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0년_2-1_터널구간 교통용량 확보방안 검토
2024.03.14 10:54
75
2-1 터널구간 교통용량 확보방안 검토 설 계 처-3990
(2009. 7. 29)
Ⅰ 검토목적
◦ 노선계획시 지형여건 등의 사유로 산악지 구간의 터널 계획 불가피
※ 최근 3개년(2006~2008년) 터널 설계현황 (단위:%)
구 분 | 평균 | 담양-성산 | 울산-포항 | 충주-제천 | 춘천-양양 | 동해-삼척 |
터널비율* | 38.3 | 13.2 | 40.0 | 47.8 | 60.8 | 29.7 |
* 터널비율 = 터널길이/노선길이
◦ 터널구간은 기하구조 및 심리적 요인 등으로 주행속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
◦ 속도저하의 원인분석을 통하여 터널구간 교통용량 확보를 위한 분석절차 및 설계기준 등 최적의 설계방안을 검토코자함
Ⅱ 관련기준
□ 대부분의 나라에서 미국의 HCM을 근간으로 자기 나라의 특성을 반영한 용량 및 보정계수 값들을 수정하여 사용
◦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 도로용량편람을 근간으로, 국내 특성을 반영한 용량 및 보정계수 값을 수정하여 사용
□ 국내․외 모든 나라에서 터널구간에 대한 별도 기준 없음
※ 국내외 교통용량 분석기준 【대한교통학회지】
구 분 |
우리나라 [도로용량편람] |
미 국 [HCM] |
일 본 [도로의 교통용량] |
분석대상 |
3개구간 ◦기본구간 ◦엇갈림구간 ◦연결로접속부 ※터널구간 규정없음 |
3개구간 ◦Basic Segment ◦Weave Segment ◦On/Off Ramp ※터널구간 규정없음 |
3개구간 ◦단로부 ◦엇갈림부 ◦램프부 ※터널구간 규정없음 |
이상조건 | 설계속도 100㎞/h 이상 | 설계속도 97㎞/h 이상 | - |
교통용량 (pcphpl*) |
2,200 | 2,200 | 2,200 |
* pcphpl : 최대 1시간 환산교통량 (Passenger car per hour per lane)
☞ 터널구간에 대한 분석절차 및 기준 마련 필요
76
Ⅲ 현황 및 문제점
1. 터널구간에서 주행속도가 감소되고 용량저하 발생
◦ 2008년도 지․정체 발생 17개구간중 터널구간 6개소 포함(35%)
◦ 터널의 존재로 인한 속도감소 정도는 단순한 오르막구배 구간보다 더 큰 것으로 분석 【고속도로 지정체구간 개선방안 연구, 도로연구소】
※ 터널유무에 따른 영향 정도
구 분 |
종단 경사 |
오르막구간 길이 |
입구부 선 형 |
길어깨폭 |
속도차 (터널입구부-오르막시점부) |
영동터널(터널 有) | 3% | 1,400m | 직선 | 3.4m |
15.4㎞/h |
중부선(터널 無) | 3% | 1,400m | 직선 | 2.7m |
8.7㎞/h |
☞ 터널구간은 고속도로 기본구간中교통용량 취약구간으로 별도의 용량분석 필요
2. 터널구간에 대한 별도의 교통 분석기준 없음
◦ 교통분석 기준 및 절차가 없어 대부분 터널구간 용량분석 미실시
◦ 미국 등 국외기준도 없는 실정
☞ 터널구간 교통분석 절차 및 기준 마련 필요
3. 터널구간 사고발생 다소 높음
◦ 직선구간의 경우 ㎞당 사고발생율이 가장 적음
◦ 곡선구간
- 곡선반경이 작은(500m미만) 경우 사고발생율이 높음 (직선구간의 약 3.5배)
※ 최근 5년간(2003~2007년) 교통량별 사고발생 현황 (단위:개소)
구 분 계 1만대이하 1~3만대 3~5만대 5~10만 10만이상
계 140 6 68 33 19 14
직선구간
개소 111 4 54 27 15 11
개소/㎞ 0.34 0.01 0.17 0.08 0.05 0.03
R〈
500m
개소 8 1 5 2 0 0
개소/㎞ 1.18 0.15 0.74 0.29 0.00 0.00
R ≥
500m
개소 21 1 9 4 4 3
개소/㎞ 0.95 0.05 0.41 0.18 0.18 0.14
77
Ⅳ 자료조사 및 설계자문 결과
1. 연구자료 분석
□ 주요영향인자【터널부 교통류 특성 및 용량산정에 관한 연구 외 7편】
□ 대부분 연구자료들의 조사대상 자료가 적어 검증없이 적용은 곤란하나, 연구자료에 언급된 영향인자의 영향여부에 대한 자료조사 및 분석은 필요
☞ 터널별 주행속도 등 정량적 조사 및 운전자의 정성적인 요인을 고려 설문조사 병행 시행 필요
2. 설문조사
가. 조사개요
구 분 1차 2차 3차
조사일시 2009. 4. 14(화) 2009. 4. 17(금) 2009. 4. 14~4.17
조사장소 충주S/A(상,하) 용인S/A(상,하),만남의 광장 설계사
조사대상 일반이용객 실시설계 참여자
회수/조사 300/350부 375/400부
나. 조사결과
□ 많은 운전자가 터널진입전 감속을 하는 것으로 조사
※ 직업별 감속여부
구 분 | 관리․사무직 | 자영․서비스업 | 운수업 | 전문가 |
감속여부 |
70.4% (69/98) |
62.8% (83/132) |
47.3% (26/55) |
45.3% (170/375) |
☞ 터널 조사자료와 동일하게 터널진입전에 감속을 하며, 중요도- 만족도 조사결과, 터널내 길어깨폭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78
3. 현장조사
가. 조사개요
구 분 1차 2차 3차
조사일시 2009. 2.5(목) 2009. 3. 26(목) 2009. 6.30(화)
대상터널 51개 9개 34개
조사자료 년 1일 년 1일 계절별 1일
조사지점 터널전방, 터널입구직전 입구직전, 출구직후 터널전방, 입구직전, 출구직후
조사내용
◦터널연장, 종단경사 등 터널 전후 기하구조 조건
◦15분 단위의 차로별 24시간교통량 및 주행속도 (VDS 활용)
나. 조사결과
□ VDS자료가 확보된 34개터널中
21개소(61.7%)에서 주행속도가
감소
- 최소 0㎞/h ~ 최대16㎞/h 감소
터널전방 터널직전
118
속도
(㎞/h)
평균 5㎞/h(4.2%) 감소
113
☞ 터널구간 주행속도 및 용량 감소는 기하구조 등의 여러 영향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수치해석 등 시행 필요
4. 수치해석
가. 해석절차
터널별 교통조사
-주행속도
-교통량(15분단위)
․주간시간(7~19시)
변수 정의
-설명변수
:터널기하구조
-종속변수:속도차
설명변수 선정
-터널연장, 종단경사,
곡선반경, 길어깨폭,
조도 등 7개변수
설명변수별 군집분류
-기하구조 특성별
군집화
(grouping)
군집별 회귀분석
-기하구조 분류
군집별(group)
회귀분석
변수적합도판정
-R2값 : 0.6이상
-T검정:절대치2유사
-F검정:0.05이하
주요영향인자설정
-선정된 인자별
출연빈도 고려
주요 인자 축출
다중회귀분석
-선정된 인자의
상관관계 규명
등 다중회귀 분석
79
나. 수치해석 결과
다중회귀분석 결과 R2값이 0.98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
【교통량차(터널전방, 출구직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모형식】
19.69 -0.007TC(곡선반경) -0.0019TL(터널길이) +12.547BB(터널전 길어깨폭원)
-0.2163BI(터널내 길어깨폭원) -8.7749SI(터널내 종단경사)
-6.4195SB(터널전 종단경사) -6.0307ES(터널보임여부) -0.0004CL(오르막구간길이)
Ⅴ 설계자문
1. 자문개요
□ 일 시 : 2009. 6. 16. ~ 6. 27.
□ 위 원 : 한국도로교통협회 유경수 기술이사 등 7명
2. 주요 내용 및 조치내용
□ 회귀모형식 정밀도 및 신뢰도 향상 필요
◦ 터널의 종방향 거리별로 속도변화 Profile을 작성 특성분석을 통하여 정확한 모형식 생성 및 통계모형 특성상 에러범위가 존재하므로 추가 검토 필요
☞ 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의 OASIS 자료를 활용하여 모형식에
대한 추가 분석 및 도로교통연구원 추가 검토 시행
□ 우측길어깨와 동일하게 좌측 길어깨폭도 확폭
◦ 길어깨가 넓은 주행차로보다 추월차로로 주행시 심리적 암박감이 크고, 도로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좌측길어깨도 확폭
□ 터널길이에 무관하게 2차로터널 우측길어깨폭 확폭
◦ 터널연장과 무관하게 모든 편도2차로 터널 또는 장대터널에서 비상차량 통행 및 비상주차 기능 확보(2.7m이상)를 위해 확폭
□ 터널진입전 선형조정을 통한 블랙홀 현상 예방 필요
◦ 블랙홀현상이 발생되는 터널진입직전 및 진입후 심리적 압박감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클로소이드 및 직선→곡선 선형은 가급적 억제
80
3. 검토방향
□ 연구자료 분석,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 설계자문결과를 반영,
터널구간 교통용량 분석절차 마련
터널내 길어깨 폭원 확폭 검토
터널 선형설계시 유의사항 검토를 추진코자함
Ⅵ 터널구간 교통용량확보 방안
1. 터널구간 교통용량 분석절차 마련
가. 분석절차
※ 서비스교통량 : 해당 서비스수준이 유지될 수 있는 수준에서 해당 도로를 통과할 수
있는 첨두 시간 환산교통량
※ 수요교통량 : 목표 연도에 해당 도로를 통과하리라 예상되는 첨두 설계시간 교통량
81
나. 회귀분석 모형식
교통량차 = 19.69 - 0.007TC - 0.0019TL + 12.547BB - 0.2163BI - 8.7749SI
- 6.4195SB - 6.0307ES - 0.0004CL
◦ TC : 터널 곡선반경(m) ◦ TL : 터널길이(m)
◦ CL : 터널전 오르막구간 길이(m) ◦ SB : 터널전 종단경사(%)
◦ BB : 터널전 길어깨폭원(m) ◦ BI : 터널내 길어깨폭원(m)
◦ SI : 터널내 종단경사(%) ◦ ES : 출구보임여부(보임-0,안보임-1)
2. 터널구간 선형설계 방안
가. 짧은 터널구간 길어깨 확폭
□ 설계기준
◦ 터널갱문 접속방안 검토(설계처1112호, 2008. 4.22)
- 터널 입구부 도로폭원 축소에 따른 터널 갱문 충돌사고 예방 및 미관을 고려한 터널갱문 접속방안 수립
․터널갱문 확폭 : 1/30비율, 20m구간(공사비 2.4억 증액)
□ 현황 및 문제점
◦ 터널 본선 및 토공부 횡단폭원 차이 발생
- 2차로터널 우측길어깨 2.5m(순폭2.3m), 좌측길어깨 1.0m(순폭0.8m) 적용中
(3차로 이상 터널 : 좌․우측 길어깨 모두 1.0m 적용)
82
◦ 터널연장이 짧은 경우(L=300m미만) 길어깨폭 변화가 잦아 주행차량 혼선 우려
토공구간 확폭구간 터널구간 접속구간 토공구간
3m 2.5m 3m
20m 15m
- L=300m(V=100㎞/h)인 터널의 경우 주행시간(11초)에 비해 폭원변
화 잦음
- 2차로인 경우 횡단폭원 협소로 운전자의 심리적 압박감 가중
․설문조사 결과, 터널진입전에 운전자의 56.5% 주행속도 감속
□ 개선방안
연장이 짧은 터널(2차로) 좌․우측 길어깨폭 확폭(1.0→1.5m, 2.5→3.0m)
◦ 대상터널은 300m 이하 길이의 터널에 적용
◦ 길어깨 확폭시 공사비 증가는 미미
구 분
1안
(좌, 우측 길어깨 0.7m총 1.4m확폭)
2안
(우측 길어깨 0.7m 확폭)
개요도
길어깨폭
(순폭)
좌측:1.5m(1.5m), 우측:3.0m(3.0m) 좌측:1.0m(0.8m), 우측:3.0m(3.0m)공사비증액 80만원/m(5.7%) 55만원/m(3.9%)
- 300m 확폭시 개소당 2.4억원(일방향) 증가
※ 갱문 확폭에 의한 증액공사비(일방향 개소당 2.4억원)와 동일
83
◦ 죄측길어깨도 단변변황에 따른 심리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터널갱문 확폭시 시공성을 고려하여 토공부와 동일하게 확폭
◦ 3차로 이상의 터널의 경우
- 횡단폭원이 넓어 심리적 암박감이 적고,
- 다차로구간으로 긴급상황시 주행차로와 비상차로 확보가 가능하며,
- 확폭시 공사비 증가가 과다(15.8~17.1%)하므로 현 규정과 동일한 폭원을 적용함이 바람직
나. 평면선형 - 직선 또는 큰 평면곡선반경 설치
□ 곡선반경이 큰 경우 사고발생율이 작음 : R=1.800m이상시 거의 없음
※ 곡선반경별 터널 사고발생 현황【2000~2007년, 교통처】
구 분 | R〈1,000m | 1,000m≤R〈1,800m | R≥1,800m |
12개지점 | 4개지점 (34%) | 7개지점 (58%) | 1개지점 (8%) |
☞ 터널구간 평면선형은 가급적 직선 또는 1,800m이상으로 설계
◦ 부득이한 경우 터널 전후 지형여건, 지장물 등을 고려 가급적 큰 곡선반경 적용
◦ 블랙홀현상이 발생되는 터널진입직전 및 진입후 심리적 압박감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가급적 완화곡선 및 직선→곡선 선형은 사용 자재
Ⅶ 검토결론
□ 주행속도 저하 등 교통용량측면에서 취약구간인 고속도로 본선 터널구간 교통용량 확보를 위해,
◦ 최적노선 선정전에 최적노선대의 터널구간 교통분석을 통하여 종단경사 등 설계요소를 고려하여 교통용량 확보여부를 검토토록 하고,
84
◦ 터널구간 선형 설계시에는
- 평면선형은 가급적 직선 또는 큰 곡선반경(R=1,800m 이상)을사용하고,
- 터널길이가 300m 이하인 짧은 터널의 좌․우측 길어깨폭원은 양측으로 0.7m씩 확폭하여 토공부와 동일(3.0m, 1.5m)하게 적용
□ 협조사항 (도로교통연구원)
◦ 터널전방, 터널 입구직전, 터널출구 직전에서의 교통량차에 대하여현재 공용중인 터널 대상 자료조사 및 회귀모형식 개발
- 도로교통연구원 연구완료시까지 본 방침 모형식 잠정 적용
□ 적용방안
◦ 설계중인 노선부터 본 방침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