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0년_6-8_콘크리트포장과 아스콘포장 접속시 콘크리트포장의 린콘크리트 유용
2024.03.06 17:18
393
6-8 콘크리트포장과 아스콘포장 접속시 콘크리트포장의 린콘크리트 유용 건설관리처-3979
(2009. 8. 26)
Ⅰ 목 적
확장공사 구간의 기존 콘크리트 포장에 아스콘 포장 접속시 콘크리트 포장 하부의 린콘크리트를 유용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 향상으로 효율적인 공사추진을 도모코자 함
Ⅱ 설계 현황 및 문제점
□ 설 계 현 황
○ 콘크리트 포장의 린콘크리트를 제거하고 보조기층 및 아스콘 기층으로 대체 시공
☞ 설 계 현 황
노 선 구 간 사 업 기 간 연 장(km) 설 계 년 도
계 53.9
영동선 신갈~호법 2006~2012 33.6 2005
서해안선
일직~안산 - 10.0 2007~2009(설계중)
서평택~평택 - 10.3 2007~2010(설계중)
○ 콘크리트 포장에 아스콘 포장으로 접속시 가열아스팔트 안정처
리 기층으로만 설계 실시
☞ 확장 접속부 처리 현황도
0.5m
기존포장 확장포장
(콘크리트) (아스콘)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394
□ 문 제 점
○ 린콘크리트 제거시 시공장비(컷터기, 브레커, 백호등)에 의하여 기존 콘크리트 포장 파손 및 다짐 취약 구간 발생
○ 포장 강성차이로 인하여 단차 발생 및 노면수 침투로 포장 하부의 취약구간 발생으로 파손 우려
○ 린콘크리트를 제거함에 따라 시공성 저하 및 단차구간 장기화로 교통사고 발생 우려
Ⅲ 검 토 사 항
□ 포장구조 검토
○ 린콘크리트 유용시 포장구조 검토 결과 포장두께지수(SN) 만족
☞ 아스콘 포장 단면 설계
SN = a1D1 + a2D2 + a3D3
a1, a2, a3 : 표층, 기층, 보조기층의 상대강도계수
D1, D2, D3 : 표층, 기층, 보조기층의 포장 두께
395
☞ SN치 비교표
구 간
설계 SN치 린콘콘리트
유 용
SN치
만족
층별 여부 SN 원설계
교통량
재분석
마성~용인
4.42 4.45 4.980
OK
6.07 6.11 6.645
용인~양지
4.30 4.36 4.980
“
6.07 6.15 6.645
양지~덕평
4.21 4.13 4.980
“
5.79 5.72 6.645
덕평~호법
4.21 4.20 4.980
“
5.78 5.80 6.645
※ 린콘크리트 상대강도계수 : 0.08 적용(도로설계요령, 일축압축강도 50kgf/㎠ 이상)
□ 린콘크리트 일축압축 강도 조사
○ 신갈~호법(1994, 12 준공) 현장조사 결과 설계기준강도 이상이며
포장상태도 양호
☞ 현장조사 결과
시 료
번 호
일축압축
강 도
1 196
2 161
3 164
4 156
5 143
평균 164
396
Ⅳ 검 토 결 과
○ 콘크리트 포장 접속시 아스콘 포장에 린콘크리트 포장을 유용하여 단면 설계 및 시공
당 초 변 경
0.5m
기존포장 확장포장
(콘 크 리 트 ) (아 스 콘 )
동 상 방 지 층 보 조 기 층
0.5 m
기 존 포 장 확 장 포 장
( 콘 크 리 트 ) ( 아 스 콘 )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 린콘크리트 일축압축강도(50kgf/㎠ 이상) 및 포장 열화, 균열상태 확인후 적용
Ⅴ 기 대 효 과
○ 포장단차 발생 최소화 및 노면수 침투 방지로 포장 내구성 증대
○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으로 효율적인 공사추진
※ 신갈~호법(16.1km) 적용시 효과
- 경제적 효과 : 공사비 절감 140백만원,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액 6백만원
- 공 기 단 축 : 연장 500m 기준 4일 단축(12일→8일)
○ 아스콘 생산 절감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축소로 녹색성장에 기여
Ⅵ 적 용 방 안
○ 공사중 노선 :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설계변경
○ 설 계 노 선 : 설계시 방침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