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15_고속도로 표지체계 개선 추진계획
2024.03.29 11:26
429
8-15 고속도로 표지체계 개선 추진계획
교 통 처-2109
(2010. 5. 14)
Ⅰ. 개 요
□ 추진 배경
ㅇ 「고속국도 표지 제작․설치 지침」제정(2010.5.3, 국토부)
- 출구정보 안내중심으로 전환하고 표지문안 재배치
□ 추진경위
ㅇ 2008. 01 : 도로표지 종합개선 연구 추진방안 보고(도교원→사장)
* 대한교통학회와 공동 연구 용역 시행(2008-2009)
ㅇ 2009. 12 : 방향안내표지 개선안 추진계획 방침수립(도교원)
* 시험시공, 이용객 설문조사, 전문가 평가 시행
ㅇ 2010. 3~4월: 공청회 개최, 전문가 자문회의 2회
ㅇ 2010. 3. 4 : 시험설치 및 설문조사(안산․서안산나들목, 서창분기점)
ㅇ 2010. 4.16 : 고속도로 표지 제작․설치 지침(안) 제출(도공→국토부)
ㅇ 2010. 4.23 : 경부선 오산~양재 시범운영 계획수립
* 국토부 도로운영과-1496(2010. 4.16) : 시범운영 지시
ㅇ 2010. 5. 3 : 고속국도 표지설치․제작 지침 제정(국토부)
ㅇ 2010. 5.13 : 경부선 시행 통보(국토부 도로운영과-1946호)
430
Ⅱ. 도로표지체계 현실태
□ 표지관련 민원 지속적으로 증가
ㅇ 목적지를 계속적으로 안내 요구, 직진방향 안내 단절 발생
ㅇ 지자체 등에서 해당지역 안내 요구 증가(→ 안내정보 과다 원인)
⇒ 격자형 고속도로망 체계에서 목적지 중심의 방향안내 한계
§ 고객 Needs 조사결과
․운전자 안전의식 제고(31.5%)
․표지판 개선(27.8%)
<조사 : 2007.12 코리아리서치>
□ 고령 운전자에 대한 배려 요구됨
ㅇ 고령운전자 증가 및 교통사고 건수 증가
- 65세 이상 고령운전자가 10년 후에는 2배 이상 증가될 전망
- 고령운전자의 주된 사고원인은 도로표지에 대한 인지 및 반응 속도가 낮고 순발력이 떨어지는데 기인함
§ 고령운전자 추이 및 전망
(65세 이상 운전면허 소지자)
․2005년 : 87.5만명
․2010년 : 106.2만명
․2020년 : 233.0만명
<출처 :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431
□ 목적지 지명안내 정보량 과다
ㅇ 나들목 또는 분기점에서 직진정보를 불필요하게 많이 전달하여 가장 중요한 정보인 출구지명에 대한 인지성 저하
〈직진방향〉〈출구방향〉
□ 안내문안 많아 표지판 판독 어려움
ㅇ 안내문안에 대한 밀도가 높아 여백부족으로 운전자가 문안에
시선을 집중할 수 없어 판독성이 저하
〈여백률이 낮은 국내표지〉〈여백률을 높인 미국의 표지〉
□ 한글․영문 혼합배치로 표지판독 저하
ㅇ 한글과 영문이 위 아래로 교차 배치되어 있어, 국문 및 영문
이용자 모두에게 판독성 저하
432
Ⅲ. 외국 실태
□ 외국의 표지체계
ㅇ 미국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출구방향 중심의 표지체계로 운영
- 4단계 출구안내 실시하고 직진방향 안내 미실시
※ 국내․외 표지체계 비교 (나들목)
433
Ⅳ. 표지체계 개선내용
□ 직진정보에서 출구정보 안내중심으로 전환
ㅇ 나들목(분기점) 2km와 1km 전방에서 제공하던 직진방향 지명 삭제
- 출구방향의 지명만을 안내하여 운전자가 출구지점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개선
▷ 개 선(안)
〈현재 : 직진+출구안내, 문형식〉〈개선 : 출구안내, 내민식〉
- 직진정보는 10km 마다 설치되는 이정표지판을 통해 일괄적으로 제공하여 정보간소화를 도모
□ 글자체의 가독성 향상
ㅇ ‘고딕체’에서 도로표지 전용체로 개발된 ‘한길체’로 전환
* 한길체는 지식경제부에서 도로안내표지판 서체로 개발(2008년)
* 한길체 특징 : 기존 고딕체에 비해 글씨체의 뭉침현상을 방지하여 가독성 향상되고 판독거리 개선
434
□ 차로지정표지 신설(분기점)
ㅇ 본선과 출구의 차로별 방향을 지정하여 운전자가 주행하고자 하는 차로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개선
▷ 개 선(안)
□ 노선번호의 위상 제고 및 국문․영문 가독성 제고
ㅇ 노선번호를 화살표에서 분리 및 지명 좌측에 배치하여 정보
제공의 우선순위를 지명보다 상위에 둠
* 현재 노선번호는 화살표 위(on-the-way) 또는 지명 우측에 배치되어 지명안내의 보조적 정보로만 활용되고 있음
ㅇ 국문과 영문을 각각 분리 배치함으로써 판독 편리성 향상
▷ 개 선(안)
〈현 재〉〈개 선〉
435
□ 설문조사 결과
ㅇ 도로표지체계 변경안에 대하여 약 65%가 찬성
* 전문가 151명 중 64.9%, 일반인 1,000명중 64% 찬성
- 조사기간 : 2010. 4. 7~16(10일간) / 「리서치21」수행
- 조사방법
구 분 |
인터넷 설문조사 |
면담조사 |
||
전문가 |
일반인 |
전문가 |
외국인 |
|
방 법 |
대한교통학회 회원 이메일 |
온라인 패널 활용 |
현장실사 후 설문지 |
면접조사 |
인 원 |
151명 |
1,000명 |
42명 |
30명 |
- 세부 조사내용
조사대상 |
조사항목 |
조사결과(%) |
|
대한교통 학회 |
① 표지체계 변경 찬반 |
찬성(64.9) |
반대(21.2) |
② 노선번호 좌측배치 |
찬성(76.8) |
반대(12.6) |
|
③ 국문영문 좌우배치 |
찬성(76.2) |
반대(11.3) |
|
④ 방위표시 필요성 |
필요(61.6) |
불필요(31.1) |
|
일반인 |
① 표지체계 변경 찬반 |
찬성(64.0) |
반대(20.2) |
② 노선번호 좌측배치 |
찬성(68.9) |
반대(12.5) |
|
③ 국문영문 좌우배치 |
찬성(80.2) |
반대(8.1) |
|
④ 방위표시 필요성 |
필요(58.4) |
불필요(24.9) |
|
도공직원 관련업체 |
① 1, 2km 안내문안 만족도 |
서창↗(80.9) |
서안산(64.2) |
② 직진정보 삭제 |
적절(40.5) |
부적절(38.1) |
|
③ 500m 표지 필요성 |
필요(90.4) |
불필요(4.8) |
|
④ 150m 표지크기(세로) 선호도 |
2.0m(7.1) |
2.8m(88.1) |
|
⑤ 150m, 0m 설치간격 |
적절(73.9) |
부적절(14.3) |
|
⑥ 0m 차로지정형 표지 만족도 |
적절(78.6) |
부적절(9.6) |
|
외국인 |
① 표지체계 변경 찬반 |
찬성(56.3) |
반대(12.5) |
② 노선번호 좌측배치 |
찬성(71.9) |
반대(15.7) |
|
③ 국문영문 좌우배치 |
찬성(68.7) |
반대(12.6) |
|
④ 방위표시 필요성 |
필요(65.7) |
불필요(25.1) |
436
□ 개 선(안)
ㅇ 나들목
437
ㅇ 분기점
438
Ⅴ. 추진 계획
□ 新표지체계 적용방안
◈ 본선상의 방향, 이정표지 : 新표지지침 적용(공용, 신설노선)
◈ 이외 표지 : 신 지침과 연계하여 별도 방침수립․시행(신설노선)
ㅇ 공용중인 노선
- G20정상회의 대비 경부선 표지개량 우선 추진(2010. 10월 완료)
- 2011년 이후 수도권 연결 주요 노선부터 표지개량 추진
※ 결로발생 교차로는 결로방지시설 적용(교통처-4118, 2006.10.27)
《표지판 교체 소요예산》
◇ 전노선 전면교체(30개노선, 3,496km) : 1,100억원
- 경부선(416km) : 140억원
《경부선 표지교체 일정》
◇ 5. 1~6. 20 : 경부선 오산~양재 표지개량(수도권 건설사업단)
* 양재~기흥간 확장사업에 포함 시행
◇ 5~10월말 : 경부선 부산~오산 표지개량 추진
* 설계(5월) → 지역본부별 발주(6.1) → 공사착수(7.1)
◇ 6. 20~30 : 오산~양재구간 설문조사(도로교통연구원)
※ 경부선(부산-오산) 본부별 소요예산 : 붙임 #1
ㅇ 설계․건설중인 노선 : 새로 제정된 지침 반영
- 단, 공사추진 일정상 새로운 표지체계 반영이 곤란한 경우 종전 규칙 적용(공사 주관부서 판단, 교통처 협의)
439
□ 연도별 표지개량 계획(공용노선)
구 분 |
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이후 |
예 산 (억원) |
1,100 |
140 |
165 |
219 |
576 |
대상구간 |
30개 노선 |
경부선 |
서울외곽선 서해안선 |
중부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
잔여노선 |
□ 홍보 방안
ㅇ 홈페이지 및 교통방송, 도로전광판 홍보(5월~)
ㅇ 리플릿 10만부 제작, 배포(6월)
ㅇ 보도자료 배포(6월)
□ 기 타
ㅇ 2010년 기 배정된 표지관련 예산 조정(도로개량-안전시설)
사업명 |
소요예산(백만원) |
비 고 |
|
당초 |
변경 |
||
계 |
3,813 |
1,440 |
(▵ 2,373) |
비정규표지 정비 |
990 |
990 |
방침수립 예정 |
안내지명 연계성 정비 |
320 |
- |
*사유: 신 표지체계 적용시 사업 중복 |
이슬맺힘 방지시설 설치 |
599 |
- |
|
방향표지규격 개량 |
1,292 |
- |
|
방향표지문안 개량 |
162 |
- |
|
노선표지 설치 |
60 |
60 |
사업 미 중복 |
종합휴게소 안내표지 개량 |
64 |
64 |
“ |
차로지정표지 개량 |
21 |
21 |
“ |
운행제한차량 공고표지 개량 |
132 |
132 |
“ |
제한최고속도 계몽표지 설치 |
173 |
173 |
“ |
ㅇ 설문조사, 홍보물제작․배포 등(도로개량사업비)
- 소요예산 : 42,000천원(산출근거 붙임 #2)
440
Ⅵ. 행정 사항
□ 고속도로 표지관련 예산 확보 및 조정(기획처)
ㅇ 新표지체계 적용 연도별 소요예산 확보, 반영
- 2010년(140억원) → 2011년 이후(960억원)
ㅇ 2010년 기 배정된 표지관련 예산 조정
- 당초 : 38.1억원 → 변경 : 14.4억원 (▵ 23.7억원)
□ 경부선 표지개량 사업 추진(해당 지역본부)
ㅇ 2010. 10월말 완료목표로 사업계획 수립, 추진
- 7. 1 공사착공이 가능토록 조사, 설계, 발주 사전 추진
ㅇ 확장사업 예정 구간은 사업시기 등을 판단, 시행여부 결정
* 옥천~영동(2공구 미착공), 영천~언양(타당성 재조사중, 7월 완료)
□ 설계, 건설 및 시설개량 공사에 新표지체계 적용
(설계처, 건설관리처, 도로처, 지역본부)
ㅇ 新지침 적용이 불가한 경우 교통처와 사전협의
□ 설문조사 시행 및 세부지침(안) 작성(도로교통연구원)
ㅇ 설문조사
- 경부선(오산-양재) 표지개선에 대한 이용자 반응평가(6월)
ㅇ 新지침과 연계한 고속도로 표지 세부지침(안) 작성(5월중순)
- 방향 및 이정표지 외 경계, 노선, 기타표지에 관한 사항
- 다양한 형태의 출입시설별 설치기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