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6-7_박스형식 교량내부 조명확보 방안
2024.04.12 15:45
202
6-7 박스형식 교량내부 조명확보 방안 구조물처-1271
(2010. 5. 26)
Ⅰ. 검토 배경
□ 박스형식 교량내부 점검용 전력케이블의 잦은 도난사고 발생
□ 도난에 취약한 교량점검등 시설의 기준변경 필요성 증대
Ⅱ. 현황 및 기준
주요 경위
○ 1994. 10 : 성수대교 붕괴
○ 1994. 11 : 교량 유지관리용 시설물설치 지시 [국토해양부]
- Box내부 점검용 조명시설 설치
○ 1995. 5 : 교량 점검용 조명시설 기준 수립 [시설처]
○ 2003. 4 :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 수립 [국토해양부]
- 점검용 조명설비 기준 제시
○ 2009. 2 : 교량 부속시설물 도난방지방안 수립 [구조물처]
- 연장 500m이상 교량 경보시설 설치(222개소)
○ 2009. 4 : 교량점검등 설치기준 개선 [시설처]
- 신설 교량점검등 및 전력케이블 규격 하향
○ 2009. 7 : 도로시설물 도난방지방안 수립 [설계처]
교량점검등 설치현황
○ 전체 현황
구분 |
점검등시설 설치교량 |
비고 |
||
계 |
PSCB |
STB |
||
개교 |
1,200(100%) |
263(22%) |
937(78%) |
|
○ 본부별 현황
구분 |
계 |
경기 |
강원 |
충청 |
호남 |
경북 |
경남 |
개교 |
1,200 |
223 |
175 |
260 |
156 |
218 |
168 |
203
현행 설계기준
○ 교량점검등 시설 설치기준
․ 설치대상 : 연장 50m이상 박스형식 교량 (STB, PSCB)
․ 기준조도 : 10 ~ 15Lx
․ 배선방법 : 케이블 노출시공
※ 연장 50m미만 교량 점검시 이동식 작업등 케이블 이용
○ 전원공급 방법
- 한전 전기공급 : 한전전원 수용시설 또는 싸인카 운행 불가 교량
- 발전기 전원공급 : 그 외 교량
점검 및 관리 기준
○ 점검 기준 및 방법
구 분 |
점검기준 |
점검방법 |
일상점검 |
․500m이상 중요교량 매일 확인 - 유지보수팀장, 안전순찰원 |
․육안점검후 이상시 구조물 담당자에게 즉시 보고 |
정기점검 |
․구조물 정기점검시 병행 |
․체크리스트로 점검 시행 |
특별점검 |
․지사 구조물담당자 전교량 확인 - 매월1회 첫째주 |
․체크리스트로 점검 시행 |
○ 손망실 보고체계
- 보고기준 : 동일구간에서 발생한 도난시설의 금액 또는 재설치
비용이 1,000만원 초과시 (발견시점부터 1일 이내)
- 보고절차 : 지사장 → 지역본부장 → 본사 주관부서의 장 → 감사
○ 경보시설 설치기준
- 설치대상 : 연장 500m이상 박스형식 교량
- 설치방법 : 교량 점검문에 부착(도어감지기, 경보음 70~80dB이상)
204
Ⅲ. 현실태 및 문제점
전력케이블의 잦은 도난사고 발생
○ 최근 3년간 전력케이블 도난사고 22건 발생(피해액 : 약 3.2억원)
○ 도난사고는 연장 440m이상 박스형식 교량에서 발생
○ 개통후 3년 이내인 신설교량에서 사고 발생율이 높음(59%)
2001~2003년
(2건, 9%)
2000년 이전
(4건, 18%)
2007년 이후
(13건, 59%)
2004~2006년
(3건, 14%)
600~800m
(59백만원, 18%)
400~600m
(98백만원, 31%)
1,000m 이상
(87백만원, 27%)
800~1,000m
(75백만원, 24%)
준공년도별 도난건수 (22건) 피해금액 (319백만원)
발전기 전원공급방식 활용 기피
○ 점검업무보다 차량배차, 도난여부 확인 등 부가업무 처리 과중
○ 교통혼잡구간은 차단 불가로 발전기장착 차량 노선배치 애로
○ 공용차량에 발전기를 장착하므로 장기 점검용 배차는 곤란
싸인카 배치로 교통혼잡 유발 휴대용 조명등에 의한 점검
교량점검등시설 관리체계 미흡
○ 전력케이블이 노출시공으로 배선되어 절취 용이
○ 커터기 절단 등으로 시건장치만으로 도난 대응에는 한계
○ 점검인원 부족으로 도난발생 여부 일상점검 곤란 → 원격감지 필요
205
Ⅳ. 개선 방안
신설교량 점검용 조명시설 변경으로 도난 예방
○ 교량 점검용 조명확보 방법 개선
구 분 현 행 개 선
조명확보
방법
교량점검등 시설 사용 휴대용 조명장비 사용
장․단점
․조도 확보로 점검효율성 증대
․발전기 전원공급식 사용불편
․도난발생 등 유지관리 애로
․이용율에 비해 예산과다 소요
․조명 확보로 교량점검 용이
․헤드램프여서 사용 간편
․점검등 미설치로 예산절감
․도난사고 예방에 유리
소요예산
(천원)
3,406,000
(공사중 138개교 기준)
57,000
(300천원/set, 190set 기준)
의 견
․고성능 휴대용 조명장비는 조도 확보가 가능하고 사용이
간편하여 교량점검용 조명시설로 적정할 것으로 판단
※적용사례 : 영동선 소래교, 서울시 한강교량 점검시 활용 (붙임#1)
☞ 2010년 준공노선 교량부터 적용 (붙임#2)
○ 휴대용 조명장비 비치기준
구 분 |
계 |
본사 |
본부 |
지사 |
|||
기준 |
수량 |
기준 |
수량 |
기준 |
수량 |
||
헤드램프(20W) |
190ea |
- |
10 |
5 |
30 |
3 |
150 |
니켈수소전지(12V) |
380ea |
- |
20 |
10 |
60 |
6 |
300 |
충전기 |
95ea |
- |
5 |
2.5 |
15 |
1.5 |
75 |
※ 조명장비 1set : 안전모 탈부착식 램프(1ea), 전지(2ea), 충전기(0.5ea)
○ 휴대용 조명장비 확보방안
- 2010년 지역본부별 자체구매 (190set)
- 소요예산 : 57,000천원 (예산과목 : 도로관리사업비-도로보수비)
206
기존교량 방범기능 강화
○ 교량내부 전력케이블 도난방지 방안
구 분
비교1안
(SMS 방범시스템 구축)
비교2안
(전력케이블 매각)
개 요
교량내부 무단침입시 센서
자동감지로 문자메세지 송출
박스형식 교량내부 전력케이블
전량 철거
개 념 도
사장방침
이사회의결
불용검토
매각공고
입찰
계약
장․단점
․외부인 침입시 초기대응 가능
․점검문 개폐 상시확인 용이
․광케이블 회선배당 불필요
․통신비용 발생(7천원/월)
․자재 철거로 도난 미발생
․점검자 불안감으로 점검기피 예상
․취득원가 고려시 재무적 손실
발생으로 매각근거 부족
․매각처리 비용 발생 (붙임#3)
소요예산
(천원)
187,000
(2,200천원/개교)
67,000
(매각 비용)
의 견
․점검자의 심리상 교량점검등시설 활용이 가장 바람직하며,
․전력케이블 매각은 도로자산의 재무손실이 발생되므로
비교1안의『SMS 방범시스템』구축(안)이 전력케이블
도난사고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
※ 적용사례 : 중앙선 대동낙동강교 등 7개소 적용
○ SMS 방범시스템 적용대상 선정
- 선정시 고려사항
최근 3년이내 개통된 교량(400m이상), 연장 1km이상 교량
- 본부별 적용대상 교량현황 (붙임#4)
구분 |
계 |
경기 |
강원 |
충청 |
호남 |
경북 |
경남 |
개교 |
85 (민자노선 14개교 포함) |
23 |
8 |
25 |
7 |
10 |
12 |
※ 대상외 교량(400m이상)중 방범시스템 필요시 기관별 계획 수립후 시행
207
○ SMS 방범시스템 구축 및 유지관리
- 시행방법 : 업무의 전문성 고려 ITS처 통합 시행
- 적용시기 : 2010년
- 소요예산 : 187,000천원 (예산과목 : 도로개량-교차로․교량)
교량점검등시설 관리체계 확립
○ 교량 점검 및 관리기준 보완
- 점검기준 개정
․일상점검(500m이상 교량)
․특별점검
⋄대 상 : 전교량
⋄주 기 : 1회/월(첫째주)
⋄점검자 : 구조물담당자
당 초
․상시 시스템 관리
․정기점검시 포함 시행
⋄대 상 : 전교량
⋄주 기 : 1회/6개월
⋄점검자 : 구조물담당자
변 경
- 시건장치 설치기준 수립
‣자물쇠 형식 : 열쇠형 (컷팅되지 않는 제품)
‣자물쇠 걸고리 : 용접 또는 앵커 처리
○ 도난 전력케이블 사후 조치
- 회수 불가시 불용처리 검토
조치(협조) 사항
○ 설계중인 노선 : 교량점검용 전기기반시설 삭제
○ 설계완료후 미발주 노선 : 착공전 보완설계 시행
○ 시공중인 노선 : 교량점검등시설(전기기반시설 포함) 삭제
(기발주 현장은 현장여건 감안하여 조치)
208
Ⅴ. 향후 추진계획
□ 2010. 7월 : 현장 합동조사 시행 (구조물처, ITS처, 본부, 지사)
□ 2010. 9월 : 설계 및 시스템 구축 (ITS처)
~12월
붙임 : 1. 점검용 조명장비 성능조사 결과
2. 2010년 준공노선 박스형식 교량현황
3. 전력케이블 처리현황
4. 방범시스템 설치대상 교량현황
5. 연장 400m이상 박스형식 교량현황
6. 건설중인 박스형식 교량현황
209
붙임#1
박스형식 교량내부
점검용 조명장비 성능조사 결과
□ 목 적
박스형 교량내부 점검용 전력케이블의 잦은 도난사고 발생에 따라
교량점검등시설 대체가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비 개발
※ 교량점검등시설 설치기준
- 설치대상 : 연장 50m이상 박스형식 교량(STB, PSCB)
- 기준조도 : 10 ~ 15Lx
□ 조사개요
○ 일 시 : 2010.04.19(월) 16:00~18:00
○ 장 소 : 영동선 4.22k 소래교 (연장 355m, STB, 1994년)
○ 조사자 : 구조물점검차장 등 4명 (군포지사 2명)
□ 현장조사 결과
○ 교량 점검등이 켜진 상태에서 조도측정 결과, 점검등 주변은
기준조도를 만족하나, 2.5m 이격시 조도는 3Lx이하로 급감함
○ 헤드램프(LED)는 안전모 탈부착형으로 사용이 간편하고 최대
4시간까지 사용 가능하며, 비교장비중 조도가 가장 우수함
※ 조명장비별 조도측정 결과
구분 |
조도 (Lx) |
비고 |
|
최고 |
최저 |
||
교량 점검등 |
15.0 |
2.8 |
|
헤드램프(LED) |
21.0 |
7.4 |
|
휴대용 서치라이트 |
6.8 |
3.3 |
기준조도 미달 |
□ 검토의견
헤드램프 조명장비 성능조사 결과, 박스형식 교량내부에서 조명
확보는 가능하고 사용성도 우수한 것으로 판단됨
210
붙임#3
전력케이블 처리 현황
□ 전력케이블 처리비용
(단위 : 백만원)
본부 |
교량수 (개교) |
설치비 |
철거비(①) |
고철값(②) |
처리비용 (①-②) |
비고 |
계 |
1,200 |
40,111 |
2,128 |
2,061 |
67 |
설치비 : 현 취득가 기준 |
경기 |
223 |
10,122 |
510 |
612 |
-102 |
|
강원 |
175 |
4,716 |
261 |
183 |
78 |
|
충청 |
260 |
8,417 |
490 |
474 |
16 |
|
호남 |
156 |
4,239 |
230 |
202 |
28 |
|
경북 |
218 |
6,780 |
343 |
275 |
68 |
|
경남 |
168 |
5,837 |
294 |
315 |
-21 |
|
□ 처리비용 산출근거
o 설치비
- 추정공사비 산정식 =
박스형 교량연장 × 거더열수
× 221천원
10(PSCB) 또는 5(STB)
※ 교량점검용 조명등 설치 시행 (시전13310-98호, 1995.05.10)
※ 2009년 전기시설물 추정공사비 산정기준 수립(시설처1325호, 2009.4.3)
o 철거비 : 2천원/m (운반비 포함)
o 고철값 : 3천원/kg (0.6/1kV F-CV 3심 기준)
구분 |
교장별 케이블 제원 |
|||||
100m이하 |
100~250 |
250~500 |
500~750 |
750~1,000 |
1,00m이상 |
|
공칭단면적 (㎟) |
6 |
10 |
16 |
25 |
35 |
50 |
단위중량 (kg/m) |
0.16 |
0.267 |
0.427 |
0.667 |
0.934 |
1.335 |
※ 단위중량 산정 : 공칭단면적(㎟) × 8.9(비중) × 3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