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6-3_PSC빔 계열 교량 중간격벽 개선
2024.04.12 16:11
181
6-3 PSC빔 계열 교량 중간격벽 개선 설 계 처-4558
(2010. 10. 7)
Ⅰ 검토 배경
o 경간장 40m이상 PSC빔 계열 거더교의 중간 가로보로 3개소
설치하고 있으나 시공성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 개소수를
검토코자 함
Ⅱ 추진 경위
o 2000. 12. : PSC Beam교 가로보 간격 검토
- 25m, 30m 표준빔 가로보 경간당 3개소 설치
o 2004. 2. : PSC Beam교 중간부 Diaphragm 설치 기준
- 35m PSC Beam교 Diaphragm 경간당 3개소 설치
o 2007. 6. : PSC 및 IPC BEAM교 중간부 조립식 강재 격벽 적용 검토
- PSC BEAM(35m) : 중간부 격벽 조립식 강재로 변경
- IPC BEAM(45m) : 중간부 격벽 조립식 강재로 변경
Ⅲ 관련기준 및 설계현황
□ 관련 기준
o 도로교 설계기준 4.2.2.8 격벽
- T형 거더에는 중간격벽을 1경간에 1개소 이상 또는 15m이
하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그러나 격벽은 실험이나 구조해석에 의해 충분한 강도가
있다고 확인될 경우에는 두지 않아도 좋다
182
o 도로설계요령 5.7.3 가로보의 구조세목
- 중간가로보는 각 지간에 1개이상 또는 15m 이하의 간격으
로 설치하여야 한다. 또 거더의 지점 상에는 반드시 가로보
를 설치하여야 한다.
o 도로교 표준시방서 6.2.7 격벽(가로보)
- 지간이 12m를 넘는 경우에는 중간 격벽을 최대모멘트가 발
생하는 지점에 있는 보와 보 사이에 설치한다
□ 중간 격벽 설계현황
구분 |
경 간 장 |
|||
35m |
40m |
45m |
50m |
|
PSC빔 |
1개소/강재 |
- |
- |
- |
PSC빔 계열 교량 |
- |
3개소/강재 |
3개소/강재 |
- |
Ⅳ 개선 방안
□ 검토 방향
o 도로교 설계기준에 “격벽은 실험이나 구조해석에 의해 충분한
강도가 확인될 경우에는 두지 않아도 좋다”라고 명시
o 도로교통기술원에서 수행한 “PSC BEAM교량 중간격벽의 최적
에 관한 연구(2000. 12)“에서 중간격벽의 하중분배 효과는 미미
한 것으로 제시됨
o 따라서, 구조해석을 통해 강재 격벽을 줄일 경우의 영향을
검토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격벽 개소수 축소 조정
183
□ 구조해석 결과
o Girder 응력 검토
- Girder 본체 하면의 발생응력은 중간격벽 3개소(현행)에서 가장 작
고 1개소일 때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 격벽의 개소수에 상관없이 모든 경우 허용응력범위 이내에서
모두 안정하였음.
① 내측거더 (L=45m일 때)
※ 인장(-), 압축(+)
구 분 |
하중작용 단계 (MPa) |
||||
1차긴장 |
슬래브 타설 |
2차긴장 |
사용하중재하 |
||
중간 격벽 3개소 |
상연 |
4.36 |
11.24 |
11.37 |
14.31 |
하연 |
14.97 |
8.10 |
11.13 |
2.25 |
|
중간 격벽 2개소 |
상연 |
4.16 |
11.01 |
11.14 |
13.99 |
하연 |
15.19 |
8.35 |
11.36 |
2.66 |
|
중간 격벽 1개소 |
상연 |
4.05 |
10.90 |
11.03 |
14.15 |
하연 |
15.30 |
8.47 |
11.52 |
2.25 |
|
허용응력 범위 |
-1.43<계<17.6 |
-3.2<계<16.0 |
☞구조검토는 IPC거더로 하였으나 결과값은 모든형식이 유사함
② 외측거더 (L=45m일 때)
구 분 |
하중작용 단계 (MPa) |
||||
1차긴장 |
슬래브 타설 |
2차긴장 |
사용하중재하 |
||
중간 격벽 3개소 |
상연 |
4.36 |
10.88 |
11.00 |
14.78 |
하연 |
14.97 |
8.46 |
11.50 |
0.90 |
|
중간 격벽 2개소 |
상연 |
4.16 |
10.66 |
10.78 |
14.62 |
하연 |
15.19 |
8.70 |
11.72 |
1.00 |
|
중간 격벽 1개소 |
상연 |
4.05 |
10.55 |
10.67 |
14.41 |
하연 |
15.30 |
8.81 |
11.88 |
1.32 |
|
허용응력 범위 |
-1.43<계<17.6 |
-3.2<계<16.0 |
184
o 처짐 검토(L=45m일 때)
- 모든 경우 처짐량이 처짐한계이내로 안정하였음.
구분 |
활하중작용전 처짐량 |
활하중만의 처짐량 |
최종 처짐량 |
비고 (처짐한계) |
중간가로보 3개 |
-7mm |
21mm |
14mm |
55mm |
중간가로보 2개 |
-8mm |
21mm |
13mm |
55mm |
중간가로보 1개 |
-15mm |
22mm |
7mm |
55mm |
o 격벽 발생 단면력 비교
- 격벽 개소수에 따른 응력검토 결과 충분한 안전성 확보함.
구 분 |
허용응력(MPa) |
발생응력(MPa) |
비고 |
||
상면 |
하면 |
상면 |
하면 |
||
중간격벽 1개소 |
131.6 |
140.0 |
54.797 |
54.797 |
|
중간격벽 3개소 |
138.0 |
140.0 |
82.906 |
82.906 |
|
□ 기술 자문 의견서
o 격벽의 설치 개소수에 의한 구조적인 영향은 미미하므로 경
간장 40m이상 PSC빔 계열의 교량에서 중간격벽 1개소 적용
은 바람직 함
☞ 세부내용은 별첨 #3 참조
185
□ 강재격벽 단면도
☞ 강재격벽 상세세부단면은 붙임 #2 참조
Ⅴ 결 론
◦ 구조해석 결과 격벽의 설치 개소수에 의한 구조적인 영향(거
더응력, 처짐 등)은 미미한 것으로 검토됨
◦ 따라서, 중간 격벽 설치수량을 최소화하여 1개소 적용하고 아래조
건의 교량은 실시설계시 추가 검토후 적용
☞ 추가검토 대상 :
- 방음벽 설치 교량, Girder 간격 2.55m초과 교량,
사교(70°미만), 경간장 50m이상 PSC빔 계열 교량
- 곡선반경이 아래값 이하일 때
구분 |
경간장 40m일때 |
경간장 45m일때 |
비고 |
곡선반경(m) |
850 |
1,100 |
|
☞ 비틀림 및 배수구 설치를 고려한 값임
186
◦ 강재 격벽 설치 수량 감소로 공사비 및 탄소 배출량 감소
- 공사비 절감 비용 : 312 억원
․강재격벽 공사비(㎞당) : 56 백만원
․향후 설계 물량 : 557.8 ㎞ (예타 등 현재 진행중인 사업대상)
- 탄소 배출량 감소 : 11,375 톤 (17.1 억원 - CO2처리비용:15만원/톤)
․강재격벽 감소 중량 (㎞당) : 8.715 톤
․1톤당 탄소 배출 절감량 : 2.34 톤
Ⅵ 적용 방안
◦ 설계중 또는 설계완료후 공사 미발주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중인 노선 : 공사시행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
붙 임 : 1. 강재격벽 설치에 대한 구조계산서
2. 강재격벽 도면
3. 자문 의견서
4. 절감 공사비 및 탄소배출량 계산