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490

9-2 혼화재료 품질 잠정지침에 따른 시험비 설계반영 요청 건설계획처-1587

(2010. 5. 31)

□ 관련문서

o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품질 잠정기준(안) (연구개발실-1359, 2010.4.28)

o 콘크리트용 광물질 혼화재 잠정지침(안) 및 향후 연구계획

(연구개발실-919, 2010.3.26)

□ 요청내용

콘크리트용 혼화재료(광물질 혼화재 및 화학혼화제)에 대한 품질 잠정지침 수

립에 따라 설계시 적외선 분광분석, 비중 및 고형분 시험비용 설계반영 요청

붙 임 : 1.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품질 잠정기준(안)

2. 콘크리트용 광물질 혼화재 잠정지침(안)

491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품질 잠정기준(안)

Ⅰ 개 요

■ 콘크리트 작업성 및 내구성 증진 등을 위해 혼화제 사용이 증가추세에 있으

나, 저품질 화학혼화제에 의한 시공성 및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문제 대두

■ 콘크리트 물성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화학혼화제의 품질기준 미비 및 관리시

험 부재에 대한 화학혼화제의 품질균질성 확보 방안 도출

■ AE제, 감수제, AE감수제, 고성능 AE 감수제, 유동화제 품질기준 및 관리시험

기준 재검토를 통한 고품질 콘크리트 제조방안 수립

Ⅱ 품질기준 및 문제점 분석

■ 화학혼화제(Chemical Admixtures)

o 콘크리트의 작업성 및 내구성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

o 사용량이 적어 그 자체가 콘크리트의 비비기 용적에 포함되지 않음

 

표 1. 화학혼화제 종류 및 특성

 

종 류

특 성

AE

공기포를 연행하여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 개선에 기여

ex) 빈졸레진, 비이온계, 음이온계 등

감수제

시멘트 입자 분산으로 유동성 개선 및 단위수량 저감

ex) 리그닌계

고성능감수제

분산능력이 감수제 보다 큰 혼화제

ex)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폴리가르본산(PC)계 등

AE감수제

고성능 AE 감수제

AE제와 감수제(또는 고성능 감수제)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혼화제

유동화제

현장 도착된 콘크리트의 유동성 개선을 위해 사용

기타

급결제, 수중불분리성 혼화제 등

 

 

492

■ 품질기준 현황

o KS와 ASTM 품질기준 비교(첨부 1 참조)

- 품질기준은 대동소이하나 ASTM에서는 품질기준 외에 배치별 품질변동 평가방법

(비중, 고형분량의 차 등)을 제시하고 있음

 

표 2. 화학혼화제 품질기준의 국내․외 현황

 

구분

규격번호

제목

국내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KCI-AD101

콘크리트용 유동화제 품질기준

국외

JIS A 6204

콘크리트용 혼화제

ASTM C 260

콘크리트용 공기연행제의 품질기준

ASTM C 494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의 품질기준

ASTM C 1017

유동화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의 품질기준

 

 

■ 화학혼화제 관련 최근동향

o 화학혼화제 사용량 증가

- 동결융해 저항성 등 콘크리트의 내구성 강조(기준 공기량 상향조정)

당초 : 4.5±1.5%, 현행 : 6±1.5%

- 공기량 확보를 위한 혼화제 사용량 증가

당초 : C×0.3%, 현행 : C×0.5~1.0%

o 제조사 및 제품별로 품질 변동요인 존재

o 현장에서 사용 중인 혼화제의 품질수준 확인 필요

o 적정 품질관리 방안 수립으로 양질의 혼화제 사용 유도

■ 화학혼화제 사용상의 문제점 분석

o 저품질 화학혼화제 사용 규제방법 전무

- 공인시험 성적서에 의한 서류상 품질검토

- 낙찰율, 하도급관행을 고려한 저품질 혼화제 사용가능성이 매우 큼

- 품질요소를 배제하고 가격요소에 의한 선정사례가 많음

493

o 공인기관 사용골재와 현장골재의 품질상이로 서류상 검토에 의한 혼화제의 적정

성 판단 불가

- 공급원 승인 서류로 현장골재와 혼화제의 적합성은 평가곤란

- 현장골재를 사용한 공급원 서류 요청시 혼화제 제조사 비용부담증가

- 사전 품질시험에 의한 적정 혼화제 선정 절차 필요

- 동결융해저항성에 대한 세부 시험방법의 부재

KS F 2456의 B방법(공기중 급속동결융해 시험방법) 사례가 많음

o 관리시험 항목, 기준 및 빈도 기준 부재

- 납품업체 변경 시 또는 3개월 이상 저장시에만 실시

- 3개월 이상 저장사례 없어 관행적으로 연 1회 실시

- 동결융해 및 길이변화비 시험 대부분 미실시 : 설계에 미반영

 

표 3. 화학혼화제 관련 시험항목 및 빈도규정

 

 

 

구분

시험종목

시험방법

시험빈도

비고

우리공사

-감수율, 공기량

-블리딩, 응결시간

-압축강도 공시체

-비중, 고형분

KS F 2560

제조회사별

3개월 이상 저장하여 재질 변화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마다

시험비 계상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780)

KS F 2560

전항목

KS F 2560

동결융해시험 및 길이변화시험은 필요시

-적외선 분광분석

(FT-IR)

KS M 0024

Ⅲ 개선대책

■ 저품질 화학혼화제 사용 억제방안 수립

o 현장 시험실에서 화학혼화제 품질 평가시험 실시방안 강구

o 시공사는 사전 품질시험을 통하여 현장 사용 자재에 적합하고 성능이 우수한 혼화

제를 선정하여 공급원 승인 요청

494

■ 혼화제 사전 품질시험 절차 규정

o 현장골재를 사용한 혼화제 사전 품질시험 실시

- KS F 2560 품질기준 중 장기간 소요되는 시험항목 제외

- 제외항목은 공급원 요청서류로 가름하고 최초 입수검사에서 확인

o 제외항목 : 재령 28일 압축강도, 길이변화, 동결융해 저항성 등

o 경시변화량(공기량, 슬럼프)은 KS F 2560에 준하나 도로공사 배합기준과 상이점을 고

려하여 감독원, 시공사 및 혼화제 관계자 협의로 변경 가능

■ 관리시험 항목 및 기준 신설

o 공급원 승인된 혼화제의 최초 입고시 혼화제 품질시험실시

- KS F 2560 품질기준 전 항목에 대한 품질시험 실시

- 현장시험실에서 수행 불가항목(길이변화비, 동결융해 저항성 시험 등)에 대해서는 공

인기관 의뢰

- 최초 입고시 품질시험 결과는 입수검사 관리기준으로 활용

- 혼화제 성분 분석을 위한 적외선 분광분석(FT-IR) 실시

o 혼화제 입수검사 관리시험방법

- FT-IR은 기기특성 오차를 감안하여 도로교통연구원 의뢰 권장

- 고형분량 시험방법 : ASTM C 494 준용(첨부 2참조)

KS M 0009(화학제품의 감량 및 찌기의 측정방법)는 시험조건(건조시간 등)이 화학혼화제 특성을 반영하지 않음

- 비중시험방법 : KS A 0601 준용(첨부 2참조)

o 혼화제 입수검사 관리기준 수립

- ASTM 규정 혼화제 품질의 균질성 평가기준 도입

- 기준값 : 최초 입수검사 결과를 기준값으로 활용

- 고형분량의 차 관리기준 : 기준값 대비 12%

- 비중의 차 관리기준 : 기준값 대비 10%

- 관리시험결과의 품질변동 추이를 분석하여 허용범위 재설정

o 관리기준을 벗어난 혼화제는 공급원 승인 업무매뉴얼 【별표 1】의 “품질 부적격 자재 조치절차 및 제재내용”에 따라 처리

o 품질변동이 의심되는 혼화제 입고 로트는 감독원 판단하에 혼화제 품질기준에 규정된 항목에 대하여 품질시험 실시

495

■ 화학혼화제 품질 잠정기준 및 시험빈도 규정

o 품질기준 : KS 표준 및 관련기준 준용

- AE제, 감수제, AE감수제, 고성능 AE 감수제 : KS F 2560 준용

- 콘크리트용 유동화제 : 한국콘크리트학회 기준(KCI-AD101) 준용

o 동결융해 시험기준 명확화

- 시험재령 : 제작후 14일간 표준양생후 동결융해 싸이클 시장

- 시험방법 : KS F 2456 A방법(수중 급속동결융해 방법)

- 판정방법 : 200 싸이클 실시후 상대동탄성계수 80% 이상

o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품질, 관리기준 및 시험빈도

- 화학혼화제 및 유동화제 품질 잠정기준 : 표 4 및 5 참조

- 품질관리 단계별 시험항목 및 빈도 : 표 6 참조

 

표 4. 화학혼화제 품질 잠정기준

 

종 류

품질항목

AE

감 수 제

AE 감수제

고성능 AE 감수제

표준형

지연형

촉진형

표준형

지연형

촉진형

표준형

지연형

감 수 율 (%)

6 이상

4 이상

10 이상

10 이상

8 이상

18 이상

블리딩 양의 비 (%)

75 이하

100 이하

70 이하

60 이하

70 이하

응결

시간차

(min)

초 결

-60

+60

-60

+90

+60

+210

+30 이하

-60

+90

-60

+210

+30 이하

-30

+120

+90

+240

종 결

-60

+60

-60

+90

+210

이하

0 이하

-60

+90

+210

이하

0 이하

-30

+120

+240 이하

압축

강도

(%)

재령 3

95 이상

115 이상

105 이상

125 이상

115 이상

105 이상

125 이상

135 이상

재령 7

95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25 이상

재령 28

9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길이 변화비 (%)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10 이하

동결융해 저항성(A)

(상대 동탄성계수, %)

80 이상

-

80 이상

80 이상

경시

변화량

슬럼프()

-

-

-

60이하

공기량(%)

 

-

-

±1.5이내

관리

시험

고형분의 차(%)

(ASTM C260, C494)

최초 입수검사 시험결과를 기준으로 ±12 이하

비중차의 비 (%)

(KS A 0601)

최초 입수검사 시험결과를 기준으로 ±10 이하

 

 

1) 동결융해시험은 KS F 2456에서 규정하는 A방법(수중 급속 동결융해 시험방법)에 따른다.

시험재령은 제작후 14일간 표준양생후 시작하며, 200싸이클을 기준으로 함.

496

 

품질항목

표준형

지연형

시험항목

슬럼프()

베이스 콘크리트

80±10

유동화 콘크리트

200±10

공기량(%)

베이스 콘크리트

4.5±0.5

유동화 콘크리트

4.5±0.5

블리딩의 차(/)

1 이하

2 이하

응결시간의 차()

초결

-30+90

-60+210

종결

-30+90

+210 이하

시간에 따른(15) 슬럼프 감소량()

40 이하

시간에 따른(15) 공기량의 감소(%)

1.0 이하

압축강도비

3, 7, 28

90 이상

길이변화비(%)

120 이하

동결융해 저항성(A, 상대동탄성계수비)1)

90 이상

고형분의 차(%, ASTM C 1017)

선정시험결과를 기준으로 ±12 이하

비중의 차(%, KS A 0601)

선정시험결과를 기준으로 ±10 이하

 

 

표 5. 유동화제 품질기준

 

표 6. 단계별 시험항목 및 빈도

 

 

 

종 류

품질항목

사전품질시험1)

(현장시험실)

공급원 승인

(공인시험기관)

최초 입수검사

관리시험

(현장시험실)

슬럼프() 및 공기량(%)

 

감 수 율 (%)

-

블리딩 양의 비 (%)

-

응결시간의 차

(min)

초 결

-

종 결

-

압축강도의 비

(%)

재령 3

-

재령 7

-

재령 28

-

-

길이 변화비 (%)

-

-

동결융해 저항성(A)

(상대 동탄성계수, %)

-

-

경시 변화량

슬럼프(cm)

-

공기량(%)

-

FT-IR 시험결과

-

-

관리시험

고형분의 차(%)

(ASTM C260, C494)

비중의 차 (%)

(KS A 0601)

1) 품질시험 및 최초 입수검사용 골재는 현장에서 사용 중인 골재로 한다.

최초 입수검사 시험항목 중 현장시험 불가항목은 공인시험기관 의뢰

2) 관리시험 : 매 입고시 마다 현장 시험실에서 시험한다.

497

o 비중 및 고형분량에 대한 입수검사 관리기준 결정방법

① 고형분량의 차 관리기준 결정방법

- 고형분량의 최초 입고시험결과 : 42%

- 고형분량의 관리한계 :  × ±



  ±(소숫점 2자리에서 반올림)

- 고형분량의 입수검사 관리기준 : 37.0~47.5%

② 비중의 차 관리기준 결정방법

- 비중의 최초 입고시험결과 : 1.050

- 비중의 관리한계 :  ×± 

  ±(소숫점 4자리에서 반올림)

- 비중의 입수검사 관리기준 : 0.945~1.155

■ 화학혼화제 품질관리 절차

그림 1 화학혼화제 품질관리 절차

o 혼화제 선정완료 및 사용중 현장에 대한 경과조치

- 현재 사용중인 혼화제에 대한 입수검사 시험(고형분 및 비중)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준값으로 하고 본 지침의 관리기준을 적용

498

Ⅳ 향후계획

■ 혼화제 품질기준 수립을 위한 연구과제 추진

o 화학혼화제 품질 및 관리기준에 대한 국내․외 시방기준 재검토

o 화학혼화제의 품질변동 최소화를 위한 품질기준 강화방안 수립

o 관리기준 변동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변동 특성 분석

o 입수검사 관리항목에 대한 변동범위 분석을 통한 기준 재설정

o 현장 간편 관리시험방법의 발굴 및 신뢰성 검증

■ 콘크리트 내구성 향상을 위한 품질기준 수립

o 혼화제 품질과 QPI 내구성 지수 상관성 분석을 통한 품질기준 수립

o 혼화제 품질과 콘크리트 내구성 상관성 분석 및 품질기준 도입

※ 첨부 : 1. KS와 ASTM 품질기준 비교

2.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선정 및 관리시험 잠정기준(안)

499

콘크리트용 광물질 혼화재 잠정기준(안)

Ⅰ. 개 요

o 콘크리트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포장콘크리트, 고성능 콘크리트 바닥판,

HPC 교면포장, 해양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광물질 혼화재 사용중

o 광물질혼화재 관련 시방서 및 지침 간 상이한 내용에 대한 정비 및 우

리공사에 적합한 통일된 품질지침 작성

o 고품질 고속도로 건설을 위한 콘크리트용 광물질 혼화재 품질기준

정비 및 활용성 재고를 위한 전략수립

※ 광물질 혼화재(Mineral Admixtures)

o 혼화재료로서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서 그 자체가 콘크리트 등의

비비기 용적에 계산되는 것

o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퓸 등이며, 결합재로서 사용

되는 재료(SCM;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

Ⅱ. 광물질 혼화재 사용현황

1.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포장(설계처-2705, 2009.5.19)

o 플라이애시를 결합재 중량 20% 혼합한 포장콘크리트 설계반영

o 플라이애시 사일로 설치에 의한 배치플랜트 혼합방식 적용

o 품질 및 배합기준, 시공시 주의사항 등 명시

2. 고성능 콘크리트(노출) 바닥판

o 3성분계 콘크리트에 의한 내구성 향상

- 시멘트 : 고로슬래그 미분말 : 플라이애시 = 6 : 3 : 1

o 콘크리트 배합기준(강도, 물-결합재비, 공기량), 품질기준 명시

3. HPC 교면포장공법(국토해양부 신기술 495호, 삼성물산(주))

o 수밀성 향상 및 균열억제를 위해 실리카퓸 및 친수성 PVA 섬유 사용

o 혼화재료 품질 및 배합기준 만 명시

4.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인천대교, 시화대교)

o 염해 내구성 향상을 위해 고로슬래그 미분말 30~50% 혼합

o 품질기준, 시험 및 사용지침 전무

Ⅲ. 광물질 혼화재 관련 시방 및 지침 현황

500

1.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o KS 표준에 입각한 각 혼화재료 품질기준 및 최대 혼합율 명시

2.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o 플라이애시 및 팽창재에 대한 품질기준만 명시

3. 산업부산물재활용 도로포장지침(국토해양부, 2009. 11)

o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하는 포장콘크리트에 국한됨

o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합율 30~70%, 플라이애시 혼합율 10~30%

o 강열감량 허용 변동범위는 ±1.0%로 규정(실효성에 강한 의문 제기됨)

4. 혼화재를 사용한 레미콘 품질관리에 관한 지침(국토해양부 검토중)

o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 중 한 종류 혼화재가 단위결합재량

대비 10% 초과 사용시 적용

o 다성분계 콘크리트, 실리카퓸 등은 협의에 의해 정함

o 단위 포틀랜드시멘트량은 원칙적으로 200kg/㎥ 이상

Ⅳ. 문제점 분석

1. 명시한 시방서

o 각 혼화재의 KS 품질기준만을 명시

- 해설에서 효과, 사용상 주의에 대한 선언적 내용 기술

2. 상이한 혼합율 규정

o 시방서, 지침에 따라 혼화율 규정이 상이

 

 

 

 

구분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혼화재를 사용한 레미콘 품질관리에 관한지침

산업부산물재활용

도로포장지침

플라이애시

25% 이하

1025%

1030%

고로슬래그 미분말

50% 이하

1050%

3070%

실리카흄

10% 이하

당사자간 협의

-

다성분계 콘크리트

50% 이하

사용불가

-

구분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혼화재를 사용한 레미콘

품질관리에 관한지침

산업부산물재활용

도로포장지침

플라이애시 25% 이하 10~25% 10~30%

고로슬래그 미분말 50% 이하 10~50% 30~70%

실리카흄 10% 이하 당사자간 협의 -

다성분계 콘크리트 50% 이하 사용불가 -

3. 현실을 무시한 엄격한 품질관리

o 산업부산물재활용 도로포장지침에서는 강열감량 허용 변동범위를

501

±1.0%로 규정(KS 표준에서는 5% 이하로만 규정)

o 화력발전소 배기가스에서 포집되는 플라이애시는 강열감량 변동범위의 인위적 관리는 곤란

- 제조사에서는 포장 콘크리트용 플라이애시 사일로의 별도관리 필요

o 제반여건을 감안하였을 때 KS 표준에 적합한 플라이애시를 사용하고콘크리트 제조단계에서 공기연행제 사용량 조절로 콘크리트 품질변동 최소화 유도

4. 우리공사 혼화재 관리지침 마련 시급

o 플라이애시를 제외한 광물질 혼화재의 우리공사 관리지침 전무

o 혼화재 품질, 관리기준 및 지침이 산재하여 현장 관리자의 혼동가중

o 고속도로 공사 특성에 적합한 광물질 혼화재 관리지침 작성 필요

Ⅴ. 개선방안 및 향후계획

1. 현행 시방 및 지침을 통합한 잠정지침(안) 작성(첨부참조)

o 현재 사용중인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퓸 사용 잠정지침

o 팽창재(제한적 사용), 메타카올린(사용실적 없음) 등은 향후 기술개발 추이에 따라 반영

o 시방서, 지침에 따라 상이한 혼합률에 대한 잠정기준제시

2. 광물질 혼화재의 품질관리 수준 향상을 위한 연구과제 추진

o 광물질 혼화재 사용 콘크리트의 합리적 품질관리 방안 제시

-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광물질 혼화재 혼합률 추정시험법 개발

- 향후 기술전개를 고려한 합리적 혼합율 기준제시

- 입수검사를 위한 품질관리 항목 선정 및 대처방안 수립

o 혼화재 품질변동이 콘크리트 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강열감량 변동에 따른 공기량 확보위한 방안 강구 등

- 품질관리를 위한 입수검사 기준 및 장치마련

첨 부 : 콘크리트용 광물질 혼화재 잠정지침(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10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8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40
17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2-1_진출입부 역주행 방지 종합 대책 file 효선 2025.01.16 179
17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1_장기 거동 특성을 반영한 비탈면 보강 영구앵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75
17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2_현장 작업여건을 반영한 배수시설 형상 및 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1.16 182
17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3-3_비탈면 현황도 작성을 위한 깎기 비탈면 분할 기준 수립 file 효선 2025.01.16 212
17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1_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PSC 거더 배치간격 검토 file 효선 2025.01.16 203
17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2_GFRP 보강근 잠정 설계·시공지침 제정 file 효선 2025.01.16 277
17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3_고로슬래그를 활용한 콘크리트 내염성 강화 방안 file 효선 2025.01.16 181
17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4_조합형 방호울타리 개선사항 반영 file 효선 2025.01.16 156
17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5_프리팹 부재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원형 기둥 규격 표준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148
17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6_개착식 구조물 분류기준 정립 file 효선 2025.01.16 164
17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7_교량접속부 가드레일 안전계단 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1.16 229
17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4-8_구조물 균열 저감을 위한 매스콘크리트 품질관리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5.01.16 223
17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1_주행쾌적성 및 장수명 확보를 위한 고속도로 포장형식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22
17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2_결빙방지재 혼입 포장 설계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1.16 243
17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3_재포장공사 내구수명 향상 계획 file 효선 2025.01.15 226
17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5-4_배수성(저소음)포장 품질향상 종합대책 수정사항 file 효선 2025.01.15 268
17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1_안전을 고려한 터널 부대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70
17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6-2_제트팬 경량화 및 설치방법 개선 file 효선 2025.01.15 252
17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1_강재시설물 염해 내구성 강화방안 file 효선 2025.01.15 220
17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3년_7-2_터널 진입차단시설 개선 적용 방안 file 효선 2025.01.15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