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502

9-3 시멘트 콘크리트 설계기준 배합비 개정(안) 연구개발실-2294

(2010. 7. 8)

Ⅰ 제안 배경

n 고속도로에서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2003년 이후부터 습염식 제설방법의 적용과 제설제 살포량의 급격한 증가로 과거에 비해 더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고있으나,

n 근래에는 콘크리트 사용재료(잔골재, 공기연행제)의 품질 저하 등으로 인해동결융해 및 제설염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기 손상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n 또한, 2007년부터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내구성]편이 신설되는 등, 구조물에 내구성에 대한 중요성이 국가적으로 부각되고 있고, 노출환경에 따라 콘크리트 특성치를 다르게 적용하고 있다.

n 따라서, 동해 및 제설염해 등의 열화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기계타설 소구조물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멘트 콘크리트 설계기준 배합비를 수립하여 실무에 적용하고자 한다.

Ⅱ 현실태 및 문제점

n 2004년부터 제설제 염해 및 동결융해를 동시에 받는 조건하의 콘크리트 구조물인 포장, 교량 바닥판, 중분대, 측구, 다이크, 교량 난간방호벽 등에서 조기손상에 따른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n 2007년부터 국토해양부 제정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및 콘크리트표준시방서에서는 표 1, 2와 같이 “노출상태에 따른 최소 설계기준압축강도 및 내동해성기준”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n 그러나 우리공사의 중분대, L형측구, 다이크, 교량 난간방호벽 등의 기계타설 소구조물용 콘크리트는 제설제 및 동결융해 노출 환경에 대한 강도, W/C비, 동결융해 내구성 등이 모두 미흡한 실정이다.

503

 

노출 상태

최대 물-결합재비

(%)

최소

설계기준 압축강도 fck(MPa)

물에 노출되었을 때 낮은 투수성이

요구되는 콘크리트

0.50

27

습한 상태에서 동결융해 혹은

제빙 화학제에 노출된 콘크리트

0.45

30

제빙 화학제, , 소금물, 바닷물에 노출되거나 이런 종류들이 살포된 콘크리트의 철근 부식방지

0.40

35

 

 

 

기상조건

기상작용이 심하고 동결융해가 자주 반복될 때

기상작용이 심하지 않고 온도가 동결점 이하로 지는 경우가 드물 때

단면

얇은 경우1)

보통의 경우

얇은 경우

보통의 경우

구조물의 노출상태

(1) 연속해서 또는 반복해서 물에 포화되는 경우

85

70

85

60

(2) 일반적인 노출상태로 (1)에 속하지 않는 경우

70

60

70

60

1) 단면의 두께가 0.2m 이하인 구조물

 

 

 

Ⅲ 검토내용

n 동결융해 내구성 확보를 위해 공기량 상향 조정에 따른 콘크리트 종별 강도

시험 및 분석(붙임 1)

- 강도 : 설계기준강도 대비 20~30% 높아 배합강도 기준 만족

n 내구성 확보를 위한 공기량 상향조정에 따른 콘크리트 종별 재료사용량 분석(붙임2)

- 골 재 : 잔골재 및 굵은골재 량은 증감량 변화가 약 ±5.0% 미만

- AE감수제 : 공기량 증가로 인해 기존대비 사용량 약 2~3배 증가

- 공기연행제(AE제) : 기계타설 소구조물과 포장 콘크리트 배합에서 감수제

량의 5.0~7.5% 추가 사용

504

n 현행 설계기준 배합표의 문제점 개선(붙임 4)

- 광물성 혼화재 및 저슬럼프 콘크리트는 공기연행제(AE제) 사용 반영

☞ 불연탄소에 의한 공기량 감소 영향을 고려하여 AE제 추가

☞ 저슬럼프 콘크리트의 동해저항성에 필수적인 연행공기 확보를 위해

AE제 추가

- L형측구(다이크), 중분대, 교량 난간 콘크리트는 기계타설 소구조물 배합

의 일원화 및 노출환경을 고려한 내구성 배합으로 개정

☞ L형측구(다이크), 중분대, 교량 난간으로 분류된 현행 설계기준 배합표

를 기계타설 소구조물 콘크리트로 일원화

☞ 콘크리트표준시방서 및 구조설계기준에 부합할 수 있게 물-결합재비

(W/B), 공기량, 강도 조정(붙임 4)

☞ 동결융해 일수가 많고 제설제 살포량이 많은 다설한랭 지역에서 조기

손상이 다수 발생함에 따라 기계타설 소구조물 콘크리트는 노출환경에

따라 구분하여 적용

☞ 최근 알칼리골재 반응이 다수 발생하고 있어, 기계타설 소구조물 콘크

리트는 반응성 억제와 내구성 개선 효과가 있는 플라이애시 혼합 배합

을 추가

n 우리공사 전문시방서 및 방침, 콘크리트 관련 시방서 내용 일부 반영

- 내구성 확보를 위한 굵은골재치수 변경

☞ 기계타설 소구조물 콘크리트(교량 난간, L측구 및 다이크) : 19mm⇒

25mm, 포장 : 32mm⇒30mm

- L형 측구(다이크) 콘크리트의 석분 사용 배합 삭제

- 제설염과 동결융해에 직접 노출되는 도수로 집수거, 중분대 및 갓길 집

수정 콘크리트는 3종에서 2종으로 변경

☞ 제설제 염해 및 동해 저항성 확보

- 특수환경(제설염과 동결융해에 노출) 및 재료품질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광물성 혼화재 사용 배합 추가

☞ 포장 콘크리트 : 플라이애시 20%를 시멘트 대체재로 혼합

☞ 노출바닥판 : 3성분계(시멘트,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 배합

505

Ⅴ 제안 내용

n 개정 배합표(붙임 4)는 고속도로공사용 『시멘트 콘크리트 설계기준 배합

표』로 적용

n 동결융해 내구성 향상을 위해 공기량을 4~6% 에서 5~7%로 상향 조정(붙임 4)

n 제설염과 동결융해, 알칼리골재 반응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계타

설 소구조물 콘크리트는 플라이애시를 혼합한 배합을 추가(붙임 4)

n 제설염과 동결융해에 노출되는 도수로 집수거, 중분대 및 갓길 집수정 콘

크리트(붙임 4)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3종(W/C 53%, 강도 21 MPa)에서 2

종(W/C 49%, 강도 24 MPa)으로 변경

n L형측구(다이크), 중분대, 교량 난간으로 분류된 현행 설계기준 배합표(붙임

1)는 기계타설 소구조물 콘크리트로 일원화(붙임 4) 하고, 『노출환경 등급

지침』(붙임 5)을 적용

Ⅵ 기대효과

n 노출환경에 맞는 배합에 의한 구조물 내구성 확보로 유지관리비용 절감

n 콘크리트 관련 시방서와 우리공사 표준배합과의 상충으로 인한 구조물 하자

발생시 시공사와의 책임소재 분쟁 소지 해결

붙임 1. 시멘트 콘크리트 설계기준 배합비의 공기량 상향 조정에 따른 강도시험 결과

붙임 2. 설계기준 배합비의 공기량 상향 조정에 따른 단위재료사용량 비교 결과 [표준/시험]

붙임 3. 현행 L형측구 콘크리트 설계기준 배합과 시험 배합의 내구성 비교 결과

붙임 4. 시멘트 콘크리트 설계기준 배합비 개정(안)

붙임 5. 노출환경 등급 지침

 

붙임 4. 시멘트 콘크리트 설계기준 배합비 개정(안)

 

종별

fck

(MPa)

골재

최대

치수()

슬럼프

(cm)

공기량

(%)

W/C

(%)

S/a

(%)

단위재료사용량(kg/)

단위혼화제량(kg/)

비 고

시멘트

플라이

애시

슬래그

미분말

잔골재

굵은골재

AE

감수제

AE

유동

화제

고성능

AE감수제

 

 

 

 

 

 

(PSC)

45

13

15

47

32

42

160

500

-

-

689

970

-

-

-

6.000

PSM교 세그먼트

31

43

156

503

-

-

709

958

-

-

-

7.042

FCM교 세그먼트, 조강시멘트, f3=32MPa

40

20

15

47

36

41

173

481

-

-

666

976

-

-

-

4.800

PSC, PSC 박스거더 및 슬래브, Preflex 하부 플랜지

34

42

173

407

102

-

672

953

-

0.101

-

4.070

 

 

 

 

 

30

25

13

6.5±1.5

40이하

40

159

249

41

124

691

1051

-

-

-

2.500

교량 노출바닥판

27

13

57

46

43

174

378

-

-

733

991

2.268

-

-

-

주형교량 슬래브, PSC빔교 바닥판, RC 슬래브, Steel Box 거더교, 교각, 중분대기초

15

45

45

156

346

-

-

800

997

-

-

-

3.114

24

25

15

57

50

42

167

335

-

-

739

1041

2.004

-

-

-

라이닝 등 필요시

30

15

57

49

40

164

334

-

-

707

1081

2.004

-

-

-

교량하부구조(교대, 우물통본체), 교량날개벽, RC옹벽, 연석, 암거, 암거접속슬래브, 방음벽 기초, 도수로 집수거, 중분대 및 갓길 집수정

24

25

45±5

4이하

45

45

184

409 (41)

-

-

756

949

1.227

 

2.454

 

수중 콘크리트 호칭강도 : 30MPa

: 슬럼프플로우

45

45

184

409

-

-

779

971

1.227

-

4.090

증점제: 2.50

21

25

8

57

51

44

156

306

-

-

797

1034

1.830

-

-

-

절성토부 도수로, VLU형측구

15

53

43

167

315

-

-

764

1032

2.205

-

-

-

40

8

12

54

42

171

317

-

-

779

1097

-

-

-

-

중력식 옹벽, 매스콘크리트, 부대시설기초, 배수관기초

53

42

157

237

59

-

793

1116

-

-

-

-

15

40

8

12

59

36

135

229

-

-

728

1318

-

-

-

-

레벨링 콘크리트, 속채움콘크리트(우물통기초)

기계

타설

소구

조물

24

25

25

57

45

48

151

337

-

-

864

954

1.685(감수제)

0.084

-

-

일반지역(중분대, 교량 난간, L형 측구, 다이크)

151

270

67

-

853

942

1.685(감수제)

0.118

-

-

30

25

25

57

41

46

151

368

-

-

816

976

2.268(감수제)

0.136

-

-

특수지역(중분대, 교량 난간, L형 측구, 다이크)

151

295

74

-

804

962

2.268(감수제)

0.170

-

-

포장

fbk=4.5

30

4이하

57

45

38

147

326

-

-

691

1149

1.956

-

-

-

기계타설

8

44

40

161

365

-

-

700

1070

2.190

-

-

-

인력포설

4이하

43

36

150

280

70

-

630

1150

-

0.070

-

1.050

기계타설

159

300

70

-

610

1110

-

0.074

-

1.110

기계타설(한중)

빈배합

f7=5.0

40

 

12

79

33

125

158

-

 

695

1449

-

-

-

-

포장중간층용 콘크리트

숏크리트

f28=20

13

812

12

44

65

194

441

-

-

1100

608

22.050

(급결제)

-

4.410

-

강섬유 미첨가

fbk=4.5

45

65

216

480

40(강섬유)

-

1042

576

24.000

(급결제)

-

4.800

-

강섬유 첨가

 

 

※ 적용 재료 비중 : 시멘트(1종, 3.15), 잔골재(2.60), 굵은골재(2.65), 플라이 애시(2.20), 고로슬래그(2.90)

※ 교량 노출바닥판, 포장(플라이애시 사용 배합) 콘크리트는 기 시행한 배합비를 적용하였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10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8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40
177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8-1_제설자재창고 설치기준 변경 및 중기 설치계획 file 효선 2025.01.15 282
177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Ⅰ_2022년도 고속도로 설계실무지침 (요약본) 효선 2025.01.15 1817
177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Ⅱ_실무지침 수록 목록 (1998년 통합본~2022년) file 효선 2025.01.15 634
177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1.15 300
177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1_BIM설계기술 조기 정착을 위한 BIM 설계평가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5 140
177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2_드론 통합측량 추진방안 file 효선 2025.01.15 141
176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3_공종별로 산재되어 있는 안전항목을 통합한 안전관리 대공종 신설 file 효선 2025.01.15 191
176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4_도로구역 및 지형도면 통합고시 추진(안) file 효선 2025.01.15 160
176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5_설계안정성 검토 업무 내실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51
176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1-6_고속도로 적정공사기간 확보방안 검토(안) file 효선 2025.01.15 168
176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1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5 174
176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2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지침 내 안내 표지판 내용 수정 알림 file 효선 2025.01.15 141
176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2-3_고속도로 교통수요예측 내실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35
176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3-1_고속도로 통로암거 규격개선 file 효선 2025.01.15 237
176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3-2_깎기 및 쌓기 비탈면 옹벽 상단배수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311
176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1_말뚝기초 횡방향 설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173
175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2_스트럿-타이 모델링 개선 등을 통한 교각 코핑 설계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183
175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3_교량 난간 방호벽 절개부위 보강 방안 file 효선 2025.01.15 193
175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4_고속도로 장수명 설계추진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60
175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2년_4-5_PSC거더 구조 안정성 향상을 위한 횡만곡 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5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