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2-3_영업소 차로수 산정기준 검토
2024.03.05 17:24
2-3 영업소 차로수 산정기준 검토
설 계 처-1791
(2008. 7. 7)
Ⅰ. 검토목적
′07년末 하이패스차로 전국 영업소 개통, 전자카드 도입 등 영업소 요금징수수단의 여건변화를 반영하여 평균대기 대수, 평균 서비스시간 등 합리적인영업소 차로수 산정기준을 검토코자함
Ⅱ. 관련기준
□ 영업소 차로수 산정기준【도로설계요령,도로설계실무편람】
◦ 교통량(입차간격), 요금징수에 필요한 평균서비스시간, 서비스기준(승객이
평균적으로 기다리는 정도를 나타내는 서비스질의 척도)에 따라 결정
◦ 대기행렬이론에 근거 입차간격은 포아송분포, 서비스시간은 지수분포를 적용
구 분 |
설계시간교통량 |
평균서비스시간 |
서비스기준 |
설계기준 |
-PDDHV=AADT×D×K/PHF -공용개시 10년 교통량 |
-폐쇄식(入6초,出14초) -개방식(8초) |
1대 (부득이한 경우 3대) |
□ 영업소 차로수 홀수차로 적용【건설관리처-1136(2008.4.11)】
◦ 일률적인 짝수차로 적용을 배제하고 분석된 차로수만큼 적용
□ 차로수 배분방법【기획조01508-236,′03.12】
전체차로수 (PDDHV) |
⇨ |
중차량 차로수 (소요차로수만큼 배정) |
⇨ |
축중기 차로수 (소요차로수만큼 배정) |
⇨ |
확폭 차로수 (중차량-축중기) |
⇨ |
일반차로수 (전체-중차량) |
※ 중차량 : 보통버스+중형․대형트럭, 축중기 : 중형․대형트럭
□ 하이패스차로(ETCS)
◦ 시간당 처리대수 및 처리속도【하이패스사업처-2126(2008.6.9)】
구 분 |
시간당 처리대수(대) |
1대당 처리속도(초) |
비고 |
안전바 설치시 |
1,200 |
3초 |
|
안전바 미설치시 |
1,800 |
2초 |
|
※ 안전바는 폐쇄식 출구부에 설치(개방식 출구부 ′08.7월 운영예정)
◦ 년도별 목표이용율【하이패스사업처-418(2008.2.1)】
년 도 |
‘08 |
‘09 |
‘10 |
‘11 |
‘12 |
‘13 |
목표이용율 |
25% |
40% |
50% |
60% |
65% |
70% |
Ⅲ. 문제점
□ 평균서비스 시간
◦ 통행료 지불체계 변화에 따라 여건을 반영한 기준 검토 필요
※ 통행료 지불체계 변화과정
1969년 |
|
1994년 |
|
2007년 |
|
|
|
|
|
종이형태 통행권 (수작업처리) |
⇨ |
마그네틱 통행권 (기계화처리) |
⇨ |
전자카드 (무선통신처리) |
◦ 예매권 폐지, 전자카드 도입 등으로 설계기준과 실측치가 상이하고,
전자카드 사용비율 증가 예상, 고속도로카드 폐지예정(2010년) 등으로
서비스시간 단축이 예상
※ 지급수단별 처리시간【도로영업처】 (단위 : 초)
구 분 |
설계기준 |
조사결과 |
|||
평균 |
현 금 |
고속도로카드 |
전자카드 |
||
폐쇄식 |
14 |
12.3 |
12 |
14 |
11 |
개방식 |
8 |
8.6 |
8 |
11 |
7 |
☞ 지불체계 등 영업소 여건 변화를 고려한 설계기준 검토 필요
□ 서비스기준
◦ 영업소 라인마킹 개선(평행식→사선식)으로 차로별 균등 배분이 가능함에
따라 평균대기대수 검토 필요
◦ 현재 적용하고 있는 대기대수 1대는 지체가 없는상태(LOS"A")로서
차로수 과다산정 우려
☞ 이용고객의 만족도를 감안하여 서비스수준을 고려한 기준마련 필요
Ⅳ. 검토방향
□ 평균서비스 시간에 대한 현황조사 및 분석
□ 이용객의 서비스 만족을 고려한 평균대기대수 산정
Ⅴ. 현황조사 및 분석
□ 평균서비스 시간
◦ 관련 연구자료 및 조사결과 검토
구분 |
조 사 개 요 |
지급수단 |
서비스 시간(초) |
||
개방식 |
폐쇄식 |
||||
입구 |
출구 |
||||
1 |
◦조사대상 : 2개소 : 서울요금소, 수원요금소 ◦조사차종 : 1종 |
◦현금 |
- |
- |
평균 12.5 |
2 |
◦조사대상 : 16개소 :개방식(10개소), 폐쇄식(6개소) ◦조사차종 : 전차종 |
◦지급수단별 조사 :현금,전자카드, 고속도로카드, 예매권, 기타 |
9.0 (현금,전자카드:7.99) |
- |
13.4 (현금,전자카드:12.9) |
3 |
◦조사대상 : 2개소 : 서울요금소, 성남요금소 ◦조사차종 : 소형, 중형, 대형 |
◦지급수단 혼재 |
8.1 |
5.4 |
13.6 |
4 |
◦조사대상 : 11개소 :개방식(5개소), 폐쇄식(6개소) |
◦지급수단 혼재 |
8.9 (7.9~9.3) |
5.8 (5.1~7.3) |
13.8 (12.7~14.8) |
※ 1. 고속도로 교통지체구간 개선방안 연구 (한국도로공사 도로연구소, 1995. 12)
2. 영업소 지ㆍ정체 해소 방안 (한국도로공사 교통처, 2004. 11)
3. 고속도로 톨게이트 운영 결정모형 개발 및 최적운영방안 (신혜숙, 2005. 6)
4. 통합 TCS 자료 분석 (한국도로공사, 2008.06)
◦ 조사자료中 1,3번은 조사대상이 적어 대표값으로 사용하기에 다소 무리
◦ 따라서, 다수의 영업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와 향후 지급수단을
고려할 경우 2번자료(개방식, 폐쇄식 출구)와 4번자료(폐쇄식 입구)를
적용함이 타당
☞ 평균서비스시간은
- 개방식 및 폐쇄식 입구는 현행기준과 거의 유사하므로 당초대로 적용하고,
- 폐쇄식 출구는 전자카드 이용 확대를 고려하여 13초(당초14초)를 적용
□ 평균 대기대수 산정 (서비스 수준)
◦ 관련 연구자료 및 조사결과 검토
구분 |
조 사 개 요 |
조 사 결 과 |
|||||||||||||||||||||
1 |
◦현장조사 및 시뮬레이션 시행 |
|
|||||||||||||||||||||
2 |
◦조사대상 : 뉴욕과 뉴저지 연결 터널과 교량 ◦조사방법 : 설문조사(26개기관) |
|
|||||||||||||||||||||
3 |
◦조사대상 : 경주영업소 ◦조사방법 : 설문조사(300명) |
|
1. Level of service Analysis of Toll Plazas on Freeway Mainlines(대만 Lin. A & Su. C, 1992)
2. 톨게이트의 운영효율 극대화 방안 연구(미국 Victor GuleWicz & John Danko, 1995)
3. 톨게이트 용량, 서비스수준 평가 및 설계 교통량 산정 (1998, 박창수)
◦ 국내연구(3번)의 경우 대부분의 운전자가 평균대기 대수 2, 3대(LOS "B")
수준에서 쾌적함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 국외(대만, 미국)의 경우에도 "LOS B" 또는 “LOS C" 의 평균대기 대수는
2, 3대 수준으로 국내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됨
☞ 따라서, 평균 대기대수는
- 고속도로 이용자의 고객 만족도 등을 고려하여 “LOS B" 수준인
3.0대를 적용하고, 부득이한 경우 "LOS C" 수준인 5대를 적용
Ⅵ. 영업소 차로수 산정기준
◦ 평균 서비스시간 (단위:초)
구 분 |
당 초 |
변 경 |
비 고 |
|
개방식 |
8 |
8 |
|
|
폐쇄식 |
입구 |
6 |
6 |
|
출구 |
14 |
13 |
|
◦ 서비스기준
구 분 |
당 초 |
변 경 |
비 고 |
평균대기대수 |
1대 (부득이한 경우 3대) |
3대 (부득이한 경우 5대) |
|
※ 방침적용시 차로당 처리대수 48~62% 증가 (1차로기준)
구 분 |
개방식 |
폐쇄식 |
|
입 구 |
출 구 |
||
차로당 처리대수 |
230→340(48%) |
300→450(50%) |
130→210(62%) |
【차로수가 증가할수록 처리대수 증가폭은 작아짐】
Ⅶ. 적용방안
◦ 설계중 및 설계완료후 미발주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중인 노선 : 현장여건 고려 공사주관(시행)부서 판단후 적용
【별첨 #1】
□ 영업소 차로수 산정절차
【별첨 #2】통합 TCS 자료분석결과
□ 폐쇄식
영업소 |
교통량 |
서비스 시간 |
||
입구부 |
출구부 |
입구부 |
출구부 |
|
서울 |
709 대 |
266 대 |
5.1 초 |
13.5 초 |
동서울 |
602 대 |
243 대 |
6.0 초 |
14.8 초 |
서서울 |
678 대 |
272 대 |
5.3 초 |
13.2 초 |
군자 |
619 대 |
250 대 |
5.8 초 |
14.4 초 |
동수원 |
625 대 |
283 대 |
5.8 초 |
12.7 초 |
기흥 |
491 대 |
246 대 |
7.3 초 |
14.6 초 |
평균 |
|
|
5.8 초 |
13.8 초 |
|
|
|
|
|
□ 개방식 |
|
|
|
|
영업소 |
교통량 |
서비스 시간 |
||
입구부 |
출구부 |
입구부 |
출구부 |
|
성남 |
388 대 |
415 대 |
9.3 초 |
8.7 초 |
판교 |
400 대 |
390 대 |
9.0 초 |
9.2 초 |
청계 |
409 대 |
457 대 |
8.8 초 |
7.9 초 |
시흥 |
391 대 |
387 대 |
9.2 초 |
9.3 초 |
인천 |
413 대 |
399 대 |
8.7 초 |
9.0 초 |
평균 |
|
|
9.0 초 |
8.8 초 |
|
|
|
|
|
□ 하이패스 |
|
|
|
|
영업소 |
교통량 |
서비스 시간 |
||
입구부 |
출구부 |
입구부 |
출구부 |
|
서울 |
1224 대 |
1105 대 |
2.9 초 |
3.3 초 |
동서울 |
1211 대 |
973 대 |
3.0 초 |
3.7 초 |
서서울 |
1311 대 |
830 대 |
2.7 초 |
4.3 초 |
군자 |
1123 대 |
640 대 |
3.2 초 |
5.6 초 |
동수원 |
1097 대 |
716 대 |
3.3 초 |
5.0 초 |
성남 |
1433 대 |
1235 대 |
2.5 초 |
2.9 초 |
판교 |
1029 대 |
1047 대 |
3.5 초 |
3.4 초 |
청계 |
1569 대 |
1440 대 |
2.3 초 |
2.5 초 |
시흥 |
1319 대 |
1209 대 |
2.7 초 |
3.0 초 |
인천 |
1006 대 |
1198 대 |
3.6 초 |
3.0 초 |
평균 |
|
|
2.9 초 |
3.5 초 |
【별첨 #3】
□ 차로수(S), 서비스시간, 평균 대기대수와 처리가능대수(대/시)
서비스 시간(b) |
6초 |
8초 |
13초 |
||||||
평균대기대수(q/s) |
1.0 |
3.0 |
5.0 |
1.0 |
3.0 |
5.0 |
1.0 |
3.0 |
5.0 |
차로수(S) |
|||||||||
1 |
300 |
450 |
500 |
230 |
340 |
370 |
140 |
210 |
230 |
2 |
850 |
1,040 |
1,100 |
640 |
780 |
820 |
390 |
480 |
510 |
3 |
1,420 |
1,630 |
1,690 |
1,070 |
1,230 |
1,270 |
660 |
750 |
780 |
4 |
2,000 |
2,230 |
2,290 |
1,500 |
1,670 |
1,720 |
930 |
1,030 |
1,060 |
5 |
2,590 |
2,830 |
2,890 |
1,940 |
2,120 |
2,170 |
1,190 |
1,300 |
1,330 |
6 |
3,180 |
3,430 |
3,490 |
2,380 |
2,570 |
2,620 |
1,470 |
1,580 |
1,610 |
7 |
3,770 |
4,020 |
4,090 |
2,830 |
3,020 |
3,070 |
1,740 |
1,860 |
1,890 |
8 |
4,360 |
4,630 |
4,690 |
3,270 |
3,470 |
3,520 |
2,010 |
2,140 |
2,160 |
9 |
4,960 |
5,220 |
5,290 |
3,720 |
3,920 |
3,970 |
2,290 |
2,410 |
2,440 |
10 |
5,560 |
5,820 |
5,890 |
4,170 |
4,370 |
4,420 |
2,560 |
2,690 |
2,720 |
11 |
6,150 |
6,420 |
6,490 |
4,610 |
4,820 |
4,870 |
2,840 |
2,960 |
2,990 |
12 |
6,740 |
7,020 |
7,080 |
5,050 |
5,270 |
5,310 |
3,110 |
3,240 |
3,270 |
13 |
7,340 |
7,620 |
7,690 |
5,500 |
5,720 |
5,770 |
3,390 |
3,520 |
3,550 |
14 |
7,940 |
8,220 |
8,290 |
5,950 |
6,170 |
6,220 |
3,660 |
3,800 |
3,830 |
15 |
8,530 |
8,820 |
8,890 |
6,400 |
6,620 |
6,670 |
3,940 |
4,070 |
4,100 |
16 |
9,130 |
9,420 |
9,490 |
6,850 |
7,060 |
7,120 |
4,210 |
4,350 |
4,380 |
17 |
9,730 |
10,020 |
10,090 |
7,300 |
7,510 |
7,570 |
4,490 |
4,620 |
4,660 |
18 |
10,320 |
10,620 |
10,690 |
7,740 |
7,960 |
8,020 |
4,770 |
4,900 |
4,930 |
19 |
10,920 |
11,220 |
11,290 |
8,190 |
8,410 |
8,460 |
5,040 |
5,180 |
5,210 |
20 |
11,520 |
11,820 |
11,890 |
8,640 |
8,870 |
8,920 |
5,320 |
5,460 |
5,490 |
□ 축중기차로 설치기준
차로수 화물교통량 |
1 |
2 |
3 |
4 |
5 |
PDDHV(대/시) |
300 |
850 |
1,420 |
2,000 |
2,590 |
AADT(대/일) |
4,000 |
11,300 |
18,900 |
26,700 |
34,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