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5-7 콘크리트 빔교 다경간 연속()방안 검토

설 계 처-2329

. 검토배경

 

콘크리트 빔교 슬래브 연속()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 경제성 등의 검토를 통해 유지관리, 이용차량의 주행성을 감안한 다경간 연속()방안을 검토하고자 함.

 

 

. 콘크리트 빔교 연속()방안

 

구 분

콘크리트 타설(연속화)

콘크리트 타설+강연선 긴장(연속)

개 요

빔간의 유간을 철근 배근하여 단부 가로보와 일체로 타설하여 연결하는 방법

빔간의 유간을 철근으로 강결하여 단부 가로보와 일체로 타설하고 연속긴장재(2차강연선)로 연결하는 방법

연속부

단면도



특 징

- 연속지점부 부모멘트에 대하여 슬래브 철근이 받는 불완전 연속구조

- 한번의 긴장력 도입으로 모든 설계하중을 받게됨으로서 부분압축상태의 인장응력 발생

- 2차강연선 긴장력을 도입하여 형고를 낮추고 장경간 가능

 

- 2차 강선 긴장으로 설계하중에 대한 전단면 압축으로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 유리

적 용

교 량

PSC Beam, WPC교 등

IPC Girder, PSC E-Beam교 등

 

 

 

. 현황 및 문제점

1. 콘크리트 빔교 연속()경간 현황

 

구 분

교량명

교량형식

경간구성

연속경간

비고

호남선

별곡천교

IPC

2@30+2@30=120m

2경간

 

대전-당진

차동3

PSC

2@30+2@30=120m

 

서천-공주

보흥1

PSC

2@30+2@30=120m

 

목포광양

석정1

PSC

4@35=140m

4경간

 

수남1

PSC

4@35=140m

 

음성호법

청미천교

IPC

4@40=160m

 

동홍천~양양

군업3

IPC

4@40=160m

 

내촌4

IPC

4@35=140m

 

상남5

IPC

3@40+2@40+2@40

=280m

2, 3경간

 

범부교

IPC

3@40+2@40+2@40

=280m

 

부산~울산

단사교

PSC

4@35=140m

4경간

 

서울특별시

서울교

개량PSC

7@30+26=236m

8경간

 

 

 

2. 문제점

콘크리트 빔교의 연속()경간에 가이드 라인 부재

- 콘크리트 빔교의 슬래브 연속()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 경제성 등의 검토 없이 다양한 경간(28경간) 연속

- 단경간 연속()시 신축이음장치 개소 증가에 따른 유지관리비용 증가 및 주행성 불량

 

 

. 구조 안정성 및 공사비 분석

1. PSC Beam

 

연속화

방 안

경 간

구 성

연 속

지점부

최 대

균열폭

신축이음장치

교량받침

공사비

(천원)

신축량

(mm)

규 격

이동량

(mm)

용량

(kN)

2경간

2@30

=60m

0.213

41.0

NO.50

(모노셀)

25.9

1,350

(탄성)

106,000

4경간

4@30

=120m

0.190

66.8

NO.80

(모노셀)

47.3

1,350

(탄성)

195,000

6경간

6@30

=180m

0.197

92.5

NO.100

(모노셀)

68.7

1,350

(탄성+면진)

290,000

8경간

8@30

=240m

0.197

120.2

NO.160

(FINGER)

90.2

1,350

(면진)

465,000

10경간

10@30

=300m

0.196

141.6

N0.160

(FINGER)

111.6

1,350

(면진)

546,000

 

 

2. IPC Beam

 

연 속

방 안

경 간

구 성

연 속

지점부

최 대

균열폭

신축이음장치

교량받침

공사비

(천원)

신축량

(mm)

규 격

이동량

(mm)

용량

(kN)

2경간

2@40

=80m

0.048

50.2

NO.80

(모노셀)

33.5

1,750

(탄성)

125,000

4경간

4@40

=160m

0.021

84.4

NO.100

(모노셀)

62.0

1,750

(탄성+면진)

221,000

6경간

6@40

=240m

0.045

120.6

NO.160

(FINGER)

90.6

1,750

(탄성+면진)

416,000

8경간

8@40

=320m

0.045

149.2

NO.160

(FINGER)

119.2

1,750

(면진)

493,000

10경간

10@40

=400m

0.044

177.7

N0.200

(FINGER)

147.7

1,750

(면진)

600,000

 

 

 

3. 분석결과

o PSC, IPC Beam교의 다경간 연속()는 구조적으로 안전하나, 신축 이음장치 규격 증대 및 면진 교량받침 적용으로 공사비 증가

 

- 연속() 경간별 연속지점부 최대균열폭 현황


 

. 검토결론

콘크리트 빔교는 유지관리, 주행성, 시공성, 경제성 등을 고려 연장 180m까지 연속() 적용

일 콘크리트 타설량 검토

180m(교량연장)×12.6m(교량폭)×0.24m(두께)=545㎥ ≻ 40/h×8hr×2

(인접공구, 포장 B/P 활용)=640, O.K

 

 

연속()경간 분할방안

 

구 분

연 장

연속()경간 분할방안

비고(연속경간)

PSC Beam

180m

6@30

6경간

210m

4@30+3@30

3, 4경간

240m

4@30+4@30

4경간

360m

6@30+6@30

6경간

IPC Beam

160m

4@40

4경간

200n

2@40+3@40

2, 3경간

240m

3@40+3@40

3경간

320m

4@40+4@40

4경간

 

 

 

콘크리트 빔교의 연장 180m 초과 연속() 필요시 교량받침 및 신축이음장치의 구조검토 후 시공성, 경제성, 주행성, 유지관리 등을 고려 적용여부 판단

 

. 기대효과

공사비 절감(신축이음장치+교량받침)

(단위 : 천원)

 

구 분

당 초

개 선()

비 고

PSC Beam

(180m)

293,000

(3@30+3@30)

290,000

(6@30)

3,000

 

IPC Beam

(160m)

242,000

(2@40+2@40)

221,000

(4@40)

21,000

 

 

 

유지관리비용 절감 및 이용차량의 주행성, 시공성 향상

 

 

 

 

 

. 적용방안

20089월 설계중인 노선부터 적용

 

 

: 1. 콘크리트 빔교 다경간연속() 설계절차

2. 서울교 시공전경

 

 

 

 

 

 

 

 

 

 

 

 

 

 

 

 

 

 

 

 

 

[ 1]

  콘크리트 빔교 다경간 연속() 설계절차

 

 

 

 

 

 

 

[ 2]

서울교 시공전경

 

 

 

 

신축이음장치

시점부 가로보

시점부 탄성받침

시점부 전경

교대 격벽부

교대 격벽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15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03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566
9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3_ILM교량 받침부 Insert Plate 개선 방안 file 효선 2024.02.29 789
9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4_교량 신축이음장치 누수방지시설 적용검토 file 효선 2024.02.29 1044
9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5_표면염화물량 적용 잠정기준 file 효선 2024.02.29 996
9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6_교량구조용 압연강재(HSB) 적용 검토 file 효선 2024.02.29 1243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7_콘크리트 빔교 다경간 연속(화)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29 1253
9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8_박스형 교량 설계 적용 검토 file 효선 2024.02.29 960
9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9_강교제작 지침 및 기준 적용 검토 file 효선 2024.02.29 906
9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10_시멘트 콘크리트 배합강도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02.29 942
9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11_전단연결재(스터드) 설계 최적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29 811
9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12_고정식 교량점검시설 설치대상 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2.29 1670
9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13_다이아프램 설계최적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28 906
9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14_안정성 향상을 위한 PSCI거더교 전단철근 배근방법 개선 file 효선 2024.02.28 1703
9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15_고속도로 건설현장 철근 할증률 적용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2.28 938
9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6-1_LMC(Latex Modified Concrete) 단가 검토 file 효선 2024.02.28 928
9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6-2_길어깨포장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02.28 2355
9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6-3_노면요철포장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28 1101
9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6-4_포장형식 선정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2.28 1122
9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6-5_콘크리트포장 소음 저감방안 file 효선 2024.02.28 1052
9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6-6_콘크리트포장 줄눈재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2.28 884
9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6-7_소성변형 방지를 위한 나들목(IC) 평면접속부 포장 개선 file 효선 2024.02.28 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