |
하동(1), 진교(3), 사천(1) |
|
산청 |
독산(3), 산청3(1), 산청2(2), 함양(1) |
신율(3), 산청1(1) |
|
고성 |
통영2(3), 통영1(2), 고성3(1), 고성2(1), 고성1(2), 사천3(2), 사천2(3), 사천1(1) |
통영3(2), |
[붙임 #3]
□ pH 저감시설 설치대상 터널 현황
본부 |
지사 |
터널명 |
유출수 모니터링 |
유출수 처리 |
|||||||
3월 |
4월 |
5월 |
6월 |
||||||||
일유출량 |
pH |
일유출량 |
pH |
일유출량 |
pH |
일유출량 |
pH |
||||
계 |
|
|
|
|
|
|
|
|
|
|
10개터널 (11개소) |
경기 |
시흥 |
수리(상) |
75.3 |
9.5 |
74.5 |
9.3 |
76.2 |
9.2 |
77.3 |
9.4 |
pH저감시설 설치(1개소) |
수리(하) |
53.8 |
9.6 |
52.4 |
9.6 |
56.3 |
9.7 |
55.3 |
9.7 |
|||
시흥 |
수암(상) |
36.0 |
9.0 |
35.6 |
8.9 |
37.2 |
9.0 |
38.0 |
8.3 |
pH저감시설 설치(1개소) |
|
수암(하) |
26.5 |
9.5 |
25.6 |
9.5 |
28.0 |
9.3 |
29.0 |
9.6 |
|||
강원 |
강릉 |
강릉4(상) |
606.0 |
9.9 |
339 |
9.7 |
628.0 |
9.4 |
645.0 |
9.4 |
pH저감시설 설치(1개소) |
강릉4(하) |
424.0 |
10.2 |
305 |
9.5 |
565.0 |
9.3 |
387.0 |
9.2 |
|||
충청 |
대전 |
구봉(상) |
75.0 |
9.2 |
51.0 |
9.5 |
30.0 |
9.4 |
25.0 |
8.4 |
pH저감시설 설치(1개소) |
구봉(하) |
63.0 |
9.4 |
42.0 |
9.4 |
22.0 |
9.7 |
21.0 |
8.5 |
|||
보령 |
종천(상) |
- |
- |
- |
- |
- |
- |
- |
- |
pH저감시설 설치(1개소) |
|
종천(하) |
19.0 |
9.5 |
19.1 |
9.3 |
20.5 |
9.2 |
18.4 |
9.4 |
|||
보령 |
웅천(상) |
15.6 |
10.3 |
14.6 |
10.0 |
16.7 |
9.9 |
16.2 |
10.1 |
pH저감시설 설치(1개소) |
|
웅천(하) |
17.3 |
9.5 |
16.4 |
9.5 |
17.0 |
9.6 |
15.4 |
9.2 |
|||
호남 |
담양 |
장성2(상) |
- |
- |
- |
- |
- |
- |
- |
- |
pH저감시설 설치(2개소) |
장성2(하) |
- |
- |
- |
- |
- |
- |
- |
- |
|||
담양 |
장성3(상) |
- |
- |
- |
- |
- |
- |
- |
- |
pH저감시설 설치(1개소) |
|
장성3(하) |
- |
- |
- |
- |
- |
- |
- |
- |
|||
경북 |
영천 |
임고1(상) |
0.9 |
6.8 |
0.9 |
6.4 |
1.2 |
6.6 |
5.8 |
6.5 |
설치제외 |
임고1(하) |
2.2 |
6.6 |
2.2 |
6.6 |
2.9 |
6.5 |
4.3 |
7.3 |
|||
경남 |
창원 |
김해(상) |
4.5 |
9.3 |
4.6 |
9.1 |
4.7 |
9.1 |
- |
- |
pH저감시설 설치(1개소) |
김해(하) |
16.5 |
9.1 |
14.0 |
9.0 |
15.0 |
9.0 |
- |
- |
|||
창원 |
함안1(상) |
7.0 |
8.8 |
7.5 |
8.6 |
7.3 |
8.4 |
- |
- |
설치제외 |
|
함안1(하) |
0.4 |
8.9 |
0.4 |
8.7 |
0.6 |
8.5 |
- |
- |
|||
창원 |
창원2(상) |
31.0 |
9.3 |
33.0 |
9.2 |
35.0 |
9.1 |
- |
- |
pH저감시설 설치(1개소) |
|
창원2(하) |
21.0 |
9.3 |
27.0 |
9.4 |
50.0 |
9.3 |
- |
- |
□ 일일 황산 사용량
○ 산출사례
∙ 화학식 : H2SO4 → 2H++SO4- ➟ [H+] = ½H2SO4 ∙ 터널유출수 조건 : pH = 10, 유출량 = 150(㎥/일)인 경우 - 필요 PH = PH14 - PH10 = PH4 - 중화에 필요한 [H+] = 10-4mol/ℓ - 필요 H2SO4 = ½×10-4mol/ℓ - 주입량 (순도 33%) ½×10-4mol/ℓ × 98g/mol × 100/98 = 0.015g/ℓ ∙ 일일 황산 사용량 결정 0.015g/ℓ × 150㎥/일 × 103 = 2,250g/일 2,250g/일 × |
○ 터널별 황산사용량
본부 |
지사 |
터널명 |
ℓ당 황산사용량 |
일 황산사용량 |
황산 탱크 규격 |
|||
적용 pH |
사용량 (g/ℓ) |
유출량 (㎥/일) |
사용량 |
|||||
(g/일) |
(ℓ/일) |
|||||||
경기 |
시흥 |
수리 |
10 |
0.005 |
150 |
750 |
0.408 |
200ℓ |
시흥 |
수암 |
10 |
0.005 |
70 |
350 |
0.190 |
〃 |
|
강원 |
강릉 |
강릉4 |
10 |
0.005 |
1,200 |
6,000 |
3.26 |
500ℓ |
충청 |
대전 |
구봉 |
10 |
0.005 |
80 |
400 |
0.217 |
200ℓ |
보령 |
종천 |
10 |
0.005 |
20 |
100 |
0.0543 |
〃 |
|
보령 |
웅천 |
10 |
0.005 |
40 |
200 |
0.109 |
〃 |
|
호남 |
담양 |
장성2(상) |
10 |
0.005 |
10 |
50 |
0.0272 |
〃 |
담양 |
장성2(하) |
10 |
0.005 |
16 |
80 |
0.0435 |
〃 |
|
담양 |
장성3 |
10 |
0.005 |
55 |
275 |
0.149 |
〃 |
|
경남 |
창원 |
김해 |
10 |
0.005 |
20 |
100 |
0.0543 |
〃 |
창원 |
창원2 |
10 |
0.005 |
60 |
300 |
0.163 |
〃 |
[붙임 #4]
타일세척수 처리시설 시공․운영시 유의사항
□ 처리시설 배수구 부분 처리
○ 문제점 : 배수구 막힘 현상 발생시 시설밖으로의 월류 발생
○ 배수구 부분의 부직포 설치 대신 모래를 유실시키지 않으면서, 모래의
투수계수(0.01m/sec) 정도를 가진 재료를 선택하여 모래유실 방지망 설치
*「토목공사용 부직포」설치시 막힘현상 발생하므로 사용 불가
□ 청소 종료 후 시설 내 잔류수 처리
○ 문제점 : 청소 종료 후, 시설내 장기 체류시 녹조 발생 등 수질 오염 발생
○ 청소 종료 후 일정기간 경과시, 시설 측면의 배출구를 통해 잔류수 배출
* 측면 배수구 설치시, 파이프를 연장하여 배수로까지 직접 연장 필요
□ 시설 내부 및 여과재료에 의한 수질오염 방지
○ 문제점 : 시설 내부 및 여과재료(모래, 자갈)에 의해 일반세균 증가,
총대장균균 증가 등 수질오염 우려
○ 시설 설치 후 운영 전 내부청소 철저, 여과재료(자갈, 모래) 설치 전
및 운영 시 주기적 세척 실시
□ 부대시설(수문, 시설덮개 등)의 재료 선택
○ 문제점 : 중량이 큰 재료 사용시 공사비 증대 및 유지관리시(청소 등)
불편 초래
○ 회수자재, 코팅합판 등을 활용하여 본부(지사) 여건에 맞게 설치하되,
설치비․내구성․유지관리 편의성 등을 고려 설치
* 수문 설치시 수압이 크지 않으므로 고가 기성품 사용 불필요함
□ 유․출입 연결유로 최소화 방안
○ 문제점 : 시설높이 과다로 연결유로가 길어지는 경우 공사비 증대
○ 현장 여건에 따라 시설 높이를 축소하여 연결유로를 최소화하고,
바닥면적을 증가시켜 처리용량을 유지 [붙임#1 참조]
[붙임 #5]
pH저감시설 시공․운영시 유의사항
□ 시설 및 Con'c Bed 규격(L,W,H) 결정
☞ 시설 외벽 : 탱크규격, 타일세척수 처리시설 연계설치 고려하여 결정
* 황산약품탱크 규격 : 200ℓ[지름 0.65m, 높이 : 0.94m], 500ℓ[지름 0.98m, 높이 : 1.07m]
☞ Con'c Bed : 빗물 등으로 인한 기기파손 방지 위해 배수구멍 높이 이상으로 설치
□ 화학약품(황산) 취급시 유독가스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우려
☞ pH 저감시설 설치조에 간이 환기구 설치
□ 황산 투입시 직접 접촉에 의한 시설물 부식 우려
☞ 황산이 직접 투입되는 침전조(1) 내부 에폭시 코팅 실시
□ 동절기 유출수에 의한 시설물(pH미터, 약품투입노즐 등) 동파 우려
☞ 처리시설에 대한 보온대책이 없어, 동절기 기간 시설 운영 불가
* 동절기 기간(11월 15일~익년 2월 28일) 중 pH미터 및 약품노즐이 동파
되지 않도록 시설 외부로 별도 보관 필요
□ 외부인에 의한 안전사고 및 파손 우려
☞ 시설 덮개에 시건장치 설치 및 저감시설에 경고문구 부착
□ 운영에 따른 화학약품(황산) 수급 관련
☞ 약품 보충시 안전사고에 유의 (장갑, 마스크 착용 등)
☞ 주기적인 사용량 및 잔량을 확인 후, 적정 시점에 화학약품 보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