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7-9_인간공학을 접목한 안전시설물(작업발판, 안전난간) 개선
2024.02.28 15:21
7-9 인간공학을 접목한 안전시설물 개선
건설계획처-1776
(2008. 6. 27)
Ⅰ. 검토 배경
인체치수를 고려한 안전 시설물 개선으로 인적실수를
최소화하여 건설 재해율을 감소코자 함
Ⅱ. 현 실태
1. 안전시설물(거푸집, 비계 등) 관리 소홀에 의한 안전사고
비율 증가
□ 최근 3년간 사망사고 분석결과 60%이상이 안전 시설물에서 발생
사고 위치별 사망자 현황(2005~2007, 질병사 제외)
구 분 |
연도 |
계 |
사고 위치별 |
||
안전시설물 (거푸집, 비계 파손에 의한 사고) |
토공부 (건설기계에 의한 사고) |
교량 기초 (기초철근 전도에 의한 사고) |
|||
사망자수 (%) |
2005 |
10 (100) |
6 (60) |
3 (30) |
1 (10) |
2006 |
6 (100) |
4 (66) |
1 (17) |
1 (17) |
|
2007 |
3 (100) |
3 (100) |
0 (0) |
0 (0) |
2. 각종 안전점검시 안전시설물에 대한 지적 과다
□ 작업발판 틈새 과다(기준 : 3cm이하)
□ 안전난간 설치상태 불량(기준 : 높이 90~110cm, 간격 2m이하)
Ⅲ. 인간공학을 고려한 안전시설물 개선
Ⅳ. 관련기준 검토
1. 국내․외 안전시설물 설치 기준
안전시설물 |
구분 |
국내(산안법 시행규칙) |
미국 |
작업발판 |
폭 |
40cm이상 |
46cm이상 |
틈 |
3cm 이하 |
2.5cm이하 |
|
안전난간 |
높이 |
상부난간대 90~120cm |
상부난간대 110±8cm |
2. 안전시설물 관련 인체치수 검토
□ 작업발판
작업발판 폭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어깨 너비 조사(별첨#1)
- 대 상 : 한국인(남성) 30 ~50세
- 선정 치수 : 측정 대상자의 95%를 만족시키는 값(44cm) 선정
□ 안전난간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허리높이 조사(별첨#1)
- 대 상 : 한국인(남성) 30 ~50세
- 선정 치수 : 측정 대상자의 95%를 만족시키는 값(113cm) 선정
Ⅴ. 개선 방안
Ⅵ. 적용 및 추진계획
1. 본 방침 시행 후 추가로 설치되는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
설치시 개선안 적용
2. 작업발판은 검정대상 품목이므로 표준치수별 조합에 의해
개선치수 이상 확보
예) 1열 설치시(440mm 이상) : 폭 200+240 또는 200+250
2열 설치시(900mm 이상) : 폭 300+300+300 또는 400+400+200
폭 250+250+250+250
작업발판 표준치수(mm) |
200형, 240형, 250형, 300형, 400형 |
3. 본사 점검시 설치상태 확인 및 안전관리자 의견 수렴 후
기타 안전시설물 개선(안전관리자 워크샵 : 2008. 12)
4. 향후 관련법(산안법 시행규칙) 개정시 개선의견 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