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0년_1-6_고속도로 건설공사 공사기간 조정 검토(안)
2024.03.14 11:54
46
1-6 고속도로 건설공사 공사기간 조정 검토(안) 건설계획처-1141
(2009. 4. 1)
Ⅰ. 검토배경
정부의 SOC 집중투자로 고속도로 투자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효율적인 건설공사 추진 및 투자성과 조기 가시화를 위하여 적정 공사기간을 검토․적용코자 함.
Ⅱ. 공사기간 조정 경위
우리공사의 재무안정화 및 정부의 도로분야 투자규모 축소에 따라 건설공사의 공사기간을 2001년 이후 2차례에 걸쳐 연장 조정
일 정
조 정 내 용
관련근거
신 설 확 장
1994.06
4년
(1,200일)
4년
(1,200일)
설계도 16203-85
(1994.06.11)
2001.09
4~6년
(1500일)
4~5년
(1,200일)
설계도 13202-503
(2001.09.29)
2004.08
6~8년
(2,100일)
5년
(1,500일)
건설원 13105-55
(2004.08.17)
2009.02
【고속도로 조기개통 추진(안)】
☞ 조기개통(2009~2013년)
: 대전-당진 등 11개 구간
(4~24개월 단축)
건설관리처-650
(2009.02.16)
※ 최근 10년간 고속도로 건설사업비 투자규모
구 분 2000년 2001년 2004년 2007년 2008년 2009년
사업비(억원) 40,840 37,614 26,575 25,900 23,437 27,961
증감
- △3,226 △11,039 △675 △2,463 4,524
- (↓8%) (↓29%) (↓3%) (↓9%) (↑19%)
47
Ⅲ. 대내외 환경 분석
대외 환경변화 대내 환경변화
소극적 SOC 투자 ⇨ 적극적 SOC 투자 後行的 실천기업 ⇨ 先行的 선도기업
▪한국형 녹색뉴딜정책 시행
- SOC사업 50조원 투자
- 96만개 일자리 창출
▪광역경제권 발전 선도프로젝트 추진
- 광역권별 선도산업 선정
: 7대 권역, 30대 선도프로젝트
- 선도프로젝트 적기 완공 지원
: 향후 5년간 50조원 집중투자
▪고속도로 건설 2조 8천억 투입
- 전년대비 20% 증가
- 향후 3.5~4.0조원 투입예상
▪조기개통 계획 수립
- 11개 노선 4~24개월 단축
- 1조 5천억원 규모의 경제효과
▪신규 착공노선 조기발주 시행
- 7개 노선 3~23개월 단축
- 예산 조기집행 가능
환 경 분 석
정부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하여 중점 추진중인 광역경제권 발전
30대 선도프로젝트 국책사업중 경기부양 및 예산집행효과가 가장 큰
고속도로 건설사업의 적극 추진이 필요(11개 국고고속도로 건설사업)
☞ 건설사업의 공사기간 단축방안을 마련하여 효율적인 공사
추진 및 투자성과 가시화를 도모
48
Ⅳ. 공사기간 조정 검토
□ 공사기간 조정
구 분 | 현 행 | 조 정 | 비 고 |
신 설 |
6~8년 (2,100일) |
5~6년(1,500일) |
1~2년 단축(△ 600일) |
확 장 |
5년(1,500일) |
좌 동 |
※ 연간 공사일수 : 일반적으로 300일 적용
□ 2009년 신규 착공노선 공사기간 조정 결과
노 선
공구
(개)
현 행 조 정 단축
기간
(개월)
공사
일수
공사
기간
공사
일수
공사
기간
삼척-동해 4 2,100
2009.03
~
2016.03
1,500
2009.03
~
2014.03
24
울산-포항 11 2,100
2009.06
~
2016.06
1,500
2009.06
~
2013.09
33
충주-제천 5 2,100
2009.07
~
2016.07
1,500
2009.07
~
2014.07
24
【울산-포항】
☞ 금년도 신규 발주공사 중 경기부양 및 예산 집행효과가 가장 큰
울산-포항 노선은 투자성과 조기 가시화를 위해 연간 공사일수
350일 적용
- 기 개통된 부산-울산선의 투자효과 극대화
- 울산, 포항 등 성장거점의 산업경쟁력 강화
- 대규모 사업의 조기집행을 통한 경기활성화
49
□ 소요예산 변동현황 (단위 : 억원)
구 분 당 초
조기개통
①
공사기간 조정
②
조기개통 및
공사기간 조정
증(△)감ⓐ 증(△)감ⓑ ⓐ+ⓑ
계 414,755 414,755 - 414,755 - 414,755 -
2008년
까지
96,834 96,834 - 96,834 - 96,834 -
2009년 27,961 28,956 995 27,961 - 28,956 995
2010년 28,823 32,018 3,195 30,235 1,412 33,430 4,607
2011년 32,226 29,678 △2,548 32,877 651 30,329 △1,897
2012년 35,784 34,990 △794 39,429 3,644 38,634 2,850
2013년 38,583 38,157 △426 40,168 1,585 39,742 1,159
2014년 37,527 37,105 △422 40,021 2,495 39,600 2,073
2015년 29,060 29,060 - 38,123 9,063 38,123 9,063
2016년
이후
87,957 87,957 - 69,107 △18,850 69,107 △18,850
① 시공중인 노선의 조기개통에 따른 소요예산 변동(4~24개월)
: 2009~2013년 준공노선(대전-당진 등 11개 노선)
② 공사기간 조정에 따른 소요예산 변동(7년→5년)
: 선도프로젝트 신규 착공노선(삼척-동해 등 11개 노선)
☞ 공사기간 조정시에도 2012~2015년까지 건설예산은 연간
4조원 이하 유지 ⇒ 정부의 출자규모를 감안한 적정 수준
50
□ 기대효과
○ 대상사업 : 2009년 신규 착공노선(삼척-동해, 울산-포항, 충주-제천)
○ 경제적 효과 : 9,734억원
【편익】9,949억원 규모의 경제적 편익 기대
-
-
-
-
물 류 비 절 감
통행료 수입증대
현장관리비 절감
환 경 비 용 절 감
:
:
:
:
8,653억원
1,118억원
120억원
58억원
【비용】예산 조기 투입으로 215억원의 추가 금융비용 발생
【편익 - 비용】9,949억원 - 215억원 = 9,734억원
○ CO2 발생량 저감 : 145,618톤
☞ 소나무 약 4천만 그루 식재효과(임령 20년, 중부지방소나무)
○ 향후 4년간(2010년~2013년) 예산 조기 집행 : 3,576억원
☞ 일자리 조기 창출 : 약 6,000명(취업유발계수 16.6명/10억원)
Ⅴ. 향후 추진계획
□ 삼척-동해 노선은 공사착공후 공사기간을 변경(7년→5년)
하고 설계변경 시행
□ 울산-포항, 충주-제천 등 향후 설계노선에 대하여는 설계시
공사일수를 1,500일로 적용
○ 울산-포항 : 연간 공사일수 350일 적용
○ 기타 노선 : 연간 공사일수 300일 적용
□ 향후 정부와 총사업비 협의시 변경된 공사기간에 맞추어
사업기간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