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0년_9-11_제설 취약지점 염수분사설비 설치운영방안
2024.03.06 16:01
584
9-11 제설 취약지점 염수분사설비 설치운영방안 도 로 처-3590
(2009. 8. 14)
Ⅰ 배 경
ㅇ 현재 일부 취약구간에 설치 운영중인 염수분사설비에 대한
운영효과 분석을 통하여 확대시행 여부를 검토하고
ㅇ각 기관별로 설치된 다양한 형식의 염수분사설비를 표준화
하여 효율적으로 설치ㆍ관리코자 함.
※ 그 간의 추진경위
ㅇ 1996. 8 : 적설한냉지역 융설시스템 시험설치 방침수립[설계이16210-246]
ㅇ 1999. 12 : 도로결빙방지시스템 시험설치(4개소)
- 전기전열식(둔내터널 등 2개소), 약액분사식(진부터널)
ㅇ 2004. 6 : 도로결빙방지시스템 운영효과 분석[도로도07118-30448]
- 전기전열식방식은 운영상 단점이 많아 운영 중지
(온도가열에 장시간소요, 유지관리고가, 전열선파손등)
- 약액분사방식은 결빙사고 다발지점에 대한 사고예방차원의
설치 필요
ㅇ 2004. 12 ~ : 사고예방차원의 염수분사설비 현장 설치운영
ㅇ 2008. 12 ~ : 감사지적사항[제설취약지점 염수분사장치 표준화에 관한사항]
Ⅱ 설치현황
□ 위치별 설치현황
구 분 계
자동염수
분사방식
원격조정 염수분사방식
일반구간 하이패스
설치개소 79 11 40 28
설치연장(km) 38.1 6.5 23.6 8.0
중분대 39 - 11 28
갓 길 35 7 28 -
노 면 5 4 1 -
설치
구간
별
본 선 37 2 24 11
교 량 3 1 2 -
터널입출구 17 8 9 -
나들목 22 - 5 17
585
□ 형식별 구분
구 분
자동 염수분사방식
<노면자동감지>
원격조정 염수분사방식
<CCTV, 노선순찰등 인력확인>
일반구간 하이패스
개
요
도
분 사
방 식
센서에 의한 자동염수분사 유․무선 등을 이용 원격조정
영업소 사무실내 스위치
조작으로 염수분사
구 성
- 노면감지센서
- 염수탱크, 펌프, 분사노즐
- 염수탱크, 펌프, 분사노즐
- 유․무선 통신시설
염수탱크, 펌프, 분사노즐
□ 형태별 특징
- 자동염수분사방식 : 경부선 408km 달래내 고개등 11개소
개 요
설비의
구성
설치내용 장․단점
노면기상 자동감지 후
염수자동분사
기후측정장치
결빙감지기
노면감지기
염수탱크
모터펌프
노 즐
- 6,486m(2차로)
개소당 590m
(8.4m/노즐간격)
- 공사비(2차로)
176만원/m
- 장점
◦ 전자동방식으로
사용편리
◦ 신속대처 가능
- 단점
◦ 설치비 고가
◦ 고장시 수리 어려움
(외산장비로 수리기간 과다)
- 원격조정 염수분사방식
586
구 분 A-Type B-Type C-Type D-Type
개 요
◦ 고압펌프 이용 분사
◦ 유선, 무선통신방식
◦ 저압펌프로 노면경사
이용
◦ 무선통신방식(휴대폰)
◦ 펌프 및 노즐 1set으로
구성
◦ 유선, 무선통신방식
◦ 각 노즐에 압력밸브
설치
◦ 무선통신방식(휴대폰)
대관령4터널등 3개소 석수나들목등 15개소 영동터널등 13개소 조남 분기점등 9개소
사진
A
B
C
D
설비의
구성
염수탱크(8,000ℓ)
초고압 피스톤
펌프(8HP)
염수탱크(8,000ℓ)
모터펌프(6HP)
염수탱크(6,000ℓ)
모터펌프(1HP)
※모터 및 노즐 1SET
염수탱크(10,000ℓ)
모터펌프(11HP)
설치
연장
940m(20m) 670m(23m) 470m(77m) 550m(34m)
장점
◦ 고압펌프 이용 동시 살포
◦ 설치비 저렴
◦ 설비 단순
◦ 저압방식으로 종단 및
횡단경사가 심한 곳에
적합
◦ 각 밸브에서 동일압력
으로 순차적으로 분사
가능
◦ 시점부터 순차적 분사
가능
◦ 동일한 압력으로 분사
가능
단점
◦ 구내통신방식으로
통신선 인입 필요
◦ 저압방식으로 전체살
포에 장시간소요
◦ 각 개소당 노즐 및 펌
프 설치로 시설 복잡
◦ 설치비 고가
◦ 각 노즐에 압력밸브 설치로
설비 복잡
◦ 설치비 고가
공사비
(2차로)
3.6만원/m 5.2만원/m 7.3만원/m 11만원/m
587
Ⅲ 효과분석
□ 초기대응 능력 측면
ㅇ 산악구간(터널,교량 입출구부) 및 하천 인접구간등 기온변화가 크
고
습도가 높은 노면결빙 취약지점의 초기대응 효과 우수
ㅇ 어는비, 서리, 안개등에 의한 기습 노면결빙 예상시 신속한 대응가능
ㅇ 분기점, 나들목, 지사간 경계구간(사각지대) 초기대응 효과 우수
ㅇ 지정체로 인한 제설작업차량 현장접근 곤란시 효과적 대응
ㅇ 적기 제설작업 시행으로 사고예방효과 큼
- 원격조정 자동염수분사설비 설치 전․후의 교통사고는 설치 전 7건,
설치 후 3건 발생으로 57%의 사고감소 효과를 나타냄
(검토대상 : 2년 이상 가동한 28개소)
- 경부선 달래내고개의 완전자동염수분사설비 설치구간은 설치 후
3년간 사고 발생 없음.
※ 해외 적용사례 및 효과 (교량 및 터널입출구부)
적용 사례 설치 효과
미국 미시시피
교량
- 설치 후 교통사고 70% 감소
* 미시시피 교통국. 1999. Annual operation report
캐나다 온타리오
교량
- 설치 전 교통사고 : 14건(동계기간 연평균)
- 설치 후 교통사고 : 0건
* Boschung Corp. 2000. Boschung annual report
독일 연방 교통국
- 설치 후 교통사고 57.9% 감소
- 제설 및 자동차 연료 사용량 감소
* 독일연방교통국. 1993.
캐나다 ICBC
- 설치 후 교통사고 57.9% 감소
* 캐나다 겨울철 도로연구 보고서
588
□ 운영 및 유지관리 측면
ㅇ 운영관리
- 24시간 현장관리체계(지사상황실, 터널관리동, 순찰반 등) 유지로
필요시 원격조정을 통한 작동으로 효과적임
ㅇ 유지관리
- 노즐막힘 방지를 위해 주기적인 살포 및 청소 필요
- 설해 대책기간 종료 후 염수탱크, 배관, 노즐등의 염수제거
- 자동염수분사방식은 외산장비로 보수애로
⇒ 부품구입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국산설비 필요
□ 시설설치 등 현장 적용성
ㅇ 각 기관별 다양한 형식의 염수분사설비가 설치되어 있음.
⇒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원격조정 염수분사설비에 대한 표준화
된 기준 정립이 필요 (염수탱크용량, 노즐간격, 분사방식 등)
□ 고객 민원 측면
ㅇ 최초 염수분사 시 고객민원 일부 발생
- 갑작스런 염수분사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 및 주행차량에 염수가
묻어 이에 대한 민원 발생우려
⇒ 염수분사설비 전방에 안내표지 설치 필요
※ 종합의견
ㅇ 기후적특성에 따른 기습강설, 어는비, 산악 및 하천지역의
노면결빙 우려지역에 신속대응효과가 있음
ㅇ 지,정체구간 및 연결로구간의 초기대응 효과가 우수하여
제설취약구간에 연차적으로 확대적용
ㅇ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원격조정 염수분사설비 표준화 필요함
589
Ⅳ 설치 및 운영기준
□ 설치지역 : 터널 입․출구부, 교량구간, 응달부, 사고다발지역, 연결로
(IC, JCT, 휴게소) 및 지사간 경계구간등 제설취약지점
□ 분사방법
구 분 갓길 분사형 중분대 분사형
개념도
염수탱크 분사각 : 상향 2˚ 이내
40㎝이내
제어
함 펌프
15㎝ ←2% 60㎝
염수탱크
제어
함 펌프
←2% 자연유하
중분대분사형
장 점
- 염수분사설비 유지관리 편리
- 분사소요시간 짧음
- 횡단구배 이용한 자연유하로
저압펌프 사용가능
- 민원발생 최소화
단 점
- 갓길분사로 인한 고압펌프 필요
- 고압분사로 인한 민원발생 우려
- 자연유하 방식으로 염수분사시간
다소 소요
- 본선횡단으로 배관설비 다소불리
기 준
- 본선구간
․ 편도 2차로 이하 : 갓길 분사형
․ 편도 3차로 이상시 : 갓길 분사형 (차로폭을 고려하여 중분대 병행설치)
※ 단: 종․횡단구배를 고려하여 노면경사가 높은곳에 분사되도록 위치변경
- 연결로구간
․ 편도1차로 : 종․횡단경사 높은 구간에서 자연유하식 사용
․ 편도2차로이상 : 본선구간 준용
- Hi-pass차로구간 : 도로처-4183호(2008.11.10)에 의거 조치
작동
방법
- 유ㆍ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조정 분사방식
갓길분사형
590
□ 염수살포 및 저장기준
ㅇ 살포능력
- 작동 후 10분이내 강설량에 따라 40 ~ 100ml/㎡ 살포
ㅇ 염수저장탱크 용량
구 분
염수살포장치 연장
500m이하 500m~1,000m 1,000m이상
용 량 5,000ℓ이하 10,000ℓ이하 15,000ℓ이하
※ 연장 500m 1회 분사량 200~300ℓ , 10회 이상 사용량기준
영업소구간은 : 도로처-4183호(2008.11.10)에 의거 조치
ㅇ 폄프형식 : 중앙집중식 펌프
- 고압식 : 노즐분사가 10m이상 되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방식
(펌프1개소의 압력으로 500m이내 배관된 노즐에서 10m이상 분사가능한
능력보유 필요, 2차로기준)
- 저압식 : 갓길 또는 중분대사용
(종,횡단경사가 높은 구간으로 자연유하가 가능한곳)
□ 노즐기준
ㅇ 간 격 : 40±15m (종단경사 고려 간격조정)
※ 현재 설치된 염수분사설비 노즐설치 평균간격 40m에 현장여건 (종․횡단경사 등)
고려 최대15m 가감하여 적용가능
ㅇ 분사각 : 상향 2˚이하 (횡단경사 고려 각도조정)
※ 노즐높이 15㎝에서 분사시 최고높이 40㎝이하 (표준차량 바퀴높이 60㎝)
□ 기 타
ㅇ 동계기간 염수분사설비 사용 후 염수탱크, 배관, 노즐부 염수제거
및 분기1회 작동상태 확인등 유지관리 실시
ㅇ 갑작스런 염수분사로 인한 운전자들의 혼란 및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내표지판 설치(전방 200m)
염전수방분 사구간 200m
850
1,600
(규격 1,600㎜×850㎜, 녹색바탕, 흰색글씨)
염수분사구간
전방 200m
2,000
1,000
591
Ⅴ 장ㆍ단기 설치계획
□ 장․단기 염수분사설비 설치계획
구 분 계 2009년 2010년 2011년
설치개소 19 3(A급) 6(B급) 10(B급)
연 장(m) 33,600 12,600 11,000 10,000
소요예산(억) 24 9 8 7
* 1) 강설일수, 교통량, 최근5년 동계기간 사고건수 등을 기준으로 A~C등급 분류
2) 취약구간 염수분사설비 설치여부 평가현황 : 붙임 1
ㅇ 등급평가에 따른 조치계획
구 분
평가결과
조치계획
비 고
전 체 (등급평가점수)
제외대상
(기설치, 확장 등)
조치
대상
현장
요청
계 81 27 54 19
A급 7 2 5 3 2009년 A : 9점 이상
B급 40 10 30 16 2010년 B : 6~8점
C급 34 15 19 0 2011년 C : 5점 이하
* 평가 기준
가중치
구 분 4점 3점 2점 1점
강 설 량
(연평균) 20일 이상 15~19일 10~14일 9일 이하
교통사고
(5개년평균) 10건 이상 5~9건 3~4건 2건 이하
교 통 량
(AADT) 10만대 이상 5~9만대 2~5만대 2만대 이하
592
Ⅴ 결 론
□ 기설치 운영중인 염수분사설비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향후 설치형식은 특별한구간 이외는 설치비 및 유지관리비가
저렴한 원격조정염수분사방식을 적용하는것을 원칙으로 하고,
세부형식은 현지 도로폭원, 기하구조등 현지상황를 고려 선정
토록 함.
□ 염수분사설비는 본 설치 및 운영기준에 의거 장,단기계획에
따라 년차별 확대설치
□ 강설일수, 사고건수, 교통량 등 지속적분석을 통해 염수분사설비
필요지점 추가 재검토 (신설노선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