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0년_1-2_참여형 설계 프로세스 개선(안)
2024.03.14 14:07
19
1-2 참여형 설계 프로세스 개선(안) 설 계 처-2947(2009. 6. 2)
Ⅰ 추 진 배 경
2007년부터 시행 중인 참여형 설계프로세스의 프로젝트팀 운영, 정보공유 및 피드백 DB화 등에 대한 시범운영결과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개선안을 도출하여 도로기술 선순환 시스템 정착을
도모코자 함.
Ⅱ 추 진 경 위
o 2007. 12 : 참여형 설계프로세스 구축(설계처-3733호, 2007.12.26)
o 설계정보시스템의 설계자료
☞ 목 표
Feed-back 기능 원활화를 통한 도로기술 선순환시스템 정착
☞ 추진방안
피드백
건 설 설 계
유지관리
건 설 설 계
유지관리
선순환시스템
지속적인
설계수준 향상
건설품질
증진
내구연한
증가
단 기(‘08) 중․장기(‘09 이후)
․시범운영(울산~포항외 2개노선)
․실시간 설계정보 공유
․피드백 DB시스템 개발․입력
․ 시범운영 분석, 전노선 확대시행
․피드백 DB 활용
․선순환시스템 정착
보 완
o 2008. 9 : 제1차 프로젝트팀 운영
☞ 울산-포항, 안산-일직 노선에 대한 설계, 건설 및 유지관리부서 담당자 회의
20
Ⅲ 효 과 분 석
1. 설계참여
▣ 프로젝트팀 구성
설계, 건설, 유지관리 및 사업개발부서의 팀장 1명, 차장 1명
▣ 프로젝트팀 운영
설계 주요단계별 프로젝트팀 협의
노선선정단계 상세설계단계 세부공종검토단계
□ 시범운영
o 프로젝트팀 구성 : 설계, 건설, 유지관리 및 사업개발부서 담당자
o 프로젝트팀 운영(2008. 9. 4)
- 대상노선 : 울산-포항, 안산-일직
- 시행단계 : 노선선정단계
□ 시범운영 결과
장 점 | |
단점 |
o 토론방식 자료준비, 난상토의 등 시간 과다 소요 ⇒ 효율적 운영을 위한 운영방안 개선 필요 o 프로젝트팀의 참여 관심 부족 ⇒ 프로젝트팀 참여가 정착 될 수 있도록 운영 규정화 ⇒ 프로젝트팀 책임 및 권한 강화 개선필요 |
21
2. 정보공유 및 피드백 DB화
▣ 정보공유
노선설계와 관련된 제반사항을 실시간 정보공유
⇒ 관련부서와 On-line상에서 토론방 운영
▣ 피드백 DB화
협의결과 및 주요자료를 DB화하여 본 노선 및 타 노선 설계시 활용
⇒ 주요사항 Check-List를 작성하여 협의시 반영 확인
□ 추진현황
o 울산-포항, 안산-일직 프로젝트팀 협의결과 서면 보고(2008. 9)
- 협의결과 : 반영사항 13건, 기조치사항 5건
※ 붙임 “울산-포항, 안산-일직 프로젝트팀 운영결과” 참조
o 설계정보시스템 구축(2008.12)
- 설계 일반현황, 지원자료, 관리현황 등 설계자료 DB화
□ 추진결과
장 점 |
설계단계 오류 최소화 가능 o 설계정보 공유를 통한 유선 문의 등 최소화 |
단점 |
점, On-line(토론방) 등 메뉴 미흡 o 협의결과 |
o
단 및 주요사항 Check-List 및 DB화 미흡
⇒ 설계정보시스템의 조속한 정비 필요
o 설계정보제공의 다양성 및 용이성 미흡
개선필요
22
Ⅳ 개선방안
설계참여 운영방안
□ 설계 주요단계별 설명회 시행 (설계노선 담당 팀)
o 설명회 운영방안
프로젝트팀1)을 토론에서 설명회 방식으로 운영
- 운영체계
주요설계과정설명
(Briefing)
의견 제시 및 토의
(Assistance)
수렴 & 피드백
(Goal)
- 주요설계성과발표
- 기 제시된 의견
조치 여부
- 설계시 고려사항
- 시공․유지관리시
필요한 사항 등
- 피드백 On-line化
및 Check-list작성
- 노선설계시 반영
- 운영단계
( ☆ : 의무 시행 단계)
구 분 주요 운영 단계 비 고
검토단계
․종평면 선형 및 출입시설 결정 단계(☆)
․교량상부형식 결정 단계
․포장형식 선정 단계
․교량 경관설계 단계
․터널 갱문형식 선정 단계
․기타 설계노선별로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단계
설계단계 ․설계성과품 VE, 심의 시행 전(☆)
※ 운영시기는 설계노선별로 세부시행방안수립 후 탄력적으로 운영
1) 우리공사내부직원중설계, 시공, 유지관리분야의기술직군2급을이상직원(필요시전문분야근무경력15년이상의3급직원가능)과
도로, 토질및기초, 구조분야의외부전문가(설계자문위원으로위촉된자에한함)로구성된조직으로해당설계의주요단계에
직접참여하여전문분야별로내실화된설계가될수있도록모니터링을수행함.
23
o 프로젝트팀 구성 및 관리 방안
- 구성시기 : 설계착수 후 30일내 설계노선별로 팀 구성
☞ 최초 운영단계에서 프로젝트팀 발족식 개최
- 대 상
․내부전문가
해당부서
설 계 : 설계처, 기술심사처, 조사팀 등
건 설 : 건설계획처, 건설관리처
유지관리 : 도로처, 구조물처, 교통처, 시설처 등
대 상 해당 처의 팀(부)장(필요시 근무경력15년이상인 3급직원 가능)
․외부전문가 : 도로, 토질, 구조분야 설계자문위원
- 구성방법 : 팀장(설계처장) 포함 최소 12인 이상
팀 장(설계처장)
팀 원
설계분야 시공분야 유지관리분야 외부전문가
3인 이상
(계획, 설계, 심사 각1인)
3인 이상
(건설계획1인, 건설관리2인)
3인 이상
(도로, 구조, 교통, 시설에서선정)
2인 이상
(도로, 토질, 구조분야에서선정)
- 참여기간 : 최초 참여 설계노선 설계완료시까지
- 수행업무
․설계 주요단계별로 설명회에 참여하여 검토의견 의무적 등재(登載)
※ 주요단계의 설명회 참여시 반드시 의견을 시스템상에 올려야 함.
․참여 설계노선 설계완료시까지 모니터링2) 실시
- 관리방안
․프로젝트팀 운영대장별첨2)을 설계정보시스템에 신설하여 관리
□ 프로젝트팀의 적극적 참여유도 (설계기준팀)
o「설계경력(실적)관리방안(2009.4)」에 따라 참여노선 설계경력인정
☞ 운영대장의 참여기간과 토론방 의견등재여부 등 활동실적에 따라 경력인정
o 프로젝트팀 제시의견 반영여부 결정시 발의자 동의 의무화
o 우수 설계자 선정권한 부여(선정방안 별도 검토)
□ 설계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추진 (설계기준팀)
o 사규(공사관리규정) 반영 추진 : 2009년 6월(건설계획처)
2) 설명회시 제시된 의견에 대하여 적정성 검토 후 설계에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여부 사후관리시행
24
정보공유 및 피드백 DB화
□ 설계정보 시스템 개선별첨1) (도로설계팀)
o 프로젝트팀 및 설계 관심 있는 직원의 상시참여를 위한 On-line化
- 설계정보시스템 메뉴 조속 구축 (5월)
☞ 토론방, 피드백자료 Check List 등
(2/4분기)
- 설계정보시스템 정비
☞ 설계현황, 설계기준 등
- 노선별 설계 설명회 메뉴 신설
☞ 노선별, 단계별 운영현황 공개
□ 설계정보 공유방법 다양화 및 용이성 추진
o On․Off-Line을 통한 정보제공방법 다양화 (설계노선담당팀)
On - Line 설계정보시스템 토론방 등 상시운영
Off - Line 설계 주요단계별 설명회 개최
o 타 분야 시스템과 연계(접근의 편의성 제공) (도로설계팀)
- 넥스콘, 하이맨(Hi-MAN) 등과 연계 : 2009. 12
※ 시스템 연계는 정보처 협조사항임.
□ 피드백 자료 Check-List化(설계기준팀)
o 설계설명회, 토론방 등에서 제시된 의견 및 주요사항 Check-List化
o 향후 설계노선 활용을 위한 Check-List 자료 발간(1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