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0년_5-6_교량 교명판 및 설명판 설치기준 개선
2024.03.07 16:07
256
5-6 교량 교명판 및 설명판 설치기준 개선 설 계 처-4578
(2009. 9. 4)
Ⅰ 검토 목적
공사 준공 후 교량 유지관리 효율성을 고려한 교명판과 설명
판 설치방안 마련
Ⅱ 관련 기준
□ 표 준 도
구 분 개 요 도 비 고
교 명 판 0.1125m2
설 명 판 0.1500m2
□ 도로설계요령 (교량편)
6.10.2 치수 및 기재사항
6.10.3 설치위치
(1) 교명판
(가) 본선교인 경우
상하행선 각각에 대해 진행방향 앞 우측에 설치한다.
(2) 설명판
교명판의 아래에 설치한다.
257
Ⅲ 현 실태 및 문제점 분석
□ 노선별 설계반영 현황 (최근 3년간 발주노선)
노선 구분 설계반영 현황 비 고
성산~담양
(‘07준공)
소교량 ․교명판, 설명판 각각 1~2EA 100m 이하
중장대교량 ․교명판, 설명판 각각 1~2EA
지중라멘교 ․교명판, 설명판 미반영
동해~삼척
(‘08준공)
소교량 ․교명판, 설명판 각각 2EA
중장대교량 ․교명판, 설명판 각각 2EA
지중라멘교 ․교명판, 설명판 각각 2EA
충주~제천
(‘09준공)
소교량 ․교명판, 설명판 각각 2EA
중장대교량 ․교명판, 설명판 각각 2EA
지중라멘교 ․교명판, 설명판 각각 2EA
울산~포항
(‘09준공)
소교량 ․교명판, 설명판 각각 1EA
중장대교 ․교명판, 설명판 각각 2EA
지중라멘교 ․교명판, 설명판 각각 1EA
□ 문제점 분석
◦ 교명판과 설명판 수량에 대하여 노선별, 공구별, 교량 종류별로 상이하게 적용
◦ 교량 개소당 교명판과 설명판을 각각 1EA씩 반영한 경우는 교량명 확인을 위하여 방향간 이동 필요
◦ 교명판과 설명판을 동일 장소에 설치하지 않은 곳은 설명판에도 교량명 기입을 요구
◦ 지중라멘교는 암거와 같이 노면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유지관리 점검자가 노면에서 교량정보 확인이 곤란
258
Ⅳ 교명판 및 설명판 설치개선
□ 일반교량 (장대교, 중소교, 고가교, 일방향교량 등)
◦ 교명판과 설명판 일체화 ⇒ “교명판”으로 명칭 통일
구 분 개 선 방 안 비 고
교명판 0.2375m2
설치위치 진행방향에 대해 앞 우측에 설치 (교량방호벽)
방향별
1EA
재 질 도난예방을 위하여 석재(오석) 적용 설계처-3918
(‘09.7.24)
□ 지중라멘교
◦ 지중라멘교 지점 갓길에 위치표지판을 설치하여 노면에서 유지
관리 점검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조치
⇒ 통로암거 표지판 설치기준 준용 (구조물처-860, ‘07.4.16)
구 분 문 안 규격(㎜) 비 고
지중라멘교
위치표지판
□ □ □ 교
지중라멘교 / ○○㎞ / L=○○m
400×200
259
◦ 내부 벽체에 개선 교명판 2EA 설치
구 분 개요도 비 고
지중라멘교
교명판
종점
⇩
↙
설치
위치
지중라멘교
시점
⇧
설치
위치
↗
종점측 벽체
하부도로 노면
0.5m
1.5m
교 명 판
설치위치
․하부도로 진행방향 앞 우측벽면 끝단에 설치
․끝단에서의 거리는 0.5m를 표준으로 하되,
교명판이 벽체 문양과 겹치지 않도록 조정
Ⅴ 검토 결론
◦ 일반교량 (장대교, 중소교, 고가교, 일방향교량 등)
- 교명판과 설명판 일체화 ⇒ “교명판”으로 명칭 통일
- 방향별 각각 1EA 설치 (설치위치 : 진행방향 앞 우측)
◦ 지중라멘교
- 지중라멘교 위치표지판 반영
- 내부 벽체에 개선 교명판 2EA 설치
Ⅵ 적용 방안
◦ 설계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중인 노선 : 공사시행부서에서 판단하여 적용
※ 붙임 : 변경 표준도 1부.
당 초
변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