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14_차선도색 잠정기준(안)
2024.03.29 11:52
410
8-14 차선도색 잠정기준(안)
교 통 처-1285
(2010. 3. 24)
Ⅰ 검토목적
○ 야간 운전자에게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핵심요소인 도로차선의
시인성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켜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환경 조성
- 도로차선의 반사성능 기준을 상향 조정하고, 야간 우천 시에 대비한
시인성 향상방안 강구
※ 이와 관련 ‘차선재료 품질기준 및 유지관리 개선연구’ 수행
(도로교통연구원, 2008~2009)
Ⅱ 현황 및 문제점
1. 현 황
차선도색 기준(재료적 측면) 변천 내용
○ 1997.01.20 : 특수차선(테이프, 2액형, 융착식) 실용화
○ 2001.05.24 : 차로당 일교통량에 따른 도색재료 적용
- 1만대 미만은 일반차선, 1만대 이상은 특수차선 적용
○ 2001.11.12 : 유지보수공사 페인트 수량 잠정 조정
- 상온형(0.31→0.24ℓ/㎡), 가열형(0.42→0.36ℓ/㎡)
○ 2003.12.31 : 구분선 시행주기 조정 (2회/년→1회/년, 내마모형 적용)
○ 2005.12.13 : 도색시기 및 하자검사 정례화, 휘도 측정기준 수립
- 도색시기 : 매년 3~4월, 하자검사 : 매년 11월 중
현행 차선재료 적용기준
가. 관리기준
1) 교통사고 취약구간 및 우천시 시인성이 요구되는 구간은 차선의 기본 기능 외 부가기능*을 가진 차선도색재료 적용 가능
* 돌출형 차선 및 수막방지형 차선재료 등
411
2) 제설작업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마모가 발생한 구간은 일반 차선으로 시인성 확보
3) 가로등과 같은 조명시설 등이 구비되어 있는 휴게소 광장부 (주차구획선 등)의 차선도색은 시인성보다는 경제성 측면에서 상온형 도색재료를 사용
4) IC, JCT, 영업소 부분은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고 본선에 비해 통행량이 적으므로 본선교통량 기준에 따라 가열형 및 상온형 도색재료를 사용 (단, 가․감속차선은 내마모형으로 시행)
구 분 |
A등급 |
S등급 |
비고 |
|
적용 도색재 |
중앙선, 갓길선 |
상온형 |
가열형 |
|
구분선 |
가열형 |
내마모형 |
||
버스전용차선 |
가열형 |
내마모형 |
||
휴게소 광장부 |
상온형 |
|||
노면문자, 기호 |
일반 융착식 |
|||
▪가․감속차선 ▪ 본선영업소 |
내마모형 |
|||
휘도 관리 기준 |
백색 |
▪ 준 공 시 : 150 mcd/lx․㎡ 이상 ▪ 하자검사시 : 110 mcd/lx․㎡ 이상 |
|
|
황색 |
▪ 준 공 시 : 110 mcd/lx․㎡ 이상 ▪ 하자검사시 : 90 mcd/lx․㎡ 이상 |
|||
청색 |
▪ 준 공 시 : 90 mcd/lx․㎡ 이상 ▪ 하자검사시 : 70 mcd/lx․㎡ 이상 |
|||
노면문자 |
▪ 준 공 시 : 90 mcd/lx․㎡ 이상 ▪ 하자검사시 : 70 mcd/lx․㎡ 이상 |
|||
도색시기(주기) |
매년 3~4월 완료(최대 연 1회) [도색재료별 내구연한 고려] |
|
||
하자 검사시기 |
매년 11월 |
|
※ 내마모형 : 실내마모시험 통과재료
- 종류 : 가열형(변성아크릴), 수용성 사용 중
A 등 급 : 차로별 일교통량 10,000대 미만
S 등 급 : 차로별 일교통량 10,000대 이상
412
나. 교통량 등급 결정기준
해당 노선의 주행특성(고속도로 평균 중차량 비율 상회구간 등)이
일반적인 기준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실측된 차로별
일교통량을 10%까지 증대시켜 적용 가능
2. 문제점
차선재료에 대한 KS규격 및 환경관련법 개정사항 미반영
가. KS규격 개정(2006. 6. 1)
현행 지침 |
KS규격 개정 (KS M 6080) |
비 고 |
상온형(KS M 5322) 가열형(KS M 5336) 수용성(KS M 5340) |
1종(상온형) 2종(수용성) 3종(가열형) 4종(융착식) |
※도로표지용 도료 규격을'KS M 6080'으로 통합(2006. 6. 1) |
나. 휘발성유기화합물(VOC) 함유기준을 법으로 규제
-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도로차선 도료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함유기준’이 2010.1.1부터 새롭게 발효
< 시행규칙 제 39조 : VOC 함유기준(g/L) >
- 수성페인트(2종) : 200이하, 유성페인트(1종,3종) : 450이하
차선 시인성 향상에 대한 고객요구 증대
가. 고객니즈 조사(2007)
- 차선, 표지판 시설 미흡(12.7%)
나. 고속도로 건설관련 인식조사(건설계획처, 2008)
- 차선 시인성개선 희망(야간, 우천)
413
다. 현행 고속도로 휘도기준이 선진국 대비 약1/2수준에 그침
◈ 국내ㆍ외 차선도색 재귀반사 성능기준 (단위 : mcd/㎡/lux)
구분 |
국 내 |
미국(ASTM) |
유럽(CEN) |
|
경찰청 |
도공(고속도로) |
|||
백색 |
130 |
150 |
250 |
100~300 |
황색 |
90 |
110 |
175 |
80~200 |
※ 서울시는 2010년부터 휘도기준 상향 : 130→240 mcd/㎡/lux
야간 우천시 차선의 시인성 불량으로 교통사고 위험 증가
○ 빗물의 수막현상으로 그라스비드 재귀반사 기능 상실
[건조상태에서 그라스비드 빛의 반사] [수막에 의한 빛의 전반사]
☞ 현재 국내는 우천시 시인성에 대한 기준이 없어 관련대책이 요구됨
Ⅲ 연구결과
1. 연구개요
○ 과 제 명 : 차선재료 품질기준 및 유지관리 개선연구
○ 연구기간 : 2008.1 ~ 2009.12 (2년간)
○ 연 구 진 : 도로교통연구원
414
2. 주요 연구결과
가. 준공 휘도기준 상향 (단위 : mcd/㎡․Lux)
구 분 |
준공검사 |
하자검사 (최소요구 성능) |
비 고 |
||
현행 |
변경 |
현행 |
변경 |
||
백 색 |
150 이상 |
250 이상 |
110 이상 |
110 이상 |
※ 재도색 시기 : 하자검사 기준 이하 |
황 색 |
110 이상 |
175 이상 |
90 이상 |
90 이상 |
|
청 색 |
90 이상 |
100 이상 |
70 이상 |
70 이상 |
※ 차선 반사성능 측정방법 및 시기 : [별지 1]
나. 야간 우천시 시인성 기준 신설
구 분 |
재귀반사도 (mcd/㎡․Lux) |
비 고 |
|
시공 초기 |
우천시 |
||
백 색 |
250 이상 |
175 이상 |
※ 우천시 측정값은 Wet Recovery 시험으로 측정 |
황 색 |
175 이상 |
123 이상 |
다. 시인성 확보방안
구 분 |
사용재료 |
사용방법 |
|
현 행 |
일반 그라스비드 (굴절율 1.5~1.9) |
일반형 100 vol%사용 |
|
개선 |
야간 시인성 |
고굴절율 비드 혼합 (굴절율 1.9이상) |
30 vol% 이상 혼합사용 |
우천시 시인성 |
우천형 비드 혼합 |
40 vol% 이상 혼합사용 |
415
Ⅳ 연구결과 적용검토
1. 야간 시인성 향상 적용 검토
연구결과 적용시 공사비
○ 시인성 확보방안 : 일반 그라스비드를 사용하는 상온형, 가열형
재료에 고굴절 그라스비드 30 vol% 혼합사용
○ 공사비 증감
구분 |
단가(원/㎡) |
공사비(억원) |
||
현행 |
개선 |
증감 |
||
그라스비드 (일반→고굴절) |
상온형: 1,700 → 6,000 가열형: 2,500 → 9,400 |
130 |
319 |
189 |
현행 차선재료의 휘도결과 분석(2009년 준공검사 결과)
○ 백색
○ 황색
416
○ 청색
○ 분석결과
- 현행 차선의 휘도기준 값이 실시공 값에 비하여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됨
- 휘도기준 값을 상향하여도 현 차선 재료로도 야간시인성 성능이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다만, 일부구간에서 변경기준 값에 미달되므로 휘도기준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함.
적용방안
○ 준공검사시 차선 휘도기준은 현실에 맞추어 잠정 상향 조정하고,
품질확보 방안 수립 시까지 준공검사는 종전 기준 적용
○ 2010년 차선도색 시행결과를 분석, 차선 휘도관리 기준 최종확정
2. 야간 우천시 시인성 향상 적용검토
연구결과 적용시 공사비 검토
○ 야간시인성 확보방안 : 우천형 비드 40 vol% 혼합사용
○ 적용재료 : 시험시공 재료(페인트, 고성능융착식, 상온경화형)
417
○ 공사비 검토
공법 |
페인트(내마모형) |
고성능융착식 |
상온경화형 |
|
내구연한 |
1년 |
2~4년 |
3년 |
|
장단점 |
-공사비 상대적 낮음 -우천시 성능 다소 낮음 -내구성 낮음 -교통차단 많음 |
-공사비 고가 -우천시 성능 높음 -내구성 우수 -제설작업에 취약 -교통차단 최소화 |
-공사비 가장 고가 -우천시 성능 가장 높음 -내구성 우수 -제설작업에 취약 -교통차단 최소화 |
|
단가(원/㎡) |
16,500 |
38,900 |
53,500 |
|
공사비(억원) |
전체차선 |
542(증 412) |
1,274(증 1,144) |
1,754(증 1,624) |
구분선 (6차로이상) |
165(증 35) |
248(증 118) |
311(증 181) |
|
내구성고려 (억원) |
전체차선 |
542(증 412) |
425(증 295) |
585(증 455) |
구분선 (6차로이상) |
165(증 35) |
151(증 21) |
172(증 42) |
※ 2010 차선도색 공사 예산 : 130억원
※ 6차로 이상구간 : 818km (23.4%) / 전체노선 3,496km
검토내용
○ 전구간 전체차선 적용시 공사비 과다 소요됨으로,
○ 야간 우천시 시인성이 요구되는 1개 노선에 대하여 우선 적용하고,
○ 교통사고 상관관계 분석 등 효과검증 후 점진적으로 확대 시행
적용방안
○ 대상노선 : 경부선 신갈분기점~판교나들목 (L=11.9km)
○ 선정사유 : 교통량이 많은 다차로 구간, 다양한 계층 이용노선
418
○ 공법적용 : 구분선에 우천형 적용(중앙선, 갓길선 : 기존방식)
○ 공사비 증감
지사 |
구 간 |
당 초 |
변 경 |
비 고 |
||
공법 |
공사비 |
우천형 |
공사비 |
|||
계 |
11.9km |
- |
49 |
- |
218 |
수량 : 5,800㎡ |
수원 |
신갈~판교 |
페인트(내마모) |
49 |
페인트(내마모) |
32 |
|
상온경화형 |
108 |
|||||
고성능융착식 |
78 |
Ⅴ 잠정 기준((안))
1. KS규격 및 환경관련법 개정사항 반영
차선재료의 분류
○ KS규격을 포함하여 국내에서 시공되고 있는 모든 차선재료에
대하여 재료적 성질에 따라 분류
○ 분류방안
현 행 |
개 선 |
비 고 |
○ 일반형 - 상온형(KS M 5322) - 가열형(KS M 5336) ○ 내마모형 - 수용성(KS M 5340) - 변성아크릴 - 돌출형(2액형) - 적설형(2액형) |
- 1종(상온형) - 2종(수용성) - 3종(가열형) - 4종(융착식) - 5종(고성능융착식) - 6종(상온경화형) - 7종(차선테이프) |
※현 KS규격에 정하지 않은 5종, 6종, 7종은 KS규격 반영 추진 ※내마모형은 실내마모시험을 통과한 재료 |
※ 차선 재료 및 그라스비드 품질기준 (별지 2)
※ 차선 재료별 특성 비교표 (별표 1)
419
○ 재분류에 따른 차선재료 적용기준
구 분 |
A등급 |
S등급 |
|
적용 재료 |
중앙선, 갓길선 |
1종 |
3종 |
구분선 |
3종 |
1종~3종(내마모형) |
|
버스전용차선 |
3종 |
1종~3종(내마모형) |
|
휴게소 광장부 |
1종 |
||
노면문자, 기호 |
1종~3종(내마모형), 차선테이프 |
||
▪ 가․감속차선 ▪ 본선 영업소 |
1종~3종(내마모형) |
휘발성유기화합물(VOC) 함유량 제한
○ 1종(상온형), 3종(가열형) : 450 g/L 이하
○ 2종(수용성) : 200 g/L 이하
2. 차선도색 휘도기준 상향조정 (단위 : mcd/㎡․Lux)
구 분 |
준공검사 |
하자검사 (최소요구 성능) |
비 고 |
백 색 |
250 이상 |
110 이상 |
※ 재도색 시기 : 하자검사 기준 이하 |
황 색 |
175 이상 |
90 이상 |
|
청 색 |
100 이상 |
70 이상 |
※ 준공검사에 대한 하자처리는 종전기준 적용
3. 야간 우천형 차선도색 휘도기준 신설
구 분 |
준공검사(mcd/㎡․Lux) |
비 고 |
|
야간시인성 |
우천시 |
||
백 색 |
250 이상 |
175 이상 |
※ 우천시 측정값은 Wet Recovery 시험으로 측정 |
황 색 |
175 이상 |
123 이상 |
420
4. 차선재료 품질관리
차선재료의 호환성 검토기준
[ 도로교통연구원 연구기획팀-1604(2009.12.30), 기술검토서 참고]
구 분 |
차선재료별 적용방안 |
||
신설구간 (콘크리트 포장) |
포장면 블라스팅 처리 후 프라이머 도포 |
||
공용구간 |
기존차선 |
적용차선 |
시행기준 |
1종,2종,3종 |
1종,2종,3종 |
-부착성능 검토 불필요 |
|
4종,5종,6종 |
-프라이머 도포 ※부착성능 양호시 생략 가능 |
||
4종,5종,6종 |
1종~6종 |
-프라이머 도포 ※부착성능 양호시 생략 가능 |
|
1종~7종 |
7종 |
-기존차선 제거 후 프라이머 도포 |
|
기존차선 도장상태 불량 |
기존차선 제거 후 프라이머 도포 |
※ 차선재료의 부착성능은 도급자가 제시하여 품질 확보
하자검사 기준
예비검사
-대상: 전노선
-방법: 이동식 측정차량
-회수: 2회/년
⇨
본검사
-대상: 하자발생 예상
지점
-시기: 11월 중
⇨
하자처리
성능미달 구간
재도색
※ 하자검사 세부절차 [별지 3]
○ 차선유지관리시스템(PMMS, Pavement Marking Management
System) 구축
※ PMMS 구축방안 [별지 4]
421
신공법 도입절차 기준
○ 새로운 공법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검증을 위하여 도입절차 기준마련
※ 차선도색 신공법 도입 절차 [별지 5]
5. 잠정기준(안) 적용대상 및 시기
○ 적용대상 : 공용노선 차선도색 공사
※ 신설구간은 설계처-2107호(2008.8.7)방침 적용
○ 적용시기 : 2010년 차선도색 공사부터
Ⅵ 조치사항
1. 야간 우천형 차선도색 시공
○ 대상노선 : 경부선 신갈분기점~판교나들목, 구분선 적용
○ 추가 소요예산 : 1.7억원 (당초 0.5억원 → 변경 2.2억원)
○ 시행시기 : 2010년 차선도색공사
○ 공법적용에 관한 세부사항은 도로교통연구원과 협의
※ 우천형 차선 단가산출서 [별지5]
2. 추진사항
추진내용 | 관련부서 |
о 고속도로 교통노면표시 설치ㆍ관리 매뉴얼 제작(2010) о 야간시인성 최종기준 마련 (2011) |
교통처 |
о 5종~7종 KS규격화 추진 о 차선유지관리시스템(PMMS) 구축 о 하자 예비검사 실시 о 야간 우천형 차선도색 모니터링 (3년간) |
도로교통 연구원 |
422
[별지 2-1]
1. 페인트 품질기준(안)
항 목 |
품질기준(안) |
||||||||||||||||||||||||||
상온형(1종) |
수용성(2종) |
가열형(3종) |
|||||||||||||||||||||||||
용기 내에서의 상태 |
내용물에 딱딱한 덩어리, 이물질이 없어야 하며, 저었을 때 쉽게 균일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
||||||||||||||||||||||||||
불점착 건조성 |
20분 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야 한다. |
10 분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야 한다. |
|||||||||||||||||||||||||
열 안정성 |
- |
시험한 후 변질되거나, 주도가 5 K.U 이상 증가하지 않아야 하며, 내세척 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
용기 내에서의 상태를 만족하고 주도가 141 K.U 이하이어야 한다. |
||||||||||||||||||||||||
도막의 겉모양 |
주름, 얼룩, 부풂, 갈라짐, 점착성 등이 없고 핀홀, 작은 입자 등이 많지 않을 것. |
||||||||||||||||||||||||||
45°, 0°확산 반사율 |
흰색 |
80 이상 |
|||||||||||||||||||||||||
은폐율(%) |
흰색 |
90 이상 |
90 이상 |
97 이상 |
|||||||||||||||||||||||
노란색 |
80 이상 |
80 이상 |
80 이상 |
||||||||||||||||||||||||
파란색 |
90 이상 |
90 이상 |
90 이상 |
||||||||||||||||||||||||
블리딩성 |
아스팔트판 위에 칠했을 때 심한 블리딩이 없어야 한다. |
||||||||||||||||||||||||||
내마모성 |
마모 감량이 100 회전에 대하여 500 mg 이하 |
||||||||||||||||||||||||||
촉진내후성 |
흰색 |
160 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한 후 45°,0° 확산반사율이 70이상이어야 하고 갈라짐, 부풂, 떨어짐 등이 없어야 한다. |
|||||||||||||||||||||||||
노란색 |
160 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한 후 갈라짐, 부풂, 주름, 떨어짐 등이 없고, 색변화는 명도차 6단위를 넘지 않아야 한다. |
||||||||||||||||||||||||||
파란색 |
|||||||||||||||||||||||||||
내수성 |
물에 24시간 침지시켰을 때, 갈라짐, 부풂, 주름, 변색 등이 없어야 한다. |
||||||||||||||||||||||||||
내알카리리성 |
수산화칼슘 포화 용액에 18시간 침지시켰을 때 갈라짐, 부풂, 주름, 변색 등이 없어야 한다. |
||||||||||||||||||||||||||
냉동 안정성 |
- |
주도가 10 K.U 이상 상승 또는 10% 이상의 저하가 없어야 한다. |
- |
||||||||||||||||||||||||
비휘발분(도료 중 %) |
60 이상 |
55 이상 |
65 이상 |
||||||||||||||||||||||||
안료분(도료 중 %) |
40 ~ 60 |
- |
50 이상 |
||||||||||||||||||||||||
내세척성 |
- |
800회 이상 |
- |
||||||||||||||||||||||||
색상 |
흰색 |
KS M 5550의 37875와 큰 차이가 없을 것. |
|||||||||||||||||||||||||
노란색 |
KS M 5550의 33538와 큰 차이가 없을 것. |
||||||||||||||||||||||||||
파란색 |
KS M 5550의 35250와 큰 차이가 없을 것. |
||||||||||||||||||||||||||
납(비휘발분 중 %) |
0.06 이하 |
||||||||||||||||||||||||||
카드뮴(비휘발분 중 %) |
0.01 이하 |
||||||||||||||||||||||||||
휘발성유기화합물함유량 (VOC, g/L) (Low VOC인 경우) |
150 이하 |
||||||||||||||||||||||||||
내마모도시험(20만회) ․재귀반사도 단위 [ mcd/(㎡․lx) ] [150 mcd/(㎡․lx)이상, 흰색 기준] |
- |
|
- |
||||||||||||||||||||||||
비고 1 사용자가 도료에 유리 알을 살포 또는 혼합하고 사용하기 위하여 다음 시험을 요구할 수 있다. a) 유리알 살포 시험 유리알이 도막에 얼룩지지 않고 부착되어야 한다. b) 유리알 고착률 유리알이 90% 이상 고착되어 있어야 한다. c) 혼합 안정성 혼합하여 (20±0.5)℃에서 48시간 방치했을 때, 주도가 120 K.U 이하이어야 한다. 비고 2 사용자가 도료에 유리알을 살포하여 사용할 때에는 KS L 2521 의 3호를 도료 1LDP 800g을 젖은 도막위에 살포하며, 유리알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에는 KS L 2521의 3호를 도료 1L에 500g을 혼합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 KS M 6080:2009 (도로 표지용 도료) 참조
423
[별지 2-2]
2. 일반 융착식 품질기준(안)
항 목 |
품질기준(안) |
|
비 중(20/20℃) |
2.3 이하 |
|
연화점(℃) |
80 이상 |
|
불점착 건조성 |
3분 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야 한다. |
|
도막의 겉모양 |
주름, 얼룩, 부풂, 갈라짐, 떨어짐이 없어야 한다. |
|
황색도 |
흰색 |
0 ~ 0.1 |
45°, 0°확산 반사율 |
흰색 |
75 이상 |
내마모성 |
마모 감량이 100 회전에 대하여 200 mg 이하 |
|
압축 강도(kN/cm2) |
1.100 이상 |
|
내알칼리성 |
수산화칼슘 포화 용액에 18시간 침지시켜도 갈라짐 및 변색이 없어야 한다. |
|
비휘발분(도료 중 %) |
99 이상 |
|
촉진 내후성 |
흰색 |
160 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한 후 45°, 0° 확산 반사율이 70 이상이어야 하고 갈라짐, 부풂, 떨어짐 등이 없어야 한다. |
노란색 |
160 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한 후 갈라짐, 부풂, 떨어짐 등이 없고 색변화는 명도차 6단위를 넘지 않아야 한다. |
|
파란색 |
||
납(비휘발분 %) |
0.06 이하 |
|
카드뮴(비휘발분 %) |
0.01 이하 |
|
비휘발전색제분(도료 중 %) |
20 이상 |
|
색상 |
흰색 |
KS M 5550의 37875와 큰 차이가 없을 것. |
노란색 |
KS M 5550의 33538와 큰 차이가 없을 것. |
|
파란색 |
KS M 5550의 35250와 큰 차이가 없을 것. |
|
열안정성 |
노란색 |
KS M 5550의 33538(노란색) 또는 35250(파란색)과 비교하여 색상 및 도막 겉모양의 차이가 크지 않아야 하며 색 변화는 명도차 5단위를 넘지 않아야 한다. |
파란색 |
||
유리알의 함유량(Wt%) |
1호 |
15 ~ 18 |
2호 |
20 ~ 23 |
|
3호 |
25 이상 |
|
유리알의 겉모양, 모양 |
구형의 입자로서 타원, 예각, 불투명, 이물질 및 입자 간의 융착 등의 결점을 갖는 것의 총계가 20%(개수 %) 이하일 것. |
|
비고 1 유리알은 KS L 2521에 따른 1호(1종 또는 2종)에 해당하는 제품을 사용한다. 비고 2 도료는 교반기가 달린 탱크에 도료를 넣고 국부 가열을 피하면서 도료를 균일 하게 용융 교반하여 시공을 한다. 다만, 노란색과 파란색의 용융 온도는 180℃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여 1시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
※ KS M 6080:2009 (도로 표지용 도료) 참조
424
[별지 2-3]
3. 고성능 융착식 품질기준(안)
항 목 |
품질기준(안) |
||||||||||||||||||||||||||
흰색 |
노란색 |
||||||||||||||||||||||||||
용기내 상태 |
내용물에 딱딱한 덩어리, 이물질이 없어야 하며, 저었을 때 쉽게 균일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
||||||||||||||||||||||||||
색도 (Luminance Factor) |
UV 노화 전 (β) |
0.80 이상 |
0.40 이상 |
||||||||||||||||||||||||
UV 노화 후 (200시간)(Δβ) |
0.05 이하 |
0.05 이하 |
|||||||||||||||||||||||||
블리딩성 |
아스팔트판 위에 칠했을 때 심한 블리딩이 없어야 한다. |
||||||||||||||||||||||||||
내알카리성 |
수산화칼슘 포화 용액에 18시간 침지시켰을 때 갈라짐, 부풂, 주름, 변색 등이 없어야 한다. |
||||||||||||||||||||||||||
색도(좌표) (초기) |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들어올 것. X : 0.355, 0.305, 0.285, 0.335 Y : 0.355, 0.305, 0.325, 0.375 |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들어올 것. X : 0.494, 0.545, 0.465, 0.427 Y : 0.427, 0.455, 0.535, 0.483 |
|||||||||||||||||||||||||
납(비휘발분 중 %) |
0.06 이하 |
||||||||||||||||||||||||||
카드뮴(비휘발분 중 %) |
0.01 이하 |
||||||||||||||||||||||||||
내마모도시험(20만회) [200 mcd/(㎡․lx)이상] |
|
425
[별지 2-4]
4. 상온 경화형 품질기준(안)
항 목 |
품질기준(안) |
|||||||||||||||||||||||||
흰색 |
노란색 |
|||||||||||||||||||||||||
재귀반사도 (입사각 : 88.76°, 관찰각 : 1.05°) |
|
|||||||||||||||||||||||||
미끄럼저항 |
|
|||||||||||||||||||||||||
색도 |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들어올 것. X : 0.355, 0.305, 0.285, 0.335 Y : 0.355, 0.305, 0.325, 0.375 |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들어올 것. X : 0.494, 0.545, 0.465, 0.427 Y : 0.427, 0.455, 0.535, 0.483 |
||||||||||||||||||||||||
치수 |
크랙이 없어야 하며, 가장자리가 일정하며, 직선이고, 깨지지 않아야 한다. |
|||||||||||||||||||||||||
접착강도 |
|
|||||||||||||||||||||||||
내마모도시험(20만회) [300 mcd/(㎡․lx)이상, 흰색 기준] |
|
|||||||||||||||||||||||||
비고 1.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면 시공 시 타이닝 부분이 틈이 발생되므로 공간을 완전히 면처리 후 시공 하여야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음. 비고 2.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면 시공 시 아스팔트 유분 등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 후 시공하여야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음. |
※ ASTM D4505-05 (Standard Specification for Preformed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ing Tape for Extended Service Life) 참조
※ EN 1436 (Road marking materials–Road marking performance for road users,
2007) 참조
427
[별지 2-6]
6. 도로표지용 유리알 품질기준(안)
항 목 |
품질기준(안) |
||
1호 |
2호 |
3호 |
|
비중 |
2.4 이상 |
||
입도 |
표준 망 체 850㎛에 남는 것 0% 850㎛를 통과하고 600㎛에 남는것 5~30% 600㎛를 통과하고 300㎛에 남는것 30~80% 300㎛를 통과하고 106㎛에 남는것 10~40% 106㎛를 통과하는 것 0~5% |
표준 망 체 600㎛에 남는 것 0% 600㎛를 통과하고 300㎛에 남는것 40~90% 150㎛를 통과하는 것 0~5% |
표준 망 체 212㎛에 남는 것 0% 90㎛를 통과하는 것 0~4% |
겉모양 |
구상의 입자로서 타원, 예각, 불투명, 공기혼합물, 이물 및 입자 간의 융착 등의 결점이 있는 것의 총계가 20% 이하일 것 |
||
굴절율 |
1종 : 1.50 이상 1.90 미만, 2종 : 1.90 이상 |
||
내수성 |
0.01N 염산의 소비량이 10mL 이하이고 유리알의 표면에 흐림이 없을 것 |
0.01N 염산의 소비량이 15mL 이하이고 유리알의 표면에 흐림이 없을 것 |
※ KS L 2521:2006 (도로 표지 도료용 유리알) 참조
428
[별지 2-7]
7. 도로표지용 우천형 유리알 품질기준(안)
항 목 |
품질기준(안) |
||||||||
비중 |
2.0 이상 |
||||||||
재귀반사도 (입사각 : 88.76°, 관찰각 : 1.05°) |
|
||||||||
겉모양 |
고굴절율의 유리알을 포함한 구상형태 입자로 타원, 공기혼합물, 이물 등의 결점이 없어야 하며, 페인트와 부착력이 있어야 함 |
※ 재귀반사도와 겉모양은 유리알을 도포한 시험시편으로 측정한다.
※ EN 1436 (Road marking materials–Road marking performance for road users,
2007)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